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391B1 - 라우터 - Google Patents

라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391B1
KR100945391B1 KR1020090038266A KR20090038266A KR100945391B1 KR 100945391 B1 KR100945391 B1 KR 100945391B1 KR 1020090038266 A KR1020090038266 A KR 1020090038266A KR 20090038266 A KR20090038266 A KR 20090038266A KR 100945391 B1 KR100945391 B1 KR 10094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router
bit
brush
collect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9003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1/00Auxiliary pretreatment of gases or vapours to be cleaned
    • B01D51/02Amassing the particles, e.g. by flocc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모듈의 개선을 통해 작업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절삭칩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도록 한 라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좌우이송로봇과, 상기 좌우이송로봇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하이송로봇과, 상기 상하이송로봇에 장치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비트와, 상기 비트의 하부에 설치된 채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며 상측에 다공판을 갖는 작업 스테이지로 이루어진 라우터로서,
상기 다공판의 하부중 상기 비트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집진덕트의 흡입구가 위치토록 설치하고, 상기 집진덕트의 후방에는 집진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비트의 절삭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흡입구로 곧바로 집진되게 한 것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의 주변에는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용 차단부재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라우터이다.
라우터, 집진

Description

라우터{ROUTER}
본 발명은 라우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집진모듈의 개선을 통해 작업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절삭칩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도록 한 라우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원기판, 단위기판, 브릿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 도면에 따르면, 원기판(1)과 단위기판(2) 사이에는 라우터의 절삭툴인 라우터 비트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슬롯(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의 적정위치에는 원기판과 단위기판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브릿지(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단위기판(2)은 브릿지(4)의 절단을 통해 원기판(1)으로 부터 탈거되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브릿지 절삭작업을 당업계에서는 라우팅 작업이라 하고, 라우팅을 행하는 장비를 라우터(Router)라고 한다.
도 2는 종래 라우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종래 라우터는 케이스(10)의 작업공간(11) 내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이송로봇(20)과, 상기 좌우이송로봇(20)에 수직하게 설치 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하이송로봇(30)과, 상기 상하이송로봇(30)에 장치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비트(40)와, 상기 작업공간(11)의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작업 스테이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 스테이지(50)는 도 3에서 보듯이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윗면에 안착 설치되는 다공판(52)과, 상기 다공판(52) 상에 설치되어 원기판(1)을 고정하는 지그(5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 스테이지(50)의 하우징(51)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비트(40)에 의해 브릿지(4)를 절삭할 때 발생되는 절삭칩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모듈(60)이 설치된다.
상기 집진모듈(60)은 하우징(51)의 후방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자바라형의 집진관(61)과, 상기 집진관(61)의 후방에 설치되어 하우징(51) 내의 챔버로 집진되는 절삭칩을 흡인하기 위한 집진모터(62)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집진모듈(6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다.
종래의 집진모듈(60)은 집진관(61)이 하우징(51)의 후방에 연결되는 관계로 하우징(51)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절삭칩을 충분히 집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집진모터(62)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원가상승이 수반되고, 소음이 유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어 바람직한 방법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집진관(61)은 하우징(51)의 전후이송에 따라서 신축을 반복하면서 피 로가 축적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내구성이 약화되므로 수시로 교체 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유지관리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비트가 고정구조임을 착안하여 집진요부인 흡인구를 비트의 바로 밑에 설치함으로써 작은 용량의 집진모터로도 집진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라우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좌우이송로봇과, 상기 좌우이송로봇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하이송로봇과, 상기 상하이송로봇에 장치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비트와, 상기 비트의 하부에 설치된 채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며 상측에 다공판을 갖는 작업 스테이지로 이루어진 라우터로서,
상기 다공판의 하부중 상기 비트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집진덕트의 흡입구가 위치토록 설치하고, 상기 집진덕트의 후방에는 집진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비트의 절삭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흡입구로 곧바로 집진되게 한 것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의 주변에는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용 차단부재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라우터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구의 주변을 따라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용 차단부재가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라우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산방지용 차단부재가 브러시인 라우터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집진덕트에 나사 조립된 라우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진덕트의 좌우길이와 상기 비트의 좌우이동거리가 동일 또는 유사한 라우터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비트의 절삭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을 비트의 직하방에 위치한 집진덕트에 의해 절삭칩이 여타 부위로 비산되지 않고 거의 전량 집진덕트로 회수할 수 있어서 청량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집진위치의 선정으로 인해 집진모터의 용량을 확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는 비트의 바로 밑에 집진덕트의 흡입구가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라우터의 제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의 제반 구성도이다.
위 도면에 따른 본 발명 라우터의 주요 구성은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 이송로봇(20)과, 상기 좌우이송로봇(2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하이송로봇(30)과, 상기 상하이송로봇(30)에 장치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비트(40)와, 상기 비트(40)의 하부에 설치된 채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작업 스테이지(5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스테이지(50)는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상부에 안착되는 다공판(52)과, 상기 다공판(52)의 상부에 고정되어 원기판(1)을 지지하는 지그(5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다공판(52) 하부에는 후술될 집진덕트가 설치될 수 있는 정도의 챔버(5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라우터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집진모듈(100)을 갖는다.
상기 집진모듈(10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챔버(51a)의 내부에 그 선단부가 인입되게 설치되는 집진덕트(110)를 구비한다.
상기 집진덕트(110)는 그 선단부에 상향으로 흡입구(111)를 갖는다. 이 흡입구(111)는 상기 비트(4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비트(40)의 절삭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외부로 비산되기 전에 바로 집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흡입구(111)의 폭은 상기 비트(40)의 좌우이동거리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여 비트(40)가 좌우의 어떠한 위치에서 절삭작업을 하더라도 집진이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집진모듈(100)은 상기 집진덕트(110)의 후방에 연결되는 포집덕트(120)를 갖는다. 상기 포집덕트(120)는 집진덕트가 여러 개 설치되는 경우 각 집 진덕트의 절삭칩을 일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집진모듈(100)은 상기 포집덕트(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집진모터(130)를 구비한다. 이 집진모터(130)의 흡인력에 의해 집진덕트(110)의 흡인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집진덕트(110)의 흡입구(111) 가장자리에는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 차단부재(1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산방지용 차단부재(140)는 브러시로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다공판(52)의 밑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흡입구(111)와 다공판(52) 사이의 틈새를 메워줌으로써 절삭칩이 비산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브러시 외에도 절삭칩의 비산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브러시 대신 여타 치환적 구성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 브라켓(150)에 의해 상기 집진덕트(110)에 고정된다. 부연하면,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 모(141)와, 브러시 모의 모근이 심어져 있는 브러시 모체(142)로 구성된다. 상기 브러시 브라켓(150)은 상기 집진덕트(110)에 나사로서 고정되며, 상측에는 상기 브러시 모체(142)가 나사로서 고정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원기판, 단위기판, 브릿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라우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작업 스테이지의 구성도
도 4는 종래 라우터의 집진모듈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의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의 집진모듈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의 집진덕트의 요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우터의 브러시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집진모듈
110 : 집진덕트 111 : 흡입구
120 : 포집덕트 130 : 집진모터
140 : 차단부재 150 : 브라켓

