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163B1 -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163B1
KR102206163B1 KR1020180149648A KR20180149648A KR102206163B1 KR 102206163 B1 KR102206163 B1 KR 102206163B1 KR 1020180149648 A KR1020180149648 A KR 1020180149648A KR 20180149648 A KR20180149648 A KR 20180149648A KR 102206163 B1 KR102206163 B1 KR 10220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soae
soy sauce
broth
boi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662A (ko
Inventor
이동건
이상아
Original Assignee
이동건
이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건, 이상아 filed Critical 이동건
Priority to KR102018014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1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 등 영양 가치가 높은 고소애를 2~3일간 배변 시켜 준비하는 전처리 단계 및 세척 후 끓는 물에 데쳐 물기를 제거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소애를 이용하는 조림간장 제조방법은 상기 고소애를 적어도 2일이상 배변 시키는 전처리 단계; 깨끗하게 세척된 상기 고소애를 끓는 물에 단시간 데쳐 물기를 뺀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고소애를 팬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볶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고소애 및 볶은 고소애를 동일 비율로 정수된 물에 넣고 설정된 시간만큼 끓여 고소애 육수를 제조하는 육수제조 단계; 및 상기 우려진 고소애 육수에 간장 및 부재료를 넣고 끊이는 간장졸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mealworm beetle with boiled soy sauce,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 등 영양 가치가 높은 고소애를 2~3일간 배변시켜 준비하는 전처리 단계 및 세척 후 끓는 물에 데쳐 물기를 제거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장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 데 쓰이는 짠맛이 있는 액체 조미료의 일종으로서, 간장의 종류에는 대두, 탈지대두, 맥류 또는 쌀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국한 후,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 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양조간장,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을 함유한 원료를 산으로 가수 분해한 후 중화하여 얻은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산분해 간장, 양조간장 원액과 산분해 간장 원액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가공하거나, 산분해 간장 원액에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 원료를 가하여 발효, 숙성 시킨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혼합 간장,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을 함유한 원료를 효소로 가수 분해한 후 그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효소분해 간장 및 메주를 주원료로 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숙성 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한식 간장 등이 있다.
예로부터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어 오던 전통 재래식 간장에 해당하는 한식 간장은 콩이 주원료가 되는 메주를 발효시켜 얻어지는데, 콩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 아미노산, 피테이츠(Phytates), 사포닌(Saponins) 및 항암 작용을 하는 프로테아제저해제(Protease Inhibitors) 등 인체에 생리학적으로 도움을 주는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장은 규합총서에 '지령'이라 표기되어 있고 서울말로 '지럼'이라 하였는데, 그 어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홍몽자회”의 고어인 '간쟝'과 함께 사용되어 온 말이다. 간장은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한 콩으로 만들어지는 발효식품으로, 불교의 보급과 더불어 육류의 사용이 금지됨으로써 필요에 의해 발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간장은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오래도록 저장이 가능한 식품이다.
고구려 고분인 안악삼호분의 벽화에 우물가의 장독대가 보이고 '삼국사기'에는 시문왕 3년에 왕비를 맞을 때의 폐백품목으로 간장과 된장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장류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사'-식화지에는 현종 9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굶주림과 추위에 떠는 백성들에게 소금과 장을 나눠 주었다는 기록과 문종6년에 개경의 굶주린 백성 3만여 명에게 쌀,조,된장을 내렸다는 기록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이미 장류가 필수기본품으로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조림 간장이란 간장에 청주나 맛술, 설탕, 물 따위를 첨가하여 만든 양념으로, 주로 조림요리에 쓰인다고 정의하고 있다.이에 고소애를 사용하여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 등 맛과 영양이 풍부한 조림간장을 제조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2-0062075 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2013-0133608 호
