KR102210182B1 - 점착 테이프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182B1
KR102210182B1 KR1020190048165A KR20190048165A KR102210182B1 KR 102210182 B1 KR102210182 B1 KR 102210182B1 KR 1020190048165 A KR1020190048165 A KR 1020190048165A KR 20190048165 A KR20190048165 A KR 20190048165A KR 102210182 B1 KR102210182 B1 KR 10221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pressure
adhesive
bas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245A (ko
Inventor
하마노쇼키치
Original Assignee
교도 기큰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도 기큰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도 기큰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핸드 커팅성이 좋고,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억제하여 점착 후의 위치 어긋남과 박리, 롤형으로 권취했을 때의 텔레스코프(죽순) 모양의 변형을 방지한다.
편면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2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22)을 갖는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20)의 상기 요철면에 점착제층(30)을 형성하여 점착 테이프(10)를 제조한다. 상기 기재층 및 점착제층에, 길이가 1~10㎜, 굵기가 0.05~100데니어인 섬유편을, 상기 기재층 또는 점착제층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2~10중량부 함유시킨 이러한 섬유편(32)의 분산에 의해, 통기성을 가지며,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핸드 커팅성을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대폭 억제할 수 있어, 그 결과 점착 후의 위치 어긋남, 박리, 롤형으로 권취했을 때의 텔레스코프 형상의 변형이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양면 점착 테이프를 포함함)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내외장, 건축 도장, 차량 도장 등에서 마스킹이나 양생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포장 등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와 같이, 핸드 커팅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핸드 커팅성을 유지하면서, 기재층의 신축 방지와 인장 강도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점착 후의 위치 어긋남 및 박리, 롤형으로 감았을 때의 텔레스코프 형상(죽순 모양)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건축 내외장, 건축 도장, 차량 도장 등에서 마스킹 및 양생을 위해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기재층이 되는 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편면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층(130)이 내측, 기재층(120)이 외측이 되도록 롤 심(140) 등에 롤형으로 감겨진 상태로 제공되고 있어, 사용시에 유저는 점착 테이프(100)을 롤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피착물에 점착한 후, 원하는 부위에서 절단하여 점착시킨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100)의 절단시에는, 톱니형의 칼날을 갖는 전용의 커터의 사용, 또는 가위 혹은 커터 나이프 등의 칼날의 사용에 의해 절단할 수도 있으나, 절단할 때마다 이러한 칼날 등을 사용하는 것의 번잡스러움을 피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집어 간단하게 자를 수 있는 “핸드 커팅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가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핸드 커팅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일본지, 섬유 직물(Textile fabric)(이하, "스플릿 섬유(split fiber)"[역주; 영역으로서는:High strength cloth made of split fiber인 것 같습니다만] 라 함.), 및 절단선이 되는 엠보스를 새긴 합성 수지 필름을 기재층으로 한 점착 테이프 등이 있다.
특히, 점착 테이프를 손으로 자르는 경우,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점착 테이프로서는, 기재층을 상술한 스플릿 섬유에 의해 구성한, 소위 "천 테이프"가 주류이고, 일부로서,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핸드 커팅성을 부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기재층으로 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상술한 천 테이프에서는, 스프(stable fibre)(레이온),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날실과 씨실을 서로 다른 굵기로 짜서 형성한 스플릿 섬유의 양면 또는 편면에, 두께 10~40㎛ 정도의 PE필름을 라미네이트한 것이 기재층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날실과 씨실을 짬으로써 제조되는 스플릿 섬유를 구비한 기재층을 사용한 천 테이프는, 손으로 자르는 경우에도 스플릿 섬유의 날실 또는 씨실의 종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 테이프의 경우에는, 상술한 구조이므로, 기재층을 얻기 위해서는 미리 짜 둔 스플릿 섬유를 PE 필름과 라미네이트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 공정수가 많아지는 결과, 고가가 된다.
이에, 단층의 합성 수지 필름을 기재층으로 하면서, 손으로 자르는 경우에도 폭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고안이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을 평활면(121)으로 함과 아울러, 다른쪽 면을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홈(12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122)으로 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120)으로 하고, 이 기재층의 상기 요철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130)을 형성한 점착 테이프(100)가 제안되었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3-47885호 공보;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면(122)을 구비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120)으로 한 점착 테이프(100)에 있어서, 핸드 커팅성을 유지하면서, 점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늘어남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 점착 테이프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100)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제 기재층(120)의 요철면(122) 상에 형성하는 점착제층(130)을,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135)와 점착제(131)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9-137133호 공보; 이하 "특허문헌 2"라 함).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제 기재층(120)의 요철면(122)에,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0~80℃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136)을 도포한 후에, 아크릴계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130)을 형성한 점착 테이프(100)도 제안되었다(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제2001-172586호 공보;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3-4788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9-13713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제2001-172586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점착 테이프(100)(도 9)에서는, 기재층(120)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의 요철면(122)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를 손으로 자른 경우에도, 기재층(120)이 홈(123)을 따라 찢어짐으로써 직선형으로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가 기재층(120)으로서 채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은 무연신으로, 그 자체가 종이 또는 스플릿 섬유 등과 비교하여 신축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점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홈(123)이 형성되어 얇은 두께의 홈(123)의 부분에서 기재층(120)은 더욱 쉽게 늘어나게 된다.
