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238B1 -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238B1
KR102207238B1 KR1020207021600A KR20207021600A KR102207238B1 KR 102207238 B1 KR102207238 B1 KR 102207238B1 KR 1020207021600 A KR1020207021600 A KR 1020207021600A KR 20207021600 A KR20207021600 A KR 20207021600A KR 102207238 B1 KR102207238 B1 KR 10220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uid filling
filling chamber
midsole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956A (ko
Inventor
제레미 엘. 코넬
카렌 에스. 디모프
에밀리 파리나
조엘 립 그린스판
스테판 이. 게스트
데렉 하이트
올리비에르 헨리컷
헬렌 헛친슨
겡 루오
크리씨 옛만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9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제1 쿠션이,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제2 쿠션이,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포함한다.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Description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2월 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53,406호, 2017년 6월 8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17,129호, 2017년 8월 10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43,780호, 및 2018년 2월 1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886,571호에 대해 35 U.S.C.§119(e) 하에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이전 출원들의 개시는 본 출원의 개시의 부분으로 고려되고, 그대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분야
본 개시는 개괄적으로 신발류 물품(articles of footwear)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반드시 종래 기술인 것은 아닌, 본 개시에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통상적으로 갑피(upper)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 상에서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며 그리고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당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는, 발 둘레에서의 갑피의 맞춤을 조절하기 위해, 레이스들, 또는 스트랩들, 또는 다른 잠금구들(fasteners)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의 바닥 표면에 인접한, 갑피의 바닥 부분이, 밑창 구조체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체들은 일반적으로, 지표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 배열체(layered arrangement)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의 하나의 층은, 마모 저항성 및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traction)을 제공하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바닥창은, 내구성 및 마모-저항성을 부과할 뿐만 아니라,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의 다른 층이, 바닥창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한다. 중창은,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발을 완충하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중합체 발포체 재료로 형성된다. 중창은, 바닥창과 대향하는 일 측부 상의 바닥 표면 및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는 반대편 측부 상의 발 받침부(footbed)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들은 또한, 갑피의 바닥 부분에 인접한 공동(void)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안락함-향상 안창(comfort-enhancing insole) 및/또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합체 발포체 재료들을 사용하는 중창들은 일반적으로, 걷기 이동 또는 달리기 이동 도중과 같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단일 판상물(slab)로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단일 판상물 중합체 발포체들은, 판상물이 점진적인 하중(gradient loads) 하에서 압축될 때의 소프트함 및 응답성에 관련되는 완충 특성을 균형잡게 하는 것에 관한 강조를 동반하도록 설계된다. 너무 소프트한 완충을 제공하는 중합체 발포체들은, 반복된 압축 이후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중창의 능력 및 압축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역으로, 너무 단단한 그리고 그에 따라 매우 응답성인 중합체 발포체들은, 소프트함을 희생하며, 그로 인해 안락함의 손실을 초래한다.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의 상이한 영역들이, 전체로서의 판상물의 소프트함 및 응답성을 균형잡게 하기 위해, 밀도, 경도, 에너지 회수 및 재료 선택에 관해 변할 수 있지만, 소프트형으로부터 응답형으로 점진적인 방식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중합체 발포체의 단일 판상물을 생성하는 것은, 달성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중창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포함한다. 하측 부분은,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세그먼트는, 간극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중창으로부터 간극 내로 연장되고, 쿠션이,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도면은 모든 가능한 구현예가 아니라 단지 선택된 실시예의 예시의 목적이고, 본 개시의 범주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 3-3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8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8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8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도 22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22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22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쿠션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 22의 17-17 선을 따라 취한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대안적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5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밑창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신발류 물품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28-28 선을 따라 취한 도 26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32-32 선을 따라 취한, 도 30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0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34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36-36 선을 따라 취한, 도 34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4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40-40 선을 따라 취한, 도 38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8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42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44는 도 42의 44-44 선을 따라 취한, 도 42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5는 도 42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48-48 선을 따라 취한, 도 46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6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52는 도 50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53a는 도 52의 53A-53A 선을 따라 취한, 도 50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3b는 도 52의 53B-53B 선을 따라 취한, 도 50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도 54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56은 도 54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57a는 도 56의 57A-57A 선을 따라 취한, 도 54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7b는 도 56의 57B-57B 선을 따라 취한, 도 54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58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60은 도 58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다.
도 61a는 도 60의 61A-61A 선을 따라 취한, 도 58의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61b는 도 60의 61B-61B 선을 따라 취한 도 58의 신발류 물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대응 도면 부호는 다수의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 부분을 지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할 것이고, 그 범주를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할 것이도록 제공된다. 특정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방법의 예와 같은 수많은 특정 상세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특정 상세는 채용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고,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지의 프로세스, 공지의 디바이스 구조 및 공지의 기술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한정이 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복수 형태를 마찬가지로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함적인 것이고, 따라서 특징, 완전체,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완전체,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은, 실행의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으면, 설명되거나 예시된 특정 순서에서의 이들의 실행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부가의 또는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위에 있고", "에 결합되고", "에 연결되고", 또는 "에 커플링되는" 것으로서 언급될 때, 이 요소 또는 층은 직접 다른 요소 또는 위에 있고, 결합되고,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될 수 있고, 또는 개재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위에 직접 있고", "에 직접 결합되고", "에 직접 연결되고", 또는 "에 직접 커플링되는" 것으로서 언급될 때, 어떠한 개재 요소 또는 층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요소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된 다른 단어는 유사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사이에" 대 "직접 사이에", "인접한" 대 "직접 인접한" 등)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열거된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이들 용어는 단지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부터 하나의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제1", "제2" 및 다른 서수적 용어와 같은 용어는, 문맥상 명백히 지시되지 않으면, 시퀀스 또는 순서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후술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 있다.
"내부", "외부", "아래", "밑", "하부", "위", "상부" 등과 같은 공간적 상대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에 대한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간적 상대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는 배향에 추가하여 사용 또는 동작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장치가 전복되면, 다른 요소 또는 특징 "아래" 또는 "밑"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된 요소는 이어서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위"로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의 배향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르게 배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됨), 본 명세서에 사용된 공간적 상대 기술어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중창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포함한다. 하측 부분은,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세그먼트는, 간극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다.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중창으로부터 간극 내로 연장되고, 쿠션이,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이하의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의 제1 단부가,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중창의 제2 세그먼트에 결합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간극을 통해 연장되며 그리고 쿠션에 결합된다.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내에 매립될 수 있으며 그리고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내에 매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은, 쿠션과 중창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medial side)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lateral side)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쿠션은,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과 중창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며, 그리고 중창의 상측 부분과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상측 부분과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플레이트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중창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쿠션과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 섬유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구비하는, 중창을 더 포함한다. 하측 부분은,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세그먼트는, 간극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된다. 쿠션이,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쿠션을 포함한다.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격리된다. 제1 플레이트가,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및 쿠션 각각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이하의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쿠션은, 제1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을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쿠션이, 제1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한다.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일부 예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으로부터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밑창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1 단부, 중창의 제2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2 단부, 및 쿠션에 결합되는 중간 부분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쿠션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2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로 형성된다. 여기서, 쿠션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선택적으로, 밑창 구조체는, 쿠션과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제3 플레이트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및 쿠션 각각에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 및 제3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세그먼트와 쿠션 사이에 형성되는 절결부(cutout)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제1 쌍의 탭을 한정하는 제1 노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제2 쌍의 탭을 한정하는 제2 노치를 구비하고, 제1 쌍의 탭은 중창의 하측 부분의 제1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2 쌍의 탭은 중창의 하측 부분의 제2 세그먼트 내에 매립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제1 쿠션이,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한다. 제2 쿠션이,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한다.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이하의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세그먼트는 제1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2 세그먼트는 지면 접촉 표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며, 그리고 제3 세그먼트는, 제2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쿠션은, 제2 쿠션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쿠션은, 제2 쿠션보다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쿠션이, 제2 쿠션과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쿠션은,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5 유체 충전 챔버 및, 제5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5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은, 상측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 및 지면 접촉 표면에서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마찰 요소(trac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마찰 요소들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구성에서, 마찰 요소들은, 압축성 재료로 형성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마찰 요소들은,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마찰 요소의 구성에 무관하게,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 부재가,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플레이트 부재와 바닥창의 상측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제2 유체 충전 챔버,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1 팽윤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2 팽윤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팽윤부는,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팽윤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은, 제2 쿠션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요소가, 바닥창의 상측 표면과 갑피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와 제1 쿠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완충 요소는, 발포체로 형성된다.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성에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제공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제1 쿠션이,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한다. 제2 쿠션이,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한다. 제2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1 쿠션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쿠션은, 제2 쿠션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쿠션은, 제2 쿠션보다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쿠션이, 제2 쿠션과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쿠션은,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5 유체 충전 챔버 및, 제5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5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은, 상측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 및 지면 접촉 표면에서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마찰 요소들은,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구성에서, 마찰 요소들은, 압축성 재료로 형성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마찰 요소들은,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마찰 요소의 구성에 무관하게,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 부재가,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플레이트 부재와 바닥창의 상측 표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제2 유체 충전 챔버,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1 팽윤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2 팽윤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은, 제2 쿠션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요소가, 바닥창의 상측 표면과 갑피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와 제1 쿠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완충 요소는, 발포체로 형성된다.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가,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의 중창이,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간극을 한정하는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포함한다. 하측 부분은,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쿠션이,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가, 쿠션과 중창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가,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및 쿠션에 결합된다.
일부 예에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가,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중창의 제2 세그먼트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내에 매립된다. 일부 예에서,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내에 매립된다. 다른 예에서,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제2 세그먼트의 전족 지향 측벽에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의 제1 단부가,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2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골 지점(metatarsophalangeal point)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한 중간 부분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제2 플레이트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로부터 중창의 제2 세그먼트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가, 제1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이, 상향으로 만곡되며 그리고, 쿠션과 중창의 제2 세그먼트 중간에 배치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댐퍼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제2 세그먼트로의 비틀림 힘의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중창은,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쿠션을 횡방향으로 이등분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영역들은, 전족 영역(16), 중족 영역(18), 및 뒤꿈치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족 영역(16)은, 발의 중족골(metatarsal bone)을 지골(phalanx bone)과 연결하는 관절 및 발가락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중족 영역(18)은, 발의 아치 영역과 대응할 수 있으며, 그리고 뒤꿈치 영역(20)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부와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류 물품(10)은 부가적으로, 신발류 물품(10)의 반대편 측면들에 대응하며 그리고 영역들(16, 18, 20)을 통해 연장되는,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2)는, 밑창 구조체(14) 상에 지지를 위해 발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내부 공동(26)을 한정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한다. 뒤꿈치 영역(20) 내의 발목 개구(28)가, 내부 공동(26)으로의 접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28)는, 공동(26) 내에 발을 고정하기 위해 발을 수용하며 그리고 내부 공동(26)으로의 그리고 그로부터의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잠금구(30)가, 그로부터 발의 진입 및 제거를 동시에 수용하는 가운데 발 둘레에 대한 내부 공동(26)의 맞춤성을 조정하기 위해, 갑피(12)를 따라 연장된다. 갑피(12)는, 아일릿(eyelet)과 같은 구멍(32), 및/또는 잠금구(30)를 수용하는 천(fabric) 또는 메시 루프(mesh loop)와 같은 다른 결합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잠금구(30)는, 레이스, 스트랩, 코드(cord), 후크 앤 루프(hook-and-loop),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잠금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2)는 부가적으로, 내부 공동(26)과 잠금구(30) 사이에서 연장되는 텅 부분(tongue portion)(34)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2)는, 내부 공동(26)을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2)의 적합한 재료는, 직물(textile), 발포체, 가죽, 및 합성 가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는,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동안, 내구성, 공기 투과성, 내마모성, 가요성, 및 편안함의 특성을 발에 부여하도록 선택되고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14)는, 갑피(12)에 부착되며 그리고, 사용 중에 신발류 물품(10)에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한다. 즉, 밑창 구조체(14)는, 사용 중에 지면을 타격하는 신발류 물품(10)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킨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는, 신발류 물품(10)을 착용할 때 밑창 구조체(14)가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에너지 흡수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14)는, 중창(36), 바닥창(38) 및, 대략 중창(36)과 바닥창(38)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밑창 구조체(14)는, 신발류 물품(10)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플레이트(42)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다른 구성에서, 플레이트(42)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벨(strobel)(48)을 거쳐 갑피(12)에 부착된다. 플레이트(42)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스트로벨(48)을 거쳐 갑피(12)에 부착될 수 있지만, 플레이트(42)는, 스트로벨(48)을 거쳐 갑피(12)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 설명되고 도시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중창(36)은, 신발류 물품(10)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중창(36)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중창(36)은, 플레이트(42)가 중창(36)과 스트로벨(48)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갑피(12)의 스트로벨(48)과 대향한다. 중창(36)은, 중창(36)이 갑피(12)와 스트로벨(48)의 접합부를 커버하도록, 갑피(12)의 상측 표면(50)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도 3).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중창(36)을 형성하는 것은, 중창(36)이 사용 중에 지면 위의 신발류 물품(10)의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도록 한다. 신발류 물품(10)의 사용과 연관된 힘을 흡수하는 것에 추가하여, 중창(36)은, 스트로벨(48)을 거쳐 플레이트(42)를 갑피(12)에 부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적합한 접착제(미도시)가, 플레이트(42)를 중창(36) 및 스트로벨(48)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42)는, 중창(36)의 재료를 플레이트(42)에 직접 성형함으로써, 중창(36)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42)는, 중창(36)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몰드(미도시)의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중창(36)이 형성될 때(즉, 중합체 재료를 발포함으로써), 중창(36)의 재료는 플레이트(42)의 재료에 결합되어, 그로 인해 중창(36)과 플레이트(42) 양자 모두를 갖는 단일 구조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42)는 갑피(12)와 중창(36)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플레이트(42)는 대안적으로, 중창(36)의 재료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42)는, 중창(36)에 의해 에워싸여, 중창(36)의 일부가 플레이트(42)와 갑피(12)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중창(36)의 다른 부분이 플레이트(42)와 바닥창(3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42)는, 중창(36)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완전히 에워싸이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42)는, 중창(36)의 주연부 둘레에서 가시화될 수 있는 반면, 중창(36)의 일부가 플레이트(42)와 갑피(12)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중창(36)의 다른 부분이 플레이트(42)와 바닥창(38)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창(36)에 대한 플레이트(42)의 특정 위치에 무관하게, 플레이트(42)는,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42)는, 비발포 중합체 재료로,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플레이트(42)를 형성하는 것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이 지면을 타격할 때, 플레이트(42)가 신발류 물품(10)의 사용과 연관된 힘을 분배하도록 한다.
플레이트(4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에 무관하게, 플레이트(42)는,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되는, 소위 "전체 길이 플레이트(full-length plate)"일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42)가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플레이트(42)가 전족 영역(16)으로부터 중족 영역(18)을 통해 뒤꿈치 영역(20)까지 연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플레이트(42)가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까지 연장되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지만, 플레이트(42)는 대안적으로, 밑창 구조체(14)의 일부만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42)는, 중족 영역(18)을 통해 그리고 뒤꿈치 영역(20) 내로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가운데, 신발류 물품(10)의 전방 단부(44)로부터 중족 영역(18)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은, 그들 사이에 캐비티(52)를 한정하기 위해 중창(36)으로부터 이격된다. 바닥창(38)은, 지면 접촉 표면(54)과, 지면 접촉 표면(54)에 대해 바닥창(38)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56)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은 예를 들어, 마찰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접촉 표면(54)을 신발류 물품(10)에 제공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면 접촉 표면(54)은, 사용 중에 증가된 마찰력을 신발류 물품(10)에 제공하기 위해, 지면 접촉 표면(54)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55)(도 7)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은 부가적으로, 상측 표면(56)에 부착되는 바닥창 플레이트(5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42)와 같이, 바닥창 플레이트(58)는, 예를 들어 비발포 중합체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 플레이트(58)는, 중창(36)과 대향하며 그리고 캐비티(52)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하는, 표면(6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44)에서 갑피(12)에 부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접합되는 탭(62)에서, 갑피(12)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완충 장치(40)는,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는, 밑창 구조체(14)의 안쪽 측면(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밑창 구조체(14)의 바깥쪽 측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는,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를 구비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를 구비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68)는 대략적으로, 갑피(12)와 제2 유체 충전 챔버(70)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70)는, 바닥창 플레이트(58)와 제1 유체 충전 챔버(68)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68)는, 제1 측면에서 중창(36)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2 측면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70)에 부착된다. 제2 유체 충전 챔버(70)는, 제1 측면에서 바닥창 플레이트(58)의 표면(60)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2 측면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68)에 부착된다. 유체 충전 챔버들(68, 70)은,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서로 그리고 중창(36) 및 바닥창 플레이트(58)에 각각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68)는, 제1 유체 충전 챔버(68)와 제2 유체 충전 챔버(70)의 접합부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68)의 재료와 제2 유체 충전 챔버(70)의 재료를 병합함으로써, 제2 유체 충전 챔버(7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장벽 요소(76)는,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벽 요소(78)는 마찬가지로,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80)을 한정하도록 도 3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는, 둘레 이음선(peripheral seam)(82)을 한정하도록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주연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장벽 요소(78)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 이음선(82)은, 내부의 내부 공동(80)을 밀봉하여, 그로 인해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의 체적을 한정하도록 한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내부 공동(80)은, 그 내부에 인장 요소(84)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요소(84)는, 상부 인장 시트(88)와 하부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가 압축 유체를 수용할 때, 인장 요소(84)의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88)가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가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압축 유체가 내부 공동(80) 내로 주입될 때, 제1 유체 충전 챔버(68)의 요구되는 형상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의 요구되는 형상을 유지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를 구비한다. 안쪽 완충 장치(64)에서와 같이, 제3 유체 충전 챔버(72)는, 갑피(12)와 제4 유체 충전 챔버(74) 사이에 배치되고, 제4 유체 충전 챔버(74)는, 바닥창 플레이트(58)와 제3 유체 충전 챔버(72)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유체 충전 챔버(72)는, 제1 측면에서 중창(36)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측면에 대해 제3 유체 충전 챔버(72)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2 측면에서 제4 유체 충전 챔버(74)에 부착된다. 제4 유체 충전 챔버(74)는, 제1 측면에서 바닥창 플레이트(58)의 표면(60)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측면에 대해 제4 유체 충전 챔버(74)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2 측면에서 제3 유체 충전 챔버(72)에 부착된다.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는,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와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는, 제1 장벽 요소(76), 제2 장벽 요소(78), 내부 공동(80), 둘레 이음선(82), 및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요소(84)를 각각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갑피(12)와 바닥창(38) 사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유체 충전 챔버(68, 70, 72, 74)를 각각 구비한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68)는, 제2 유체 충전 챔버(70)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72)는, 제4 유체 충전 챔버(74)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즉,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70)]는, 바깥쪽 완충 장치(66)[즉,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적층된 쌍의 유체 충전 챔버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대안적으로, 다른 완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제2 유체 충전 챔버(70)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를 각각 대체하는 발포체 블록(92)을 각각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92)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92)을 배치하는 것은, 장벽 요소들(76, 78)이, 사전 결정된 부하를 받게 될 때, 사전 결정된 양을 넘는 발포체 블록(92)의 팽창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발포체 블록(92)이 부하가 가해지는 도중에 장벽 요소들(76, 78)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포체 블록(92)의 전체 형상 및 따라서 성능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92)은, 장벽 요소들(76, 78)의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발포체 블록(92)은 대안적으로 장벽 요소들(76, 78)이 없는 가운데, 캐비티(5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발포체 블록(92)은, 바닥창 플레이트(58)의 표면(60)에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72)의 제2 장벽 요소(78)에 직접 부착될 것이다.
