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734B1 -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734B1
KR102205734B1 KR1020200111361A KR20200111361A KR102205734B1 KR 102205734 B1 KR102205734 B1 KR 102205734B1 KR 1020200111361 A KR1020200111361 A KR 1020200111361A KR 20200111361 A KR20200111361 A KR 20200111361A KR 102205734 B1 KR102205734 B1 KR 10220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rfactant
yarn
microfiber
antibacterial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우
Original Assignee
한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우 filed Critical 한종우
Priority to KR102020011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형의 나노플라스틱을 극세사 표면에 부착하여 나노플라스틱의 뾰족한 부분이 균의 세포벽을 관통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모세관에 계면활성제를 충진함으로써 사용시 배출되는 계면활성제가 오염물질을 미세입자로 분해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섬유와 용출성분을 포함하는 해도사로 이루어지는 표면사와 복합사로 이루어지는 이면사를 연결시켜 직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을 기모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모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여 표면사내 용출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용출성분이 추출된 표면사의 섬유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함침된 직물을 건조하여 계면활성제를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처리된 직물을 두드려 이면사 표면에 응고된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된 이면사 표면에 나노플라스틱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CLOTH CONTAINING MICROFIBER HAVING ANTI-BACTERIAL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방사형의 나노플라스틱을 극세사 표면에 부착하여 나노플라스틱의 뾰족한 부분이 균의 세포벽을 관통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모세관에 계면활성제를 충진함으로써 사용시 배출되는 계면활성제가 오염물질을 미세입자로 분해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용 고밀도 극세사 닦음포는 최근 한국에서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이동전화기, 디지털 영상기기 등 초정밀 전자 제품 제조 공정용 닦음포로 사용된다. 전자 산업용 와이퍼는 미세먼지나 이온 등의 흡착이 없는 무결점 세정포 와이퍼만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고기능성 와이퍼의 품질 특성으로는 우수한 닦음성, 사용중 닦음포에서 발생되는 2차 오염 물질 등 이물질 발생의 최소화 또한 중요한 요구 물성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원사의 종류, 가공제 종류와 농도 및 가공온도 변화등에 따른 편물의 물성 변화와 닦음성 평가 연구를 실행하였다.
기존의 고수축 가공에 의한 고밀도 고기능성 와이퍼 시장은 일본의 KB 세이렌의 전신인 가네보가 원천 제조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경쟁업체인 구라레이사 또한 유사 기술을 보유하여, 두 업체가 전 세계 시장을 독점하고 있었다. 초기에 사용된 와이퍼는 흡수성과 닦음성이 재래식 면 와이퍼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나, 이들은 편성물 고유의 늘어짐 현상을 가짐으로써 이동하는 설비를 닦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그래서 늘어짐 현상이 덜한 닦음포 개발이 필요하다. 원사개발에서부터 공정개발에 이르기까지 수직적 소재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형태안정성을 위해 수축률을 높이는 가공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현재까지 가장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고부가 가치 와이퍼로 인정받고 있는 사비나를 태동시켰다. 이후 도레이, 아사히카세이, 구라레이, 데이진 등 경쟁합섬업체들도 유사한 제품 개발을 하였으나 현재까지는 가네보사 제품에 비하여 낮은 품질의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솔리브는 오렌지 타입의 극세사가 아닌 편평분할사를 사용함으로써 외관이나 질감의 차별화를 꾀하였으나, 고청정성을 요구하는 클린룸용 와이퍼로서는 다소 기능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일본은 일찍부터 고수축 가공 기술을 적용한 고밀도 고기능 와이퍼 제품을 개척하였다. 일본을 제외한 대만, 중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에서도 고청정 와이퍼 개발은 소재에서부터 가공, 완제품 가공기술 등 전반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폭넓게 상품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는 원사인 편성물로 사용하고 있지만 흡수성과 제거효율 면이 좋지 않아서 실험 편성물인 8분할 극세사로 연구를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8분할 극세사 닦음포의 흡수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친수화제인 벤질 알콜을 이용하여 섬유에 친수기를 부여함으로써 PET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소수성을 개선하였고, 그 결과 흡수성과 유연성이 증가하였다. 모든 공정은 일반 친수화 가공공정에 준하여 실시한 후 벤질 알콜 전처리를 한 8분할 극세사 닦음포의 흡수성, 흡유성, 닦음성, 절단 부위의 청결성, 닦음포 내의 미세오염물 함량, 고청정 기능 와이퍼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용매에 의한 2차적인 오염루질 제어성능 등을 측정한 후 기존의 원사 직물과 비교하여 닦음포로서의 향상된 고기능성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74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사형의 나노플라스틱을 극세사 표면에 부착하여 나노플라스틱의 뾰족한 부분이 균의 세포벽을 관통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세관에 계면활성제를 충진함으로써 사용시 배출되는 계면활성제가 오염물질을 미세입자로 분해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섬유와 용출성분을 포함하는 해도사로 이루어지는 표면사와 복합사로 이루어지는 이면사를 연결시켜 직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을 기모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모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여 표면사내 용출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용출성분이 추출된 표면사의 섬유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함침된 직물을 건조하여 계면활성제를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처리된 직물을 두드려 이면사 표면에 응고된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된 이면사 표면에 나노플라스틱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는, 직선형태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일단에 일정각도간격을 두고 직선형태의 연결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 각각의 일단에 일정각도간격을 두고 직선형태의 탐침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는, 플라스틱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표면사의 빈공간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는, 소듐벤조에이트 0.3~0.7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3~0.6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2~0.4 중량부, 에칠헥실글리세린 0.1~0.2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20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는, 원단의 수분함수율이 7~15% 가 