Claims (5)

  1.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좌우이송로봇과, 상기 좌우이송로봇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상하이송로봇과, 상기 상하이송로봇에 장치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비트와, 상기 비트의 하부에 설치된 채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며 상측에 다공판을 갖는 작업 스테이지로 이루어진 라우터로서,
    상기 다공판의 하부중 상기 비트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집진덕트의 흡입구가 위치토록 설치하고, 상기 집진덕트의 후방에는 집진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비트의 절삭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이 흡입구로 곧바로 집진되게 한 것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흡입구의 주변에는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용 차단부재가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라우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용 차단부재는 브러시인 라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집진덕트에 나사 조립된 라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덕트의 좌우길이와 상기 비트의 좌우이동거리가 동일 또는 유사한 라우터.
KR1020090038266A 2009-04-30 2009-04-30 라우터 KR10094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66A KR100945391B1 (ko) 2009-04-30 2009-04-30 라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66A KR100945391B1 (ko) 2009-04-30 2009-04-30 라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5391B1 true KR100945391B1 (ko) 2010-03-04

Family

ID=4218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266A KR100945391B1 (ko) 2009-04-30 2009-04-30 라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3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28B1 (ko) 2012-11-14 2013-06-07 최무송 집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라우팅 장치
KR101446214B1 (ko) 2014-02-10 2014-10-02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가변식 석션부재를 갖는 라우터
KR20190114624A (ko) 2018-03-30 2019-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EP3797925A1 (en) 2019-09-26 2021-03-31 MSTECH Co., Ltd Routing apparatus
JP2021122055A (ja) * 2019-08-01 2021-08-26 株式会社竹原理研 基板分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12Y1 (ko) * 2004-12-30 2005-03-29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인쇄회로기판의 라우터에 구비된 집진장치
JP2005138198A (ja) 2003-11-04 2005-06-02 Denso Corp 基板分割装置
KR100724105B1 (ko) * 2006-04-20 2007-06-04 이주영 인쇄회로기판의 브릿지 커팅용 라우팅 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198A (ja) 2003-11-04 2005-06-02 Denso Corp 基板分割装置
KR200380212Y1 (ko) * 2004-12-30 2005-03-29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인쇄회로기판의 라우터에 구비된 집진장치
KR100724105B1 (ko) * 2006-04-20 2007-06-04 이주영 인쇄회로기판의 브릿지 커팅용 라우팅 머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28B1 (ko) 2012-11-14 2013-06-07 최무송 집진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라우팅 장치
KR101446214B1 (ko) 2014-02-10 2014-10-02 주식회사 기흥에프에이 가변식 석션부재를 갖는 라우터
KR20190114624A (ko) 2018-03-30 2019-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JP2021122055A (ja) * 2019-08-01 2021-08-26 株式会社竹原理研 基板分割装置
EP3797925A1 (en) 2019-09-26 2021-03-31 MSTECH Co., Ltd Rou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391B1 (ko) 라우터
US20090183800A1 (en) Dust shroud for gas powered circular saws
KR20180126999A (ko) 드릴용 집진장치
EP1897477A3 (en)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TW200927340A (en) Dust collector for use in miter saw
KR100269546B1 (ko) 청정실 공구 챔버
KR100724105B1 (ko) 인쇄회로기판의 브릿지 커팅용 라우팅 머신
CN106002462A (zh) 一种机床除屑装置
KR102144704B1 (ko)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CA2438855A1 (en) A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CN210757565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电子通讯设备安装机构
EP1547511A3 (en) Suction cleaner with a flexible hose arrangement
US8196258B2 (en) Brush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209520664U (zh) 一种带锯床的锯条清屑装置
JP635764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214977862U (zh) 一种高效正挂式五轴卧式镗铣床
JP2013010297A (ja) 乾式ワイヤーソー切断装置
CN213876528U (zh) 一种快速除尘除噪音的机箱
CN220838853U (zh) 一种多轴自动锁螺丝机
CN210209058U (zh) 一种激光焊接大台面悬臂结构
CN211889547U (zh) 具有除尘功能的数控切割机
CN213612779U (zh) 一种碳纤维碎屑清除装置
JP6549263B1 (ja) リニアモジュール作動部の除塵カバー
CN212326289U (zh) 扫地机底部吸尘口结构
CN212760115U (zh) 一种静电除尘吸尘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