그 결과, 이러한 점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형으로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길이의 테이프를 인출할 때, 혹은 손으로 절단할 때에 점착 테이프(100)의 기재층(120)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게 되고, 이와 같이 하여 늘어난 상태로 피착물에 점착되게 된다.
그리고, 기재층이 늘어난 상태로 점착된 점착 테이프(100)는, 기재층(120)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고 줄어듦으로써, 시간의 경과와 함께 피착물 상의 점착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혹은 점착 테이프의 가장자리부가 들떠서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점착 테이프를 도장시의 마스킹에 사용하면, 도장 위치가 어긋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100)에서 기재층(120)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쉽게 늘어나고, 더욱이 기재층에 대한 점착제의 도포시에 90~110℃로 가열되어 건조되므로, 그 후에 롤형으로 권취할 때의 장력에 의해, 0.3~1% 정도 연신된 상태로 롤 심(140)에 권취된다.
그 결과, 롤형으로 권취한 후에 점착 테이프가 길이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점착 테이프(100)의 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프 형상(죽순 모양)으로 변형되는 불량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텔레스코프 형상(죽순 모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 테이프를 낮은 장력으로 권취하면, 공기의 유입에 의해 공기집(공동)이 쉽게 생기게 되어, 모두 외관이 불량하여 제품으로서는 출하할 수 없고, 이와 같이 발생하는 불량율은 최대 약 1~7%에 이르므로 수율이 나쁘다.
나아가, 마스킹 또는 양생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에서는, 도장 등의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이것을 피착물로부터 박리,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데, 핸드 커팅성을 부여하기 위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술한 홈(123)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120)으로 한 상술한 점착 테이프(100)는 피착물로부터 박리하는 작업중에도 늘어나기 쉽고, 또한 끊어지기 쉬우므로 박리 작업이 번잡해진다.
이와 같이, 편면에 홈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으로 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기 쉽고, 그 결과 상술한 각종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점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늘어남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홈(123)의 깊이를 얕게 하는 것, 혹은 기재층(120)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전체를 두껍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구성에서는, 점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점착 테이프(100)의 핸드 커팅성이 저하되고,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구성에서는, 피착물의 표면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됨으로써 박리 등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도 10)에서는, 점착제층(130)에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135)를 매설하여 점착제층을 강화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서의 늘어남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135)와 점착제(131)를 일체화시켜 점착제층(130)을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135)와 점착제(131)를 공정지(150) 상에 라미네이트하는 등을 통해 점착제층(130)을 형성한다. 이어서, 기재층(120)이 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에 적층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상술한 천 테이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조시의 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더욱이, 점착제층(130)에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135)를 매몰시킨 구조에서는, 늘어남을 억제할 수는 있으나 핸드 커팅성이 대폭 저하된다.
더욱이,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135)의 매몰에 의해 점착제층(130)의 변형성이 대폭 저하되므로, 피착부의 표면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되어 박리 또는 들뜸이 쉽게 발생하고, 마스킹 테이프로서의 기능이 손상될 가능성도 있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제의 기재층(120)에 마련한 요철면(122)에, 점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136)를 도포한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늘어남은 억제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으나, 핸드 커팅성은 대폭 저하되거나 또는 거의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초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136)을 도포한 후에, 이에 이어서 용제형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130)을 형성하면, 기초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136)가 점착제(131)내의 용제에 침범되어 이상을 발생시키는, 소위 "솔벤트 어택"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136)가 연화되어, 늘어남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므로, 제조 방법 혹은 재질 등에 대해서도 제약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앞서 기재한 3건의 공지 문헌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는, 기재로서 폴리올레핀계의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어 통기성이 불충분하므로, 점착시에 피착의 표면과 점착 테이프(100) 사이에 외기를 유입시키기 쉽고, 외관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유입된 외기의 팽창이나, 피착물로부터의 방출 가스, 기재의 열팽창 등이 복합되어 점착 테이프(100)의 부풀림이나 박리의 요인이 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점착 후의 위치 어긋남 또는 박리를 방지함과 아울러, 롤형으로 감겨진 점착 테이프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텔레스코프 형상(죽순 모양)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도장 작업 등의 종료후, 피착물로부터 박리할 때의 작업성이 양호하고, 나아가 통기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양면 점착 테이프를 포함함) 및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서 사용하는 부호와 함께 기재한다. 이 부호는, 청구범위의 기재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기재와의 대응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한 것으로, 말할 필요도 없이,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의 해석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는,
편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2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22)을 갖는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20)과,
상기 기재층(20)의 상기 요철면(22)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30)을 구비하고,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에 섬유편(32)이 분산되고, 이 분산된 섬유편(32)에 의해 만들어진 통기로에 의해 통기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청구항 1, 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는, 상기 점착제층(30, 30')이 상기 기재층(20)의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 30')에 섬유편(32)이 분산되고, 이 분산된 섬유편(32)에 의해 만들어진 통기로에 의해 통기성을 가진 양면 점착 테이프(10')로 할 수 있다(청구항 2, 도 2 참조).