되도록 탈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속도 60~80 m/min 와 건조온도 90℃→105℃→115℃→110℃→90℃사이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이면사; 상기 이면사 표면에 부착되는 나노플라스틱; 상기 이면사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직조되며 섬유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표면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나노플라스틱은, 일단에 형성되며 일단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탐침부; 복수개 각각의 일단이 상기 탐침부와 결합되며 복수개 각각의 타단들이 서로간에 연결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들이 연결되는 타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고정역할을 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벤조에이트 0.3~0.7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3~0.6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2~0.4 중량부, 에칠헥실글리세린 0.1~0.2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20 0.1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사형의 나노플라스틱을 극세사 표면에 부착하여 나노플라스틱의 뾰족한 부분이 균의 세포벽을 관통하여 사멸시킴으로써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모세관에 계면활성제를 충진함으로써 사용시 배출되는 계면활성제가 오염물질을 미세입자로 분해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플라스틱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의 세부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여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하여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례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플라스틱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섬유와 용출성분을 포함하는 해도사로 이루어지는 표면사와 복합사로 이루어지는 이면사를 연결시켜 직조하는 단계(S10); 상기 직물을 기모처리하는 단계(S20); 상기 기모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여 표면사내 용출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30); 상기 용출성분이 추출된 표면사의 섬유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S40); 상기 계면활성제가 함침된 직물을 건조하여 계면활성제를 응고시키는 단계(S50); 상기 응고처리된 직물을 두드려 이면사 표면에 응고된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S60);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S70);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된 이면사 표면에 나노플라스틱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S80);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S90);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S100); 상기 건조된 직물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사의 섬유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S40)는, 소듐벤조에이트 0.3~0.7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3~0.6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2~0.4 중량부, 에칠헥실글리세린 0.1~0.2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20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상기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S70)는, 직선형태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S71);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S72);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일단에 일정각도간격을 두고 직선형태의 연결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S73); 상기 연결부 각각의 일단에 일정각도간격을 두고 직선형태의 탐침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S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S70)는, 플라스틱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나노플라스틱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S80)는, 직물 1㎡ 당 상기 나노플라스틱 100~300g 을 부어서 회전바를 이용하여 표면을 고르게 쓸어주며 나노플라스틱이 직물로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S90)를 통하여 나노플라스틱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S80)에서 극세사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잔류하는 나노플라스틱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나노플라스틱은 건조과정을 통해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S90)는, 원단의 수분함수율이 7~15% 이 되도록 탈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단의 수분함수율이 7% 미만일 경우, 나노플라스틱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수분이 부족하여 서로 엉키거나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원단의 수분함수율이 15% 를 초과하는 경우, 함수율을 초과하여 원단이 건조벨트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생산라인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S100)는, 건조속도 60~80 m/min 를 유지하는 것이 잔류수분의 제거 및 나노플라스틱과 계면활성제 안정성의 측면에서 좋다. 건조온도는 90℃→105℃→115℃→110℃→90℃ 구간으로 나누어진 사이클로 진행한다. 특히, 건조온도 사이클의 첫번째 구간이 90℃를 초과할 경우 건조과정에서 원단의 건조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건조가 집중되는 부분에 부착된 나노플라스틱의 형태가 손상되거나 모세관에 충진된 계면활성제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온도에 따른 원단의 주름 및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하는 단계(S100)에서 배출된 원단을 별도의 익스펜더 롤러(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극세사 포의 구성에 있어, 이면사(1); 상기 이면사 표면에 부착되는 나노플라스틱(2); 상기 이면사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직조되며 섬유(3a)와 계면활성제(3b)를 포함하는 표면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나노플라스틱(2)은, 일단에 형성되며 일단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탐침부(2000); 복수개 각각의 일단이 상기 탐침부와 결합되며 복수개 각각의 타단들이 서로간에 연결되는 연결부(2001);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들이 연결되는 타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고정역할을 할 수 있는 고정부(2002a)가 형성되는 지지부(20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002)에 있어, 고정부(2002a)는 화살촉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나노플라스틱(2)이 이면사(1) 표면에 삽입된 후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3b)는, 소듐벤조에이트 0.3~0.7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3~0.6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2~0.4 중량부, 에칠헥실글리세린 0.1~0.2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20 0.1 중량부를 포함한다.
