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92B1 - 라우팅장치 - Google Patents

라우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92B1
KR102203392B1 KR1020190119042A KR20190119042A KR102203392B1 KR 102203392 B1 KR102203392 B1 KR 102203392B1 KR 1020190119042 A KR1020190119042 A KR 1020190119042A KR 20190119042 A KR20190119042 A KR 20190119042A KR 102203392 B1 KR102203392 B1 KR 10220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coupled
space
jig table
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송
Original Assignee
엠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92B1/ko
Priority to EP20191860.4A priority patent/EP37979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2Depaneling, i.e. dividing a panel into circuit boards; Working of the edges of circuit board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0Stationary or movable members for carrying working-spindles for attachment of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66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using covering means adaptable to the workpieces, e.g. curtains or brist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28Cutting, sawing, milling or shea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57Brushing, e.g. cleaning the conductive pattern by brushing or wi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8Treatments involving gases
    • H05K2203/082Suction, e.g. for holding solder balls or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8Treatments involving gases
    • H05K2203/085Using vacuum or low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09Horizontally held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icing (AREA)

Abstract

지그테이블에 안착된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여 단위기판을 분리하는 라우팅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라우팅장치는, 내부의 제 1 공간 상에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라우팅비트가 하부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몸체,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과 연결되는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상기 라우팅비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라우팅비트를 둘러싸면서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끝단에 제 1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몸체 및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우팅 비트가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1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모드동안 상기 베이스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기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제 1 몸체의 제 2 공간의 공기와 분진을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통해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우팅장치{Ro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라우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부착 가능한 몸체를 이용하여 라우팅비트가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제 1 모드에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집진할 뿐 아니라 지그테이블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 2 모드에서도 간단하게 다른 형태의 몸체를 결합시켜 집진할 수 있는 라우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은 TV세트, 카메라 등과 같은 가정용품이나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산업설비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기판(기판어레이)에 복수 개의 단위기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양산되며, 상기 기판으로부터 하나의 단위기판으로 분리되어 전자제품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기판으로부터 단위기판 단위로 분리하기 위해 라우팅장치가 이용된다. 이렇게 라우팅장치를 통해 복수의 단위기판이 배열된 기판으로부터 각 단위기판을 커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라우팅장치에는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테이블, 상기 기판으로부터 단위기판을 분리하기 위한 라우팅비트, 라우팅비트의 고속 회전을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지그테이블 상에 상기 기판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라우팅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라우팅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통 라우팅 작업 시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라우팅 비트에 의하여 상기 기판이 절단되기 때문에 분진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라우팅장치에는 라우팅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할 수 있는 집진 장치가 갖추어져 있다.
일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10-0945391호에는 작업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절삭칩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모듈을 구비한 라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라우터는 기판을 절삭하는 비트의 하부에 기판 크기의 집진덕트를 이용하여 분진을 흡입하는 방식인 관계로, 상기 집진덕트의 흡입구의 가장자리에서는 흡입력이 약하여 집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탈부착 가능한 몸체를 이용하여 라우팅비트가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제 1 모드에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집진할 뿐 아니라 지그테이블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 2 모드에서도 간단하게 다른 형태의 몸체를 결합시켜 집진할 수 있는 라우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테이블에 안착된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여 단위기판을 분리하는 라우팅장치는, 내부의 제 1 공간 상에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라우팅비트가 하부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몸체,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과 연결되는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상기 