아울러, 상기 통기로는,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을 구성하는 수지와 상기 분산된 섬유편(32)과의 사이에 생긴 틈새 및/또는 상기 섬유편(32)이 갖는 구멍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청구항 3).
나아가,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상기 기재층(20)이, 양면에 상기 요철면(22, 22')을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청구항 4, 도 3 참조).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편(32)"에는, 단섬유의 단일체 또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의 조각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 외에도, 모노필라멘트를 서로 꼬아 얻은 멀티필라멘트(실)의 조각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이 점착제(31)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섬유편(32)을 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5, 도 1).
상기 섬유편(32)으로서는, 섬유 직경(외경)이 0.05~100데니어(0.01~200㎛), 바람직하게는 1~10데니어(15~6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데니어(3~4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청구항 6).
아울러, "데니어"란, 9000m의 실의 질량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데니어"의 1/9의 값이, JIS 및 ISO에서 사용하는 "텍스"(1000m의 실의 질량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것)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섬유편(32)의 길이는, 1~10㎜, 바람직하게는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인 것을 사용 가능하다(청구항 7).
아울러 상기 섬유 직경 및 섬유 길이는, 각종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재층(20)이 상기 기재층(20)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섬유편(32)을 0.2~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3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8, 도 1).
상기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 및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로 한다(청구항 9).
또한,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인장 강도가 100(N/50㎜ 폭)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0).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의 상기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은, 두께 방향의 전체에 걸쳐 섬유편(32)이 균일하게 분산된 것으로 할 수도 있으나(도 1 참조), 바람직하게는, 피착물에 대한 점착측(지면 하측)에서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이 감소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1, 도 4 및 도 5 참조, 양면 점착 테이프(10')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나아가, 상기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은, 기재층(20)과의 점착측(도면 상측)에서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이 감소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2, 도 5 참조, 양면 점착 테이프(10')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아울러 기재층(20) 및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에 분산시키는 상기 섬유편(32)으로서는, 아크릴계, PET, 올레핀계 수지, 레이온, 비닐론, 나일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섬유편(32)의 1종을,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상기 점착제층(30)에 분산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 13).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이고, 상기 섬유편은 아크릴계 섬유편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4).
상기 섬유편(32)이 중공 섬유편(32)인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15).
상기 섬유편(32)이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층형으로 분산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 16, 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의 제조 방법은,
편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2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22)을 갖는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20)의 상기 요철면(22)에, 점착제를 적층하여 점착제층(3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에 섬유편(32)을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7).
또한, 상기 기재층(20)의 양면에 점착제를 적층하여 점착제층(30, 30')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 30')에 섬유편(32)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청구항 18).
나아가 상기 기재층(20)이 양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23)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22)을 갖는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청구항 19).