(실험예 1)
상기 나노플라스틱을 부착한 극세사 포의 항균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극세사 포(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를 준비하여 균 검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균 검출 시험은 무균 작업대에서 수행하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용 건조필름 배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극세사 포 1g을 1~3㎜ 길이로 잘라 멸균수 9mL을 넣고 균질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혼합한 10배 희석용액을 만든다. 멸균된 시험관에 시료 희석용액을 옮긴 후 황색포도상구균을 3.0×102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볼텍스 믹서(Voltex Mixer)를 사용하여 혼합한다. 완성된 시료용액의 1mL를 건조필름 배지에 접종한 후 인큐베이터로 옮겨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48시간 뒤 건조필름 배지에 형성되는 집락수를 판독하여 균수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나노
플라스틱
탐침부(갯수) 3 3 3 1 1 5
연결부(갯수) 3 5 3 3 5 3
고정부 유무 ×
균 농도
(CFU/mL)
0 0 4.2×102 0.9×101 1.2×101 1.7×101
균수의
변화율
-100% -100% 140% -97% -96 -94%
상기 결과와 같이, 지지부에 고정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노플라스틱을 부착한 비교예 1의 경우 접종한 황색포도상구균의 농도에 비교하여 균이 140%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나노플라스틱이 표면사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세척단계에서 떨어져나와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표면사에 나노플라스틱이 잘 고정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의 경우 균이 제거된 것을 확인했다.
나노플라스틱의 탐침부와 연결부의 갯수를 증감하여 비교해본 결과, 탐침부가 가장 많은 비교예 4의 경우, 탐침부의 밀도가 높아 균을 관통할때 주변의 탐침부가 다른 각도로 함께 접촉하여 균을 밀어내 항균효과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연결부가 가장 많은 비교예 3의 경우, 연결부 사이 각도가 크기 때문에 균과 접촉하는 탐침부의 밀도가 낮아져 접촉률이 저하됨에 따라 항균효과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플라스틱이 균과의 접촉률을 증대하여 탐침부로 균을 관통하여 사멸을 유도하고 항균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상기 계면활성제를 모세관에 충진한 극세사 포가 오염물질을 잘 제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극세사 포(실시예 1, 비교예 5, 시중제품 1, 시중제품 2)를 준비하여 오염물 제거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아크릴 판에 10 ㎝×10 ㎝ 면적으로 수성 물감과 유성 물감을 각각 5 g씩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상기 물감들을 건조하여 오염물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극세사 포를 20 ㎝×20 ㎝ 크기로 동일하게 절단하고 물 80ml에 적셔서 오염물을 2회 닦았다. 오염물을 제거한 뒤 아크릴 판에 남아있는 오염물을 무게를 측정하여 오염물 제거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5 시중제품1 시중제품2
닦은 후
무게
(g)
수성 물감 0 1.1 1.5 1.2
유성 물감 0.4 1.8 2.1 2.3
오염물 제거율
수성 물감 100% 78% 70% 76%
유성 물감 92% 64% 58% 54%
상기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수성 물감 및 유성 물감 모두 가장 깨끗하게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극세사 포는 수성 및 유성 오염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1: 이면사
2: 나노플라스틱
2000: 탐침부
2001: 연결부
2002: 지지부
2002a: 고정부
3: 표면사
3a: 섬유
3b: 계면활성제

Claims (9)

  1. 섬유와 용출성분을 포함하는 해도사로 이루어지는 표면사와 복합사로 이루어지는 이면사를 연결시켜 직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을 기모처리하는 단계;
    상기 기모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여 표면사내 용출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용출성분이 추출된 표면사의 섬유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함침된 직물을 건조하여 계면활성제를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처리된 직물을 두드려 이면사 표면에 응고된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단계;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계면활성제가 제거된 이면사 표면에 나노플라스틱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직물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는,
    직선형태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일단에 일정각도간격을 두고 직선형태의 연결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 각각의 일단에 일정각도간격을 두고 직선형태의 탐침부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나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는,
    플라스틱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사의 빈공간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함침하는 단계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2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포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플라스틱이 부착된 직물을 세척하는 단계는,
    원단의 수분함수율이 7~15% 가 되도록 탈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속도 60~80 m/min 와 건조온도 90℃→105℃→115℃→110℃→90℃사이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제조방법.