제2 유체 충전 챔버(70)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가 발포체 블록(92)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는 가운데,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72)는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발포체 블록(92)과 같은, 다른 완충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발포체 블록(92)으로의 제1 유체 충전 챔버(68)의 대체 및 발포체 블록(92)으로의 제3 유체 충전 챔버(72)의 대체는 도 5에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 충전 챔버(68), 제2 유체 충전 챔버(70),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는 각각, 발포체 블록(92)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특정 구성(즉, 발포체 블록, 유체 충전 챔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은,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요구되는 완충의 양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의 종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전방에 위치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안쪽 완충 장치(64)는, 바깥쪽 완충 장치(66)보다 밑창 구조체(14)의 전방 단부(44)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안쪽 완충 장치(64)는 바깥쪽 완충 장치(66)보다 전방 단부(44)에 더 가깝게 배치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는, 안쪽 완충 장치(64)가, 밑창 구조체(14)의 안쪽 측면(22)과 바깥쪽 측면(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도록, 바깥쪽 완충 장치(66)와 중첩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각각, 밑창 구조체(14) 상의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적층형 완충 요소를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각각 완충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한 쌍의 적층형 유체 충전 챔버(즉, 68, 70, 72, 74)를 각각 제공한다. 개별 유체 충전 챔버(68, 70, 72, 74)는, 동일한 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동일한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개별 유체 충전 챔버(68, 70, 72, 74)는, 15 내지 30 평방인치당 파운드(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유체 충전 챔버(68, 70, 72, 74)의 압력은, 완충 장치들(64, 66) 사이 및/또는 각각의 완충 장치들(64, 66) 내에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68)는, 제2 유체 충전 챔버(70)와 동일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68)는, 제2 유체 충전 챔버(70)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72)는, 제4 유체 충전 챔버(74)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또는 제2 유체 충전 챔버(70)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바닥창 플레이트(58)를 거쳐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로 전달된다. 즉, 힘은, 제1 유체 충전 챔버(68), 제2 유체 충전 챔버(70), 제3 유체 충전 챔버(7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74)로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68, 70, 72, 74)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과 연관된 힘을 흡수하도록 한다. 힘은, 중창(36) 및 플레이트(42)로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가 밑창 구조체(14)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에 의해 플레이트(42) 상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42)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위치에서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42)의 강성으로 인해 플레이트(42)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4를 특히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a)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a)를 포함한다. 신발류(10a) 물품에 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9 내지 도 13을 특히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a)는, 중창(36a), 바닥창(38a), 중창(36a)과 바닥창(38a)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장치(40), 및 플레이트(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는, 중창(36a)과, 갑피(12)와 연관된 스트로벨(48)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된 신발류 물품(10)에서와 같이, 플레이트(42)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될 수 있어, 그로 인해 스트로벨(48)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도록 한다. 스트로벨(48)은 제거되고 플레이트(42)가 갑피(12)에 직접 부착될 수 있지만, 밑창 구조체(14a)는, 이하에서 갑피(12)와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로벨(48)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될 것이다. 게다가, 플레이트(42)는, 중창(36a)과 스트로벨(48)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플레이트(42)는, 중창(36a)의 일부가 스트로벨(48)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중창(36a)의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중창(36a)은, 전술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중창(36)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포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중창(36a)은, 중창(36)에 비교할 때, 중창(36a)이 밑창 구조체(14a)의 뒤꿈치 영역(20)의 영역에서 더 두껍다는 점에서, 신발류 물품(10)의 중창(36)과는 상이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창(36a)은,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을 중창(36a)에 제공하는, 뒤꿈치 영역(20) 및 중족 영역(18)에서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a)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을 구비하지만, 연속적인 표면(96)은,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에서 중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리세스(98)는, 밑창 구조체(14a)의 안쪽 측면(22)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바깥쪽 리세스(100)는, 밑창 구조체(14a)의 바깥쪽 측면(24)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는,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 중 적어도 하나가 중창(36a)의 측벽(102)을 통해 연장되도록, 중창(36a)의 재료 내로 형성된다.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는 이하에 중창(36a)의 측벽(102)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될 것이지만, 안쪽 리세스(98) 및/또는 바깥쪽 리세스(100)는 대안적으로, 안쪽 리세스(98) 및/또는 바깥쪽 리세스(100)가 시야에서 숨겨지도록, 측벽(1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측벽(102)은,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외측 표면을 구비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특히 참조하면,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는, 그 내부에 완충 장치(40)의 개별적인 부분을 수용한다. 즉, 안쪽 리세스(98)는 안쪽 완충 장치(64)를 수용하며, 그리고 바깥쪽 리세스(100)는 바깥쪽 완충 장치(66)를 수용한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전술된 신발류 물품(10)의 밑창 구조체(14) 내에 통합되는 것들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완충 장치(66)보다 밑창 구조체(14a)의 전방 단부(44)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계속 참조하면,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 내부에 각각 배치되며 그리고 측벽(102)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중창(36a)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가 중창(36a)의 안쪽 리세스(98) 및 바깥쪽 리세스(100) 내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며, 그리고 바닥창(38a)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에 부착될 때, 한 쌍의 팽윤부(104)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a)에서의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위치에서 시인 가능하다. 팽윤부들(104)은,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가 없는 바닥창(38a)의 다른 영역에서 바닥창(38a)에 의해 한정되는, 공칭 평면(nominal plane)으로부터 돌출한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밑창 구조체(14)와 관련하여 전술된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대안적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모두 대신에, 발포체 블록들(92)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a)는,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와 개별적으로 연관되는 한 쌍의 발포체 블록(92)과 함께,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72)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발포체 블록(92)은, 제1 유체 충전 챔버(68)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72)를 대체할 수 있고(도 12), 또는 대안적으로, 발포체 블록(92)은,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68, 70, 72, 74)를 대체할 수 있다(도 13).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는, 팽윤부들(104)이 바닥창(38a)에서의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바닥창(38a)에 의해 한정되는 법선 평면(normal plane)으로부터 돌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를 중창(36a)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으로부터 연장시키는 것, 그리고 그에 따라 바닥창(38a)에서의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위치에 팽윤부들(104)을 형성하는 것은, 밑창 구조체(14a)가 신발류 물품(10a)의 사용 중에 소정 정도의 완충 및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신발류 물품(10a)이 사용 중에 지면과 접촉할 때, 지면과 접촉하는 것과 연관된 힘은,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에 의해 흡수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지지하도록 한다.
안쪽 완충 장치(64)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에 추가하여, 중창(36)은,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으로 연장되는 중창(36a)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으로 인해, 신발류 물품(10a)의 사용 중에 사용자의 발에 소정 정도의 보호 및 완충을 제공한다. 또한, 중창(36a)의 재료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와 바깥쪽 완충 장치(66) 사이에서 연장된다. 안쪽 완충 장치(64)와 바깥쪽 완충 장치(66)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36a)의 이러한 부분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표면(96)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신발류 물품(10a)의 사용 중에, 지면과 접촉하는 신발류 물품(10a)과 연관된 충격력을 마찬가지로 흡수한다.
안쪽 완충 장치(64)와 바깥쪽 완충 장치(66)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36a)의 부분은 마찬가지로, 힘이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에 가해질 때,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힘이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에 가해질 때, 가해지는 힘은,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이 가해지는 힘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안쪽 완충 장치(64)와 바깥쪽 완충 장치(66) 사이의 영역에 중창(36a)의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의 이러한 이동이 제한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유체 충전 챔버들(68, 70, 72, 74)의 요구되는 형상이 유지된다.
특히 도 15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b)이 제공된다. 신발류 물품(10b)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발류 물품(10b)은,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b)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14b)는, 갑피(12)에 부착되는 플레이트(42), 바닥창(38b), 및 대략 플레이트(42)와 바닥창(38b)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장치(40b)를 포함한다. 플레이트(42)는,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되며 그리고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까지 신발류 물품(10b)에 걸쳐 연장된다. 플레이트(42)는, 예를 들어 비발포 중합체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는, 플레이트(42)의 주연부에서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그에 따라, 신발류 물품(10b)은, 스트로벨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신발류 물품(10b)은 스트로벨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지만, 신발류 물품(10b)은, 전술된 신발류 물품(10, 10a)과 유사한 방식으로 스트로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로벨은, 갑피(12)와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42)는, 스트로벨이 플레이트(42)와 바닥창(38b) 사이에 배치되도록, 내부 공동(26)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b)은 스트로벨을 구비할 수 있지만, 신발류 물품(10b)은 이하에, 갑피(12)에 직접 부착되는 플레이트(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바닥창(38b)은, 밑창 구조체(14b)의 안쪽 측면(22)을 따라 연장되는 안쪽 레그(106) 및 밑창 구조체(14b)의 바깥쪽 측면(24)을 따라 연장되는 바깥쪽 레그(108)를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J-자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도 22). 바닥창(38b)은 부가적으로, 전방 단부(44)를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안쪽 레그(106)와 바깥쪽 레그(108)를 연결하는, 전족 부분(11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b)은 예를 들어, 비발포 중합체 재료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b)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바닥창(38b)은,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b)가 그 내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42)와 바닥창(38b) 사이에서 연장되는 캐비티(112)를 한정하도록, 플레이트(42)와 협력한다.
도 15 내지 도 20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12)는, 바닥창(38b)의 길이를 따르는 상이한 위치들에서 다양한 높이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캐비티(112)는, 바깥쪽 레그(108)에서 제1 높이(H1)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안쪽 레그(106)에서 제2 높이(H2)를 구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보다 작다. 부가적으로, 바깥쪽 레그(108)는, 제2 높이(H2)와 동일하게 플레이트(42)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배치되는 제1 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플레이트(42)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깥쪽 레그(108)가 플레이트(42)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하기 때문에, 바깥쪽 레그(108)는, 제2 높이(H2)의 제1 부분과 제1 높이(H1)의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아치형 부분(114)을 구비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쪽 레그(106)와 바깥쪽 레그(108)의 높이(H1, H2)의 차이는, 캐비티(112) 내에 그리고 바닥창(38b)과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장치(40b)의 다양한 두께를 수용한다.
바닥창(38b)은, 전방 단부(116)에서 갑피(12) 및/또는 플레이트(42)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장치(40b)는, U-자 형상 바닥창(38b)의 전방 단부(116)의 후방 및 후방 단부(118)의 전방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 도 16 및 도 21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b)의 후방 단부(118)는 대략, 바닥창(38b)의 안쪽 레그(106)의 말단부 및 바깥쪽 레그(108)의 말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 22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b)의 후방 단부(118)는, 밑창 구조체(14b)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에서, 안쪽 레그(106) 및 바깥쪽 레그(108)의 전방 단부(116)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레그(108)는, 바깥쪽 레그(108)의 후방 단부(118)가 안쪽 레그(106)의 후방 단부(118)보다 전방 단부(116)로부터 더 큰 거리에 배치되도록, 안쪽 레그(106)보다 큰 길이를 구비한다. 도 15, 도 16 및 도 21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b)은, 전방 단부(116)와 후방 단부(118) 사이의 영역에서, 바닥창(38b)으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마찰 요소(12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찰 요소들(120)은, 신발류 물품(10b)의 사용 중에, 밑창 구조체(14b)가 지면과 더 양호하게 밀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완충 장치(40b)는, 바닥창(38b)과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제2 유체 충전 챔버(124), 제3 유체 충전 챔버(126)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를 구비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22)는, 안쪽 레그(106)와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는, 바깥쪽 레그(108)의 제2 부분과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유체 충전 챔버(126)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서로 적층되며, 그리고 바깥쪽 레그(108)의 제1 부분과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 유체 충전 챔버(126)는, 플레이트(42)에 부착되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대해 제3 유체 충전 챔버(126)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4 유체 충전 챔버(128)에 부착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한다.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26)에 부착되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에 대해 제4 유체 충전 챔버(128)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그리고 바깥쪽 레그(108)에 부착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3 유체 충전 챔버(126)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28)와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26)와 바닥창(38b)의 바깥쪽 레그(108)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는 개별 유체 충전 챔버인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들 챔버(122, 124)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26)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와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개별 유체 충전 챔버들의 적층된 쌍으로 각각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유체 충전 챔버들의 개별적인 적층된 배열이,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24)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구비하도록, 치수(H2)와 동일한 조합된 두께를 갖는, 동일한 두께를 각각 갖는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할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유체 충전 챔버(122)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보다 밑창 구조체(14b)의 전방 단부(44)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적층된 제3 유체 충전 챔버(126)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또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보다 밑창 구조체(14b)의 후방 단부(46)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22)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22)가, 밑창 구조체(14b)의 안쪽 측면(22)과 바깥쪽 측면(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124)와 대향하도록, 제2 유체 충전 챔버(124)와 중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제2 유체 충전 챔버(124), 제3 유체 충전 챔버(126),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각각, 신발류 물품(10) 및 신발류 물품(10a)의 완충 장치(4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요소(8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요소(84)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장 시트(88)와 제2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류 물품(10, 10a)의 완충 장치(40)와 같이, 제1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2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어, 유체 충전 챔버들(122, 124, 126, 128)이 압축될 때, 유체 충전 챔버들(122, 124, 126, 128)과 개별적으로 연관되는 인장 요소(84)가 각각의 챔버(122, 124, 126, 128)의 요구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 충전 챔버(122)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구비하여, 각각의 챔버(122, 124)의 두께가 안쪽 레그(106)와 플레이트(42) 및 바깥쪽 레그(108)의 제2 부분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연장되는 치수(H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적층된 제3 유체 충전 챔버(126)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28)의 조합된 높이는, 바깥쪽 레그(108)의 제1 부분과 플레이트(42) 사이에서 연장되는 치수(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22)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22, 124)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24) 내부에 수용되는 압력과 무관하게, 제1 유체 충전 챔버(122)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24)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126)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28)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마찬가지로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면,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제2 유체 충전 챔버(124), 제3 유체 충전 챔버(126)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각각,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서로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장치(40b)는 일련의 유체 충전 챔버(122, 124, 126, 128)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챔버들(122, 124, 126, 128) 중 하나 이상은, 신발류 물품(10, 10a)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장 요소(84) 및 압축 유체 대신에, 발포체 블록(9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생성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발포체 블록(92)으로 대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92)을 위치시키지 않는 가운데, 발포체 블록(92)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유체 충전 챔버들(122, 128)은, 장벽 요소들(76, 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92)을 배치하지 않는 가운데, 발포체 블록(92)으로 대체될 수 있지만, 발포체 블록들(92)은, 장벽 요소들(76, 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도 18에 도시된다.
도 18에 도시되는 구성에 부가하여, 제3 유체 충전 챔버(126)는, 독립형 발포체 블록(92)으로서 발포체 블록(92)으로, 또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발포체 블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도 19에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제2 유체 충전 챔버(124), 제3 유체 충전 챔버(126),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28)는 각각,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형 발포체 블록(92)으로서 발포체 블록(92)으로, 또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발포체 블록(92)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1을 특히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b)는, 밑창 구조체(14b)의 전방 단부(4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가적인 완충 요소(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부가적인 완충 요소(130)는,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족 영역(16)의 영역에서 바닥창(38b)과 플레이트(42) 사이의 캐비티(112)를 실질적으로 충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완충 요소(130)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2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24)의 전방의 영역에서, 바닥창(38b)과 플레이트(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완충 요소(130)는, 사용 중에, 밑창 구조체(14)가 지면과 접촉할 때, 사용자의 발에 일정 정도의 부가적인 완충을 제공한다.
동작 중에, 밑창 구조체(14b)가 바닥창(38b)에서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바닥창(38b)으로 전달된다. 바닥창(38b)은, 유체 충전 챔버들(122, 124, 126, 128)에 의해, 그리고 일부 구성에서, 완충 요소(130)에 의해 플레이트(42)에 대해 지지되는,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바닥창(38b)에 가해지는 힘은, 바닥창(38b)이 플레이트(42)를 향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체 충전 챔버들(122, 124, 126, 128) 및 완충 요소(130)는 압축되어,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밑창 구조체(14b)에 의해 유발되는 힘을 감쇠시킨다. 그에 따라, 힘은, 유체 충전 챔버(122, 124, 126, 128)에 의해, 그리고 존재하는 경우, 부가적으로 완충 요소(130)에 의해 흡수된다. 그에 따라, 완충 장치(40b)는, 신발류 물품(10b)의 사용 중에, 소정 정도의 편안함 및 보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c)이, 제공된다. 신발류 물품(10c)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발류 물품(10c)은, 발목 개구(28c)를 거쳐 접근 가능한 내부 공동(26c)을 한정하는, 갑피(12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부가적으로, 갑피(12c)는, 신발류 물품(10, 10a, 10b)에 대해 전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일련의 구멍 또는 아일릿(32)을 거쳐 갑피(12c)에 부착될 수 있는, 신발끈(lacing)과 같은 일련의 잠금구(30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갑피(12c)는, 중창(36c), 바닥창(38c), 및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c)를 갖는 밑창 구조체(14c)에 부착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36c)은 대략, 밑창 구조체(14c)의 반대편 단부들에 위치되는 전방 단부(44c)와 후방 단부(46c)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창(36c)은, 완충 장치(40c)의 부분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한 쌍의 리세스(132)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완충 장치(40c)는, 전방 쿠션 또는 완충 장치(134) 및 후방 쿠션 또는 완충 장치(13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 완충 장치(134)는, 후방 완충 장치(136)보다 밑창 구조체(14c)의 전방 단부(44c)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반면, 후방 완충 장치(136)는, 전방 완충 장치(134)보다 후방 단부(46c)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전방 완충 장치(134) 및 후방 완충 장치(136)는, 신발류 물품(10, 10a, 10b)과 유사한 방식으로, 한 쌍의 적층형 유체 충전 챔버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전방 완충 장치(134)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38)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40)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후방 완충 장치(136)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42)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44)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138, 140, 142, 144)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요소(8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38)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40)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제3 유체 충전 챔버(142)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44)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38, 140, 142, 144)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38, 140, 142, 144)의 압력에 무관하게, 유체 충전 챔버들(138, 140, 142, 144)은, 서로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 충전 챔버(138)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40)보다 갑피(12c)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제2 유체 충전 챔버(140)가 제1 유체 충전 챔버(138)와 바닥창(38c)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제3 유체 충전 챔버(142)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44)보다 갑피(12c)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제4 유체 충전 챔버(144)가 제3 유체 충전 챔버(142)와 바닥창(38c)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4 및 도 25를 특히 참조하면, 전방 완충 장치(134) 및 후방 완충 장치(136)는, 바닥창(38c)에 한 쌍의 팽윤부(104c)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바닥창(38c)은, 전방 완충 장치(134) 및 후방 완충 장치(136)의 영역들에 팽윤부들(104c)을 구비하여, 그로 인해 팽윤부들(104c)이, 바닥창(38c)에 의해 한정되는 공칭 평면에서 돌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신발류 물품(10c)이 사용 중일 때, 팽윤부들(104c)은, 바닥창(38c)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지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로 인해 전방 완충 장치(134) 및 후방 완충 장치(136)가 바닥창(38c) 및 지면과의 접촉에 의해 유발되는 힘을 흡수하도록 한다.
