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775B1 -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 Google Patents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775B1
KR102204775B1 KR1020180162451A KR20180162451A KR102204775B1 KR 102204775 B1 KR102204775 B1 KR 102204775B1 KR 1020180162451 A KR1020180162451 A KR 1020180162451A KR 20180162451 A KR20180162451 A KR 20180162451A KR 102204775 B1 KR102204775 B1 KR 10220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lackberry
hongsi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831A (ko
Inventor
이승제
정은선
김희정
박주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8016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1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에 관한 것으로, 블랙베리 착즙액 55 내지 65 중량부, 홍시 착즙액 35 내지 45 중량부, 비타민 C 0.05 내지 0.15 중량부, 증점제 0.3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Blackberry drinks made using ripe persimmon}
본 발명은 블랙베리음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랙베리의 단맛을 보완하기 위해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에 관한 것이다.
장미과의 나무 딸기류에 속하는 과실인 블랙베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다른 베리류와 대비하여 월등히 높은 황산화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베리 중의 왕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블랙베리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매우 풍부하여 눈의 피로를 풀어주면서 시력을 보호하는 눈 건강에 좋으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매우 풍부하여 자궁암, 유방암, 갱년기 등의 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여성질환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저칼로리 식품이며,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여 체중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외에도 블랙베리는, 안토시아닌에 의한 면역력 강화, 폴리페놀의 일종인 에락산으로 인한 활성산소 억제 효능, 혈중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혈행을 개선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며, 변비와 빈혈에 좋은 효과가 있어, 건강을 챙기는 이들에게 슈퍼푸드로서 많은 관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블랙베리는 특유의 신맛이 있기 때문에 블랙베리 자체로서 먹는 이들이 적고, 주로 설탕에 절여 발효액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그러나, 설탕의 과다 섭취는 알려진 바와 같이 혈당을 급격히 올려 다양한 부작용을 발생시키며, 블랙베리의 특유의 신맛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아닌 신맛을 없애기 때문에 건강을 위한 블랙베리음료로 만들고자 할 때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이에 따라, 블랙베리의 특유의 신맛과 조화를 이루면서 단맛을 보완할 수 있는 재료를 첨가한 블랙베리음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생감을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탈삽(脫澁)하여, 말랑말랑하게 무르익은 상태로 만든 감인 홍시는 그 맛이 단데, 인공적인 단맛이 아닌 과실로서의 단맛을 냄으로써 다른 맛과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특히 적절히 섭취하면 건강에도 해롭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홍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실로서, 쉽게 구할 수 있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흉년에도 안정적인 공급과 수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진 홍시를 이용하여 블랙베리음료의 필요성을 채우도록 보완한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블랙베리 착즙액 55 내지 65 중량부, 홍시 착즙액 35 내지 45 중량부, 비타민 C 0.05 내지 0.15 중량부, 증점제 0.3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홍시 착즙액은 냉동보관 된 팔봉시를 38℃ 내지 42℃의 인큐베이터에서 23시간 내지 25시간 해동하여 만들어진 홍시로 착즙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시 착즙액은 냉동보관 된 팔봉시를 1% 농도의 소금물에 침지하여 11시간 내지 13시간 해동하여 만들어진 홍시로 착즙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펙틴, 한천, 젤라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메이플 시럽과 달맞이꽃 추출액을 혼합한 소염 기능성 혼합액을 3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사포딜라액을 3 내지 5 중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블랙베리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단맛을 홍시로 적절히 보완함으로써, 효능적인 측면과 기호성적인 측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블랙베리와 홍시의 약점을 보완하면서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들이 첨가되어 건강적인 측면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재배 농가가 많아 매년 수요가 남는 감을 이용함으로써 낭비를 줄이고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된 홍시의 탈삽 장소 및 탈삽 시간의 차이에 따른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 실시된 홍시의 탈삽 방법 및 탈삽 시간의 차이에 따른 결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블랙베리 착즙액 55 내지 65 중량부, 홍시 착즙액 35 내지 45 중량부, 비타민 C 0.05 내지 0.15 중량부, 증점제 0.3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베리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딸기속에 속하는 식물의 과실로서, 풍부한 안토시아닌성분을 함유하여 시력보호, 노화예방, 피부미용, 항암효과, 면역력증진에 효능이 있으며 단맛이 있으나, 단맛과 함께 특유의 신맛을 내기 때문에 블랙베리만을 갈아서 먹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기호도가 낮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블랙베리 착즙액에 홍시 착즙액을 첨가함으로써 블랙베리의 신맛을 감쇄하면서 단맛을 보완할 수 있다.
