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894B1 - 마운터 헤드의 노즐 - Google Patents

마운터 헤드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894B1
KR100454894B1 KR10-2002-0001801A KR20020001801A KR100454894B1 KR 100454894 B1 KR100454894 B1 KR 100454894B1 KR 20020001801 A KR20020001801 A KR 20020001801A KR 100454894 B1 KR100454894 B1 KR 10045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ip
socket
mount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238A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8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6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부가 형성된 노즐의 팁에 의해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운터 헤드의 노즐은, 그 내측으로 공기가 입/출력되도록 형성된 통로와 그 하부에 설치되는 소켓 스프링과 이 소켓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래치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의 래치에 삽설되며 그 하부에 실장부품을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된 팁과 이 팁의 상부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상부를 탄력지지하는 노즐 스프링과 상기 노즐 스프링의 상부에 그 하부가 탄력지지되는 지지부와 공기가 입/출력 될 수 있게 형성된 관통홀로 이루어진 노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테이퍼진 흡착부가 형성된 노즐의 팁에 의해 크기가 작은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파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운터 헤드의 노즐{Head Nozzle of Surface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흡착부가 형성된 노즐의 팁에 의해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파지하기위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기가 작거나 장방형의 실장부품을 파지하기 용이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는 다수의 전자부품(이하:실장부품이라함)(미도시됨)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속 및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속 및 정밀하게 실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면실장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표면실장기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실장기(1)는 X-Y 갠트리(gantry)(2),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3), 모듈헤드(module head)(4), 부품공급장치(5), 및 노즐교환장치(6)로 구성된다.
X-Y 갠트리(2)는 모듈헤드(4)를 X-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X-Y 갠트리(2)에 의해 X-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듈헤드(4)는 부품공급장치(5)로부터 실장부품을 픽킹하게 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7)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3)에 의해 실장작업위치(A)로 이송된다.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3)에 의해 실장작업위치(A)로 인쇄회로기판(7)이 이송되면 실장부품을 흡착한 모듈헤드(13)는 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7)에 실장하게 된다.
실장부품을 흡착한 후 인쇄회로기판(7)에 흡착된 실장부품을 실장하는 모듈헤드(4)는 다수개의 노즐장치(47)가 구비된다.
상기 모듈헤드(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드 플레이트(4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R축 구동모터(41)와, 상기 R축 구동모터(44)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노즐 샤프트(43)와, 상기 노즐 샤프트(43)가 상하로 이동할 때 일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샤프트 가이드(44)와, 상기 헤드 플레이트(4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노즐 샤프트(43)를 상하로 구동하기 위해 각각 대응 설치된 다수의 Z축 구동모터(46)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 가이드(44)에는 상기 노즐 샤프트(43)를 일직선으로 움직이도록 안내하기 위한 장공(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가이드(44)의 단부에는 노즐장치(4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장치(47)의 하부에는 노즐(4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즐 샤프트(43)의 상부에는 공기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진공발생기(16)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발생기(16)는, 노즐 샤프트(43)와 샤프트 가이드(44)와 그 하부에 설치된 노즐장치(47)에 설치된 노즐(48)까지 관통되어 있는 통로로 공기를 입력 또는 출력하여 상기 노즐(48)이 실장부품을 흡착파지한 후, 인쇄회로기판(7)(도 1참조)에 실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 플레이트(40)의 후부에 설치된 다수의 Z축 구동모터(46)는 상기 노즐 샤프트(4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노즐 샤프트(43)의 중단부에는 장공(45)이 세로로 형성된 샤프트 가이드(44)가 각각의 노즐 샤프트(43)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노즐 샤프트(43)가 Z축 구동모터(4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여 직진성을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노즐장치(55)의 노즐(56)은, 실장부품을 파지하는 노즐(56)의 끝부분이 구조적으로 크기가 작은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파지하지 못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실장부품이 실장될 위치의 간격이 좁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실장하지 못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장치의 노즐의 팁에 형성된 흡착부를 이용하여 크기가 작은 실장부품이나 장방형의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흡착부가 형성된 노즐의 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장부품이 실장될 위치의 간격이 좁게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에 복수개의 경사면이 형성된 팁에 의해 실장부품을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는 노즐의 팁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표면실장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종래의 마운터 헤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듈헤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노즐장치의 소켓과 노즐의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팁에 형성된 흡착부를 올려다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노즐장치 200 : 소켓