도 26 내지 도 29를 특히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d)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d)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d)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6 내지 도 29를 특히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d)는, 중창(36d), 바닥창(38d), 중창(36d)과 바닥창(38d)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d), 및 플레이트(42d)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플레이트(42d)는, 예를 들어 비발포 중합체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36d)은 대략, 밑창 구조체(14d)의 반대편 단부들에 위치되는 전방 단부(44)와 후방 단부(46)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창(36d)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중창(36d)은, 갑피(12)의 스트로벨(48)과 대향한다. 중창(36d)은, 중창(36d)이 갑피(12)와 스트로벨(48)의 접합부를 커버하도록, 갑피(12)의 상측 표면(50)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d)은, 그들 사이에 채널(150)을 한정하는 상측 부분(146) 및 하측 부분(148)을 구비한다. 도 27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부분(148)은,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 및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전족 영역(16)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152)는, 그들 사이에 간극(156)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세그먼트(154)로부터 이격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42d)는, 일단 중창(36d) 내로 조립되면, 간극(156)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d)는, 중창(36d)의 재료 내부에 매립되어, 중창(36d)의 상측 부분(146)이 플레이트(42d)와 갑피(12)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중창(36d)의 하측 부분(148)이 플레이트(42d)와 바닥창(38d)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d)의 지면 지향 표면(158)은 제1 세그먼트(152)와 제2 세그먼트(154)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42d)의 외주 에지(160)는, 밑창 구조체(14d)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d)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42d)는, 전족 영역(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는, 소위 "부분 길이 플레이트(partial-length plate)"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42d)는, 중족 영역(18)을 통해 그리고 뒤꿈치 영역(20) 내로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가운데, 신발류 물품(10d)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중족 영역(18)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42d)는, 전족 영역(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는 부분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지만, 플레이트(42d)는 대안적으로, 신발류 물품(10)에 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다.
플레이트(42d)의 특정 크기 및 구성에 무관하게, 플레이트(42d)는,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42d)는, 비발포 중합체 재료로,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6 내지 도 29를 특히 참조하면, 완충 장치(40d)는,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d)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d)는, 밑창 구조체(14d)의 안쪽 측면(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밑창 구조체(14d)의 바깥쪽 측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d)는, 대략 플레이트(42d)와 바닥창(38d)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제1 측면에서 플레이트(42d)의 노출된 표면(158)에 인접하게 플레이트(42d)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2 측면에서 바닥창(38d)에 부착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플레이트(42d) 및 바닥창(38d)에 각각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62)와 바닥창(38d)의 접합부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의 재료와 바닥창(38d)의 재료를 병합함으로써 바닥창(38d)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장벽 요소(76)는,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벽 요소(78)는, 마찬가지로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80)을 한정하도록 28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는, 둘레 이음선(8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주연부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장벽 요소(78)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 이음선(82)은 내부 공동(80)을 밀봉하고, 그로 인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62)의 체적을 한정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62)의 내부 공동(80)은, 그 내부에 인장 요소(84)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장 요소(84)는, 상부 인장 시트(88)와 하부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가 압축 유체를 수용할 때, 인장 요소(84)의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88)가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가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압축 유체가 내부 공동(80) 내로 주입될 때, 제1 유체 충전 챔버(162)의 요구되는 형상을 유지한다.
도 26을 계속 참조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64)를 구비한다. 안쪽 완충 장치(64d)와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64)는, 플레이트(42d)와 바닥창(38d)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유체 충전 챔버(164)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62)와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유체 충전 챔버(164)는, 제1 장벽 요소(76), 제2 장벽 요소(78), 내부 공동(80), 둘레 이음선(82), 및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요소(84)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d)[즉,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바깥쪽 완충 장치(66d)[즉, 제2 유체 충전 챔버(164)]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그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d)는, 거리(166)(도 29)만큼 바깥쪽 완충 장치(66d)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다. 안쪽 완충 장치(64d)가 바깥쪽 완충 장치(66d)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완충 장치들(64d, 66d)은 대안적으로, 여전히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가운데,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유체 충전 챔버들(162, 164)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d) 및/또는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대안적으로, 대안적인 또는 부가적인 완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쪽 완충 장치(64d) 및/또는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유체 충전 챔버들(162, 164)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대체하는 발포체 블록(미도시)을 각각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들)을 배치하는 것은, 장벽 요소들(76, 78)이, 사전 결정된 부하를 받게 될 때, 사전 결정된 양을 넘는 발포체 블록(들)의 팽창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발포체 블록(들)이, 부하가 가해지는 도중에, 장벽 요소들(76, 78)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포체 블록의 전체 형상 그리고 그에 따라 성능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d)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d)의 종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d)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d)는, 안쪽 측면(22)으로부터 바깥쪽 측면(24)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d)와 정렬되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 모두의 완충 장치(64d, 66d)가 밑창 구조체(14d)의 전방 단부(44)로부터 및/또는 밑창 구조체(14d)의 후방 단부(46)로부터 대략 동일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d)는, 종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d)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안쪽 완충 장치(64d)는, 도 14에 도시되는 예와 유사하게, 바깥쪽 완충 장치(66d)보다 밑창 구조체(14d)의 전방 단부(44)에 더 가깝거나 또는 더 멀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들(64d, 66d)은, 실질적으로 타원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중창(36d)의 주변 세그먼트들(152, 154)은, 중창(36d)의 재료가 각각의 완충 장치들(64d, 66d)의 외주부로부터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상보적인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완충 장치들(64d, 66d)과 대향하는 중창(36d)의 부분(152, 154)은, 완충 장치들(64d, 66d)의 외주부 형상을 모방하는 아치형 표면(168)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표면들(168)은, 표면들(168)이 그 길이를 따라 완충 장치들(64d, 66d)의 외주부로부터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완충 장치들(64d, 66d)의 형상을 모방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표면들(168)은 상이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표면들(168) 중 하나 이상과 완충 장치들(64d, 66d)의 외주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표면들(168)이 완충 장치들(64d, 66d)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중창(36d)의 표면들(168)과 완충 장치들(64d, 66d)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는 것은, 부하를 받게 될 때, 완충 장치들(64d, 66d)이 외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완충 장치들(64d, 66d)이 부하를 받게 될 때, 완충 장치들(64d, 66d)은, 완충 장치들(64d, 66d)과 표면(168) 사이에 배치되는 간극 내로 연장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간극의 폭은, 부하를 받게 될 때 완충 장치들(64d, 66d)이 팽창하도록 허용되는 정도를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에 존재한다면, 간극이 클수록, 완충 장치들(64d, 66d)이, 표면들(168)과 접촉하기 이전에, 더 많이 팽창해야만 한다. 반대로, 표면들(168)이 완충 장치들(64d, 66d)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완충 장치들(64d, 66d)이 중창(36d)의 표면들(168)과 접촉하기 이전에, 완충 장치들(64d, 66d)의 최소 팽창이 허용될 것이고, 그로 인해 중창(36d)이 완충 장치들(64d, 66d)이 사전 결정된 양을 넘어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밑창 구조체(14d) 상의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완충 요소를 각각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는 각각,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각각 완충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유체 충전 챔버[즉, 요소(162, 164)]를 각각 제공한다. 개별적인 별개의 유체 충전 챔버(162, 164)는, 동일한 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동일한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유체 충전 챔버(162, 164)의 압력은, 완충 장치들(64d, 66d) 사이에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64)와 동일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64)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62, 164)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d)은, 중창(36d) 및 완충 장치(40d)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창(38d)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바닥창(38d)의 부분들은, 서로 별도로 형성되며 그리고, 중창(36d), 제1 유체 충전 챔버(16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64)에 각각 결합된다.
바닥창(38d)은, 예를 들어 신발류 물품(10d)에 마찰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접촉 표면(54)을 제공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지면 접촉 표면(54)은, 밑창 구조체(14d)의 지면과의 맞물림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찰 요소들(55)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밑창 구조체(14d)가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로 전달된다. 즉, 힘은, 제1 유체 충전 챔버(162)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64)로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62, 164)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d)과 연관된 힘을 흡수한다. 힘은, 중창 플레이트(42d) 및 중창(36d)에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2d)는,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가 밑창 구조체(14d)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에 의해 플레이트(42d) 상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42d)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d)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d)의 위치에서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42d)의 강성으로 인해 플레이트(42d)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e)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e)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e)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14e)는, 갑피(12)에 부착되며 그리고, 사용 중에 신발류 물품(10e)에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한다. 즉, 밑창 구조체(14e)는, 사용 중에 지면을 타격하는 신발류 물품(10e)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킨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e)는, 신발류 물품(10e)을 착용할 때, 밑창 구조체(14e)가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에너지 흡수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14e)는, 중창(36e), 바닥창(38e), 및 대략 중창(36e)과 바닥창(38e)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e)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밑창 구조체(14e)는, 신발류 물품(10e)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후방 단부(46)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70)는, 중창(36e) 및 완충 장치(40e)의 중간에 배치되는 한편, 제2 플레이트(172)는, 중창(36e)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e)를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도 31을 계속 참조하면, 중창(36e)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측 부분(146e) 및 세그먼트화된 하측 부분(148e)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부분(146e)은, 신발류 물품(10e)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일 구성에서, 상측 부분(146e)은, 갑피(12)의 스트로벨(48)과 대향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4e)를 갑피(12)에 결합한다. 중창(36e)의 상측 부분(146e)은, 중창(36e)이 갑피(12)와 스트로벨(48)의 접합부를 커버하도록, 갑피(12)의 상측 표면(50)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도 32).
중창(36e)의 하측 부분(148e)은, 상측 부분(146e)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e) 및 상측 부분(146e)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e)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그먼트(152e)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이, 제1 세그먼트(152e)와 제2 세그먼트(154e) 사이에 간극(156e)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e)의 전족 지향 측벽(176)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세그먼트(154e)의 전족 지향 측벽(176)은,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전족 지향 측벽(176)은,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전족 영역(16)으로의 방향으로 서로 수렴하는 상측 표면(178) 및 바닥 표면(18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전족 지향 측벽(176)의 상측 표면(178)은, 상측 부분(146e)으로부터 분기되어, 그로 인해 그들 사이에 공간(도면 부호 없음)을 형성하도록 한다.
중창(36e)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중창(36e)을 형성하는 것은, 중창(36e)이 사용 중에 지면 위의 신발류 물품(10e)의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170)는, 중창(36e)의 상측 부분(146e)이 제1 플레이트(170)와 갑피(12)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중창(36e)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70)는, 상측 부분(146e)과 하측 부분(148e)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70)의 제1 단부는, 상측 부분(146e)과 제1 세그먼트(152e) 사이에서 중창(36e)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170)의 제2 단부는, 상측 부분(146e)과 제2 세그먼트(154e) 사이에서 중창(36e) 내에 매립된다. 제1 플레이트(170)의 중간 부분이, 상측 부분(146e)과 완충 장치(40e) 사이에 배치되고,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170)의 지면 지향 표면(158e)이, 제1 세그먼트(152e)와 제2 세그먼트(154e)의 중간에 형성되는 간극(156e) 내부에서 노출된다.
제1 플레이트(170)는, 밑창 구조체(14e)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e)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1 플레이트(170)는, 중창(36e)의 상측 부분(146e) 내에 에워싸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1 플레이트(170)는, 갑피(12)와 중창(36e)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170)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72)는, 제1 플레이트(170)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대략적으로 제1 플레이트(170)와 바닥창(38e)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172)의 제1 단부(182)가, 중창(36e)의 하측 부분(148e)의 제1 세그먼트(152e)에 결합되며, 그리고 반대편의 제2 단부(184)가, 중창(36e)의 하측 부분(148e)의 제2 세그먼트(154e)에 결합된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2 플레이트(172)의 제1 단부(182)는, 제1 세그먼트(152e)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2 단부(184)는, 제2 세그먼트(154e)의 전족 지향 측벽(176)의 상측 표면(178)에 접합된다. 대안적으로, 제2 플레이트(172)의 제2 단부(184)는, 제2 세그먼트(154e) 내에 매립되거나, 또는 전족 지향 측벽(176)의 바닥 표면(180)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172)의 중간 부분(186)은, 제1 세그먼트(152e)와 제2 세그먼트(154e)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e)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완충 장치(40e)를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플레이트들(170, 172)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밑창 구조체(14e)의 일부만을 따라 연장되는, 소위 "부분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들(170, 172)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전족 영역(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들(170, 172)은 부분 길이 플레이트들일 수 있지만, 제1 플레이트(170) 및/또는 제2 플레이트(172)는 대안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e)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되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들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의 특정 크기 및 위치에 무관하게, 제1 플레이트(170) 및/또는 제2 플레이트(172)는,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70) 및/또는 제2 플레이트(172)는, 비발포 중합체 재료로,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를 형성하는 것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e)이 지면을 타격할 때,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가 신발류 물품(10e)의 사용과 연관된 힘을 분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30 내지 도 33을 계속 참조하면, 완충 장치(40e)는, 중창(36e)의 간극(156e)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e)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e)는, 밑창 구조체(14e)의 안쪽 측면(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밑창 구조체(14e)의 바깥쪽 측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e)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를 구비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는, 대략적으로 제1 플레이트(170)와 제2 플레이트(172)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는, 제2 플레이트(172)와 바닥창(38e)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플레이트(170)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172)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172)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바닥창(38e)에 부착된다.
도 30 및 도 32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172)의 중간 부분(186)은, 완충 장치(40e)를 통해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플레이트(172)의 중간 부분(186)은, 안쪽 완충 장치(64e)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사이에 그리고 바깥쪽 완충 장치(66e)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 사이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는, 제2 플레이트(172) 위에[즉, 제2 플레이트(172)와 갑피(12)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는, 제2 플레이트(172)와 바닥창(38e) 사이에 배치된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은,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바닥창(38e), 제1 플레이트(170) 및/또는 제2 플레이트(172)에 각각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은,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 바닥창(38e),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병합함으로써, 바닥창(38e),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를 각각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장벽 요소(76)는,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벽 요소(78)는 마찬가지로,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80)을 한정하도록 도 3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는, 둘레 이음선(8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주연부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장벽 요소(78)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 이음선(82)은, 내부의 내부 공동(80)을 밀봉하여, 그로 인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의 체적을 한정하도록 한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내부 공동(80)은, 그 내부에 인장 요소(84)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요소(84)는, 상부 인장 시트(88)와 하부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이 압축 유체를 수용할 때, 인장 요소(84)의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88)가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가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압축 유체가 내부 공동(80) 내로 주입될 때,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의 각각의 요구되는 형상을 개별적으로 유지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대략적으로 갑피(12)와 바닥창(38e) 사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유체 충전 챔버(188e, 190e, 192e, 194e)를 각각 구비한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는, 제2 플레이트(172)에 의해 제2 유체 충전 챔버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로부터 각각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일부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e)[즉,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는, 바깥쪽 완충 장치(66e)[즉,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안쪽 완충 장치(64e)가 바깥쪽 완충 장치(66e)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완충 장치들(64e, 66e)은 대안적으로, 여전히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가운데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적층된 쌍의 유체 충전 챔버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대안적으로, 다른 완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대체하는 발포체 블록(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의 92 참조)을 각각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들을 배치하는 것은, 장벽 요소들(76, 78)이, 사전 결정된 부하를 받게 될 때, 사전 결정된 양을 넘는 발포체 블록의 팽창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발포체 블록이, 부하가 가해지는 도중에, 장벽 요소들(76, 78)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포체 블록의 전체 형상 그리고 그에 따라 성능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장벽 요소들(76, 78)의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발포체 블록들은 대안적으로, 장벽 요소들(76, 78)이 없는 가운데, 완충 장치(40e)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발포체 블록들은, 개별적으로, 바닥창(38e), 제1 플레이트(170), 제2 플레이트(172) 및/또는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직접 부착될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의 특정 구성(즉, 발포체 블록, 유체 충전 챔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은,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요구되는 완충의 양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밑창 구조체(14e)의 안쪽 측면(22)과 바깥쪽 측면(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e)와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서로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밑창 구조체(14e) 상의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적층형 완충 요소를 각각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는,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각각 완충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한 쌍의 적층형 유체 충전 챔버[즉, 요소(188e, 190e, 192e, 194e)]를 각각 제공한다. 개별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은, 동일한 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동일한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의 체적 및 압력은, 완충 장치들(64e, 66e) 사이 및/또는 각각의 완충 장치(64e, 66e) 내에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와 동일한 압력을 구비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또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e, 190e, 192e, 194e)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e)은, 중창(36e) 및 완충 장치(40e)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창(38e)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바닥창(38e)의 제1 부분은, 중창(36e)의 제1 세그먼트(152e) 및 완충 장치(40e)에 결합되며, 그리고 바닥창(38e)의 별도로 형성되는 제2 부분은, 중창(36j)의 제2 세그먼트(154e)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바닥창(38e)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e)은, 예를 들어, 신발류 물품(10e)에 마찰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접촉 표면(54)을 제공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지면 접촉 표면(54)은, 밑창 구조체(14e)의 지면과의 맞물림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찰 요소들(12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바닥창(38e)을 거쳐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로 전달된다. 즉, 힘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를 통해 제2 플레이트(172)에 전달되고, 제2 플레이트(172)를 통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에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를 통해 제1 플레이트(170)에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e, 190e, 192e, 194e)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e)과 연관된 힘을 흡수하도록 한다. 힘은,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를 거쳐 중창(36e)으로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가 밑창 구조체(14e)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에 의해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 상에 가해지는 힘은, 중창(36e)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e)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e)의 위치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들(170, 172)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170) 및 제2 플레이트(172)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e)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e)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e) 사이에 그리고 바깥쪽 완충 장치(66e)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e)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e) 사이에 제2 플레이트(172)를 연장시킴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완충 장치들(64e, 66e), 제1 세그먼트(152e), 및 제2 세그먼트(154e) 사이에서 분배함으로써, 부가적인 안정성이 완충 장치(40e)에 제공된다.
도 34 내지 도 37을 특히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f)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f)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f)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4 내지 도 37을 계속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f)는, 중창(36f), 바닥창(38f), 중창(36f)과 바닥창(38f)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f)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게다가, 밑창 구조체(14f)는, 신발류 물품(10f)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후방 단부(46)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196) 및 제2 플레이트(19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96)는, 중창(36f) 및 완충 장치(40f)의 중간에 배치되는 한편, 제2 플레이트(198)는, 중창(36f)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f)를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중창(36f)은, 중창(36f)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측 부분(146f) 및 세그먼트화된 하측 부분(148f)을 포함하는 점에서, 상기의 신발류 물품(10e)과 연관된 중창(36e)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34 내지 도 37의 중창(36f)의 세그먼트화된 하측 부분(148f)은, 상이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36f)의 하측 부분(148f)은, 상측 부분(146f)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f), 및 상측 부분(146f)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f)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152f)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f)은, 제1 세그먼트(152f)와 제2 세그먼트(154f) 사이에 간극(156f)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f)의 전족 지향 측벽(176f)으로부터 이격되고, 이 간극에는 완충 장치(40f)가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측벽들(174f, 176f)은, 완충 장치(40f)에 인접하며 그리고 그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측벽들(174f, 176f) 중 적어도 하나는, 완충 장치(40f)의 외측 주연부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도 37).