라우팅비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라우팅비트를 둘러싸면서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끝단에 제 1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몸체 및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우팅 비트가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1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모드동안 상기 베이스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기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제 1 몸체의 제 2 공간의 공기와 분진을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장치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과 연결되는 제 3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그테이블 방향의 끝단에 제 2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그테이블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모드동안 상기 베이스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브러시가 상기 지그테이블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제 2 몸체의 제 3 공간의 공기와 분진을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보다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고,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된 경우 상기 제 2 몸체의 끝단은 상기 라우팅비트의 끝단보다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라우팅장치는, 상기 제 1 몸체가 수납되는 제 1 수납홈 및 상기 제 2 몸체가 수납되는 제 2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몸체와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몸체와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하거나 상기 제 2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덮개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와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1 몸체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몸체가 상기 제 1 수납홈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납홈의 상부 중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며,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2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2 몸체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2 수납홈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납홈의 상부 중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라우팅장치는, 상기 지그테이블의 상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용핀들 및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핀수납부에서 상기 지그테이블 상부면으로 상기 고정용핀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그테이블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용핀을 상기 핀수납부로 이동시키는 그리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그테이블상에 결합된 고정용핀들에 의하여 상기 기판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핀은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그테이블 상에 고정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지그테이블에 상기 고정용핀이 고정되는 자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고정용핀을 상기 지그테이블에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핀은, 상기 지그테이블 상에 바닥면이 접하면서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기판이 결합 고정되는 단차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고정용핀을 잡는 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아래 부분은 상기 상부몸체 중 돌기의 아래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정용핀의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용핀을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장치는 라우팅비트를 둘러싸는 제 1 몸체가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라우팅비트와 함께 움직이면서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동안 분진을 흡입하므로 기판을 절단하는 동안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국부적인 공간에서만 집진을 하여 집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장치는 상기 라우팅비트가 상기 기판을 절단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간단하게 상기 제 1 몸체를 탈착한 후 제 2 몸체를 상기 베이스몸체에 부착하여 상기 제 1 몸체를 통하여 흡입되지 못하고 상기 지그테이블에 떨어져있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라우팅비트가 기판을 절단하는 동안에 라우팅비트 주변을 감싸면서 결합되어 있는 제 1 몸체를 통해 분진을 흡입할 뿐 아니라 이때 흡입되지 못하여 지그테이블에 떨어져있는 분진도 제 1 몸체 대신 제 2 몸체를 결합하여 흡입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보다 완벽하게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장치는 상기 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용핀을 그리퍼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그테이블상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우팅장치 중 지그테이블에 기판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라우팅장치 중 분진을 흡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 중 베이스몸체에 결합되는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몸체에 제 2 몸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 2 몸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베이스몸체에 제 1 몸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라우팅장치의 수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그리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라우팅장치의 지그테이블에 결합되는 고정용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우팅장치(100) 중 지그테이블(110)에 기판(120)이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라우팅장치(100)는 지그테이블(110) 상에 안착되어 있는 기판(120)을 라우팅비트를 이용하여 단위기판으로 절단할 수 있다. 