본 발명은 요리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맛과 영양이 풍부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과 무기질과 식이 섬유가 풍부한 고소애를 육수로 사용하여 바쁜 현대인들이 반찬 및 조리에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다만 한국요리의 양념장은 바쁜 현대인의 생활에 간장을 이용한 음식을 조리할 때 기본 간장에 파, 마늘,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등을 일일이 넣어 요리하기에 너무나 번거롭고 불편하며 일정한 맛을 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다. 있으며,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누가 요리를 하든 항상 일정한 맛을 낼 수 있으며 초보자도 쉽게 맛을 낼 수 있는 조림간장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고소애를 적어도 2일이상 배변 시키는 전처리 단계; 깨끗하게 세척된 상기 고소애를 끓는 물에 단시간 데쳐 물기를 뺀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고소애를 팬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볶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고소애 및 볶은 고소애를 동일 비율로 정수된 물에 넣고 설정된 시간만큼 끓여 고소애 육수를 제조하는 육수제조 단계; 및 상기 우려진 고소애 육수에 간장 및 부재료를 넣고 끊이는 간장졸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간장졸임 단계는, 상기 우려진 고소애 육수와 정수된 물은 3:10의 비율로 하되, 상기 부재료는, 다시마, 표고 버섯, 고추씨, 양파, 대파, 마늘, 당근, 청주 및 통후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은 고소애의 육수를 사용하여 풍미와 영양을 함유한 조림간장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은 무기질 중 인과 철이 풍부하고, 비타민
Figure 112018118921825-pat00001
Figure 112018118921825-pat00002
의 함량도 많은 고소애를 사용하여 단백질이 풍부한 조림간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은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의 비중이 75%인 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고소애를 사용하여 영양이 풍부하고 다양한 용도로이용 가능한 조림간장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을 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을 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소애(Tenebrio molitor)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을 제공 한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Tenebrio molitor)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상기 "고소애(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곤충으로 몸길이는 약 15mm 정도이며, 어두운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고소애의 유충은 밀웜(mealworm)이라 하여 먹이 곤충이나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 하는데, 밀웜이 애완용으로 이용 되는 이유는 변태 기간이 비교적 짧아 곤충을 쉽게 체험 할 수 있고 곡식을 먹이로 하는 매우 청결한 곤충이기 때문이다 .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20 번 탈피 한다. 또한, 번데기 가 되고 2~3 주가 지나면 성충으로 부화 하게 되며, 처음으로 부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을 띄나 시간이 지날 수록 점차 검은 색상을 띄게 된다. 성충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 속에 숨어 지내다가 밤에 활동을 하며, 겨울에는 주로 인가 근처의 곡식 부대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을 하며, 봄에 번데기와 성충으로 변태 하게 된다. 이러한 고소애는 곤충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고 지방 함량이 낮아 단백질 보급원으로 매우 효과적이라는 학계 보고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쁜 현대인 들이 간편하게 조리 할 수 있는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은 고소애를 조림간장의 전체 중량 대비 10 ~ 20% 포함하도록 제조 한다.
이는 상기 고소애 함량이 전체 조림간장의 중량대비 10 % 미만일 경우 고기 대체 단백질원으로 이용 하기에 맛과 영양이 미미하며, 전체 중량대비 20 %를 초과 할 경우에는 고소애 자체 특유의 향에 의해 조림간장의 맛을 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에서는 고소애의 특유의 향과 간장의 향이 어우러져 풍미를 더할 수 있도록 채소, 표고, 다시마, 고추씨를 넣어 조림간장을 제조 한다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의 제조 방법은 첫번째로 고소애를 배변 시키는 고소애 전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소애 전처리 단계는, 먼저 고소애를 2-3일간 배변 시키는 단계로, 고소애 특유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 배변이 이루어 지도록 준비된 케이지에 고소애를 2-3 일간 두어 배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의 제조 방법은 두번째로 고소애를 건조 시켜 볶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소애를 건조 시켜 볶는 단계는 상기 고소애를 생물로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릿한 맛과 향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전처리된 고소애를 두번에 걸쳐 깨끗하게 세척한 뒤, 100 ℃의 끓는 물에 데친 후, 상기 고소애를 물기를 빼고 2일간 건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건조된 고소애가 보다 고소한 맛을 낼 수 있도록 건조된 고소애를 팬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볶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마른 팬에 약불로 5분간 볶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의 제조 방법은 고소애를 이용한 육수제조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소애를 이용한 육수제조 단계는,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치 고소애와 및 전처리 단계, 건조 단계 및 볶는 단계를 통해 준비된 고소애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력솥에 물 1리터에 전처리 단계만을 거친 고소애 200g과 전처리 단계와 건조 및 볶는 단계를 거친 고소애 200g을 혼합하여 끓는 물에서 중불을 사용하여 10분간 끓여준다.
