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858B1 -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조인트 및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조인트 및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858B1
KR102200858B1 KR1020157034245A KR20157034245A KR102200858B1 KR 102200858 B1 KR102200858 B1 KR 102200858B1 KR 1020157034245 A KR1020157034245 A KR 1020157034245A KR 20157034245 A KR20157034245 A KR 20157034245A KR 102200858 B1 KR102200858 B1 KR 10220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pipe section
flange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078A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6000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단부 부분은 칼라(3, 4)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지고, 나사(17) 및 너트(18) 등의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9, 10)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는 성형 수단(F)에 의한 성형에 의해 파이프 섹션의 단부의 벽으로부터 형성된다.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조인트 및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METHOD FOR FORMING A PIPE JOINT, PIPE JOINT AND FLANGE PART ARRANG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한정된 바와 같은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의 단부 부분(단부 부분은 칼라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져, 나사 및 너트와 같은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12의 전제부에 한정된 바와 같은 파이프 조인트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상기 조인트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의 단부 부분(단부 부분은 칼라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져, 나사 및 너트와 같은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트 섹션의 단부는 성형 수단의 성형에 의해 파이트 섹션의 단부의 벽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23의 전제부에 한정된 바와 같은,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플랜지 조인트는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단부와 단부를 맞대어 함께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함께 결합될 두 파이프의 양단부에 칼라가 있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칼라는 파이프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그 칼라의 위에는 플랜지 부분이 놓인다.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의 칼라는 플랜지 사이에서 유지된다. 플랜지에는 구멍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나사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조정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조인트는 너트 수단으로 조여진다. 칼라를 형성하기 위한 많은 대안이 있다. 하나의 전형적인 방법은 미국 특허 4,905,492에 칼라가 두 단계로 형성되는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파이프의 단부는 초기에 대략 35-40도의 각도로 확장되고, 그 이후에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90도로 확장된다. 공보 WO2006045887에는 파이프 조인트가 공지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의 단부 부분과, 접합부에 대하여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이며, 나사 및 너트와 같은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단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칼라를 가진다. 상기 공보에서, 플랜지 부분은, 적어도 조인트가 조여질 때, 칼라의 쇼울더에 대하여, 가장 적절하게는 실질적으로 그 후방 표면에 대하여 적응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직선 파이프 조인트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0-10도의 작은 변위가 조인트 주변에서 일어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특히, 조인트의 플랜지 부분 배열장치에 대한 요구사항 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조인트에 의해, 작은 각도 변위가 조인트 주변에서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해결책을 성취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섹션의 단부의 칼라링에 의해 각도 변위가 연결부 주변에서 발생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성취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필요하다면, 각도 변위가 설치 단계에서 조절될 수 있는, 파이프 조인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해결책을 성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칼라를 가지는 파이프 조인트에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성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파이프 조인트는, 파이프 섹션의 칼라링이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 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각도로 형성되는 개념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 및/또는 플랜지 부분을 센터링(centering)하기 위하여, 파이프 섹션의 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의 지지 표면에 배치장치가 배치되는 개념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가 성형 수단에 의한 성형에 의해 파이프 섹션의 단부 벽으로부터 형성되며, 연결될 파이프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의 조인트 표면이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각도만큼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청구항 