홍시는 떫은맛이 나는 생감을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탈삽(脫澁)하여, 말랑말랑하게 무르익은 상태로 만든 감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팔봉시를 탈삽하여 홍시로 만드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감이 이용될 수도 있다.
홍시는 냉동보관 된 팔봉시를 38℃ 내지 42℃의 인큐베이터에서 23시간 내지 25시간 해동하여 만들어진 상태로 착즙되거나, 냉동보관 된 팔봉시를 1% 농도의 소금물에 침지하여 11시간 내지 13시간 해동하여 만들어진 상태로 착즙되어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상기의 두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팔봉시를 삽탈하는 과정으로 상기의 방법에 의하면 당도가 높은 홍시로 숙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홍시의 착즙은 착즙기를 이용한 착즙 방법과 추출포에 직접 압착하여 착즙하는 방법 모두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추출포에 직접 압착하여 착즙할 수 있다. 이는, 착즙기를 이용할 시 껍질, 꼭지, 씨와 속 부분 등의 비가식부를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비타민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베리음료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비타민 C가 블랙베리음료 전체 중량부 대비 0.05중랑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비타민 C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며, 0.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비타민 C의 신맛이 블랙베리음료의 맛을 저하시킬 수가 있다.
증점제는 블랙베리음료의 층분리를 방지하고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증점제는 한천, 펙틴, 젤라틴 중 하나가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펙틴이 첨가될 수 있다. 이는, 펙틴이 카복시기로서 중성당에 의한 겔 형성 저하가 없기 때문으로, 펙틴은 중성당이 많이 함유된 홍시에 혼합되어도 블랙베리음료의 층분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증점제는 블랙베리음료 전체 중량부 대비 0.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층분리 방지 및 물성 부여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0.7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점성이 너무 높아질 수 있다. 증점제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블랙베리의 단맛은 강화하며, 신맛은 낮추어 블랙베리의 효능을 얻고자 섭취하고 싶지만 그 특유의 신맛으로 인하여 섭취를 꺼리는 소비자에게 기호성 있는 식품으로 다가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메이플 시럽과 달맞이꽃 추출액을 혼합한 소염 기능성 혼합액을 3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달맞이꽃은 해열, 소염 등의 염증 억제 기능이 있어 블랙베리음료의 특성에 염증 억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달맞이꽃은 열수추출되어 추출액 형태로 블랙베리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달맞이꽃은 쓴맛이 있어 달맞이꽃 추출액이 첨가될 경우 블랙베리음료의 쓴맛이 강해질 수 있으므로, 쓴맛을 메이플 시럽을 통해 중화하는 것이다.
메이플 시럽은 단맛이 강해 달맞이꽃의 쓴맛을 중화하기도 하지만, 지방 축적 억제 효능이 있어 홍시와 블랙베리를 통한 당 섭취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지방 축적을 보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염 기능성 혼합액이 블랙베리음료 전체 중량부 대비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달맞이꽃에 의해 부여되는 해열, 소염 기능이 미미할 수 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 첨가되어 오히려 신체에 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는, 사포딜라액을 3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포딜라(Sapodilla)는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 교목으로서, 단맛이 강하며, 식이섬유가 100g 당 5.3g로 매우 풍부한 과일이다. 이러한 식이섬유로 인해 변비 완화 및 암을 유발하는 독소로부터 대장 점막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특히 홍시의 과다 섭취시 발생되는 타닌으로 인한 변비 발생과, 블랙베리의 과다 섭취로 인한 설사, 복통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사포딜라는, 비타민 C가 100g당 14.7mg 함유되어 있어 비타민 C의 첨가로 인한 면역력 증진 등의 기능성 부여를 보조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사포딜라는 비타민 A, 엽산, 폴리페놀,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포딜라는 물과 혼합하여 사포딜라액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포딜라액은 본 발명의 블랙베리음료에 첨가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사포딜라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사포딜라액은 블랙베리음료 전체 중량부 대비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그 첨가 정도가 미미하여 사포딜라 효능의 발휘를 보기 어렵고, 5 중량부를 첨가할 시 과다 첨가되어 신체에 해롭거나 블랙음료베리의 기호성을 낮출 수가 있다.