상기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의 형성은,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을 변화시킨 복수 종류의 점착제를 다층으로 적층함으로써, 피착물과의 접착면측에서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이 감소되는 상기 점착제층(30)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 20, 도 4 및 도 5 참조, 양면 점착 테이프(10')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또한, 마찬가지로 섬유편(32)의 분산량을 변화시킨 복수 종류의 점착제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상기 기재층(20)의 상기 요철면(22)과의 접착면측에서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이 감소되는 상기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 21, 도 5 참조, 양면 점착 테이프(10')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양면 점착 테이프(10')를 포함함)에서는, 이하의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폭방향의 핸드 커팅성을 유지하면서,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작게 하고, 나아가 통기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섬유편의 분산에 의한 늘어남의 억제는, 섬유의 분산에 의해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제층이 가교가 높아진 것 같은 거동을 나타냄(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거동을 나타내는 상태를 "유사 가교 상태"라 함)으로써 물리적으로 늘어남이 억제되는 것이고, 화학적인 가교(화학 결합에 의한 결합 상태)와 비교하여, 점착력에 기여하는 관능기 등을 차단하지 않아 점착력의 발현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길이 방향의 늘어남을 작게 할 수 있었으므로, 롤형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인출할 때에 쉽게 늘어나지 않고, 늘어난 상태로 점착된 점착 테이프가 줄어듦으로써 발생하는 점착 위치의 어긋남, 가장자리부의 들뜸에 의한 박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공기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을 주어 권취한 경우에도 늘어남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롤형으로 권취된 후에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가 줄어듦으로써 발생하는 텔레스코프 형상(죽순 모양)의 변형에 대해서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불량품의 발생을 억제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인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므로, 예를 들어 도장 등의 작업이 종료된 후, 마스킹 테이프로서 사용하고 있던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를 피착물로부터 박리, 제거할 때에 점착 테이프를 파단시키거나 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통기성을 가지므로, 점착시에 발생하는 외기의 포섭을 방지할 수 있어 점착 후의 외형이 깨끗할 뿐 아니라 피착물의 방출 가스나 포섭된 외기의 팽창 등에 의한 박리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통기성에 대해서는,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섬유편(32)이 분산되고, 이 분산된 섬유편(32)에 의해 만들어진 통기로에 의해,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통기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 및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분산된 섬유편(32)과의 사이에 미미한 틈새, 또는 섬유편이 갖는 구멍 등을 따라 공기가 빠져 나갈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특히, 섬유편(32)의 첨가량을 점착제(31)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또는 상기 기재층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섬유편을 0.2~10중량부 함유하기만 하면 되는, 비교적 소량이고, 또한 분산시키는 섬유편(32)으로서 0.05~100데니어라는 비교적 가는 직경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핸드 커팅성을 거의 희생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10)(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늘어남의 억제와 인장 강도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점착제(31)에 첨가하는 섬유편(32)을, 1~10㎜, 바람직하게는 1~7㎜,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라는 비교적 짧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에 대한 섬유편(32)의 분산이 용이한 한편, 이 길이의 섬유편의 분산으로도 필요한 신장율의 억제와 인장 강도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기재층(20)의 요철면(22)에, 상기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도시하지 않음)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구성에서는, 점착 테이프(10)의 폭방향의 핸드 커팅성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의 핸드 커팅성에 대해서도 부여할 수 있었다.
상기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 내의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을, 피착물과의 접착면측에서 감소시킨 구성으로 한 예에서는, 섬유편(32)의 분산에 의해서도 피착물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점착제층(30)(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점착제층(30, 30')) 내의 상기 섬유편(32)의 분산량을, 기재층(20)의 요철면(22)과의 접착면측에서도 감소시킨 구성으로 한 예에서는, 기재층(20)의 요철면(22)과 점착제층(30)간의 견고한 접착을 얻을 수 있고, 피착물로부터 점착 테이프(10)를 벗길 때, 층간 박리가 생겨 점착제층(30)의 일부가 피착물의 표면에 부착한 채로 남는, 소위 "점착제 잔류"의 발생에 대해서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기재층으로서의 공정이 많고, 비용이 높은 섬유를 종횡(경위)으로 짜지 않고 기존의 직물형 테이프의 대체도 되는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어 높은 경제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재층으로서 과거에 시도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 수지에서는, 융점의 차이로 인해, 압출 필름에 발생하는 휘어짐, 권취의 주름, 라인에서의 주름(리브, 플레어라고도 불림)이 다발하였으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대체하는 본원의 섬유편에 의해, 상기 효과를 달성함과 아울러, 이러한 주름의 발생을 극히 적게 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점착 테이프(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점착 테이프(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점착 테이프(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점착 테이프(1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7은, 기재층이 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8은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의 점착 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종래의 점착 테이프의 설명도(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3-47885호 공보에 대응).
도 10은, 종래의 점착 테이프의 설명도(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9-137133호 공보에 대응).
도 11은, 종래의 점착 테이프의 설명도(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 제2001-172586호 공보에 대응).
도 12는, 텔레스코프 형상(죽순 모양)으로 변형된 점착 테이프의 설명도이고,
도 13은, 종래의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특허문헌 2의 도 3에 대응)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체 구조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을 평활면(21)으로 하고, 다른쪽 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다수의 홈(23)이 형성된 요철면(22)으로 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20)으로 하고, 이 기재층(20)의 요철면(22)에 점착제층(30)을 마련한, 핸드 커팅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10)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는, 상술한 기재층(20) 및 점착제층(30)에 섬유편(32)을 분산시킴으로써, 핸드 커팅성을 유지하면서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의 늘어남의 억제와, 인장 강도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통기성을 갖게 한, 일례로서 총 두께 120~600㎛의 점착 테이프이다. 아울러 총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을 평활면(21)으로 하고, 다른쪽 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다수의 홈(23)이 형성된 요철면(22)으로 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20)으로 하고, 이 기재층(20)의 양면에, 점착제층(30, 30')을 마련하고,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 30')의 점착제 내에 섬유편(32)이 분산된, 통기성 및 핸드 커팅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10')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을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다수의 홈(23, 23')이 형성된 요철면(22, 22')으로 한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을 기재층(20)으로 하고, 이 기재층(20)의 양면에, 점착제층(30, 30')을 마련하고, 상기 기재층(20) 및 상기 점착제층(30, 30')의 점착제 내에 섬유편(32)이 분산된, 통기성 및 핸드 커팅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10')로 할 수도 있다.