다음으로, 육수를 우리고 난 고소애는 체에 걸러 내고 순수하게 끊인 육수만을 준비 한다. 이는 고소애를 걸러내지 않고 간장과 부재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고소애에 간장과 양념이 베어 조림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 고소애와 상기 육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의 제조 방법은 고소애 육수에 간장과 부재료를 혼합하여 끓이는 간장졸임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장졸임 단계는 상기 우려진 고소애 육수와 정수된 물은 3:10의 비율로 하되, 상기 부재료는, 다시마, 표고 버섯, 고추씨, 양파, 대파, 마늘, 당근, 청주 및 통후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소애를 넣어 우려낸 상기 육수 300ml에 간장 1 리터, 다시마 1 조각(ex, 사방 10cm크기), 표고 버섯3 개, 고추씨 20g, 대파 40g, 마늘 20g, 생강 10g, 양파 100g, 당근 25g, 설탕 500g 및 정종 100ml를 넣고 혼합하여 끊이는 단계로, 처음은 센불로 끓이기 시작하여 점차 불의세기를 조절하여 처음 양의 2/3가 되도록 약한불의 상태로 상기 간장 및 상기 육수를 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졸여진 고소애 육수와 혼합된 간장은 체에 걸려 부재료들의 건더기를 걸러내고 액체만을 냉장 보관함이 그 맛과 상태를 유지함에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

  1. 고소애를 이용하는 조림간장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소애를 적어도 2일이상 배변 시키는 전처리 단계;
    깨끗하게 세척된 상기 고소애를 끓는 물에 단시간 데쳐 물기를 뺀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고소애를 팬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볶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고소애 및 볶은 고소애를 동일 비율로 정수된 물에 넣고 설정된 시간만큼 끓여 고소애 육수를 제조하는 육수제조 단계; 및
    제조된 상기 고소애 육수에 간장 및 부재료를 넣고 끓이는 간장졸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육수제조 단계는,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고소애와, 상기 전처리 단계, 상기 건조 단계 및 상기 볶는 단계를 통해 준비된 고소애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육수를 우리고 난 고소애를 체에 걸러 내어 고소애와 육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료는, 다시마, 표고 버섯, 고추씨, 양파, 대파, 마늘, 당근, 청주 및 통후추을 포함하며,
    고소애 함량이 조림간장의 전체 중량 대비 10 ~ 20%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 방법.



  2. 삭제
KR1020180149648A 2018-11-28 2018-11-28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KR10220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48A KR102206163B1 (ko) 2018-11-28 2018-11-28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48A KR102206163B1 (ko) 2018-11-28 2018-11-28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62A KR20200063662A (ko) 2020-06-05
KR102206163B1 true KR102206163B1 (ko) 2021-01-22

Family

ID=7108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48A KR102206163B1 (ko) 2018-11-28 2018-11-28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1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350B1 (ko) * 2020-09-21 2023-03-13 주식회사 서미바이오 꽃무지 성충을 이용한 조미용 소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067B1 (ko) 2015-11-10 2017-05-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곤충고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742B1 (ko) 2010-12-06 2012-10-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의 콘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시스템, 메모리의 수명 측정 방법
KR20130133608A (ko)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레보 로봇용 배터리관리시스템
KR20180006696A (ko) * 2016-07-11 2018-01-19 황근순 가공된 유충 분말이 담긴 다시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067B1 (ko) 2015-11-10 2017-05-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곤충고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게재, "곤충요리(고소애 마파두부), 식용곤충 요리". (공지일: 2018.08.13.), [2020.06.03. 검색],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sweetyfarmer/2213383435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662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5694B (zh) 一种风味野生食用菌
KR101858727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강정 제조방법
KR102084331B1 (ko) 홍국쌀이 포함된 고추장 소스 제조방법
KR102144825B1 (ko) 고소애를 함유하는 떡갈비의 제조 방법
CN103039928B (zh) 一种香辣黑咸菜及其制作方法
KR101959392B1 (ko) 피스형 다시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6163B1 (ko) 고소애를 이용한 조림간장 제조방법
KR102446399B1 (ko) 양념 꽃게장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꽃게장
KR101116011B1 (ko) 고사리의 가공방법
CN107373585A (zh) 一种食用菌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2620691B1 (ko) 돈까스소스 제조방법
CN101069566A (zh) 健康鲍鱼、鱼翅、燕窝烹制技术
JPH0817672B2 (ja) にがうり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15528B1 (ko) 소 양지 육수를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Madison Vegetable Literacy: Cooking and Gardening with Twelve Families from the Edible Plant Kingdom, with over 300 Deliciously Simple Recipes [A Cookbook]
KR101301813B1 (ko) 초절임 샐러드 제조방법
KR20210010132A (ko) 콩물에 침지된 양념 황태포의 제조 방법
Kavasch Native harvests: American Indian wild foods and recipes
KR20200030995A (ko) 백향과를 이용한 고기소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1815B1 (ko) 아귀강정의 제조방법
KR102655044B1 (ko) 육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5515B1 (ko) 열무김치
KR101389279B1 (ko) 송이버섯과 굴비가 함유된 고추장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77770A (zh) 一种特制火锅菜品搭配方法
KR101213129B1 (ko) 뽕잎 및 울금추출물을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