300 : 노즐 400 : 노즐 스프링
341 : 경사면 344 : 가이드부
346 : 흡착부 349 : 테이퍼
360 : 지지턱 380 : 지지부
본 발명의 마운터 헤드의 노즐은, 그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입/출력되도록 형성된 통로와 그 하부에 설치되는 소켓 스프링과 이 소켓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래치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의 래치에 삽설되며 그 하부에 실장부품을 삽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진 삽이부가 형성된 팁과 이 팁의 상부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상부를 탄력지지하는 노즐 스프링과 상기 노즐 스프링의 상부에 그 하부가 탄력지지되는 지지부와 외부로부터 공기가 입/출력 되도록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로 이루어진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노즐장치(100)의 소켓(200)과 노즐(3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의 팁에 형성된 흡착부를 올려다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장치(100)는, 소켓(200)과 상기 소켓(200)에 결합되는 노즐(300)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200)은, 내측으로 공기가 입/출력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로(220)와, 상기 소켓(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래치(240)와, 그 외주면에 삽설되어 상기 소켓(200)과 래치(240)를 탄력지지하는 소켓 스프링(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200)에 결합되는 노즐(300)은, 그 내측으로 공기가 입/출력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된 통로(320)와, 통로(320)의 연장선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실장부품을 직접적으로 흡착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팁(340)과, 상기 팁(340)의 상부에 형성되며 다음에 설명되는 노즐 스프링(500)의 하부에 탄력지지되는 지지턱(360)과, 상기 지지턱(360)의 상부에 형성되며 노즐 스프링(40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부(3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턱(360)와, 지지부(380)의 사이에 설치된 노즐 스프링(500)은, 작업중에 노즐(300)의 팁(3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상기 노즐(300)의 팁(34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하부에 실장부품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흡착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부(342)는, 실장부품과 접촉될 때 상기 실장부품이 안내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부(344)와, 상기 노즐(300)의 통로(320)를 통해 입/출력되는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는 흡입구(346)와, 상기 흡입구(346)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44) 보다 소정의 넓이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실장부품과 접촉되는 평탄면으로 형성된 흡착면(348)과, 상기 흡착면(348)에 흡착되는 실장부품이 첫 번째로 접촉되는 가이드부(344)를 지나면서 흡착면(348)에 안정되게 흡착되기 위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테이퍼(34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흡착부(342)는, 장방형의 실장부품을 파지하는데 용이하다.
도 4b에 도시된 팁(340)의 흡착부(342)는, 도 4a에 도시된 흡착부(342)와 다르게 사방이 막혀있는 형상으로 되어있어, 흡착면(348)의 크기와 같은 실장부품을 파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부(344) 보다 크기가 큰 일반적인 실장부품을 가이드부(344)가 직접 파지하기에도 용이하다.
도 4c에 도시된 팁(340)의 흡착부(342)는, 도 4a에 도시된 흡착부(342)와 같이 장방형의 실장부품 파지에 용이하며, 팁(34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면(341)이 형성되어 있어, 실장부품이 실장될 위치의 간격이 좁게 배열된 인쇄회로기판(7)에 실장부품의 실장이 용이하다.
도 4d에 도시된 팁(340)의 흡착부(342)는, 도 4b에 도시된 흡착부(342)와 같이 가이드부(344)가 사방이 막혀있는 형상으로 되어있어, 흡착면(348)의 크기와 같은 실장부품을 파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부(344) 보다 크기가 큰 일반적인실장부품을 가이드부(344)가 직접 파지하기에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노즐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켓(200)과 그 하부에 설치되는 흡착부(342)가 형성된 노즐(300)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장치(100)는, 실장부품을 파지하여 인쇄회로기판(도 1 참조)(7)에 실장하기 위해 모듈헤드(4)(도 1 및 도 2 참조)의 일단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노즐장치(100)는, 노즐(300)이 소켓(200)의 하부에 부품공급장치(6)(도 1참조)로부터 억지끼움되고, 상기 노즐(300)은 소켓 스프링(260)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래치(24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소켓(200)의 하부에 결합된 노즐(300)은, 그 상부에서 하부까지 형성된 통로(320)을 따라 팁(340)의 입구까지 공기가 입/출력되어, 실장부품을 흡착파지한 후, 인쇄회로기판의 소정부위에 실장하게 된다.