기재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 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에서 기재층(20)으로서 사용하는 필름은,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필름이고, 이것은 공지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중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노넨-1, 4-메틸펜텐-1, 데센-1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분자량은, 필름으로 성형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수지의 흐름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용융 지수로 나타내면, 일반적으로 0.2~20g/10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10g/10분(모두 하중 2.16kg, 온도 19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 및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기재층(20)이 되는 상술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시트의 두께는, 일례로서 40~400㎛의 범위이나, 이 두께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폴리올레핀 수지 시트는, 한쪽 면을 평활면(21)으로 하고, 다른쪽 면을 요철면(22)로 하고 있고, 이 요철면(22)에,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을 이루는 홈(23)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10')의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시트의 양면을 요철면(22, 22')으로 하고, 이 요철면(22, 22')에,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을 이루는 홈(23, 23')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홈(23)은, 점착 테이프(10)를 손으로 절단 할 때에 기재층(20)에 파단이 발생하는 위치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손에 의한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그 단면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은 V자 모양 외에도, 사각 형상, (반)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일 수도 있으며, 그 깊이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시트 두께 40~400㎛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시트를 기재층(20)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깊이는, 30㎛ 미만에서는 핸드 커팅성이 손상되므로, 30~300㎛, 바람직하게는 40~120㎛의 홈(23)을 형성하고, 홈(23)의 형성 부분에서의 두께를 10~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홈(23)의 간격은, 0.5㎜ 미만에서는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으로 강도가 부족하고, 5㎜를 넘으면 본래의 핸드 커팅성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례로서 0.5~5㎜, 바람직하게는 0.6~1.4㎜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 이보다 넓거나 또는 좁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원료로 하여, 한쪽 면을 평활면(21), 다른쪽 면을 요철면(22)로 한 폴리올레핀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미리 섬유편(32)과 혼련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해시켜 압출기(50)의 압출 다이(51)를 통해 필름형으로 압출한 후, 압출된 필름이 아직 완전히 실온까지 냉각되지 않은 상태로 엠보스 롤(61)과 고무 롤(62)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고무 롤(62)과의 접촉 측에 평활면(21), 엠보스 롤(61)과의 접촉 측에 엠보스 롤(61)의 표면에 마련한 돌기(61a)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23)을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기재층(20)의 양면에 요철면(22, 2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고무 롤(62) 대신에 엠보스 롤(61')을 준비하고, 상기 엠보스 롤(61)과 엠보스 롤(61')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양면에 홈(23, 23')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와의 친화가 양호하도록 하여 층간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에 형성한 요철면(2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64)과, 평활한 표면을 갖는 처리 롤(65) 사이를 통과시킬 때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요철면(22)과 후술하는 점착제(31)와의 친화성(요철면에 대한 접착제의 머무름성, 요철면의 젖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점착 테이프(10)를 피착물로부터 박리할 때에 층간 박리가 생겨 점착제가 피착물의 표면상에 남는, 소위 "점착제 잔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면(22)에 대한 코로나 방전 처리는, 점착제층(30)과의 친화를 양호하게 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에서 이 코로나 방전 처리는 필수는 아니고, 필요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기재층(20)의 다인 수(dyne; 젖음 지수)는, 평활면(21)에 반해 요철면(22)이 더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다인 수(젖음 지수)는 일례로서 평활면(21)에서 30Dyn/㎝ 이하, 요철면(22)에서 35Dyn/㎝ 이상이고, 평활면(21)의 젖음 지수가 30Dyn/cm보다 크면 점착 테이프(10)을 롤형으로 권취했을 때에 평활면(21)과 점착제층(30)이 필요 이상으로 견고하게 접착되는, 소위 "블로킹 현상"의 발생에 의해, 점착 테이프(10)을 전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요철면(22)의 젖음 지수가 35Dyn/㎝ 미만이면, 요철면(22)에 대한 점착제(31)의 접착력이 부족하여 상술한 "점착제 잔류" 등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아울러, 요철면(22)에 대한 점착제층(30)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코로나 방전 처리 외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의 도포에 의한 친화성의 향상도 잘 알려진 방법이며, 프라이머로서는 기존의 각종의 것,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 등의 고무계의 프라이머, 아크릴 수지계의 프라이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코로나 방전 처리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의 도포도 필수는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코로나 방전 처리를 대신하여 또는 코로나 방전 처리와 병용하여 프라이머 도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재층(20)에는 섬유편(32)이 첨가되는데, 섬유편(32)의 일차 분산은, 마스터배치로 폴리올레핀 수지와 혼련을 얻고, 압출기 호퍼로 공급된다. 사용되는 섬유편(32)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열 용해 온도 200℃보다 높은 것이야 하고, 이 관점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Tg 220℃), 나일론(Tg 220℃), 아크릴계(열경화)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열 용해와는 상관없는 레이온이 바람직하나, 방수성의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스테르계가 바람직하다.