2-11에 언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는, 연결될 파이프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의 조인트 표면이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각도만큼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는 또한 청구항 13-22에 언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주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가,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파이프 섹션의 칼라의 지지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하나의 파이프 섹션과 접촉하여 있도록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또한 청구항 24-28에 언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여러 중요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에 의해, 주로 작은 각도 변위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파이프 라인에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연결될 파이프 섹션의 단부에 칼라를 배치함에 의해, 상기 칼라의 조인트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어긋나며, 조인트 구성요소는 각도 변위를 효과적으로 얻게 된다. 조인트에 의해 함께 결합될 양 파이프 섹션에 칼라를 배치함에 의해, 칼라의 조인트 표면이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어긋나게 되며, 각도 변위의 크기 및/또는 방향이 연결부에서 서로에 대해 하나 또는 두 개의 파이프 섹션의 회전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해결책이 성취된다. 접합부에서의 플랜지 반부와 파이프 섹션은 플랜지 부분에, 예를 들면, 파이프 섹션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는 결합 부분에, 지지 표면을 배치함에 의해 센터링될 수 있다. 칼라의 지지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플랜지 부분에, 예를 들면 결합 표면에 배치된 지지 표면에, 센터링 요소를 사용함에 의해,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의 상호 센터링이 달성되며, 이로 인해, 조인트의 품질이 향상되고 장착 작업이 더 용이하게 성취된다. 세그먼트로 형성된 플랜지 부분을 이용함에 의해, 또한 파이프 조인트의 조립을 현저하게 개선하고 촉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도움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의 칼라의 형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일부 파이프 섹션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3c의 라인 Ⅲa-Ⅲa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c의 라인 Ⅲb-Ⅲb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a의 화살표(A)를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3d는 도 3a의 Ⅲd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3e는 도 3b의 Ⅲe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4c의 라인 Ⅳa-Ⅳa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c의 라인 Ⅳb-Ⅳb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4c는 도 4a의 화살표(A)를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4d는 도 4a의 Ⅳd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e는 도 4b의 Ⅳe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5c의 라인 Ⅴa-Ⅴa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5c의 라인 Ⅴb-Ⅴb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5c는 도 5a의 화살표(A)를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5d는 도 5d의 Ⅴd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5e는 도 5b의 Ⅴe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c의 화살표(B)를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7a는 조인트를 형성하기 전의, 도 7c의 라인 Ⅶa-Ⅶa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을 나타낸다.
도 7b는 조인트를 형성하기 전의, 도 7c의 라인 Ⅶb-Ⅶb의 단면을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을 나타낸다.
도 7c는 조인트를 형성하기 전의, 도 7a의 화살표(A)를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을 나타낸다.
7d는 도 7a의 Ⅶd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7e는 도 7b의 Ⅶe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섹션(1)의 단부의 칼라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배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단순화하여 도시한다. 칼라의 형성은 예를 들어 성형 수단(F)으로 실시되며, 그 구동 장치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도면에서 칼라의 형성을 위한 성형 수단(F)은 원추형 롤이며, 원추형 롤은 성형 축(R) 주변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칼라가 될 파이프 섹션(1)은 지지 부분 또는 지지 부분들(S)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 수단이 공지되어 있고, 이 수단으로 칼라는 파이프 상에서, 파이프의 종축을 횡단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 섹션(1)의 단부에 칼라(3)를 형성하기 위한 수많은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들은 예를 들어 공보 GB 2202022 A에 제시되어 있다.