중창(36f)은,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측 부분(146f)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상측 부분(146f)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부분(146f)은, 상측 부분(146f)이 제2 플레이트(198)에 의해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되도록,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의 양자 모두로부터 별도이고 별개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구성에서, 상측 부분(146f)은,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 양자 모두에 대해 제2 플레이트(198)의 반대측에 배치될 것이고, 어느 세그먼트(152f, 154f)와도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신발류 물품(10)과 관련하여 전술된 중창(36)과 같이, 중창(36f)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플레이트(196)는, 상측 부분(146f)과, 하측 부분(148f) 및 완충 장치(40f)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96)의 제1 단부가, 상측 부분(146f)과 제1 세그먼트(152f)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196)의 반대편 제2 단부가, 상측 부분(146f)과 제2 세그먼트(154f)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부분이, 상측 부분(146f)과 완충 장치(40f) 사이에 배치되어,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196)의 지면 지향 표면(158f)이, 제1 세그먼트(152f)와 제2 세그먼트(154f)의 중간에 형성되는 간극(156f) 내에 노출된다.
제1 플레이트(196)는, 밑창 구조체(14f)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f)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플레이트(196)는, 중창(36f)의 재료 내에 매립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제1 플레이트(196)는, 갑피(12)와 중창(36f)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196)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제1 플레이트(196)는, 신발류 물품(10)과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부분 길이 플레이트 또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98)는, 제1 플레이트(196)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196)와 바닥창(38f)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198)는,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 각각에 결합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f)를 통해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플레이트(198)의 제1 단부(200)는, 제1 세그먼트(152f)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반대편 제2 단부(202)는, 제2 세그먼트(154f) 내에 매립된다. 이에 따라서, 제2 플레이트(198)의 중간 부분(204)은, 제1 세그먼트(152f)와 제2 세그먼트(154f)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f)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완충 장치(40f)를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제2 플레이트(198)의 제1 단부(200)의 최전방 지점이, 밑창 구조체(14f)의 전족 영역(16)에 배치되는 가운데, 제2 단부(202)의 최후방 지점이, 최전방 지점보다 밑창 구조체(14f)의 뒤꿈치 영역(2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중간 부분(204)은, 최전방 지점과 최후방 지점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목 부분(205)을 포함한다. 오목 부분(205)은, 사용 중에 발의 중족지골(MTP) 관절과 대향하는, 밑창 구조체(14f)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MTP 지점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198)의 일 예가, 그대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는, 미국 출원 제15/248,051호 및 미국 출원 제15/248,059호에 제공된다.
제1 플레이트(196) 및/또는 제2 플레이트(198)는, 비발포 중합체 재료로,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제1 플레이트(196) 및 제2 플레이트(198)를 형성하는 것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f)이 지면을 타격할 때, 제1 플레이트(196)가 신발류 물품(10f)의 사용과 연관된 힘을 분배하도록 한다.
도 34 내지 도 37을 계속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f)의 완충 장치(40f)는, 신발류 물품(10e)에 대해 전술된 완충 장치(40f)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완충 장치(40f)는, 적층 배열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f)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f)를 구비하는 안쪽 완충 장치(64f), 및 적층 배열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f)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2f)를 구비하는 바깥쪽 완충 장치(66f)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 소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98)의 중간 부분(204)은, 신발류 물품(10e)과 관련하여 전술된 제2 플레이트(172)의 중간 부분(186)과 유사하게, 완충 장치(40f)를 통해 연장되고 이를 분리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f)은, 중창(36f) 및 완충 장치(40f)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창(38f)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바닥창(38f)의 부분들은, 서로 별개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152f), 제2 세그먼트(154f), 안쪽 완충 장치(64f),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f)에 각각 결합된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바닥창(38f)을 거쳐 안쪽 완충 장치(64f)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f)로 전달된다. 즉, 힘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f)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f)를 통해 제2 플레이트(198)에 전달되고 제2 플레이트(198)를 통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f)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f)에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f)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f)를 통해 제1 플레이트(196)에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f, 190f, 192f, 194f)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f)과 연관된 힘을 흡수한다. 힘은, 제1 플레이트(196) 및 제2 플레이트(196)를 거쳐 중창(36f)으로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96) 및 제2 플레이트(198)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f)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f)가 밑창 구조체(14f)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f)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f)에 의해 제1 플레이트(196) 및 제2 플레이트(198) 상에 가해지는 힘은 중창(36f)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f)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f)의 위치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들(196, 198)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196) 및 제2 플레이트(198)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f)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f)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f) 사이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f)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f)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f) 사이에 제2 플레이트(196)를 연장시킴으로써, 가해지는 힘을 완충 장치들(64f, 66f), 제1 세그먼트(152f), 및 제2 세그먼트(154f) 사이에서 분배함에 의해, 부가적인 안정성이 완충 장치(40f)에 제공된다.
도 38 내지 도 41을 특히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g)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g)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g)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8 내지 도 41을 계속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g)는 중창(36g), 바닥창(38g), 및 중창(36g)과 바닥창(38g)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g), 중창(36g)과 완충 장치(40g)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206), 및 완충 장치(40g)와 바닥창(38g)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20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36g)은, 중창(36g)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측 부분(146g) 및 세그먼트화된 하측 부분(148g)을 포함하는 점에서, 상기의 신발류 물품(10e)과 연관된 중창(36e)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g)의 하측 부분(148g)은, 상측 부분(146g)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g) 및 상측 부분(146g)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g)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그먼트(152g)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g)은, 제1 세그먼트(152g)와 제2 세그먼트(154g) 사이에 간극(156g)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g)의 전족 지향 측벽(176g)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세그먼트(154g)의 두께는 좁아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족 지향 측벽(176g)은,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전족 영역(16)으로의 방향으로 상측 부분(146g)과 수렴한다.
제1 플레이트(206)는, 상측 부분(146g)과, 하측 부분(148g) 및 완충 장치(40g)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206)의 제1 단부가, 상측 부분(146g)과 제1 세그먼트(152g)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206)의 반대편 제2 단부가, 상측 부분(146g)과 제2 세그먼트(154g)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간 부분이, 상측 부분(146g)과 완충 장치(40g) 사이에 배치되어,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06)의 지면 지향 표면(158g)이, 제1 세그먼트(152g)와 제2 세그먼트(154g)의 중간에 형성되는 간극(156g) 내에 노출된다. 대안적으로, 제1 플레이트(206)는, 중창(36g)의 상측 부분(146g)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일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206)는, 밑창 구조체(14g)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g)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플레이트(206)는, 중창(36g)의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제1 플레이트(206)는, 갑피(12)와 중창(36g)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06)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제1 플레이트(206)는, 신발류 물품(10)과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부분 길이 플레이트 또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208)는, 제1 플레이트(206)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152g)로부터 제2 세그먼트(154g)까지 연장된다. 특히, 제2 플레이트(208)는, 중창(36g)의 전방 단부(44)에 결합되는 제1 단부(210), 및 제2 세그먼트(154g)의 전족 지향 측벽(176g)에 결합되는 반대편 제2 단부(212)를 구비한다. 제2 단부(212)는, 제2 세그먼트(154g) 내에 매립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208)의 중간 부분(214)은, 제1 세그먼트(152g)와 제2 세그먼트(154g)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g)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g)와 바닥창(38g)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208)의 중간 부분(214)은, 상향으로 만곡되며,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중간 부분(214)의 지면 지향 표면은 볼록하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208)의 중간 부분(214)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g)이 사용될 때, 완충 장치(40g)와 지면 사이에 배치된다.
도 38 내지 도 41을 계속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g)의 완충 장치(40g)는, 신발류 물품(10e)에 대해 전술된 완충 장치(40e)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완충 장치(40g)는, 적층 배열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g)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g)를 구비하는 안쪽 완충 장치(64g), 및 적층 배열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g)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g)를 구비하는 바깥쪽 완충 장치(66g)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8 내지 도 41을 계속 참조하면, 완충 장치(40g)는, 제1 플레이트(206)와 제2 플레이트(208)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88g)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g)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플레이트(206)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g)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g)에 각각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g)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g)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g)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g)에 각각,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208)에 부착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g)은, 중창(36g)의 제2 세그먼트(154g) 및 제2 플레이트(208)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창(38g)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바닥창(38g)의 부분들은, 서로 별도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세그먼트(154g) 및 제2 플레이트(208)에 각각 결합된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제1 굽힘력이 바닥창(38g)을 거쳐 제2 플레이트(208)로 전달된다. 제2 플레이트(208)의 제1 단부(210) 및 제2 단부(212)가 각각 중창(36g)의 제1 세그먼트(152g) 및 제2 세그먼트(154g)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굽힘력은, 제2 플레이트(208)의 길이를 따라 제1 세그먼트(152g) 및 제2 세그먼트(154g)의 각각에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전달된다. 제1 굽힘력은 압축력으로서, 안쪽 완충 장치(64g)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g)에 또한 전달되며, 그리고 이들 완충 장치들은 이어서 압축력을 제2 굽힘력으로서 제1 플레이트(196)에 전달한다. 압축력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g, 190g, 192g, 194g)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g)과 연관된 제1 굽힘력을 흡수한다. 압축력은 이어서, 완충 장치(40g)로부터 제1 플레이트(206)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굽힘력은, 제1 플레이트(206), 제2 플레이트(208), 및 완충 장치(40g)에 의해 중창(36g)에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06) 및 제2 플레이트(208)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g)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g)가 밑창 구조체(14g)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g)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g)에 의해 제1 플레이트(206) 상에 가해지는 힘은 중창(36g)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압축력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g)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g)의 위치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206, 208)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206) 및 제2 플레이트(208)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도 42 내지 도 45를 특히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h)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h)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h)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2 내지 도 45를 계속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h)는, 중창(36h), 바닥창(38h), 및 중창(36h)과 바닥창(38h)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h), 중창(36h)과 완충 장치(40h)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206), 및 완충 장치(40h)와 바닥창(38h)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21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36h), 바닥창(38h), 완충 장치(40h), 및 제1 플레이트(206)는, 전술된 신발류 물품(10g)의 각각의 중창(36g), 바닥창(38g), 완충 장치(40g), 및 제1 플레이트(206)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배열된다.
제2 플레이트(216)는, 제1 플레이트(206)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152h)로부터 제2 세그먼트(154h)까지 연장된다. 특히, 제2 플레이트(216)는, 중창(36h)의 전방 단부(44)에 결합되는 제1 단부(218), 및 제2 세그먼트(154h)의 전족 지향 측벽(176h)에 결합되는 반대편 제2 단부(220)를 포함한다. 제2 단부(220)는, 제2 세그먼트(154h) 내에 매립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216)의 중간 부분(222)은, 제1 세그먼트(152h)와 제2 세그먼트(154h)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h)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h)와 바닥창(38h)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216)의 중간 부분(222)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h)이 사용될 때 완충 장치(40h)와 지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216)의 중간 부분(222)은, 상향으로 만곡되며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중간 부분(222)의 지면 지향 표면은 볼록하다. 또한, 중간 부분(222)은, 그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댐퍼(22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24)는, 완충 장치(40h)와 제2 세그먼트(154h) 사이의 중간 부분(222)에 형성된다. 댐퍼(224)는, 중간 부분(222)으로부터 제2 세그먼트(154h)로의 축방향 힘의 전달을 촉진하는 가운데, 중간 부분(222)으로부터 제2 세그먼트(154h)로의 비틀림 힘의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댐퍼(224)는, 일체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과 같은, 엇갈린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측벽에 의해 한정된다. 일부 예에서, 댐퍼(224)는, 벌집형 패턴, 파동형 또는 비틀림 힘의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제1 굽힘력이, 바닥창(38h)을 거쳐 제2 플레이트(216)로 전달된다. 제2 플레이트(216)의 제1 단부(218) 및 제2 단부(220)가 각각 중창(36h)의 제1 세그먼트(152h) 및 제2 세그먼트(154h)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굽힘력은, 제2 플레이트(216)를 통해 제1 세그먼트(152h) 및 제2 세그먼트(154h)의 각각에 축방향 힘으로서 부분적으로 분배된다. 상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16)의 댐퍼(224)는, 축방향 힘의 전달을 촉진하면서, 제2 세그먼트(154h)로의 비틀림 힘의 전달을 최소화한다. 제1 굽힘력은 압축력으로서,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h)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h)에 또한 전달되며, 그리고 이들 완충 장치들은 이어서, 압축력을 제2 굽힘력으로서 제1 플레이트(196)에 전달한다. 압축력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h, 190h, 192h, 194h)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h)과 연관된 제1 굽힘력을 흡수한다. 압축력은 이어서, 완충 장치(40h)로부터 제1 플레이트(206)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굽힘력은, 제1 플레이트(206), 제2 플레이트(216), 및 완충 장치(40h)에 의해 중창(36h)에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06) 및 제2 플레이트(216)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h)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h)가 밑창 구조체(14h)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h)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h)에 의해 제1 플레이트(206) 상에 가해지는 힘은 중창(36h)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압축력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h)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h)의 위치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206, 208)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206) 및 제2 플레이트(216)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도 46 내지 도 49를 특히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i)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i)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i)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6 내지 도 49를 계속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i)는, 중창(36i), 바닥창(38i), 및 중창(36i)과 바닥창(38i)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i), 대략 중창(36i)과 완충 장치(40i)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226), 및 대략 완충 장치(40i)와 바닥창(38i)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22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중창(36i)은, 상측 부분(146i) 및 하측 부분(148i)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부분(146i)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갑피(12)에 결합된다. 중창(36i)의 하측 부분(148i)은, 상측 부분(146i)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i), 상측 부분(146i)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i), 및 제1 세그먼트(152i)와 제2 세그먼트(154i)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230)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그먼트(152i)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i)은, 제1 세그먼트(152i)와 제2 세그먼트(154i) 사이에 간극(156i)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i)의 전족 지향 측벽(176i)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리브(230)는, 제1 세그먼트(152i)와 제2 세그먼트(154i) 사이의 간극(156i)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i)를 횡방향으로 이등분한다.
제1 플레이트(226)는, 상측 부분(146i)과, 하측 부분(148i) 및 완충 장치(40i)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226)의 제1 단부가, 상측 부분(146i)과 제1 세그먼트(152i)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226)의 반대편 제2 단부가, 상측 부분(146i)과 제2 세그먼트(154i)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간 부분이, 일측에서 상측 부분(146i)과 반대측에서 완충 장치(40i) 및 리브(230) 사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제1 플레이트(226)는, 중창(36i)의 상측 부분(146i)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일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226)는, 밑창 구조체(14i)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i)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플레이트(226)는, 중창(36i)의 재료 내에 매립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제1 플레이트(226)는 갑피(12)와 중창(36i)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26)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제1 플레이트(226)는, 신발류 물품(10)과 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부분 길이 플레이트 또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228)는, 제1 플레이트(226)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제1 세그먼트(152i)로부터 완충 장치(40i)까지 연장된다. 특히, 제2 플레이트(228)는, 중창(36i)의 전방 단부(44)에 결합되는 제1 단부(232), 및 완충 장치(40i)에 결합되는 반대편 제2 단부(234)를 포함한다.
도 46 내지 도 49를 계속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i)의 완충 장치(40i)는, 신발류 물품(10e)에 대해 전술된 완충 장치(40e)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완충 장치(40i)는, 적층 배열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i)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i)를 구비하는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i), 및 적층 배열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i)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i)를 구비하는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i)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9 내지 도 49를 계속 참조하면, 완충 장치(40i)는, 제1 플레이트(226)와 제2 플레이트(228)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88i)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i)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플레이트(226)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i)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i)에 각각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i)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i)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i)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i)에 각각,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228)에 부착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i)은, 중창(36i)의 제2 세그먼트(154i) 및 제2 플레이트(228)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창(38i)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바닥창(38i)의 부분들은, 서로 별도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세그먼트(154i) 및 제2 플레이트(228)에 각각 결합된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제2 플레이트(228)를 거쳐 안쪽 완충 장치(64i)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i)로 전달된다. 즉, 힘은, 제1 유체 충전 챔버(188i), 제2 유체 충전 챔버(190i), 제3 유체 충전 챔버(192i),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i)로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i, 190i, 192i, 194i)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i)과 연관된 힘을 흡수한다. 힘은, 중창(36i) 및 제1 플레이트(226)로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26)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i)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i)가 밑창 구조체(14i)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i)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i)에 의해 제1 플레이트(226) 상에 가해지는 힘은 제1 플레이트(226)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i)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i)의 위치에서 가해지는 힘은, 제1 플레이트(226)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226)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도 50 내지 도 53b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j)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j)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j)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14j)는, 갑피(12)에 부착되며 그리고 사용 중에 신발류 물품(10j)에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한다. 즉, 밑창 구조체(14j)는, 사용 중에 지면을 타격하는 신발류 물품(10j)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킨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j)는, 신발류 물품(10j)을 착용할 때, 밑창 구조체(14j)가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에너지 흡수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14j)는, 중창(36j), 바닥창(38j), 및 대략 중창(36j)과 바닥창(38j)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j)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밑창 구조체(14j)는, 신발류 물품(10j)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후방 단부(46)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236), 제2 플레이트(238), 및 제3 플레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0 및 도 5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36)는, 중창(36j) 및 완충 장치(40j)의 중간에 배치되는 한편, 제2 플레이트(238)는 중창(36j)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j)를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제3 플레이트(240)는, 완충 장치(40j)와 바닥창(38j)의 중간에 배치된다.
도 50, 도 51, 및 도 53b를 계속 참조하면, 중창(36j)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측 부분(146j) 및 세그먼트화된 하측 부분(148j)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부분(146j)은, 신발류 물품(10j)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일 구성에서, 상측 부분(146j)은, 갑피(12)의 스트로벨(48)과 대향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4j)를 갑피(12)에 결합한다. 중창(36j)의 상측 부분(146j)은, 도 5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36j)이 갑피(12)와 스트로벨(48)의 접합부를 커버하도록, 갑피(12)의 상측 표면(50)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j)의 하측 부분(148j)은, 상측 부분(146j)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j), 및 상측 부분(146j)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j)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그먼트(152j)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j)은, 제1 세그먼트(152j)와 제2 세그먼트(154j) 사이에 간극(156j)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j)의 전족 지향 측벽(176j)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세그먼트(154j)의 전족 지향 측벽(176j)은, 도 51 및 도 5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극(156j)은, 사용 중에 완충 장치(40j)의 억제되지 않은 팽창 및 수축을 위한 충분한 유격을 제공하도록 한정된다. 예를 들어, 지면과의 초기 충격시에, 완충 장치(40j)가 수직으로 압축됨에 따라 완충 장치(40j)의 폭이 횡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간극(156j)을 제공함으로써, 완충 장치(40j)의 충격 흡수 능력이 최대화된다.
도 50 내지 도 52를 참조하면, 중창(36j)의 제2 세그먼트(154j)는, 전족 지향 측벽(176j)으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채널(157j)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57j)의 폭은, 전족 지향 측벽(176j)으로부터 중간 부분으로 벌어지며, 그리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밑창 구조체(14j)의 후방 단부(46)에 인접한 제2 정점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채널(157j)은, 제2 세그먼트(154j)의 전족 지향 측벽(176j)을 통해 연장된다.