섬유편(32)이 분산된 기재층(20)은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필름이고, 이것은 공지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
이상과 같이 구성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20)의 요철면(22)에,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하는 경우에는 기재층(20)의 양면에, 섬유편(32)이 분산된 점착제층(30)이 형성된다.
점착제
점착제층(30)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기존의 각종 점착제를 사용 가능하고, 일례로서 아크릴계 점착제, 비닐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점착제의 형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액형 점착제, 에멀젼형 점착제, 핫멜트형 점착제 등 모든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적층 방법
상술한 점착제층(30)의 형성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미리 섬유를 분산시켜 둔 점착제를, 상술한 기재층(20)의 요철면(22)에 도포함으로써, 혹은 공정지 상에 도포한 후, 상기 기재층(20)의 요철면(22)에 전사함으로써 형성한다.
이 점착제층(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편(32)이 분산된 점착제를 1층 코팅함으로써 형성한 단층의 점착제층(30)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편(32)의 분산량이 다른 복수 종류의 점착제를 2층 이상 코팅하여, 점착제층(30)의 두께 방향에서의 섬유편(32)의 분산량에 구배를 갖게 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섬유편(32)은, 이것을 기재층(20) 및 점착제층(30) 내에 분산시킴으로써 통기성을 갖고, 나아가 기재층(20) 및 점착제층(30)이 보강되어 늘어남이 감소함과 아울러 인장 강도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점착제층(30)에 상술한 유사 가교 상태를 발생시켜 피착물의 표면에 대한 추종성 및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층(30) 중, 기재층(20)측(지면 상측)을 상대적으로 섬유편(32)의 함유량이 많은 점착제를 적층하여 형성한 점착제층(도시의 예에서는 섬유편 함유 점착제층(301))으로 하는 한편, 피착물과 접착하는 측(지면 하측)을 섬유편(32)의 첨가량이 적은 점착제를 적층하여 형성한 점착제층(도시의 예에서는 섬유편 소량 함유 점착제층(302)으로 한, 복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과 점착제층간의 층간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점착제층(30)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섬유편(32)의 분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점착제를 적층하여 형성한 점착제층(도시의 예에서는 섬유편 함유 점착제층(301))을 마련하는 한편, 이것을 중심으로 그 외측에 섬유편의 분산량이 적은 점착제를 도포, 적층하여 형성한 점착제층(도시의 예에서는 제1 섬유편 소량 함유 점착제층(302a), 제2 섬유편 소량 함유 점착제층(302b))을 형성한 3층 구조의 점착제층(30)을 형성하여, 피착물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재층(20)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한 복층 구조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10')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기재층(20)의 양면에 적층된 점착제층(30, 30') 중 한쪽만을 상술한 복층 구조로 할 수도 있고, 양쪽을 상술한 복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점착 테이프(10)는, 기존의 점착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25m, 50m와 같은 소정의 길이를 권취하여 형성한 롤 상태로 제공된다.
롤형으로 권취한 상태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경우, 점착제로서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점착제의 도포량이 많은 경우 등에는, 점착 테이프(10)의 전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층(20)의 평활면(21)에 기존의 박리제를 도포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20)의 양면에 점착제층(30)을 적층함으로써 양면 점착 테이프(10')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기재층(20)의 평활면(21) 및 요철면(22)의 양면에 점착제층(30, 30')을 적층한 제2 실시 형태의 양면 점착 테이프(10')에 대해서는, 예로서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박리 시트에, 미리 섬유편(32)을 분산시켜 둔 점착제를, 키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나이프 코터, 리버스 롤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이것에, 상술한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섬유편(32)이 분산된 기재층(20)을 적층하고, 말아 나간다.
나아가 이것을 되감으면서, 상기 기재층(20) 상에, 상기 미리 섬유편(32)을 분산시켜 둔 점착제를 키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나이프 코터, 리버스 롤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 후에 감는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10')는, 편면 또는 양면이 상기 박리 시트로 덮이고, 감겨진 테이프 혹은 시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박리 시트로서는, 종이에 수지를 앵커 코팅한 것,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성이 높은 수지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하는 경우 표면에 실리콘계 재료 등의 박리제를 도포한 것이 사용된다.
섬유편
기재층(20) 및 점착제층(30) 내에 분산되는 상술한 섬유편(32)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나일론, 6, 6-나일론,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폴리아크릴니트릴, PMMA(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비닐론, 레이온, 마, 견, 모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
이 섬유편(32)은, 면 또는 마, 양모 등의 단섬유의 단체 또는, 이 단섬유들 또는 견 또는 화학 섬유 등의 장섬유의 조각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일 수도 있고, 또는 모노필라멘트를 서로 꼬아 얻은 멀티필라멘트(실)의 조각일 수도 있다.