지그테이블(110)에는 고정용핀(130)이 결합되고 고정용핀(130)의 상부에 기판(120)의 모서리가 결합되면서 기판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20)이 지그테이블(110)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라우팅비트를 이용하여 단위기판을 절단하면서 상부집진 방식을 이용하여 집진을 하여도 완벽하게 집진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상기 라우팅비트가 단위기판을 절단하는 동안에도 집진효율이 높은 방식을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하고, 지그테이블(110)에 떨어지는 분진도 집진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기판(120)이 지그테이블(110) 상의 고정용핀(130)에 결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으로 지그테이블(110)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라우팅장치(100) 중 분진을 흡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 중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는 제 1 몸체(410) 및 제 2 몸체(420)의 일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베이스몸체(310)에 제 2 몸체(4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제 2 몸체(4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베이스몸체(310)에 제 1 몸체(4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라우팅장치(100)는 베이스몸체(310), 제 1 몸체(410), 제 2 몸체(420) 및 흡입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는 내부의 제 1 공간(313) 상에 기판(120)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라우팅비트(350)가 하부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베이스몸체(310)는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인 제 1 공간(313)을 가지고 있으며, 제 1 공간(313) 내부에 라우팅비트(35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라우팅비트(350)는 베이스몸체(310)의 하부 끝단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판(120)의 브릿지에 접촉하여 상기 브릿지를 절단할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해야 할 브릿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라우팅비트(350)를 이용하여 기판(120)을 절단할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의 이동경로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컴퓨터,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라우팅비트(350)를 이용하여 기판(120)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라우팅장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흡입부(330)는 베이스몸체(310)의 제 1 공간(313)과 연결되어 제 1 공간(313)을 흡입함으로써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330)는 흡입된 분진을 포집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도면상에서 흡입부(330)의 구조가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흡입부(330)는 베이스몸체(310)의 제 1 공간(31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에는 제 1 몸체(410) 또는 제 2 몸체(420)가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제 1 몸체(41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1 몸체(410)는 내부에 비어있는 제 2 공간(413)을 가지고 있으며, 제 1 몸체(41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면 제 2 공간(413)은 제 1 공간(313)과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410)의 제 2 공간(413)에는 라우팅비트(35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몸체(410)는 내부의 비어있는 제 2 공간(413)에 라우팅비트(350)가 위치하도록 라우팅비트(3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 1 몸체(410)가 원통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몸체(410)는 베이스몸체(310)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베이스몸체(310)의 하부 끝단 또는 제 1 몸체(410)의 상부 끝단이 자력을 가짐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몸체(310)와 제 1 몸체(410)가 결합되는 위치에 자력이 있는 자성체(610)가 결합되어 있어 베이스몸체(310)와 제 1 몸체(41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몸체(410) 중 기판 방향의 하부 끝단에 제 1 브러시(4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라우팅비트(350)가 기판(120)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제 1 모드인 경우 베이스몸체(31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브러시(415)가 기판(120)에 접촉함으로써 기판(120)을 절단하면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라우팅비트(350)는 끝단이 제 1 브러시(415)의 하부 끝단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돌출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 1 브러시(415)는 기판(120)과 접촉하면서 부드럽게 퍼지므로, 상기 제 1 모드에서 라우팅비트(350)가 기판(120)의 브릿지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제 1 브러시(415)만 기판(120)에 접촉하여 라우팅비트(350)의 주변을 밀폐시킬 수만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제 1 브러시(415)가 기판(120)에 접촉하여 라우팅비트(350)의 주변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라우팅비트(350)는 기판(120)의 브릿지를 절단하고, 이와 같은 상기 제 1 모드에서 흡입부(330)가 동작함으로써 제 1 몸체(410)의 제 2 공간(413)의 분진 및 공기가 베이스몸체(310)의 제 1 공간(313)을 통하여 흡입부(330)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몸체(42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2 몸체(420)는 내부에 비어있는 제 3 공간(423)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몸체(42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면 제 3 공간(423)은 제 1 공간(313)과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420)의 제 3 공간(423)에는 라우팅비트(35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 몸체(420)는 내부의 비어있는 제 3 공간(423)에 라우팅비트(350)가 위치하도록 라우팅비트(35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라우팅비트(350)가 베이스몸체(310)에서 제거된 상태에서 제 2 몸체(42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면상에는 제 2 몸체(420)가 원통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몸체(420)는 베이스몸체(310)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베이스몸체(310)의 하부 끝단 또는 제 2 몸체(420)의 상부 끝단이 자력을 가짐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몸체(310)와 제 2 몸체(420)가 결합되는 위치에 자력이 있는 자성체(610)가 결합되어 있어 베이스몸체(310)와 제 2 몸체(4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 2 몸체(420) 중 기판 방향의 하부 끝단에 제 2 브러시(4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그테이블(110)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 2 모드인 경우 베이스몸체(31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브러시(425)가 지그테이블(110)에 접촉함으로써 지그테이블(110)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지그테이블(110)에 있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라우팅비트(35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몸체(42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된 경우,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된 제 2 몸체(420)의 끝단은 라우팅비트(350)의 끝단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 2 브러시(425)는 지그테이블(110)에 접촉하면서 부드럽게 퍼지는데 이때 라우팅비트(350)는 지그테이블(11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을 정도로 제 2 몸체(420)의 끝단이 라우팅비트(350)의 끝단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 2 몸체(420)는 제 1 몸체(410)보다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어야 한다.