중창(36j)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중창(36j)을 형성하는 것은, 중창(36j)이 사용 중에 지면 위의 신발류 물품(10j)의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도록 한다. 일부 예에서, 상측 부분(146j)은, 제1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측 부분(148j)은, 제2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세그먼트들(152j, 154j)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포체 재료로 형성되는 상측 부분(152j1, 154j1) 및 제2 발포체 재료로 형성되는 하측 부분(152j2, 154j2)을 포함한다.
상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j)는, 중창(36j)과 완충 장치(40j) 사이에 강성 또는 반강성 계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236, 238, 240)를 포함하여, 그로 인해 완충 장치(40j)에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4j) 전체에 걸쳐 부하를 분배한다. 제1 플레이트(236)는, 중창(36j)의 상측 부분(146j)이 제1 플레이트(236)와 갑피(12)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중창(36j)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36)는, 상측 부분(146j)과 하측 부분(148j)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236)의 제1 단부가, 상측 부분(146j)과 하측 부분(148j)의 제1 세그먼트(152j) 사이에서 중창(36j)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236)의 제2 단부가, 상측 부분(146j)과 하측 부분(148j)의 제2 세그먼트(154j) 사이에서 중창(36j) 내에 매립된다. 제1 플레이트(236)의 중간 부분이 간극(156j)을 횡단하고,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36)의 지면 지향 표면(158j)은, 간극(156j) 내에 노출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j)의 기단부에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236)는, 밑창 구조체(14j)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j)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1 플레이트(236)는, 중창(36j)의 상측 부분(146j) 내에 에워싸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1 플레이트(236)는, 갑피(12)와 중창(36j)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36)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38)는, 제1 플레이트(236)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대략 제1 플레이트(236)와 바닥창(38j)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238)의 제1 단부(242)가, 중창(36j)의 하측 부분(148j)의 제1 세그먼트(152j)에 결합되는 가운데, 반대편 제2 단부(244)가, 중창(36j)의 하측 부분(148j)의 제2 세그먼트(154j)에 결합된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2 플레이트(238)의 제1 단부(242)는, 제1 세그먼트(152j)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2 단부(244)는, 제2 세그먼트(154j) 내에 매립된다. 제2 플레이트(238)의 중간 부분(246)이, 제1 세그먼트(152j)와 제2 세그먼트(154j)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j)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완충 장치(40j)를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38)는, 반대측의 단부들(242, 244)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결부(252, 254)를 구비한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1 절결부는 제1 단부(242)에 형성되는 제1 노치(252)이며, 그리고 제2 절결부는 제2 단부(244)에 형성되는 제2 노치(254)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노치(252, 254)는, 제2 플레이트(238)의 두께를 통해 형성되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238)의 중간 부분(246)에 배치되는 정점까지 폭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노치(252, 254)는, 제2 플레이트(238)의 각각의 단부(242, 244)에 한 쌍의 탭(256)을 효과적으로 한정한다. 제1 단부(242)의 탭(256)은, 뒤꿈치 지향 측벽(174j)을 통해 중창(36j)의 제1 세그먼트(152j)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제2 단부(244)의 탭(256)은, 전족 지향 측벽(176j)을 통해 중창(36j)의 제2 세그먼트(154j) 내로 연장된다.
탭들(256)은, 신발류(10j)의 사용 중에, 제2 플레이트(238)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242, 244) 각각에서 굽힘부(flexure)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노치(252)는, 전족 영역 내에서 제2 플레이트(238)의 강성을 최소화하도록 크기 결정 설정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탭들(256)을 제공함으로써, 제2 노치(254)는, 제2 플레이트(238)의 제2 단부(244)가 중족 영역(18) 내에서 비틀리는 것 및/또는 굽혀지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예에서, 절결부들 중 하나 이상은, 제2 플레이트(238)의 중간 부분(246) 내에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을 것이다.
제3 플레이트(240)는, 제2 플레이트(238)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j)와 바닥창(38j)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240)는, 중창(36j)의 제1 세그먼트(152j)에 부착되는 제1 단부(248)로부터 완충 장치(40j)에 부착되는 제2 단부(250)까지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3 플레이트(240)의 제1 단부(248)는, 제1 세그먼트(152j)의 말단부와 바닥창(38j)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제3 플레이트의 제2 단부(250)는, 완충 장치(40j)에 결합되며 그리고 제2 세그먼트(154j)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3 플레이트(240)의 제2 단부(250)는, 완충 장치(40j)와 함께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바닥창(38j)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3 플레이트(238)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1 및 도 53b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36)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이며 그리고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까지 실질적으로 밑창 구조체(14j)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제2 플레이트(238) 및 제3 플레이트(240)는, 밑창 구조체(14j)의 일부만을 따라 연장되는 소위 "부분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2 플레이트(238)는, 전족 영역(16)으로부터 중족 영역(18)까지 연장되는 반면, 제3 플레이트(240)는 실질적으로 전족 영역(16) 내에 배치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들(236, 238, 24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전족 영역(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들(236, 238, 24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j)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되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플레이트(236, 238, 240)는, 그 내부에 완충 장치(40j)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켓(257)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들(257)은, 개별적인 플레이트(236, 238, 240) 각각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리브, 돌출부 또는 리세스에 의해 한정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j)와 접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소켓들(257)은, 완충 장치(40j)의 위치를 각각의 플레이트(236, 238, 240)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완충 장치(40j)의 개별적인 단부를 수용한다.
특정 크기, 위치 및 특징에 무관하게, 플레이트들(236, 238, 240) 중의 하나 이상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들(236, 238, 240) 중의 하나 이상은 ,비발포 중합체 재료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섬유 플레이트들은, 중합체 재료에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중량 및 바람직한 힘 분배 특성으로 인해, 최대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밑창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에서, 중합체 플레이트들이, 적합한 중량 및 힘 분배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플레이트들(236, 238, 240)을 형성하는 것은, 신발류 물품(10j)이 지면을 타격할 때, 신발류 물품(10j)의 사용과 연관된 힘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체 밑창 구조체(14j)에 전체에 걸쳐 분배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0 내지 도 53b를 계속 참조하면, 완충 장치(40j)는, 중창(36j)의 간극(156j)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j)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j)는, 밑창 구조체(14j)의 안쪽 측면(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밑창 구조체(14j)의 바깥쪽 측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2 및 도 5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j)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를 구비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는, 대략 제1 플레이트(236)와 제2 플레이트(238)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는, 제2 플레이트(238)와 제3 플레이트(24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플레이트(236)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238)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238)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3 플레이트(240)에 부착된다.
도 50 및 도 53b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38)의 중간 부분(246)은, 완충 장치(40j)와 교차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플레이트(238)의 중간 부분(246)은, 안쪽 완충 장치(64j)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사이에, 그리고 바깥쪽 완충 장치(66j)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 사이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는, 제2 플레이트(238) 위에[즉, 제2 플레이트(238)와 갑피(12)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는 제2 플레이트(238) 아래에[즉, 제2 플레이트(238)와 바닥창(38j) 사이에] 배치된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은,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제1 플레이트(236), 제2 플레이트(238), 및/또는 제3 플레이트(240)에 각각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은,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 제1 플레이트(236), 제2 플레이트(238), 및/또는 제3 플레이트(240)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병합함으로써, 플레이트들(236, 238, 24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의 반대측 단부들은, 각각의 플레이트(236, 238, 240) 내에 또는 상에 형성되는 개별적인 소켓(257) 내에 수용되어, 그로 인해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 중 하나 이상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3a를 참조하면,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를 각각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장벽 요소(76)는,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벽 요소(78)는 마찬가지로,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80)을 한정하도록 도 53a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는, 둘레 이음선(8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주연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장벽 요소(78)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 이음선(82)은, 내부 공동(80)을 밀봉하고, 그로 인해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188j, 190j, 192j, 194j)의 체적을 한정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의 내부 공동(80)은, 그 내부에 인장 요소(84)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요소(84)는, 상부 인장 시트(88)와 하부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이 압축 유체를 수용할 때, 인장 요소(84)의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88)가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가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압축 유체가 내부 공동(80) 내로 주입될 때,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 각각의 요구되는 형상을 개별적으로 유지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대략 갑피(12)와 바닥창(38j) 사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유체 충전 챔버(188j, 190j, 192j, 194j)를 각각 구비한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는, 제2 플레이트(238)에 의해 제2 유체 충전 챔버(192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로부터 각각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일부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j)[즉,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는, 바깥쪽 완충 장치(66j)[즉,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안쪽 완충 장치(64j)가 바깥쪽 완충 장치(66j)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완충 장치들(64j, 66j)은 대안적으로, 여전히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가운데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적층된 쌍의 유체 충전 챔버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대안적으로, 다른 완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대체하는, 발포체 블록(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의 92 참조)을 각각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을 배치하는 것은, 장벽 요소들(76, 78)이, 사전 결정된 부하를 받게 될 때, 사전 결정된 양을 넘는 발포체 블록의 팽창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발포체 블록이 부하가 가해지는 도중에 장벽 요소들(76, 78)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포체 블록의 전체 형상 그리고 그에 따라 성능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장벽 요소들(76, 78)의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발포체 블록들은 대안적으로, 장벽 요소들(76, 78)이 없는 가운데, 완충 장치(40j)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발포체 블록들은, 개별적으로, 제1 플레이트(236), 제2 플레이트(238), 제3 플레이트(240) 및/또는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 중의 하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직접 부착될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의 특정 구성(즉, 발포체 블록, 유체 충전 챔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은,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요구되는 완충의 양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밑창 구조체(14j)의 안쪽 측면(22)과 바깥쪽 측면(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j)와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서로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밑창 구조체(14j) 상의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적층형 완충 요소를 각각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는,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각각 완충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한 쌍의 적층형 유체 충전 챔버[즉, 요소(188j, 190j, 192j, 194j)]를 각각 제공한다.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j, 190j, 192j, 194j)는, 동일한 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동일한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유체 충전 챔버(188j, 190j, 192j, 194j)의 체적 및 압력은, 완충 장치(64j, 66j) 사이 및/또는 각각의 완충 장치(64j, 66j) 내에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와 동일한 압력을 구비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또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j, 190j, 192j, 194j)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0 및 도 5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j)은, 중창(36j) 및 제3 플레이트(240)에 결합된다. 더 구체적으로, 바닥창(38j)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바닥창(38j)의 전족 세그먼트(258)는, 중창(36j)의 제1 세그먼트(152j) 및 제3 플레이트(240)에 결합되며, 그리고 바닥창(38j)의 하나 이상의 뒤꿈치 세그먼트(260)는, 중창(36j)의 제2 세그먼트(154j)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바닥창(38j)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j)은 예를 들어, 마찰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접촉 표면(54)을 신발류 물품(10j)에 제공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240)는, 절결부(262)를 한정하기 위해 바닥창(38j)의 전족 세그먼트(258)와 협력한다. 절결부(262)는, 제3 플레이트(240) 및 전족 세그먼트(258) 각각을 통해 연장되며, 그리고 안쪽 완충 장치(64j)와 바깥쪽 완충 장치(66j) 사이에 배치되는 정점으로 종방향 축(L)을 따라 폭이 좁아진다. 유사하게, 제3 플레이트(240) 및 바닥창(38j)의 전족 세그먼트(258)의 외주부는, 완충 장치(40j)의 프로파일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안쪽 완충 장치(64j)와 바깥쪽 완충 장치(66j)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절결부(262)에 대향하는, 노치(264)를 한정하도록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제3 플레이트(240)에 의해 제1 세그먼트(152j) 및 완충 장치(40j)에 분배된다. 제3 플레이트(240)를 통해 완충 장치(40j)에 의해 수용된 힘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를 통해 제2 플레이트(238)에 전달되고, 제2 플레이트(238)를 통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에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를 통해 제1 플레이트(236)에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j, 190j, 192j, 194j)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j)과 연관된 힘을 흡수한다. 힘은, 제1 플레이트(236), 제2 플레이트(238), 및 제3 플레이트(240)를 거쳐 중창(36j)으로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36), 제2 플레이트(238) 및 제3 플레이트(240) 중 하나 이상은,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가 밑창 구조체(14j)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에 의해 제1 플레이트(236) 및 제2 플레이트(238)에 가해지는 힘은 중창(36j)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의 위치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236, 238)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236) 및 제2 플레이트(238)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j)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의 각각의 말단부에 제3 플레이트(240)를 부착하고, 안쪽 완충 장치(64j)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j)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j) 사이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j)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j)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j) 사이에 제2 플레이트(238)를 연장시킴으로써, 가해지는 힘을 완충 장치(64j, 66j), 제1 세그먼트(152j), 및 제2 세그먼트(154j) 사이에 분배함으로써, 부가적인 안정성이 완충 장치(40j)에 제공된다.
도 54 내지 도 57b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k)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k)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k)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밑창 구조체(14k)는, 갑피(12)에 부착되며 그리고 사용 중에 신발류 물품(10k)에 지지 및 완충을 제공한다. 즉, 밑창 구조체(14k)는, 사용 중에 지면을 타격하는 신발류 물품(10k)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킨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k)는, 신발류 물품(10k)을 착용할 때 밑창 구조체(14k)가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에너지 흡수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체(14k)는, 중창(36k), 바닥창(38k), 및 대략 중창(36k)과 바닥창(38k)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k)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밑창 구조체(14k)는, 신발류 물품(10k)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후방 단부(46)를 향해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266), 제2 플레이트(268), 및 제3 플레이트(27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4 및 도 5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66)는, 중창(36k) 및 완충 장치(40k)의 중간에 배치되는 한편, 제2 플레이트(268)는 중창(36k)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k)를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제3 플레이트(270)는, 완충 장치(40k)와 바닥창(38k)의 중간에 배치된다.
도 55 및 도 57b를 계속 참조하면, 중창(36k)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측 부분(146k) 및 세그먼트화된 하측 부분(148k)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부분(146k)은, 신발류 물품(10k)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일 구성에서, 상측 부분(146k)은, 갑피(12)의 스트로벨(48)과 대향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4k)를 갑피(12)에 결합한다. 중창(36k)의 상측 부분(146k)은, 도 5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36k)이 갑피(12)와 스트로벨(48)의 접합부를 커버하도록, 갑피(12)의 상측 표면(50)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k)의 하측 부분(148k)은, 상측 부분(146k)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k) 및 상측 부분(146k)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k)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그먼트(152k)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k)은, 제1 세그먼트(152k)와 제2 세그먼트(154k) 사이에 간극(156k)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k)의 전족 지향 측벽(176k)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세그먼트(154k)의 전족 지향 측벽(176k)은, 도 55 및 도 5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극(156k)은, 사용 중에 완충 장치(40k)의 억제되지 않은 팽창 및 수축을 위한 충분한 유격을 제공하도록 한정된다. 예를 들어, 지면과의 초기 충격시에, 완충 장치(40k)가 압축됨에 따라 완충 장치(40k)의 폭이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간극(156k)을 제공함으로써, 완충 장치(40k)의 충격 흡수 능력이 최대화된다.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중창(36k)의 제2 세그먼트(154k)는, 전족 지향 측벽(176k)으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채널(157k)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57k)의 폭이, 전족 지향 측벽(176k)으로부터 중간 부분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밑창 구조체(14k)의 후방 단부(46)에 인접한 제2 정점으로 좁아질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k)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중합체 발포체와 같은 에너지 흡수 재료로 중창(36k)을 형성하는 것은, 중창(36k)이 사용 중에 지면 위의 신발류 물품(10k)의 이동에 의해 유발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도록 한다.
상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k)는, 중창(36k)과 완충 장치(40k) 사이에 강성 또는 반강성 계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266, 268, 270)를 포함하여, 그로 인해 완충 장치(40k)에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4k) 전체에 걸쳐 부하를 분배하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266)는, 중창(36k)의 상측 부분(146k)이 제1 플레이트(266)와 갑피(12)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중창(36k)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66)는, 상측 부분(146k)과 하측 부분(148k)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266)의 제1 단부가, 상측 부분(146k)과 제1 세그먼트(152k) 사이에서 중창(36k)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266)의 제2 단부가, 상측 부분(146k)과 제2 세그먼트(154k) 사이에서 중창(36k) 내에 매립된다. 제1 플레이트(266)의 중간 부분이, 간극(156k)을 횡단하고,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66)의 지면 지향 표면(158k)이, 간극(156k) 내에 노출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k)의 기단부에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266)는, 밑창 구조체(14k)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k)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1 플레이트(266)는, 중창(36k)의 상측 부분(146k) 내에 에워싸일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제1 플레이트(266)는, 갑피(12)와 중창(36k)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1 플레이트(266)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268)는, 제1 플레이트(266)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대략 제1 플레이트(266)와 바닥창(38k)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268)의 제1 단부(272)가, 중창(36k)의 하측 부분(148k)의 제1 세그먼트(152k)에 결합되는 한편, 반대편 제2 단부(274)가, 중창(36k)의 하측 부분(148k)의 제2 세그먼트(154k)에 결합된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2 플레이트(268)의 제1 단부(272)는 제1 세그먼트(152k)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2 단부(274)는 제2 세그먼트(154k) 내에 매립된다. 제2 플레이트(268)의 중간 부분(276)이, 제1 세그먼트(152k)와 제2 세그먼트(154k)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56k)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완충 장치(40k)를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으로 분리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68)는, 가요성 및 안정성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자체를 통해 형성되는, 절결부들(282, 284)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들(282, 284)은, 제2 플레이트(268)의 제1 단부(272)로부터 연장되는 제1 노치(282), 및 제2 플레이트(268)의 제2 단부(274)로부터 연장되는 제2 노치(284)를 구비한다. 제1 노치(282) 및 제2 노치(284)는 각각, 완충 장치(40k)의 반대편 측면들에 인접한 각각의 정점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들(282, 284)은,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완충 장치(40k)의 부분들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각각의 노치(282, 284)는, 제2 플레이트(268)의 각각의 단부(272, 274)에 한 쌍의 탭(286)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제1 단부(272)의 탭(286)은, 뒤꿈치 지향 측벽(174k)을 통해 중창(36k)의 제1 세그먼트(152k)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제2 단부(274)의 탭(286)은, 전족 지향 측벽(176k)을 통해 중창(36k)의 제2 세그먼트(154k) 내로 연장된다.