이들 중 특히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계나, 아크릴계의 섬유편의 사용은, 기재층(20)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과의 접착성, 내열성, 내용제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원료들로 이루어지는 섬유편(32)은, 단일의 원료로 이루어지는 섬유편(32)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원료로 제조된 복수 종류의 섬유편(32)을 2 종류 이상 섞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섬유편(32)은, 착색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미리 착색하여 둔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섬유편(32)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30)에의 섬유편(32)의 첨가량은,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10)의, 점착력, 인성, 핸드 커팅성/감촉(부드러움) 등의 관점에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5~1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이다.
또한, 기재층(20)에서의 섬유편의 첨가량으로서는, 상기 기재층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2~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3중량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섬유편(32)으로서 사용하는 재질로서는, 점착제로서 전술하는 아크릴계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크릴계의 섬유편의 사용은 내열성, 내수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내수성의 점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의 것의 사용도 바람직하고, 또한 내열성의 점에서는 레이온 섬유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기성의 관점에서, 섬유편(32)으로서, 섬유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는(단면에 구멍이 존재하는 구조를 가짐) 중공 섬유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공 섬유편은, 단사 섬유가 중공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섬유의 표면에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진 다공성의 중공 섬유편일 수도 있고, 또한 표면에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갖지 않는 비다공성의 중공 섬유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공 섬유편으로서는, 예를 들어, 마, 면 등의 천연 섬유 외에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염화비닐 등의 합성 섬유의 내부를 중공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공 섬유편의 단사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중공 단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 삼각, 사각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 및 점착제층에 함유된 섬유편(32)을, 점착 테이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층형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테이프의 두께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의 통기성이 향상되어, 예를 들어, 점착시에 유입된 외기를, 테이프의 두께 방향 외에도 길이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할(배출시킬) 수 있다.
10 점착 테이프(10' 양면 점착 테이프)
20 기재층(폴리올레핀 수지 시트)
21 평활면
22, 22' 요철면
23, 23' 홈
30, 30' 점착제층
301 섬유편 함유 점착제층
302 섬유편 소량 함유 점착제층
302a 제1 섬유편 소량 함유 점착제층
302b 제2 섬유편 소량 함유 점착제층
31 점착제
32 섬유편
40 롤 심
50 압출기
51 압출 다이
61, 61' 엠보스 롤
61a 돌기
62 고무 롤
64 방전 전극
65 처리 롤
100 점착 테이프
120 기재층
121 평활면
122 요철면
123 홈
130 점착제층
131 점착제
135 부직포 또는 스플릿 섬유
136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40 롤 심
150 공정지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편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을 갖고 섬유편이 분산된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철면에 형성되고 섬유편이 분산된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기재층을 형성하는 상기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상기 점착제 각각에 분산된 섬유편에 의해 만들어진 통기로에 의해 통기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가,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상기 분산된 섬유편과의 사이에 생긴 틈새 및/또는 상기 섬유편이 갖는 구멍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양면에 상기 요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점착제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섬유편을 0.5~1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분산된 상기 섬유편의 섬유 직경이, 0.05~1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분산된 상기 섬유편의 길이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상기 기재층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섬유편을 0.2~1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늘어남이 30% 이하인 점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인장 강도가 100(N/50㎜ 폭)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피착물에 대한 점착 측에서 상기 섬유편의 분산량이 감소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기재층과의 점착 측에서 상기 섬유편의 분산량이 감소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편이, PET, 올레핀계 수지, 레이온, 비닐론, 나일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 섬유편의 1종을,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상기 점착제층에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이고, 상기 점착제층에 분산된 상기 섬유편은 아크릴계 섬유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분산된 상기 섬유편이 중공 섬유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분산된 상기 섬유편이,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층형으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7.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섬유편이 분산된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편면에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요철면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요철면에 섬유편이 분산된 점착제를 적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며,