이하,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를 제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제시되는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냉동 감의 최적의 탈삽 조건 도출
본 실험에서는 냉동 감이 떫은맛을 제거하기 위해 홍시로의 탈삽 과정을 거칠 때,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고자 도 1 및 도 2와 같이 탈삽 장소와, 탈삽 방법 및 탈삽 시간에 변화를 주어 냉동 감의 탈삽 과정을 진행 후, 그 당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감은 팔봉시를 사용하였으며, 그 조건과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탈삽 장소 및 탈삽 시간에 따른 홍시 당도
장소 방법 시간 당도
인큐베이터
(40℃)
지퍼백 보관 15h 16.4
24h 16.5
온탕
(40℃)
15h 16.1
24h 16.4
표 1을 참조하면, 40℃조건의 인큐베이터 내에서 24시간 탈삽 과정을 거쳤을 때, 당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삽 방법 및 탈삽 시간에 따른 홍시 당도
장소 방법 시간 당도
온탕
(40℃)
증류수에 침지 9h 13.1
12h 14.4
1% 소금물에 침지 9h 14.4
12h 15.1
표 2를 참조하면, 1% 소금물에 12시간 침지하여 탈삽 과정을 거쳤을 때, 당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관능평가
홍시 착즙액과 블랙베리 착즙액의 최적의 배합비 도출, 블랙베리음료에 대한 비타민 C의 첨가량 최적비 도출, 최적의 증점제 도출 및 최적의 증점제 첨가비 도출을 위해 하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에 대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1]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블랙베리 착즙액 70 중량부와, 홍시 착즙액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블랙베리 착즙액 80 중량부와, 홍시 착즙액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및 비타민 C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및 비타민 C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및 비타민 C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한천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펙틴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젤라틴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펙틴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펙틴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펙틴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홍시 착즙액과 블랙베리 착즙액의 최적의 배합비 도출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선호도 1위 2위 3위
블랙베리음료에 대한 비타민 C의 첨가량 최적비 도출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선호도 1위 2위 3위
최적의 증점제 도출
구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선호도 3위 1위 2위
최적의 증점제 첨가비 도출
구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선호도 1위 2위 3위
표 3을 참조하면, 홍시 착즙액과 블랙베리 착즙액의 최적의 배합비는, 실시예 1에서 적당한 단맛을 내면서 블랙베리 특유의 신맛을 강조되어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의 혼합이 최적의 혼합비인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표 3을 참조하면, 블랙베리음료에 대한 비타민 C의 첨가량 최적비는, 실시예 4에서 블랙베리 특유의 신맛을 잃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신맛을 냄으로써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여,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및 비타민 C 0.1 중량부의 혼합이 최적의 혼합비인 것을 도출하였다.
또한, 표 3을 참조하면, 증점제 3종 중 실시예 8인 펙틴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최적의 증점제가 펙틴인 것을 도출하였다. 이는, 펙틴이 카복시기로서 중성당에 의한 겔 형성 저하가 없어, 펙틴은 중성당이 많이 함유된 홍시에 혼합되어도 블랙베리음료의 층분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표 3을 참조하면, 최적의 증점제 첨가비는, 실시예 10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및 펙틴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최적의 혼합비인 것을 도출하였다.
[ 실험예 3] 블랙베리음료의 소염 기능성 혼합액의 첨가로 인한 효능 검증
본 실험은 소염 기능성 혼합액의 첨가로 인한 블랙베리음료의 기능성 검증을 위해 하기 실시예 1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을 제조하여 감기와 기관지염이 있는 성인 40명(각 예별로 10명씩)에게 1주일간 하루에 3번(아침, 점심, 저녁)씩 섭취토록 하여, 감기와 기관지염의 개선정도를 평균적으로 살펴보았다.
소염 기능성 혼합액은 달맞이꽃을 열수추출한 달맞이꽃 추출액 20 중량부와 메이플시럽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실험의 객관화를 위해 감기와 기관지염이 있는 성인 40명은 감기기운이 발생 된지 2일 이내인 사람들로 선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감기와 기관지염의 평균은 실험대상 10명 중 개선된 인원이 7명 이상이면 개선된 것으로 보았고, 6명 이하는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실시예 13]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 및 소염 기능성 혼합액 4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 및 소염 기능성 혼합액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 및 소염 기능성 혼합액 6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감기 개선 미개선 개선 미개선
기관지염 개선 미개선 개선 미개선
특이사항 없음 없음 복통, 설사 일부 발생 없음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 13과 비교예 2의 경우 감기와 기관지염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복통, 설사가 일부에게서 발생되었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은 감기와 기관지염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비교예 2의 경우 소염 기능성 혼합액이 과다하여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예 1의 경우 소염 기능성 혼합액이 미미하여 소염 기능성 부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4] 블랙베리음료의 사포딜라액의 첨가로 인한 효능 검증
본 실험은 사포딜라액의 첨가로 인한 블랙베리음료의 기능성 검증을 위해 하기 실시예 14,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을 제조하여 변비가 진행되고 있는 성인 40명(각 예별로 10명씩)에게 2주일간 하루에 3번(아침, 점심, 저녁)씩 섭취토록 하여, 변비의 개선정도 및 기호성을 평균적으로 살펴보았다.