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제 2 브러시(425)가 지그테이블(110)에 접촉한 상태에서 흡입부(330)가 동작함으로써 제 2 몸체(420)의 제 2 공간(423)에 존재하는 지그테이블(110) 상의 분진 및 공기가 베이스몸체(310)의 제 1 공간(313)을 통하여 흡입부(330)로 이동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라우팅장치(100)의 수납부(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라우팅장치(100)는 제 1 몸체(410)가 수납되는 제 1 수납홈(810) 및 제 2 몸체(420)가 수납되는 제 2 수납홈(820)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모드인 경우 베이스몸체(310)가 수납부(150) 중 제 1 수납홈(810)으로 이동하여 제 1 몸체(410)와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2 모드인 경우 베이스몸체(310)가 수납부(150) 중 제 2 수납홈(820)으로 이동하여 제 2 몸체(420)와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몸체(410)가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로 제 2 몸체(420)를 베이스몸체(310)에 결합할 수 없으므로, 이를 위하여 수납부(150)는 덮개(830) 및 덮개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덮개(830)는 수납부(15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 수납홈(810)의 상부 중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하거나 제 2 수납홈(820)의 상부 중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덮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830)는 제 1 수납홈(810)과 동일한 크기의 제 1 관통홀, 제 2 수납홈(820)과 동일한 크기의 제 2 관통홀 및 제 1 수납홈(810) 또는 제 2 수납홈(820)의 일부만을 개방할 수 있는 제 3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제 1 관통홀 내지 제 3 관통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아니며 덮개(83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가 제 1 몸체(410)와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1 수납홈(810)의 상부 중 전체가 개방되도록 덮개(830)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몸체(310)가 제 1 몸체(410)의 상부로 이동하여 베이스몸체(310)와 제 1 몸체(410)가 자력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1 수납홈(810)의 상부에 덮개(830)의 제 1 관통홀이 위치하도록 덮개(8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어 있는 제 1 몸체(4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1 몸체(410)가 제 1 수납홈(810)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 1 수납홈(810)의 상부 중 일부만 개방되도록 덮개(830)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몸체(31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몸체(410)는 덮개(830)에 걸려 제 1 수납홈(810)에 수납되어 제 1 몸체(410)와 베이스몸체(3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1 수납홈(810)의 상부에 덮개(830)의 제 3 관통홀이 위치하도록 덮개(8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이 이와 같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이스몸체(310)와 제 2 몸체(42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베이스몸체(310)가 제 2 몸체(420)와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2 수납홈(820)의 상부 중 전체가 개방되도록 덮개(830)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몸체(310)가 제 2 몸체(420)의 상부로 이동하여 베이스몸체(310)와 제 2 몸체(420)가 자력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2 수납홈(820)의 상부에 덮개(830)의 제 2 관통홀이 위치하도록 덮개(8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어 있는 제 2 몸체(4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2 몸체(420)가 제 2 수납홈(820)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 2 수납홈(820)의 상부 중 일부만 개방되도록 덮개(830)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몸체(310)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2 몸체(420)는 덮개(830)에 걸려 제 2 수납홈(820)에 수납되어 제 2 몸체(420)와 베이스몸체(3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 상기 덮개구동부는 제 2 수납홈(820)의 상부에 덮개(830)의 제 3 관통홀이 위치하도록 덮개(8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이 이와 같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어 있는 그리퍼(9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라우팅장치(100)의 지그테이블(110)에 결합되는 고정용핀(1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용핀(130)은 지그테이블(110)의 상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용핀(130)은 자력을 이용하여 지그테이블(11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그테이블(110)의 상부면이 자력을 가질 수도 있고 고정용핀(130)의 하부면이 자력을 가질 수도 있다. 고정용핀(130)은 지그테이블(110) 상에 바닥면이 접하면서 결합되는 하부몸체(1010), 하부몸체(10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둥형상의 상부몸체(10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몸체(1020)는 그리퍼(900)에 의하여 잡히는 부분의 상부에 상부몸체(1020)의 외주면을 따라 돌기(10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020) 중 돌기(1030)의 상부에는 기판(120)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단차(104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기판(120)이 단차(1040)의 하부면에 놓여지고 기판(120)의 모서리가 단차(1040)의 측면에 끼워짐으로써 기판(120)은 고정용핀(13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용핀(130)들은 기판(120)의 크기에 맞게 지그테이블(110) 상에 결합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판(120)이 항상 일정한 크기가 아니므로 기판의 크기에 따라 고정용핀(130)들의 결합위치가 변경되어야 하므로 그리퍼(900)를 이용하여 고정용핀(130)을 지그테이블(1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퍼(900)는 베이스몸체(310)에 결합되어 베이스몸체(31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베이스몸체(310)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판(120)의 절단 또는 집진을 할 수도 있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기판(12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베이스몸체(310)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그리퍼(900)를 이용하여 고정용핀(130)을 잡을 수 있다. 