탭들(286)은, 신발류(10k)의 사용 중에, 제2 플레이트(268)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272, 274)의 각각에서 굽힘부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노치(282)는, 완충 장치(40k)에 인접하게, 전족 영역(16) 내에서 제2 플레이트(268)의 강성을 최소화하도록 크기 결정 설정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탭들(286)을 형성함으로써, 제2 노치(284)는, 제2 플레이트(268)의 제2 단부(274)가 중족 영역(18) 내에서 비틀리는 것 및 굽혀지는 것을 허용한다. 노치들(282, 284)의 크기 및 위치는, 원하는 가요성 및 안정성 특성에 따라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플레이트(270)는, 제2 플레이트(268)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k)와 바닥창(38k)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270)는, 중창(36k)의 제1 세그먼트(152k)에 부착되는 제1 단부(278)로부터 완충 장치(40k)에 부착되는 제2 단부(280)까지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3 플레이트(270)의 제1 단부(278)는, 제1 세그먼트(152k)의 말단부와 바닥창(38k)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제3 플레이트(270)의 제2 단부(280)는 제2 세그먼트(154k)의 말단부와 바닥창(38k) 사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바닥창(38k)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270)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플레이트(268)와 같이, 제3 플레이트(270)는, 자체를 통해 형성되는 복수의 절결부(288, 289, 290)를 구비한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1 절결부는 제1 단부(278)에 형성되는 제1 노치(288)이며, 그리고 제2 절결부는 제2 단부(280)에 형성되는 제2 노치(290)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노치(288, 290)는, 제3 플레이트(270)의 두께를 통해 형성되며 그리고 제3 플레이트(27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정점까지 폭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노치(288, 290)는, 제3 플레이트(270)의 각각의 단부(278, 280)에 한 쌍의 탭(291)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제1 단부(278)의 탭(291)은 제1 세그먼트(152k)와 바닥창(38k) 사이에 수용되며, 그리고 제2 단부(280)의 탭(291)은 제2 세그먼트(154k)와 바닥창(38k) 사이에 수용된다. 제3 플레이트(270)는, 제1 노치(288)로부터 완충 장치(40k)의 반대측의 중간 부분을 통해 형성되는, 구멍(289)을 더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268)의 탭들(286)과 마찬가지로, 제3 플레이트(270)의 탭들(291)은, 원하는 가요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5 및 도 57b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66)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이며 그리고 전족 영역(16)으로부터 뒤꿈치 영역(20)까지 실질적으로 밑창 구조체(14k)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제2 플레이트(268) 및 제3 플레이트(270)는, 밑창 구조체(14k)의 일부만을 따라 연장되는, 소위 "부분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는 예에서, 제2 플레이트(268) 및 제3 플레이트는, 전족 영역(16)으로부터 중족 영역(18)까지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들(266, 268, 27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은, 전족 영역(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중족 영역(18) 또는 뒤꿈치 영역(20)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들(266, 268, 27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k)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연장되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특정 크기, 위치 및 특징에 무관하게, 플레이트들(266, 268, 270) 중 하나 이상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들(266, 268, 270)은, 비발포 중합체 재료로,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탄소 섬유 플레이트는, 중합체 재료에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중량 및 바람직한 힘 분배 특성으로 인해, 최대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밑창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에서, 중합체 플레이트가 적합한 중량 및 힘 분배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플레이트들(266, 268, 270)을 형성하는 것은, 신발류 물품(10k)이 지면을 타격할 때, 신발류 물품(10k)의 사용과 연관된 힘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체 밑창 구조체(14k)에 전체에 걸쳐 분배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4 내지 도 57b를 계속 참조하면, 완충 장치(40k)는, 중창(36k)의 간극(156k)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k)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k)는, 밑창 구조체(14k)의 안쪽 측면(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밑창 구조체(14k)의 바깥쪽 측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5 및 도 5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k)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를 구비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는, 대략 제1 플레이트(266)와 제2 플레이트(268)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는, 제2 플레이트(268)와 제3 플레이트(27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1 플레이트(266)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268)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는, 각각의 제1 측면에서 제2 플레이트(268)에 부착되며, 그리고 각각의 제2 측면에서 제3 플레이트(270)에 부착된다.
도 54 및 도 57b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68)의 중간 부분(276)은, 완충 장치(40k)를 통해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플레이트(268)의 중간 부분(276)은, 안쪽 완충 장치(64k)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사이에, 그리고 바깥쪽 완충 장치(66k)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 사이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는, 제2 플레이트(268) 위에[즉, 제2 플레이트(268)와 갑피(12)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는, 제2 플레이트(268)와 바닥창(38k) 사이에 배치된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은,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제1 플레이트(266), 제2 플레이트(268), 및/또는 제3 플레이트(270)에 각각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은,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 제1 플레이트(266), 제2 플레이트(268), 및/또는 제3 플레이트(270)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병합함으로써, 플레이트들(266, 268, 27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의 반대측 단부들은, 각각의 플레이트(266, 268, 270) 내에 또는 상에 형성되는, 개별적인 소켓(287) 내에 수용되어, 그로 인해 각각의 단부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를 각각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장벽 요소(76)는,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벽 요소(78)는 마찬가지로,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80)을 한정하도록 도 57a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는, 둘레 이음선(8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주연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장벽 요소(78)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 이음선(82)은, 내부 공동(80)을 밀봉하고, 그로 인해 각각의 챔버(188k, 190k, 192k, 194k)의 체적을 한정한다.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의 내부 공동(80)은, 그 내부에 인장 요소(84)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인장 요소(84)는, 상부 인장 시트(88)와 하부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으로,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이 압축 유체를 수용할 때, 인장 요소(84)의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88)가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가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압축 유체가 내부 공동(80) 내로 주입될 때,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 각각의 요구되는 형상을 개별적으로 유지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대략 갑피(12)와 바닥창(38k) 사이에 수용되는, 한 쌍의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를 각각 구비한다. 일 구성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는, 제2 플레이트(268)에 의해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로부터 각각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일부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k)[즉,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는, 바깥쪽 완충 장치(66k)[즉,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안쪽 완충 장치(64k)가 바깥쪽 완충 장치(66k)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완충 장치들(64k, 66k)은 대안적으로, 여전히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가운데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적층된 쌍의 유체 충전 챔버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대안적으로, 다른 완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대체하는 발포체 블록(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의 92 참조)을 각각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을 배치하는 것은, 장벽 요소들(76, 78)이, 사전 결정된 부하를 받게 될 때, 사전 결정된 양을 넘는 발포체 블록의 팽창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발포체 블록들이 부하가 가해지는 도중에 장벽 요소들(76, 78)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포체 블록들의 전체 형상 그리고 그에 따라 성능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장벽 요소들(76, 78)의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발포체 블록들은 대안적으로, 장벽 요소들(76, 78)이 없는 가운데, 완충 장치(40k)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발포체 블록들은, 개별적으로, 제1 플레이트(266), 제2 플레이트(268), 제3 플레이트(270) 및/또는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 중의 하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직접 부착될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의 특정 구성(즉, 발포체 블록, 유체 충전 챔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은,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요구되는 완충의 양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밑창 구조체(14k)의 안쪽 측면(22)과 바깥쪽 측면(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k)와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서로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밑창 구조체(14k) 상의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적층형 완충 요소를 각각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는,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각각 완충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한 쌍의 적층형 유체 충전 챔버[즉, 요소(188k, 190k, 192k, 194k)]를 각각 제공한다.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는, 동일한 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동일한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의 체적 및 압력은, 완충 장치들(64k, 66k) 사이 및/또는 각각의 완충 장치(64k, 66k) 내에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와 동일한 압력을 구비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또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보다 높거나 동일한 압력을 구비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는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88k, 190k, 192k, 194k)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k)은, 중창(36k) 및 제3 플레이트(270)에 결합되며 그리고 전방 단부(44)로부터 뒤꿈치 영역(20)을 통해 연장된다. 바닥창(38k)은, 제3 플레이트(270)의 절결부들(288, 290) 및/또는 중창(36k)의 채널(157k)에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절결부들(292, 29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38k)은, 예를 들어, 마찰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접촉 표면(54)을 신발류 물품(10k)에 제공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지면 접촉 표면(54)이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제3 플레이트(270)에 의해 제1 세그먼트(152k) 및 완충 장치(40k)에 분배된다. 제3 플레이트(270)를 통해 완충 장치(40k)에 의해 수용된 힘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를 통해 제2 플레이트(268)에 전달되고, 제2 플레이트(268)를 통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에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를 통해 제1 플레이트(266)에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88k, 190k, 192k, 194k)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k)과 연관된 힘을 흡수한다. 힘은, 제1 플레이트(266), 제2 플레이트(268), 및 제3 플레이트(270)를 거쳐 중창(36k)으로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66), 제2 플레이트(268) 및 제3 플레이트(270) 중 하나 이상은,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가 밑창 구조체(14k)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에 의해 제1 플레이트(266) 및 제2 플레이트(268) 상에 가해지는 힘은 중창(36k)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의 위치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266, 268, 270)의 강성으로 인해 제1 플레이트(266) 및 제2 플레이트(268)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또한, 안쪽 완충 장치(64k)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k)의 각각의 말단부에 제3 플레이트(270)를 부착하며, 그리고 안쪽 완충 장치(64k)의 제1 유체 충전 챔버(188k)와 제2 유체 충전 챔버(190k) 사이에 그리고 바깥쪽 완충 장치(66k)의 제3 유체 충전 챔버(192k)와 제4 유체 충전 챔버(194k) 사이에 제2 플레이트(268)를 연장시킴으로써, 가해지는 힘을 완충 장치(64k, 66k), 제1 세그먼트(152k), 및 제2 세그먼트(154k) 사이에 분배함에 의해, 부가적인 안정성이 완충 장치(40k)에 제공된다.
도 58 내지 도 61a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m)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2) 및 갑피(12)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체(14m)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m)에 관하여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견지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사용되고, 반면에 문자 접미어를 포함하는 유사한 도면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8 내지 도 61b를 계속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4m)는, 중창(36m), 바닥창(38m), 및 중창(36m)과 바닥창(38m)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 또는 완충 장치(40m), 및 중창(36m)과 완충 장치(40m)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9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플레이트(296)는, 예를 들어 비발포 중합체 또는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58, 도 59, 및 도 61b를 계속 참조하면, 중창(36m)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측 부분(146m) 및 하측 부분(148m)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부분(146m)은, 신발류 물품(10m)의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일 구성에서, 상측 부분(146m)은, 갑피(12)의 스트로벨(48)과 대향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14m)를 갑피(12)에 결합한다. 중창(36m)의 상측 부분(146m)은, 도 6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창(36m)이 갑피(12)와 스트로벨(48)의 접합부를 커버하도록, 갑피(12)의 상측 표면(50)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36m)의 하측 부분(148m)은, 상측 부분(146m)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152m), 상측 부분(146m)의 뒤꿈치 영역(20)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154m), 및 제1 세그먼트(152m)와 제2 세그먼트(154m)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브(230m)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그먼트(152m)의 뒤꿈치 지향 측벽(174m)은, 제1 세그먼트(152m)와 제2 세그먼트(154m) 사이에 간극(156m)을 한정하도록, 제2 세그먼트(154m)의 전족 지향 측벽(176m)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리브(230m)는, 제1 세그먼트(152m)와 제2 세그먼트(154m) 사이의 간극(156m)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m)를 횡방향으로 이등분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174m, 176m)은, 완충 장치(40m)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측벽들(174m, 176m)은, 완충 장치(40m)의 외부 프로파일과 형상이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296)는, 상측 부분(146m)과, 하측 부분(148m) 및 완충 장치(40m)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96)의 제1 단부가, 상측 부분(146m)과 제1 세그먼트(152m)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296)의 반대편 제2 단부가, 상측 부분(146m)과 제2 세그먼트(154m)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296)의 지면 지향 표면(158m)을 한정하는 중간 부분이, 일 측에서 상측 부분(146m)과 그리고 반대측에서 완충 장치(40m) 및 리브(230m) 사이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296)는, 중창(36m)의 상측 부분(146m)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96)는, 밑창 구조체(14m)의 안쪽 측면(22) 및/또는 밑창 구조체(14m)의 바깥쪽 측면(24)에서 시인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296)는 중창(36m)의 재료 내에 매립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플레이트(296)는, 갑피(12)와 중창(36m)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플레이트(296)는 스트로벨(48) 및/또는 갑피(12)에 직접 부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96)는, 전체 길이 플레이트이고, 신발류 물품(10)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44)로부터 후방 단부(46)까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296)는, 전족 영역(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중족 영역(16) 또는 뒤꿈치 영역(20)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는, 소위 "부분 길이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296)는, 중족 영역(18)을 통해 뒤꿈치 영역(20) 내로 완전히 연장되지 않는 가운데, 신발류 물품(10m)의 전족 영역(16)으로부터 중족 영역(18)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플레이트(296)는, 그 내부에 완충 장치(40m)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켓(307)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들(307)은, 플레이트(296)의 지면 지향 표면(158m) 상에 형성되는 리브, 돌출부 또는 리세스에 의해 한정되며, 그리고 완충 장치(40m)와 접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소켓들(307)은, 완충 장치(40m)의 위치를 플레이트(296)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완충 장치(40m)의 개별적인 단부를 수용한다.
플레이트(296)는, 가요성 및 안정성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자체를 통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절결부(298)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96)는, 플레이트(296)의 뒤꿈치 영역(20)을 통해 형성되는 구멍(298)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플레이트(296)는, 원하는 가요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노치 또는 다른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296)의 특정 크기 및 구성에 무관하게, 플레이트(296)는, 비교적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96)는, 비발포 중합체 재료로, 또는 대안적으로 탄소 섬유와 같은 섬유를 함유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적 강성 재료로 플레이트(296)를 형성하는 것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m)이 지면을 타격할 때, 플레이트(296)가 신발류 물품(10m)의 사용과 연관된 힘을 분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8 내지 도 61a를 특히 참조하면, 완충 장치(40m)는, 안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쿠션 또는 완충 장치(66m)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쪽 완충 장치(64m)는, 밑창 구조체(14m)의 안쪽 측면(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밑창 구조체(14m)의 바깥쪽 측면(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6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m)는, 대략 플레이트(296)와 바닥창(38m)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바깥쪽 측면(24)에서 플레이트(296)와 바닥창(38m)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는, 제1 측면에서 플레이트(296)의 노출된 표면(158m)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2 측면에서 바닥창(38m)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는, 제1 측면에서 플레이트(296)의 노출된 표면(158m)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2 측면에서 바닥창(38m)에 부착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는, 적합한 접착제를 통해, 플레이트(296) 및 바닥창(38m)에 각각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와 바닥창(38m)의 접합부에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의 재료와 바닥창(38m)의 재료를 병합함으로써, 바닥창(38m)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체 충전 챔버(162m, 164m)의 제1 단부들은, 플레이트(296) 내에 형성되는 대응 소켓(307) 내에 수용되어, 그로 인해 유체 충전 챔버들(162m, 164m)의 위치를 기계적으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바닥창(38m)은, 유체 충전 챔버들(162m, 164m)의 제2 단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소켓(307)을 또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는,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를 각각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장벽 요소(76)는,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장벽 요소(78)는 마찬가지로, TPU 재료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80)을 한정하도록 도 28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는, 둘레 이음선(82)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의 주연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2 장벽 요소(78)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둘레 이음선(82)은 내부 공동(80)을 밀봉하고, 그로 인해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의 체적을 한정한다.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의 각각의 내부 공동(80)은, 그 내부에 인장 요소(84)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장 요소(84)는, 상부 인장 시트(88)와 하부 인장 시트(9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인장 스트랜드(8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인장 시트(88)는,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는,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식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가 압축 유체를 수용할 때, 인장 요소(84)의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인장 상태로 배치된다. 상부 인장 시트(88)가 제1 장벽 요소(76)에 부착되며 그리고 하부 인장 시트(90)가 제2 장벽 요소(78)에 부착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들(86)은, 압축 유체가 내부 공동(80) 내로 주입될 때,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의 요구되는 형상을 유지한다.
도 61a를 계속 참조하면,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를 구비한다. 안쪽 완충 장치(64m)와 마찬가지로,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는, 플레이트(296)와 바닥창(38m)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는,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와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는, 제1 장벽 요소(76), 제2 장벽 요소(78), 내부 공동(80), 둘레 이음선(82), 및 내부 공동(80)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요소(8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m)[즉,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는, 바깥쪽 완충 장치(66m)[즉,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된다. 그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m)는, 거리(166)(도 29)만큼 바깥쪽 완충 장치(66m)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다. 안쪽 완충 장치(64m)가 바깥쪽 완충 장치(66m)로부터 이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완충 장치들(64m, 66m)은 대안적으로, 여전히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가운데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유체 충전 챔버(162m, 164m)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안쪽 완충 장치(64m) 및/또는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대안적으로, 대안적인 또는 부가적인 완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쪽 완충 장치(64m) 및/또는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유체 충전 챔버(162m, 164m)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대체하는 발포체 블록(미도시)을 각각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블록(들)은,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장벽 요소(76) 및 제2 장벽 요소(78)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동(80) 내부에 발포체 블록(들)을 배치하는 것은, 장벽 요소들(76, 78)이, 사전 결정된 부하를 받게 될 때, 사전 결정된 양을 넘는 발포체 블록(들)의 팽창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발포체 블록(들)이 부하가 가해지는 도중에 장벽 요소들(76, 78)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포체 블록의 전체 형상 그리고 그에 따라 성능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의 특정 구성에 무관하게, 안쪽 완충 장치(64m)는, 도 6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4m)의 종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m)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m)는, 안쪽 측면(22)으로부터 바깥쪽 측면(24)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m)와 정렬되어, 도 6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완충 장치(64m, 66m)가 밑창 구조체(14m)의 전방 단부(44)로부터 및/또는 밑창 구조체(14m)의 후방 단부(46)로부터 대략 동일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안쪽 완충 장치(64m)는, 종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깥쪽 완충 장치(66m)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안쪽 완충 장치(64m)는 도 14에 도시되는 예와 유사하게, 바깥쪽 완충 장치(66m)보다 밑창 구조체(14m)의 전방 단부(44)에 더 가깝거나 더 멀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중창(36m)의 측벽들(174m, 176m)은, 완충 장치들(64m, 66m)로부터 이격된다. 이 간격은, 완충 장치들(64m, 66m)이 부하를 받게 될 때, 외향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완충 장치들(64m, 66m)이 부하를 받게 될 때, 완충 장치들(64m, 66m)은, 완충 장치들(64m, 66m)과 측벽들(174m, 176m)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 내로 연장되도록 허용된다. 이 간극(156m)의 폭은, 부하를 받게 될 때, 완충 장치들(64m, 66m)이 팽창하도록 허용되는 정도를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간극(156m)이 클수록, 완충 장치들(64m, 66m)이, 만약에 존재한다면, 측벽들(174m, 176m)과 접촉하기 이전에 더 많이 팽창해야 한다. 반대로, 측벽들(174m, 176m)이 완충 장치들(64m, 66m)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완충 장치들(64m, 66m)이 중창(36m)의 표면(168)과 접촉하기 이전에 완충 장치들(64m, 66m)의 최소 팽창이 허용될 것이고, 그로 인해 중창(36m)이, 완충 장치들(64m, 66m)이 사전 결정된 양을 넘어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밑창 구조체(14m) 상의 별개의 위치에 배치되는 완충 요소를 각각 제공한다. 일 구성에서,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는, 안쪽 측면(22) 및 바깥쪽 측면(24)에서 각각 완충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유체 충전 챔버[즉, 요소(162m, 164m)]를 각각 제공한다. 개별적인 별개의 유체 충전 챔버(162m, 164m)는, 동일한 체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동일한 압력(즉, 20 psi)에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다양한 유체 충전 챔버(162m, 164m)의 압력은, 완충 장치들(64m, 66m) 사이에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와 동일한 압력을 구비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는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와는 상이한 압력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체 충전 챔버들(162m, 164m)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8 및 도 6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38m)은, 중창(36m) 및 완충 장치(40m)에 결합된다. 바닥창(38m)은 예를 들어, 마찰력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지면 접촉 표면(54)을 신발류 물품(10m)에 제공하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지면 접촉 표면(54)은, 밑창 구조체(14m)의 지면과의 맞물림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찰 요소들(12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동작 중에, 밑창 구조체(14m)가 지면과 접촉할 때, 힘이,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로 전달된다. 즉, 힘은, 제1 유체 충전 챔버(162m)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164m)로 전달된다. 가해지는 힘은, 개별 유체 충전 챔버(162m, 164m)가 압축되도록 야기하여, 그로 인해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창(38m)과 연관된 힘을 흡수한다. 힘은, 중창 플레이트(296) 및 중창(36m)에 전달되지만, 점 부하 또는 국부 부하로서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96)는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가 밑창 구조체(14m)를 따라 별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에 의해 플레이트(296) 상에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296)의 길이에 걸쳐 소산되어, 가해지는 힘이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오히려, 안쪽 완충 장치(64m) 및 바깥쪽 완충 장치(66m)의 위치에서 가해지는 힘은, 플레이트(296)의 강성으로 인해 플레이트(296)의 길이를 따라 소산되고, 그에 따라, 발이 내부 공동(26) 내에 배치되는 안창(94)과 접촉할 때, 점 부하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경험되지 않는다.