변비의 개선정도 평균은 실험대상 10명 중 개선된 인원이 7명 이상이면 개선된 것으로 보았고, 6명 이하는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기호성의 평균은 실험대상 10명 중 만족하는 인원이 7명 이상이면 만족된 것으로 보았고, 6명 이하는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실시예 14]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 및 사포딜라액 4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 및 사포딜라액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 및 사포딜라액 6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블랙베리 착즙액 60 중량부, 홍시 착즙액 40 중량부, 비타민 C 0.1 중량부, 펙틴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블랙베리음료를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4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변비 개선 미개선 개선 미개선
기호성 만족 만족 불만족 만족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실시예 14와 비교예 5에서는 변비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비교예 5의 경우 기호성에 대해서는 불만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5의 경우 사포딜라액이 과다 첨가되어 블랙베리음료의 맛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4와 비교예 6에 있어서는 기호성이 만족을 이루었으나, 변비의 개선에 대해서는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이는, 비교예 4의 경우 사포딜라액의 첨가량이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6)

  1. 블랙베리 착즙액 55 내지 65 중량부, 홍시 착즙액 35 내지 45 중량부, 비타민 C 0.05 내지 0.15 중량부, 증점제 0.3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하며, 메이플 시럽과 달맞이꽃 추출액을 혼합한 소염 기능성 혼합액을 3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하고, 사포딜라액을 3 내지 5 중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홍시 착즙액은,
    냉동보관된 팔봉시를 38℃ 내지 42℃의 인큐베이터에서 23시간 내지 25시간 해동하여 만들어진 홍시로 착즙하여 얻어지거나, 냉동보관된 팔봉시를 1% 농도의 소금물에 침지하여 11시간 내지 13시간 해동하여 만들어진 홍시로 착즙하여 얻어지고,
    상기 증점제는 펙틴, 한천, 젤라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 음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62451A 2018-12-14 2018-12-14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KR10220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51A KR102204775B1 (ko) 2018-12-14 2018-12-14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51A KR102204775B1 (ko) 2018-12-14 2018-12-14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31A KR20200073831A (ko) 2020-06-24
KR102204775B1 true KR102204775B1 (ko) 2021-01-18

Family

ID=7140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451A KR102204775B1 (ko) 2018-12-14 2018-12-14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7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4488A1 (en) * 2013-02-15 2014-08-21 Alice Chang Beverage system, including bubble beverage, instant beverage, beverage with dissolved gas, and beverage with ingredi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8582A2 (en) * 2007-04-24 2010-02-03 Lipid Nutrition B.V. Beverag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4488A1 (en) * 2013-02-15 2014-08-21 Alice Chang Beverage system, including bubble beverage, instant beverage, beverage with dissolved gas, and beverage with ingredi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노준희 외, 탈삽조건에 따른 대봉감의 품질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14, 제30권, 제3호, pp 351-359. 1부.*
블루베리 그린스무디, 네이버 블로그(2012.10.25), 인터넷(https://blog.naver.com/oka0713/2016972091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31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16B1 (ko) 물회 육수의 제조방법
CN103125637A (zh) 一种铁皮石斛果味茶
CN104605438B (zh) 一种健脾和胃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181501B1 (ko) 과채 주스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82556A (ko) 배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대추차의 제조방법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RU2612779C2 (ru) Концентрат напитка (варианты)
KR102204775B1 (ko) 홍시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랙베리음료
KR101213740B1 (ko) 야관문 추출물이 함유된 초콜릿 조성물 제조방법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114100A (ko) 비타민나무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3626B1 (ko) 젤리 타입 녹용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124663B (zh) 一种含白藜芦醇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744583B1 (ko) 매실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16099A (zh) 一种可提高小儿食欲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91130B1 (ko) 숙취해소용 초콜렛 제조방법
KR100378830B1 (ko)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
KR102541973B1 (ko) 기능성 더치커피 제조방법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601021B1 (ko) 과일주스 및 그 제조방법
Aziz et al. Fruit & vegetable juice therapy
KR20130055849A (ko) 홍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홍시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KR101069855B1 (ko) 미나리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5802B1 (ko) 석류씨 기름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 및 기억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KR102055300B1 (ko) 건강기능성 음료용 액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