그리퍼(900)는 핀수납부(170)에 위치한 고정용핀(130)을 잡아서 지그테이블(110)의 상부면으로 이동시키거나, 지그테이블(1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용핀(130)을 잡아서 핀수납부(17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용핀(130)이 지그테이블(110)과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어 있는 경우, 그리퍼(900)는 고정용핀(130)과 지그테이블(110)을 결합시키는 자력보다 큰 힘으로 고정용핀(130)을 지그테이블(1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퍼(900)는 고정용핀(130)을 잡는 부분에 결합홈(915)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915)의 아래 부분은 고정용핀(130)의 상부몸체(1020) 중 돌기(1030)의 아래 부분에 접촉하고 결합홈(915)은 고정용핀(130)의 돌기(1030)가 결합됨으로써 고정용핀(130)을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퍼(900)는 결합홈(915)이 형성되어 있는 다리들이 방사상으로 펴졌다가 오므리면서 고정용핀(130)을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그리퍼를 핑거타입 그리퍼라고 하며, 본 발명의 그리퍼(900)는 상기 핑거타입 그리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용핀(130)을 잡아서 핀수납부(170)와 지그테이블(11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지그테이블에 안착된 기판의 브릿지를 절단하여 단위기판을 분리하는 라우팅장치에 있어서,
    내부의 제 1 공간 상에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라우팅비트가 하부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몸체;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과 연결되는 제 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상기 라우팅비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라우팅비트를 둘러싸면서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판 방향의 끝단에 제 1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몸체;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과 연결되는 제 3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그테이블 방향의 끝단에 제 2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몸체; 및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우팅 비트가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1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모드동안 상기 베이스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브러시가 상기 기판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제 1 몸체의 제 2 공간의 공기와 분진을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통해 흡입하고,
    상기 지그테이블의 분진을 제거하는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모드동안 상기 베이스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브러시가 상기 지그테이블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가 상기 제 2 몸체의 제 3 공간의 공기와 분진을 상기 베이스몸체의 제 1 공간을 통해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2 몸체보다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고,
    상기 베이스몸체에 상기 제 2 몸체가 결합된 경우 상기 제 2 몸체의 끝단은 상기 라우팅비트의 끝단보다 하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장치는,
    상기 제 1 몸체가 수납되는 제 1 수납홈 및 상기 제 2 몸체가 수납되는 제 2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몸체와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2 모드인 경우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몸체와 자력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하거나 상기 제 2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 또는 일부를 개방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덮개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제 1 몸체와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1 몸체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몸체가 상기 제 1 수납홈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납홈의 상부 중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며,
    상기 베이스몸체가 상기 제 2 몸체와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2 수납홈의 상부 중 전체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고,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2 몸체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2 몸체가 상기 제 2 수납홈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납홈의 상부 중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장치는,
    상기 지그테이블의 상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용핀들;
    상기 베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핀수납부에서 상기 지그테이블 상부면으로 상기 고정용핀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그테이블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용핀을 상기 핀수납부로 이동시키는 그리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그테이블상에 결합된 고정용핀들에 의하여 상기 기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핀은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그테이블 상에 고정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지그테이블에 상기 고정용핀이 고정되는 자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고정용핀을 상기 지그테이블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핀은,
    상기 지그테이블 상에 바닥면이 접하면서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기판이 결합 고정되는 단차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고정용핀을 잡는 부분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의 아래 부분은 상기 상부몸체 중 돌기의 아래 부분에 접촉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정용핀의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용핀을 잡아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핑거타입 그리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우팅장치.