    상기 기재층을 형성하는 상기 미연신의 폴리올레핀 수지제 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상기 점착제 각각에 분산된 섬유편에 의해 상기 점착 테이프에 통기로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점착제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양면에 상기 요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편의 분산량을 변화시킨 복수 종류의 점착제를 다층으로 적층하고, 피착물과의 접착면측에서 상기 섬유편의 분산량이 감소하는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편의 분산량을 변화시킨 복수 종류의 점착제를 다층으로 적층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기 요철면과의 접착면측에서 상기 섬유편의 분산량이 감소하는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190048165A 2018-05-01 2019-04-25 점착 테이프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210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8224 2018-05-01
JP2018088224A JP7011820B2 (ja) 2018-05-01 2018-05-01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45A KR20190126245A (ko) 2019-11-11
KR102210182B1 true KR102210182B1 (ko) 2021-01-29

Family

ID=6827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165A KR102210182B1 (ko) 2018-05-01 2019-04-25 점착 테이프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11820B2 (ko)
KR (1) KR102210182B1 (ko)
CN (1) CN110423565B (ko)
DE (1) DE10201911075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5684U1 (ru) * 2019-09-20 2020-02-04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Хорс" Грип лента
KR102462480B1 (ko) * 2022-09-07 2022-11-04 주식회사 유건코리아 피착제 종류와 상관없이 점착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033A (ja) * 1998-08-31 2000-03-07 Daio Paper Corp 両面粘着テープ用支持体
JP2017186457A (ja) * 2016-04-06 2017-10-12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基材レス両面粘接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4854B2 (ja) * 1988-12-16 1997-12-24 光洋化学 株式会社 粘着テープ
KR960008464B1 (en) * 1992-07-21 1996-06-26 Daewoo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a level symbol in variable length decoder
JP3281066B2 (ja) * 1992-11-12 2002-05-13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衣類保護用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69415A (ja) * 1995-03-29 1996-10-15 Asahi Corp 粘着テープ
JP2895421B2 (ja) * 1995-06-21 1999-05-24 光洋産業株式会社 通気性被着体用接着剤
JPH09137133A (ja) * 1995-11-13 1997-05-27 Sumitomo Chem Co Ltd 粘着テープ
JP3278338B2 (ja) * 1996-01-19 2002-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難燃性粘着テープ
US6410464B1 (en) * 1998-10-02 2002-06-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and-tearable tape
JP2001172586A (ja) * 1999-12-22 2001-06-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手切れ性粘着テープ
JP2002161256A (ja) * 2000-11-27 2002-06-04 Sekisui Chem Co Ltd 装飾用粘着シート
US6866928B2 (en) * 2002-04-08 2005-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ly removable tap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060063455A1 (en) * 2004-09-21 2006-03-23 Andover Coated Products, Inc. Hand-tearable non-elastic tape
DE102005037662A1 (de) * 2005-08-05 2007-02-08 Tesa Ag Klebeband mit einem Träger aus einem Spinnvlies, der einseitig mit einem druckempfindlichen Kleber zumindest partiell beschichtet ist
WO2012044528A1 (en) * 2010-09-30 2012-04-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t melt process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containing fibrous materials
JP6049715B2 (ja) * 2011-07-27 2016-12-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接着バックサイズを備える、手で引き裂くことができるマスキングテープ
US20140065377A1 (en) * 2012-09-04 2014-03-06 Berry Plastics Corporation Abrasuib-resistant, hand-tearable adhesive tape
US10160885B2 (en) * 2015-02-27 2018-12-25 Nitto Denko Corporation Hand-tearabl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6788891B2 (ja) * 2016-11-30 2020-11-25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033A (ja) * 1998-08-31 2000-03-07 Daio Paper Corp 両面粘着テープ用支持体
JP2017186457A (ja) * 2016-04-06 2017-10-12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基材レス両面粘接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10753B4 (de) 2021-05-27
JP2019194279A (ja) 2019-11-07
DE102019110753A1 (de) 2019-11-07
CN110423565A (zh) 2019-11-08
KR20190126245A (ko) 2019-11-11
JP7011820B2 (ja) 2022-01-27
CN110423565B (zh)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8891B2 (ja)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0162706B1 (ko) 규제된 신축성 복합체
EP0519611B1 (en) Release liner
KR102210182B1 (ko) 점착 테이프 및 이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080015003A (ko) 취성의 비점착성 외층을 구비한 탄성 중합체 피막
JP5159267B2 (ja) 伸縮性積層体
EP1225265A1 (en) Vapor-permeable and water-resistant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889729B2 (ja) ゴム帯状部材の巻取りライナー
JPH10130991A (ja) 経緯交差部を熱接着した不織布又は織編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AU2012287712B2 (en)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fabric and eco-friendly high pressure hose using same
JP4068724B2 (ja) 手切れ性に優れた粘着テープ
KR20130029808A (ko) 수성 페이스트제용 첩부 지지체
JP2003193005A (ja) 粘着テープ
JPH09137133A (ja) 粘着テープ
JP4108417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382085B1 (en) Multi-layered fiber, fibrous layer comprising the same and consolidated fibrous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JPH0324577Y2 (ko)
JPH08267636A (ja) 耐熱性強化積層体
JP2866581B2 (ja) 粘着テープ
JP3195188B2 (ja) 塗膜防水基布用複合シート
US20220072838A1 (en) Fire resistant composite
JPH06344484A (ja) 透湿性強化積層体
WO2021100739A1 (ja) 成型用基材
JP2018150633A (ja) 樹脂補強用織物およびその織物を用いた樹脂成形物
JPH0952325A (ja) 耐侯性強化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