상기 신발류 물품들(10 내지 10m)은 각각, 특정 신발류 물품(10 내지 10m)의 사용 중에 사용자의 발에 대한 소정 정도의 완충 및 보호를 갖는 신발류 물품(10 내지 10m)을 제공하는, 밑창 구조체(14 내지 14i)를 개별적으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신발류 물품들(10-10i)은, 신발류 물품(10, 10a,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m)의 경우에 달리기, 신발류 물품(10b)의 경우에 트랙-및-필드 이벤트, 또는 신발류 물품(10c)의 경우에 농구 경기 중과 같은 다양한 운동 활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항목들은, 전술된 신발류 물품용 구성들을 제공한다.
항목 1: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구비하는 중창으로서, 하측 부분은,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간극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중창; 중창으로부터 간극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및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제1 단부가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되고,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중창의 제2 세그먼트에 결합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간극을 통해 연장되며 그리고 쿠션에 결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 항목 2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 항목 2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은, 쿠션과 중창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 항목 4에 있어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 항목 2에 있어서, 쿠션은,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과 중창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 항목 6에 있어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상측 부분과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상측 부분과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 항목 2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 항목 1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중창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쿠션과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 항목 1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 섬유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1: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구비하는 중창으로서, 하측 부분은,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간극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을 따라 제1 세그먼트로부터 이격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중창;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쿠션으로부터 격리되는, 제2 쿠션을 포함하는, 쿠션; 및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및 쿠션 각각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쿠션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3: 항목 11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며 그리고,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1 단부, 중창의 제2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2 단부, 및 쿠션에 결합되는 중간 부분을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쿠션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4: 항목 13에 있어서, 쿠션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쿠션과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제3 플레이트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제1 단부로부터 쿠션과 제2 세그먼트 사이의 말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6: 항목 14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 및 제3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세그먼트와 쿠션 사이에 형성되는 절결부(cutout)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7: 항목 13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제1 쌍의 탭을 한정하는 제1 노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제2 쌍의 탭을 한정하는 제2 노치를 구비하고, 제1 쌍의 탭은 제1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며 그리고 제2 쌍의 탭은 제2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8: 항목 13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9: 항목 13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0: 항목 13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으로부터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1: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3: 항목 22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제2 쿠션으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4: 항목 21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제2 쿠션보다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5: 항목 21에 있어서, 제2 쿠션과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6: 항목 25에 있어서, 제3 쿠션은,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5 유체 충전 챔버 및, 제5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5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7: 항목 21에 있어서, 바닥창은, 상측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 및 지면 접촉 표면에서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마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8: 항목 27에 있어서, 마찰 요소들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29: 항목 27에 있어서, 마찰 요소들은, 압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0: 항목 27에 있어서, 마찰 요소들은,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1: 항목 27에 있어서,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2: 항목 21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플레이트 부재와 바닥창의 상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3: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제2 유체 충전 챔버,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4: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1 팽윤부(first bulge)를 형성하며 그리고 제2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2 팽윤부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5: 항목 34에 있어서, 제1 팽윤부는,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팽윤부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6: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7: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8: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바닥창은, 제2 쿠션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39: 항목 38에 있어서, 바닥창의 상측 표면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요소를 더 포함하고,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와 제1 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0: 항목 39에 있어서, 완충 요소는, 발포체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1: 항목 40에 있어서,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2: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1 쿠션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3: 항목 42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4: 항목 43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제2 쿠션으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5: 항목 42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제2 쿠션보다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6: 항목 42에 있어서, 제2 쿠션과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7: 항목 46에 있어서, 제3 쿠션은,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5 유체 충전 챔버 및, 제5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5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6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8: 항목 42에 있어서, 바닥창은, 상측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 및 지면 접촉 표면에서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마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49: 항목 48에 있어서, 마찰 요소들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0: 항목 48에 있어서, 마찰 요소들은, 압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1: 항목 48에 있어서, 마찰 요소들은,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2: 항목 48에 있어서, 바닥창 플레이트 부재는, 강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3: 항목 42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 쿠션 및 제2 쿠션은, 플레이트 부재와 바닥창의 상측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4: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제2 유체 충전 챔버,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4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5: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1 팽윤부를 형성하며 그리고 제2 쿠션은 지면 접촉 표면에 제2 팽윤부를 형성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6: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7: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3 유체 충전 챔버는, 제4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8: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바닥창은, 제2 쿠션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59: 항목 58에 있어서, 바닥창의 상측 표면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요소를 더 포함하고,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와 제1 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0: 항목 59에 있어서, 완충 요소는, 발포체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1: 항목 60에 있어서, 완충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2: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갑피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부재;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측면에서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측면 반대편의 제2 측면에서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측면에서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측면 반대편의 제2 측면에서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 및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3 쿠션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3: 항목 62에 있어서, 제3 쿠션은, 제1 쿠션 및 제2 쿠션 중 적어도 하나보다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4: 항목 62에 있어서, 제3 쿠션은, 안쪽 측면보다 바깥쪽 측면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5: 항목 62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6: 항목 65에 있어서, 제3 쿠션은, 제1 쿠션 및 제2 쿠션보다 후방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7: 항목 65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제2 쿠션보다 전방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8: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구비하며, 그리고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닥창;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바닥창의 상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과 바닥창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69: 항목 68에 있어서, 바닥창은, 바닥창에 의해 한정되는 공칭 평면(nominal plane)에서 돌출하는, 제1 팽윤부 및 제2 팽윤부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0: 항목 69에 있어서, 제1 팽윤부는 제1 쿠션과 정렬되며 그리고 제2 팽윤부는 제2 쿠션과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1: 항목 68에 있어서, 제1 쿠션은, 바닥창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쿠션과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2: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갑피와 접촉하는 상측 부분, 상측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중창; 중창의 채널 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부재; 및 제1 측면에서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3: 항목 72에 있어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4: 항목 73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5: 항목 73에 있어서, 제1 쿠션은, 제2 쿠션으로부터 이격되고 분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6: 항목 72에 있어서, 중창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쿠션에 결합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바닥창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7: 항목 76에 있어서, 바닥창의 제1 부분은, 바닥창의 제2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8: 항목 72에 있어서, 중창의 하측 부분은, 채널과 유체 소통 상태에 놓이는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79: 항목 78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리세스에서 노출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0: 항목 79에 있어서, 쿠션은,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1: 항목 72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는, 전족 영역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의 중간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2: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유체 충전 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3: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체 충전 챔버는,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으로부터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2 유체 충전 챔버와 정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4: 갑피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 및 지면 접촉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측 표면을 갖는 바닥창; 바닥창에 부착되며 그리고, 간극을 한정하는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을 구비하는, 중창으로서, 하측 부분은, 상측 부분의 전족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세그먼트 및 상측 부분의 뒤꿈치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중창; 중창의 간극 내에 배치되는 쿠션; 쿠션과 중창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및 쿠션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5: 항목 84에 있어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2 플레이트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6: 항목 84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가, 중창의 제1 세그먼트에 결합되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가, 중창의 제2 세그먼트에 결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7: 항목 86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8: 항목 87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89: 항목 87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제2 세그먼트의 전족 지향 측벽에 결합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0: 항목 84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1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상측 부분과 중창의 제2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1: 항목 84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밑창 구조체의 최전방 지점으로부터 중족지골 지점(metatarsophalangeal point)까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한 중간 부분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2: 항목 84에 있어서, 쿠션은,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 유체 충전 챔버 및, 제1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1 유체 충전 챔버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쿠션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제1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3 유체 충전 챔버 및, 제3 유체 충전 챔버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유체 충전 챔버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유체 충전 챔버를 구비하는, 제2 쿠션을 포함하고, 제2 쿠션은, 제1 쿠션으로부터 유동적으로 격리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3: 항목 92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중창의 제1 세그먼트로부터 중창의 제2 세그먼트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4: 항목 93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제1 단부는, 제1 세그먼트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며, 그리고 제2 플레이트의 제2 단부는, 중창의 제2 세그먼트 내부에 매립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5: 항목 92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은, 상향으로 만곡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6: 항목 95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의 중간 부분은, 댐퍼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7: 항목 96에 있어서, 댐퍼는, 쿠션과 중창의 제2 세그먼트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8: 항목 96에 있어서, 댐퍼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제2 세그먼트로의 비틀림 힘의 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99: 항목 84에 있어서, 중창은, 제1 세그먼트와 제2 세그먼트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쿠션을 횡방향으로 이등분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0: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충전 챔버들은, 15 내지 30 psi의 범위 내의 압력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1: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충전 챔버들은, 20 내지 25 psi의 범위 내의 압력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2: 상기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유체 충전 챔버들은, 20 psi의 압력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3: 항목 1 내지 10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충전 챔버들은, 25 psi의 압력을 구비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4: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갑피에 부착되는 제1 중창 부분, 제1 중창 부분에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 부재, 제1 중창 부분에 대해 제1 플레이트의 반대측에서 제1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1 쿠션, 제1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제1 쿠션의 반대측에서 제1 쿠션에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 부재, 제1 쿠션에 대해 제2 플레이트의 반대측에서 제2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2 쿠션, 및 제2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제2 쿠션의 반대측에서 제2 쿠션에 부착되는 바닥창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5: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갑피에 부착되는 제1 중창 부분, 제1 중창 부분에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 부재, 제1 중창 부분에 대해 제1 플레이트의 반대측에서 제1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1 쿠션, 제1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제1 쿠션의 반대측에서 제1 쿠션에 부착되는 제2 플레이트 부재, 제1 쿠션에 대해 제2 플레이트의 반대측에서 제2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2 쿠션, 및 제2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제2 쿠션의 반대측에서 제2 쿠션에 부착되는 제3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목 106: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밑창 구조체는 갑피에 부착되는 제1 중창 부분, 제1 중창 부분에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 부재, 제1 중창 부분에 대해 제1 플레이트의 반대측에서 제1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되는 제1 쿠션, 제1 중창 부분에 대해 제1 플레이트 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중창 부분, 및 제1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제2 중창 부분의 반대측에서 제2 중창 부분에 부착되는 바닥창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총망라한 것으로 또는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 요소 또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그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가능하면, 상호교환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거나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선택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수의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경은 본 개시로부터의 일탈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되고, 모든 이러한 수정은 본 개시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8)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중합체 발포체를 포함하는 중창 상측 부분;
    플레이트로서, 상기 중창 상측 부분에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표면에 대해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플레이트;
    유체-충전 챔버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챔버 표면, 및 상기 제1 챔버 표면에 대해 유체-충전 챔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챔버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유체-충전 챔버; 및
    바닥창으로서, 상기 제2 챔버 표면에 부착되는 제1 바닥창 표면 및, 지면-접촉 표면을 한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바닥창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바닥창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바닥창
    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장벽 요소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장벽 요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15 내지 30 평방인치당 파운드(psi)의 범위 이내로 가압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상기 제1 챔버 표면과 상기 제2 챔버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유체-충전 챔버에 아치형 외측 표면을 제공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와 상기 유체-충전 챔버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를 따르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중창 하측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상측 부분은, 밑창 구조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하측 부분은 제1 중창 하측 부분이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와 상기 유체-충전 챔버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를 따르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제2 중창 하측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하측 부분은,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과 상기 유체-충전 챔버의 접합부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인, 밑창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제1 유체-충전 챔버이며, 그리고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상기 제1 유체-충전 챔버에 인접한 위치에서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제2 유체-충전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들을 함유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중창 상측 부분으로서, 상기 갑피에 부착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해 중창 상측 부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중창 상측 부분;
    플레이트로서, 중창 상측 부분의 제2 표면에 부착되는 제1 플레이트 표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표면에 대해 플레이트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플레이트;
    유체-충전 챔버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챔버 표면, 및 상기 제1 챔버 표면에 대해 유체-충전 챔버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챔버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유체-충전 챔버; 및
    바닥창으로서, 상기 제2 챔버 표면에 부착되는 제1 바닥창 표면 및, 지면-접촉 표면을 한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바닥창 표면에 대해 바닥창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바닥창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바닥창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장벽 요소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장벽 요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15 내지 30 평방인치당 파운드(psi)의 범위 이내로 가압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상기 제1 챔버 표면과 상기 제2 챔버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유체-충전 챔버에 아치형 외측 표면을 제공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그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신발류 물품의 전족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1. 제15항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의 전방 단부와 상기 유체-충전 챔버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를 따르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중창 하측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상측 부분은, 신발류 물품의 전방 단부로부터 신발류 물품의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하측 부분은 제1 중창 하측 부분이며, 그리고 신발류 물품은, 신발류 물품의 후방 단부와 상기 유체-충전 챔버 사이의 상기 플레이트를 따르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되는, 제2 중창 하측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 하측 부분은, 상기 제2 플레이트 표면과 상기 유체-충전 챔버의 접합부를 향한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인, 신발류 물품.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제1 유체-충전 챔버이며, 그리고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은, 상기 제1 유체-충전 챔버에 인접한 위치에서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제2 유체-충전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충전 챔버는, 신발류 물품의 바깥쪽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탄소 섬유들을 함유하는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07021600A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207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3406P 2017-02-01 2017-02-01
US62/453,406 2017-02-01
US201762517129P 2017-06-08 2017-06-08
US62/517,129 2017-06-08
US201762543780P 2017-08-10 2017-08-10
US62/543,780 2017-08-10
PCT/US2018/016488 WO2018144756A1 (en) 2017-02-01 2018-02-01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US15/886,571 2018-02-01
US15/886,571 US11000093B2 (en) 2017-02-01 2018-02-01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176A Division KR102139657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956A KR20200091956A (ko) 2020-07-31
KR102207238B1 true KR102207238B1 (ko) 2021-01-22

Family

ID=6297685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600A KR102207238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207021601A KR102207241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207021602A KR102206247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197025176A KR102139657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207021603A KR102206248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601A KR102207241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207021602A KR102206247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197025176A KR102139657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KR1020207021603A KR102206248B1 (ko) 2017-02-01 2018-02-01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7) US11000093B2 (ko)