KR1020190119042A 2019-09-26 2019-09-26 라우팅장치 KR10220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42A KR102203392B1 (ko) 2019-09-26 2019-09-26 라우팅장치
EP20191860.4A EP3797925A1 (en) 2019-09-26 2020-08-20 Rou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42A KR102203392B1 (ko) 2019-09-26 2019-09-26 라우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392B1 true KR102203392B1 (ko) 2021-01-15

Family

ID=7219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042A KR102203392B1 (ko) 2019-09-26 2019-09-26 라우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797925A1 (ko)
KR (1) KR1022033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647Y1 (ko) * 1999-10-11 2000-04-15 세호로보트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절단장치
KR20040110920A (ko) * 2003-06-21 2004-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판 지지용 백업 핀 자동 설정 장치 및, 그것에 의한백업핀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681A (en) * 1986-09-30 1990-03-20 Cybernetics Products, Inc. Router for component mounted printed circuit boards
KR100730780B1 (ko) * 2006-04-20 2007-06-20 이주영 라우팅 머신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및 커팅칩 흡입을 위한석션 구조
KR100945391B1 (ko) 2009-04-30 2010-03-04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라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647Y1 (ko) * 1999-10-11 2000-04-15 세호로보트산업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절단장치
KR20040110920A (ko) * 2003-06-21 2004-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판 지지용 백업 핀 자동 설정 장치 및, 그것에 의한백업핀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7925A1 (en)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152B1 (ko) Csp기판 지지부재 및 이 csp기판 지지부재가탑재되는 csp기판용 테이블
KR102203392B1 (ko) 라우팅장치
TWI660823B (zh) Cutting device
JP6417288B2 (ja) 部品実装機、部品廃棄方法
JP2006310483A (ja) ウエーハの保持方法
JP2008147705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WO2022123773A1 (ja) 吸着ノズルおよび部品装着機
KR20230018319A (ko) 세정 장치
KR102463650B1 (ko) 가공 장치
KR102334121B1 (ko) 척 테이블
JPH09309098A (ja) プリント基板分割装置
KR19980049779U (ko) 분진 제거장치
JP2015070258A (ja) 幅の調整が可能なトレイホルダーアセンブリ
JP2014076438A (ja) 電子部品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5381479B2 (ja) 基板固定治具及び基板加工装置
CN210150235U (zh) 电子组件的辅助吸引装置
JPH088293B2 (ja) チップ実装装置
JP2002176289A (ja)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KR200380212Y1 (ko) 인쇄회로기판의 라우터에 구비된 집진장치
JP2007109774A (ja) マイクロトレイ搭載器具
KR100454894B1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
JP2000269697A (ja) 電子部品廃棄ボックス
JPH05309585A (ja) ピックアップ機構
CN217701453U (zh) 一种线路板钻孔装置
KR101939117B1 (ko) 엑스트라볼 제거용 볼툴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