상기 노즐(300)은, 그 일측에 형성된 지지턱(360)과 이 지지턱(36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부(380)의 사이에 설치된 노즐 스프링(400)에 의해 탄력지지되므로, 상기 노즐(300)은 실장부품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그 외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300)은, 그 하부에 형성된 팁(340)이 실장부품을 파지하기위해 실장부품의 표면과 접촉되는데, 일반적인 실장부품 보다 크기가 작은 실장부품을 파지할 때는 흡착부(342)의 가이드부(344)에 의해 안내되어 흡착면(348)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실장부품은, 흡착면(348)에 안착될 때, 가이드부(344)의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349)에 의해 보다 더 안정되게 안내되고, 흡착부(342)의 흡입구(346)에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실장부품은 상기 흡착면(348)에 밀착되어 파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흡착부가 형성된 노즐의 팁에 의해 크기가 작은 실장부품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파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퍼진 흡착부가 형성된 노즐의 팁에 의해 크기가 작거나 장방형의 실장부품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실장부품을 원활하게 실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그 내측으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입/출력되도록 형성된 통로와, 그 하부에 설치되는 소켓 스프링과, 이 소켓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래치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의 래치에 삽설되며, 그 하부에 실장부품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팁과, 이 팁의 상부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상부를 탄력지지하는 노즐 스프링과, 상기 노즐 스프링의 상부에 그 하부가 탄력지지되는 지지부와, 외부로부터 공기가 입/출력 되도록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로 이루어진 노즐로 구성된 마운터 헤드의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팁은 그 하부에 실장부품이 파지되는 흡입구의 표면에 실장부품이 삽입될 수 있도록 흡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의 양측 또는 사방에 실장부품이 삽입될 때 안내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터 헤드의 노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부의 양측 또는 사방에 실장부품이 삽입될 때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테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터 헤드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팁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10-2002-0001801A 2002-01-11 2002-01-11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10045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01A KR100454894B1 (ko) 2002-01-11 2002-01-11 마운터 헤드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01A KR100454894B1 (ko) 2002-01-11 2002-01-11 마운터 헤드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38A KR20030061238A (ko) 2003-07-18
KR100454894B1 true KR100454894B1 (ko) 2004-11-06

Family

ID=3221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801A KR100454894B1 (ko) 2002-01-11 2002-01-11 마운터 헤드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99A (ko) 2021-09-27 2023-04-04 (주)엘라이트 열화상 연기투시랜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98B1 (ko) * 2018-05-25 2018-10-16 윤필영 스프링을 소켓에 삽입하기 위한 치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998A (ja) * 1988-07-29 1990-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
JPH03217089A (ja) * 1990-01-22 1991-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部品の切断分離方法
JPH043500A (ja) * 1990-04-19 1992-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部品実装機の吸着ノズル
JPH09283988A (ja) * 1996-04-08 1997-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JPH1015867A (ja) * 1996-06-29 1998-01-20 Sony Corp 吸着ノズル及び実装装置
KR200214187Y1 (ko) * 1999-02-08 2001-02-15 정문술 자동교환이 가능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998A (ja) * 1988-07-29 1990-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
JPH03217089A (ja) * 1990-01-22 1991-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部品の切断分離方法
JPH043500A (ja) * 1990-04-19 1992-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部品実装機の吸着ノズル
JPH09283988A (ja) * 1996-04-08 1997-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JPH1015867A (ja) * 1996-06-29 1998-01-20 Sony Corp 吸着ノズル及び実装装置
KR200214187Y1 (ko) * 1999-02-08 2001-02-15 정문술 자동교환이 가능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99A (ko) 2021-09-27 2023-04-04 (주)엘라이트 열화상 연기투시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38A (ko) 200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432B1 (ko) 표면실장기용 그립퍼
KR100454894B1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20030078369A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101251562B1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KR100454893B1 (ko) 교체가 용이한 마운터 헤드의 노즐
KR100328345B1 (ko) 표면실장장치 및 그 실장방법
KR100535727B1 (ko) 노즐 셋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9797B1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장치
JPH11111767A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JP3365677B2 (ja) 実装機の供給部品位置設定方法
KR100585599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JPH09307287A (ja) 部品の吸着装置
JP4047608B2 (ja) 実装機
KR102203392B1 (ko) 라우팅장치
KR100573394B1 (ko) 미소칩 감지 시스템
KR20030090906A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
JPH11135989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271662B1 (ko) 표면실장기의표면실장부품실장장치및그실장방법
KR19980072833A (ko) 표면실장기의 부품 인식장치 및 그 실장방법
JP3848872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0399020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KR100363904B1 (ko) 표면실장기에서 노즐의 회전이 방지되는 노즐장치
JP3397093B2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KR100490840B1 (ko) 마운터 헤드의 노즐
JP3449193B2 (ja) 導電性ボールの移載装置および移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