EP (1) EP3576561A1 (ko)
JP (1) JP3224963U (ko)
KR (5) KR102207238B1 (ko)
CN (2) CN110381765B (ko)
WO (1) WO2018144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3709S1 (en) 1985-08-29 2022-06-07 Puma SE Shoe
USD910290S1 (en) 2017-09-14 2021-02-16 Puma SE Shoe
USD855953S1 (en) 2017-09-14 2019-08-13 Puma SE Shoe sole element
USD911683S1 (en) 2017-09-14 2021-03-02 Puma SE Shoe
USD911682S1 (en) 2017-09-14 2021-03-02 Puma SE Shoe
US11399594B2 (en) * 2013-05-07 2022-08-02 Danielle M Kassatly Footwear auxiliaries for synchronously toning leg muscles in order to straighten back posture
USD850766S1 (en) 2017-01-17 2019-06-11 Puma SE Shoe sole element
US10083981B2 (en) 2017-02-01 2018-09-25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arrays, and methods of forming memory arrays
CN114668221A (zh) * 2017-05-23 2022-06-2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阶段压缩刚度的圆顶状鞋底夹层
ES2884263T3 (es) 2017-08-11 2021-12-10 Puma SE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zapato
USD975417S1 (en) 2017-09-14 2023-01-17 Puma SE Shoe
USD872436S1 (en) * 2018-01-31 2020-01-14 Nike, Inc. Shoe with sole having transparent windows and internal spheres
USD872437S1 (en) * 2018-01-31 2020-01-14 Nike, Inc. Shoe with sole having transparent windows and internal spheres
CN115281419A (zh) 2018-04-20 2022-11-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有板和中间流体填充囊的鞋底结构及其制造方法
EP3784086B1 (de) 2018-04-27 2021-06-16 Puma Se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CN112638193A (zh) * 2018-07-31 2021-04-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USD905415S1 (en) * 2018-10-09 2020-12-22 Nike, Inc. Shoe
CN116211020A (zh) * 2018-10-19 2023-06-0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复合元件的鞋类鞋底结构及用于制造其的方法
USD862856S1 (en) * 2018-12-18 2019-10-15 Nike, Inc. Shoe
EP4368053A2 (en) 2019-01-02 2024-05-15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22048S1 (en) * 2019-01-17 2021-06-15 Vibram S.P.A. Sole for footwear
USD866137S1 (en) * 2019-01-17 2019-11-12 Nike, Inc. Shoe
WO2020159885A1 (en) 2019-01-31 2020-08-06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fluid-filled bladder elements
WO2020163531A1 (en) * 2019-02-06 2020-08-13 Fuerst Group, Inc. Footwear article for walking
USD871731S1 (en) * 2019-02-22 2020-01-07 Nike, Inc. Shoe
USD871732S1 (en) * 2019-02-22 2020-01-07 Nike, Inc. Shoe
US11779078B2 (en) * 2019-03-22 2023-10-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zonal cushioning system
CN113423299B (zh) * 2019-03-22 2023-03-1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区域性缓冲系统的鞋类物品
US20200315291A1 (en) * 2019-04-05 2020-10-08 Scott Tucker Compressible structure secured to an upper of an article of footwear
CN113747814A (zh) * 2019-04-26 2021-1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形成具有多部分式斯创贝尔结构的鞋类物品的方法和由该方法形成的物品
USD905390S1 (en) * 2019-07-11 2020-12-22 Nike, Inc. Shoe
US11259593B2 (en) 2019-07-31 2022-03-0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iered plat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210052037A1 (en) * 2019-08-23 2021-02-2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15047S1 (en) * 2019-08-30 2021-04-06 Nike, Inc. Shoe
USD915037S1 (en) * 2019-08-30 2021-04-06 Nike, Inc. Shoe
EP4021239A4 (en) * 2019-08-30 2023-08-23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DOUBLE LAYER MIDSOLE
USD918547S1 (en) 2019-08-30 2021-05-11 Nike, Inc. Shoe
USD912949S1 (en) * 2019-08-30 2021-03-16 Nike, Inc. Shoe
US11737509B2 (en) * 2019-12-09 2023-08-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USD932150S1 (en) * 2019-12-17 2021-10-05 Nike, Inc. Shoe
USD938702S1 (en) 2019-12-17 2021-12-21 Nike, Inc. Shoe
USD958502S1 (en) 2019-12-17 2022-07-26 Nike, Inc. Shoe
CN113382653B (zh) * 2019-12-25 2022-11-22 株式会社爱世克私 鞋子以及鞋子的制造方法
US11766092B2 (en) * 2020-02-21 2023-09-26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DE102020202237B4 (de) * 2020-02-21 2023-05-17 Adidas Ag Sohle umfassend individuell auslenkbare Verstärkungselemente, und Schuh mit einer solchen Sohle
US11884791B2 (en) 2020-03-09 2024-01-30 Nike, Inc. Footwear component manufacturing system
US11986046B2 (en) 2020-04-07 2024-05-21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nested foam core
USD944504S1 (en) 2020-04-27 2022-03-01 Puma SE Shoe
US11877620B2 (en) * 2020-05-31 2024-01-23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633010B2 (en) * 2020-07-22 2023-04-2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and article of footwear
JP7330237B2 (ja) * 2020-07-23 2023-08-21 プーマ エス イー ソール構造、履物具、およびアッセンブリ
US11896080B2 (en) * 2020-08-12 2024-02-13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2060502A1 (en) * 2020-09-18 2022-03-24 Nike Innovate C.V. Footwear sole structure and upper with an embedded plate
US11963574B2 (en) 2020-10-09 2024-04-23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32158S1 (en) * 2020-10-29 2021-10-05 Nike, Inc. Shoe
US11839262B2 (en) 2020-10-30 2023-12-12 Nike, Inc. Upper for article of footwear
USD929724S1 (en) * 2021-01-13 2021-09-07 Nike, Inc. Cushioning device for footwear
USD929726S1 (en) * 2021-01-13 2021-09-07 Nike, Inc. Cushioning device for footwear
USD929100S1 (en) * 2021-01-13 2021-08-31 Nike, Inc. Cushioning device for footwear
USD929723S1 (en) * 2021-01-13 2021-09-07 Nike, Inc. Cushioning device for footwear
USD929725S1 (en) * 2021-01-13 2021-09-07 Nike, Inc. Cushioning device for footwear
US20220225729A1 (en) * 2021-01-20 2022-07-2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plate
US20220232929A1 (en) * 2021-01-22 2022-07-28 Hann Athletic, Llc Shoe
US20220248804A1 (en) * 2021-02-08 2022-08-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986045B2 (en) 2021-02-26 2024-05-2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ole including closed loop support member
USD945756S1 (en) * 2021-04-14 2022-03-15 Nike, Inc. Shoe
US11986052B2 (en) 2021-06-09 2024-05-21 Nike, Inc. Sole structures with midfoot gaps and forefoot bladders in reinforcing cage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230000208A1 (en) * 2021-06-30 2023-01-0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1010297S1 (en) 2021-06-30 2024-01-09 Puma SE Shoe
WO2023010027A1 (en) 2021-07-27 2023-02-02 Nike, Inc. Multi-layered films for use in airbags and footwear
EP4210940B1 (en) 2021-07-27 2024-05-29 Nike Innovate C.V. Multi-layered films for use in airbags and footwear
WO2023010023A1 (en) 2021-07-27 2023-02-02 Nike, Inc. Multi-layered films for use in airbags and footwear
EP4355161A1 (en) 2021-07-27 2024-04-24 Nike Innovate C.V. Multi-layered films for use in airbags and footwear
US20230029462A1 (en) 2021-07-27 2023-02-02 Nike, Inc. Multi-layered films for use in airbags and footwear
US20230089617A1 (en) * 2021-09-20 2023-03-23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ole including multiple support members
USD972822S1 (en) * 2021-09-30 2022-12-20 Nike, Inc. Shoe
JP2023104151A (ja) 2022-01-17 2023-07-2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および靴
JP2023152534A (ja) 2022-04-04 2023-10-17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および靴
US11576466B1 (en) * 2022-04-29 2023-02-14 Adidas Ag Outsole for a shoe
USD998305S1 (en) 2022-12-02 2023-09-12 Nike, Inc. Sho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732A1 (en) 2014-09-16 2016-03-17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0797A (en) 1925-03-13 1927-03-15 Barney S Bonaventure Arch support
US3244177A (en) 1962-06-13 1966-04-05 William M Scholl Shoe inlay
US3253355A (en) 1964-11-20 1966-05-31 Lester L Menken Cushioned shoe
US3523379A (en) 1967-12-05 1970-08-11 Barsam Barsamian Process for manufacturing shoes
US3841005A (en) * 1973-10-01 1974-10-15 I Cox Metatarsal pad mounting for weight distributing shoe shank
US4128950A (en) 1977-02-07 1978-12-12 Brs, Inc. Multilayered sole athletic shoe with improved foam mid-sole
US4271606A (en) * 1979-10-15 1981-06-09 Robert C. Bogert Shoes with studded soles
BR6300507U (pt) * 1983-04-25 1984-12-04 Ancora Ind & Comercio Barra entresola estabilizadora
DE8423344U1 (de) 1984-08-06 1984-10-31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chuhsole mit einer aus mehreren Schichten bestehenden Zwischensohle
US4597196A (en) 1984-08-24 1986-07-01 Northwest Podiatric Laboratories, Inc. Orthotic insert and method or making of the same
US5191727A (en) 1986-12-15 1993-03-09 Wolverine World Wide, Inc. Propulsion plate hydrodynamic footwear
EP0299669B1 (en) * 1987-07-09 1993-12-15 Hi-Tec Sports Plc Sports or casual shoe with shock absorbing sole
US5097607A (en) * 1990-05-07 1992-03-24 Wolverine World Wide, Inc. Fluid forefoot footware
US5381608A (en) 1990-07-05 1995-01-17 L.A. Gear, Inc. Shoe heel spring and stabilizer
US5179791A (en) * 1991-08-19 1993-01-19 Lain Cheng K Torsional spring insole and method
US5224280A (en) 1991-08-28 1993-07-06 Pagoda Trading Company, Inc. Support structure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orporating same
EP0605485B2 (en) 1991-09-26 2005-03-30 Skydex Technologies, Inc. Shoe sole component
US5220737A (en) 1991-09-27 1993-06-22 Converse Inc. Shoe sole having improved lateral and medial stability
TW214511B (ko) * 1991-11-01 1993-10-11 Nike International Ltd
US6453577B1 (en) * 1996-02-09 2002-09-24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5842291A (en) 1995-10-26 1998-12-01 Energaire Corporation Thrust producing multiple channel-multiple chamber shoe and bladder
US6219939B1 (en) 1997-04-18 2001-04-24 Mizuno Corporation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EP0890322A1 (en) 1997-07-08 1999-01-13 Dong-Hong Park Shoe sole
US6253466B1 (en) 1997-12-05 2001-07-03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Shoe sloe cushion
US5956869A (en) 1998-03-06 1999-09-28 Energaire Corporation Shoe sole construction with mesh liner for mid-sole cavity
FR2777429B1 (fr) 1998-04-21 2000-05-26 Salomon Sa Chaussure a semelage avec structure deformable
US6519876B1 (en) 1998-05-06 2003-02-18 Kenton Geer Design Associates, Inc.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996257A (en) 1998-05-14 1999-12-07 William H. Kaufman Inc. Puncture-resistant and impact-resistant safety shoe insert
US6354020B1 (en) * 1999-09-16 2002-03-12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107235B2 (en) 2000-03-10 2006-09-12 Lyden Robert M Method of conducting business including making and selling a custom article of footwear
DE10037728C1 (de) 2000-08-02 2002-02-21 Adidas Int Bv Schuh, insbesondere Laufschuh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487796B1 (en) 2001-01-02 2002-12-03 Nike, Inc. Footwear with lateral stabilizing sole
JP3947658B2 (ja) * 2001-06-28 2007-07-25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JP4906153B2 (ja) * 2001-06-28 2012-03-28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US6665958B2 (en) 2001-09-17 2003-12-23 Nike, Inc.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6964120B2 (en) 2001-11-02 2005-11-15 Nike, Inc. Footwear midsole with compressible element in lateral heel area
US6851204B2 (en) 2001-11-15 2005-02-08 Nike, Inc. Footwear sole with a stiffness adjustment mechanism
KR20040089077A (ko) 2002-01-04 2004-10-20 뉴 밸런스 애드레틱 슈우 인코포레이티드 신발밑창 및 신발밑창을 위한 쿠션
US6898870B1 (en) 2002-03-20 2005-05-31 Nike, Inc. Footwear sole having support elements with compressible apertures
US6796056B2 (en) 2002-05-09 2004-09-28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 single sealed chamber
US7426792B2 (en) 2002-05-09 2008-09-23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DE10234913B4 (de) * 2002-07-31 2005-11-10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S7082698B2 (en) 2003-01-08 2006-08-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djustable characteristics
FR2851129B1 (fr) * 2003-02-14 2007-10-05 Mephisto Sa Semelle pour article chaussant comportant un dispositif amortisseur
US6948263B2 (en) * 2003-03-18 2005-09-27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having a multilayered insole
JP2005013718A (ja) * 2003-06-05 2005-01-20 Mizuno Corp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US7707745B2 (en) * 2003-07-16 2010-05-04 Nike, Inc.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US7010867B2 (en) * 2003-07-31 2006-03-14 Wolverine World Wide, Inc. Articulated welt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7096605B1 (en) 2003-10-08 2006-08-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mbedded plate structure
JP3822631B2 (ja) * 2003-10-17 2006-09-2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強化構造を備えた靴底
US7076891B2 (en) 2003-11-12 2006-07-1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086180B2 (en) 2003-12-23 2006-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086179B2 (en) 2003-12-23 2006-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100309B2 (en) 2004-01-16 2006-09-05 Nike, Inc. Track shoe with heel plate and support columns
US7200955B2 (en) *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334351B2 (en) * 2004-06-07 2008-02-26 Energy Management Athletics, Llc Shoe apparatus with improved efficiency
JP4452721B2 (ja) * 2004-09-30 2010-04-21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US8256147B2 (en) 2004-11-22 2012-09-04 Frampton E. Eliis Devices with internal flexibility sipes, including siped chambers for footwear
US7313876B2 (en) 2005-04-12 2008-01-01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outso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513066B2 (en) 2005-04-14 2009-04-07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for footwear and other applications
KR100683242B1 (ko) 2005-06-03 2007-02-15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 밑창
US7421808B2 (en) 2005-06-07 2008-09-09 Converse Inc. Simplified shoe construction with midsole having overmolded insert
US7360324B2 (en) * 2005-08-15 2008-04-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pherical support elements
US7533477B2 (en) 2005-10-03 2009-05-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DE202005016740U1 (de) 2005-10-25 2007-03-08 Shoe Fashion Group Lorenz Ag Schuhwerk mit integrierter Mittelfußrolle
US20070101617A1 (en) * 2005-11-10 2007-05-10 Fila Luxembourg S.A.R.L. Footwear sole assembly having spring mechanism
KR100614503B1 (ko) * 2005-12-13 2006-08-22 김옥태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
US20070163150A1 (en) 2006-01-13 2007-07-19 Union Footwear Technologies Co. Ltd. Insole board for high-heel shoe
CN102125332B (zh) * 2006-03-03 2013-01-16 W.L.戈尔有限公司 复合鞋底、由其制成的鞋及其制造方法
FR2899774B1 (fr) 2006-04-14 2008-08-29 Salomon Sa Systeme d'amortissement pour une chaussure
JP4886774B2 (ja) * 2006-04-21 2012-02-2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強化構造を備えた靴底および緩衝構造を備えた靴底
CA2687650C (en) 2006-05-19 2016-02-16 Frampton E. Ellis Devices with internal flexibility sipes, including siped chambers for footwear
US7877898B2 (en) 2006-07-21 2011-02-01 Nike, Inc. Impact-attenuation system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JP4153002B2 (ja) 2006-08-30 2008-09-17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ソール組立体の中足部構造
JP4900846B2 (ja) * 2006-10-20 2012-03-21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構造
CN201001438Y (zh) 2006-12-21 2008-01-09 林明雄 鞋垫与中底具有对应气室的鞋底结构
US8302233B2 (en) 2007-09-11 2012-11-06 Nike, Inc.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and apparatus
US8266826B2 (en) 2007-10-09 2012-09-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US8978273B2 (en) * 2007-10-19 2015-03-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having fluid-filled support elements
US8978272B2 (en) * 2008-01-11 2015-03-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forefoot plates
KR100849600B1 (ko) 2008-01-18 2008-07-31 (주)알와이엔코리아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에어백미드솔 구조
JP4388580B2 (ja) * 2008-03-28 2009-12-24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インソール構造体
US8051584B2 (en) * 2008-04-01 2011-11-08 E.S. Originals, Inc. Shoe heel assembly and method
US8453355B2 (en) 2008-05-20 2013-06-04 Cleatskins, Llc Cover for cleated shoes
FR2932963B1 (fr) 2008-06-25 2010-08-27 Salomon Sa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US8510970B2 (en) * 2010-03-30 2013-08-20 Howard Baum Shoe sole with energy restoring device
US8087187B2 (en) 2008-11-06 2012-01-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ies
US8943709B2 (en) 2008-11-06 2015-02-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columns having fluid-filled bladders
US9044067B2 (en) 2008-11-14 2015-06-02 Convers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shock-absorbing elements in the sole
US20100307028A1 (en) * 2008-12-16 2010-12-09 Skechers U.S.A. Inc. Ii Shoe
US8099880B2 (en) 2009-01-05 2012-01-24 Under Armour, Inc. Athletic shoe with cushion structures
US8424221B2 (en) * 2009-04-01 2013-04-2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Training footwear
KR100920630B1 (ko) * 2009-04-16 2009-10-08 강형철 충격흡수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된 신발용 밑창
CN201499699U (zh) * 2009-06-05 2010-06-09 董凤立 一种空调鞋底
FR2946229A1 (fr) * 2009-06-08 2010-12-10 Salomon Sas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US8650775B2 (en) * 2009-06-25 2014-02-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perimeter and central elements
KR200454043Y1 (ko) * 2010-05-18 2011-06-14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브리지 구조를 갖는 신발
US8732986B2 (en) * 2010-08-20 2014-05-27 Nike, Inc. Sole structure comprising a fluid filled member with slots
US8881428B2 (en) * 2010-09-02 2014-11-11 Nike, Inc.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ith plural cushioning members
US9144268B2 (en) * 2010-11-02 2015-09-29 Nike, Inc. Strand-wound bladder
US9055784B2 (en) * 2011-01-06 2015-06-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ate and chamber
US10010136B2 (en) * 2011-03-16 2018-07-03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hambers
US8857076B2 (en) * 2011-04-06 2014-10-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daptive fluid system
KR101194251B1 (ko) * 2011-08-25 2012-10-29 서우승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
US9179733B2 (en) * 2011-12-23 2015-11-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US9609913B2 (en) * 2011-12-29 2017-04-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y
KR101329615B1 (ko) * 2012-05-11 2013-11-15 서우승 기능성 신발물품
US10849387B2 (en) 2012-09-20 2020-12-01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10856612B2 (en) * 2012-09-20 2020-12-08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9456658B2 (en) * 2012-09-20 2016-10-04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9375048B2 (en) * 2012-12-28 2016-06-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djustable sole structure
US10645995B2 (en) * 2013-01-11 2020-05-12 Nike, Inc. Method of making and article of footwear formed with gas-filled pockets or chambers
US9241535B2 (en) * 2013-03-14 2016-01-26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incorporating same
US10178891B2 (en) * 2013-03-22 2019-01-15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9622540B2 (en) * 2013-06-11 2017-04-18 K-Swiss, Inc.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CN203492877U (zh) * 2013-10-21 2014-03-26 福建威名达鞋业发展有限公司 一种弹性休闲皮鞋
US10463106B2 (en) * 2014-02-13 2019-11-05 Nike, Inc.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578920B2 (en) * 2014-05-13 2017-02-28 Ariat International, Inc. Energy return, cushioning, and arch support plates, and footwear and footwear soles including the same
US9687044B2 (en) * 2014-07-24 2017-06-27 Nike, Inc.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US10111492B2 (en) * 2014-08-26 2018-10-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dynamic edge cavity midsole
US9968160B2 (en) * 2014-08-29 2018-05-15 Nike, Inc.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bowed spring plate
US10070690B2 (en) * 2014-10-31 2018-09-1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assembly having a perimeter bladder ele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 mold assembly for same
US9629413B2 (en) * 2015-03-23 2017-04-25 Karl Stien Footwear with tapered heel, support plate, and impact point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CN204708121U (zh) * 2015-05-21 2015-10-21 晋江新绮达鞋材有限责任公司 一种高弹透气的轻便运动鞋底
CN107580464B (zh) * 2015-05-26 2021-03-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提供动态变换特性的足部支撑构件
US10070689B2 (en) * 2015-05-28 2018-09-1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damping element
WO2017058419A1 (en) 2015-10-02 2017-04-06 Nike Innovate C.V.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US10842224B2 (en) 2015-10-02 2020-11-24 Nike, Inc. Plate for footwear
JP6294909B2 (ja) * 2016-05-11 2018-03-14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US10010135B2 (en) * 2016-06-30 2018-07-03 Boot Royalty Company, L.P. Comfort system for boots
US11026475B2 (en) * 2016-09-08 2021-06-0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3732A1 (en) 2014-09-16 2016-03-17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241B1 (ko) 2021-01-22
JP3224963U (ja) 2020-02-06
US11000093B2 (en) 2021-05-11
KR102206248B1 (ko) 2021-01-22
KR102206247B1 (ko) 2021-01-22
US20200281313A1 (en) 2020-09-10
US20200281312A1 (en) 2020-09-10
US20200275737A1 (en) 2020-09-03
US11969048B2 (en) 2024-04-30
KR20200091959A (ko) 2020-07-31
EP3576561A1 (en) 2019-12-11
WO2018144756A1 (en) 2018-08-09
CN110381765B (zh) 2021-10-01
KR20200091957A (ko) 2020-07-31
US20200281311A1 (en) 2020-09-10
US11439200B2 (en) 2022-09-13
KR102139657B1 (ko) 2020-07-30
US11019880B2 (en) 2021-06-01
US10856611B2 (en) 2020-12-08
KR20190109508A (ko) 2019-09-25
US20210186153A1 (en) 2021-06-24
KR20200091956A (ko) 2020-07-31
US20180213886A1 (en) 2018-08-02
US11464284B2 (en) 2022-10-11
CN110381765A (zh) 2019-10-25
US20190365034A1 (en) 2019-12-05
CN113786036B (zh) 2024-04-12
CN113786036A (zh) 2021-12-14
US11717051B2 (en) 2023-08-08
US20210085026A1 (en) 2021-03-25
KR20200091958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238B1 (ko) 밑창 구조체를 위한 적층형 완충 장치
JP7118101B2 (ja) ソール構造
US11700914B2 (en) Fluid-filled cha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TW202145923A (zh) 用於鞋類物品的鞋底結構及包含鞋底結構的鞋類物品
US20220095740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zonal cushioning system
TWI831053B (zh)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
US12004589B2 (en)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JP7498237B2 (ja) 履物用品のためのソール構造
CN116234472A (zh) 具有区域缓冲系统的鞋类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