  7. 이면사;
    상기 이면사 표면에 부착되는 나노플라스틱;
    상기 이면사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직조되며 섬유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표면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플라스틱은,
    일단에 형성되며 일단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탐침부;
    복수개 각각의 일단이 상기 탐침부와 결합되며 복수개 각각의 타단들이 서로간에 연결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들이 연결되는 타단에서 연장되어 결합되며 타단에 고정역할을 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20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KR1020200111361A 2020-09-02 2020-09-02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61A KR102205734B1 (ko) 2020-09-02 2020-09-02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61A KR102205734B1 (ko) 2020-09-02 2020-09-02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734B1 true KR102205734B1 (ko) 2021-01-20

Family

ID=7430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61A KR102205734B1 (ko) 2020-09-02 2020-09-02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7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666A (ja) * 2004-03-23 2005-10-06 Toray Ind Inc 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用布帛
KR20060111714A (ko) * 2004-01-26 2006-10-2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콘택트렌즈 세정용 시트
KR20070024058A (ko) * 2005-08-26 2007-03-02 인성파우더 테크(주) 탄소나노볼 입자를 함유하는 합성섬유
JP2009249516A (ja) * 2008-04-08 2009-10-29 Ube Ind Ltd 抗菌性を有する複合化ポリアミド多孔質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33865A (ja) * 2009-03-31 2010-10-21 Teijin Fibers Ltd 洗浄用具
KR20150117429A (ko) 2014-04-10 2015-10-20 주종우 청소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714A (ko) * 2004-01-26 2006-10-2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콘택트렌즈 세정용 시트
JP2005274666A (ja) * 2004-03-23 2005-10-06 Toray Ind Inc 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用布帛
KR20070024058A (ko) * 2005-08-26 2007-03-02 인성파우더 테크(주) 탄소나노볼 입자를 함유하는 합성섬유
JP2009249516A (ja) * 2008-04-08 2009-10-29 Ube Ind Ltd 抗菌性を有する複合化ポリアミド多孔質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33865A (ja) * 2009-03-31 2010-10-21 Teijin Fibers Ltd 洗浄用具
KR20150117429A (ko) 2014-04-10 2015-10-20 주종우 청소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0152B2 (ja) 内視鏡レンズ用清拭デバイス及びこの清拭デバイスを備えた内視鏡
DE60130210T2 (de) Verbesserte visuelle eigenschaften zum waschverfahren
KR100309307B1 (ko) 물을필요로하지않는핸드세정제를혼입시킨연마핸드세정물품
ATE133704T1 (de) Trockenes putztuch
KR102205734B1 (ko) 항균효과를 가지는 극세사 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6538567B2 (ja) 曇り防止作用及び/又は清浄作用を有する乾拭き布
KR20180006628A (ko) 수세미
DE102014213315A1 (de) Polyalkoxylierte Polyamine in neuartigen Waschverfahren
CN109862819A (zh) 清扫用湿式片材和清扫用湿式片材的制造方法
JP3882381B2 (ja) ワイピングクロ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67778A (ja) 物品表面から水を除去するのに適するフルオロ炭化水素溶剤に基づく組成物
CN204998079U (zh) 复合式无尘布
JP2017181977A (ja) メガネ洗浄剤組成物
JP5019555B2 (ja) 新規洗浄剤
ATE246723T1 (de) Teppichreiniger auf cellulosebasi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8158061A (ja) 眼鏡用洗浄剤及び眼鏡用洗浄シート
JP2006257162A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用前処理剤及びドライクリーニング前処理方法
JPS60159721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クリ−ナ−
JPH01314546A (ja) 油性水性混合汚れ用の無塵性ワイピングクロス
KR101984468B1 (ko) 친환경 세척제
KR102626797B1 (ko) 중고 이불을 이용한 항균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갖는 반려동물 용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려동물 용품
EP1136031A1 (en) Cleaning wipers and cleaning material
CN212073245U (zh) 一种衣物清洁防水复合层
JPS58141132A (ja) 拭浄材
CN213950222U (zh) 一种诊所用无菌预浸润擦拭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