본 특허 출원에 따른 해결책에서, 수직 평면에서 일정 각도로 어긋나는 칼라는 파이프 섹션(1)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는 성형 전에는 파이프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직각으로 있다. 도 1a에서 파이프 섹션(1)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이 성형 수단(F)의 성형 축(R)에 대하여 일정 각도(α)로 있는 방식으로, 칼라를 형성하는 단계에 배치된다. 파이프 섹션(1)의 단면의 벽인, 그 내부 표면은, 성형 수단(F)과 함께 작동하며, 이 경우 파이프 섹션(1)의 단면이 형성된다. 성형 수단은, 파이프 섹션의 단면이, 즉 벽이, 지지 부분(S)과 파이프 섹션의 단면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전형적으로 원뿔형으로 팽창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파이프 섹션(1)의 단면의 내부 표면을 따라 축(R) 주변에서 회전된다. 성형 헤드(F)는, 칼라가 될 파이프 섹션의 벽이 추가로 형성되고 성형 수단의 자세가 변경되거나, 또는 성형 수단이 대체되는 방식으로, 파이프 섹션에 대하여 이동되며, 이 경우 최종 단계에서, 성형 수단(F)은 지지 표면(S)에 대하여 가압되고, 이 경우 칼라(3)는 파이프 섹션(1)의 단부(도 1b)에 형성된다. 파이프 섹션(1)의 단부의 칼라링은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필수적인 것은 칼라가 파이프 섹션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칼라는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α)의 정도로 어긋난다는 것이다. 도면에 따른 칼라의 형성으로, 칼라(3)의 폭은 반경 방향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예에서, 파이프 섹션(1)의 칼라(3)의 폭은 바닥 부분에 비해 단면의 상부 부분에서 더 크다. 도 2a는 그 위에 칼라(3)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섹션(1)의 단부 부분의 단면을 보여준다. 칼라(3)는 파이프 섹션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섹션(1)의 칼라(3)의 조인트 표면(7)은 도면에서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α)의 정도로 어긋나 있다. 칼라(3)는 조인트 표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지지 표면(5)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α)는 0 - 6도의 영역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α)는 1 - 3도의 영역에 있다. 상기 각도는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것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2b는 칼라(4)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파이프 섹션(2)의 단부 부분의 단면을 보여준다. 제2 파이프 섹션(2)의 칼라(4)의 조인트 표면(8)은 도면에서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대해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β)의 정도로 어긋나 있다. 제2 파이프 섹션(2)의 칼라(4)는 조인트 표면(8)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지지 표면(6)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β)는 0 - 6도의 영역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β)는 1 - 3도의 영역에 있다. 상기 각도는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것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파이프 섹션(1, 2)은, 그들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을 마주하게 배치함에 의해, 그리고 조인트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예를 들면, 칼라의 지지 표면(5, 6)에서 작용하는 플랜지 부분(9, 10)을 배치함에 의해, 파이프 조인트, 더욱 특히는 플랜지 조인트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3a-3e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 부분(9)은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로부터 형성되었으며, 상기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는 결합 부분(13a-13e)에 의해 링-형 플랜지에 배치된다. 상기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와 결합 부분은 나사 수단(17) 및 너트 수단(18) 등의 조인트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플랜지 부분(10)은 플랜지 세그먼트(12a, 12b)로부터 형성되었으며, 상기 플랜지 세그먼트(12a, 12b)는 결합 부분(14a-14e)에 의해 링-형 플랜지에 배치된다. 조인트에서 플랜지 세그먼트를 사용함에 의해, 플랜지 부분은 칼라가 형성된 이후에도 조인트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a-3e에서, 파이프 섹션(1, 2)은 파이프 섹션의 단부에 형성된 칼라(3, 4)에 의해 파이프 섹션의 단부와 단부를 맞대어 서로 가압하여 플랜지 조인트와 함께 연결되었다. 파이프 섹션(1, 2)은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 예를 들면 칼라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플랜지 부분(9, 10)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플랜지 부분은 도면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랜지 수단을 통해 형성된 구멍(16)에 배치되어 있는 나사 수단(17) 및 너트 수단(18)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가압된다. 조인트의 다른 측 상의 플랜지 수단(9, 10)은 나사 수단(17)의 헤드와 너트 수단(18) 사이에서 유지된다.
도 3a-3e에서, 제1 파이프 섹션(1)의 칼라(3)의 조인트 표면(7)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α)의 정도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도 3a에서 파이프 섹션(1)의 종축(L)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파이프 섹션(2)의 칼라(4)의 조인트 표면(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β)의 정도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도 3a에서 파이프 섹션(2)의 종축(L)에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각도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에 대해 파이프 조인트에서 수직면 상에 얻어지며, 상기 각도는 제1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대하여 각도(α+ β)만큼 어긋나 있다. 각도(α)가 예를 들어 3도이고, 각도(β)가 3도이면, 6도인 전체 각도 변위가 파이프 조인트에서 얻어진다. 이 경우 파이프 섹션의 조인트 표면의 각도 편차는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수평면의 단면(도 3b)에서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은 각도 변위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파이프 섹션 사이의 각도 편차가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파이프 섹션(1, 2)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조인트를 얻을 수 있다. 도 4a-4e에서, 제1 파이프 섹션(1)은 도 3a-3e의 상황에 비해서, 90도의 회전 각도만큼 제2 파이프 섹션(2)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경우 파이프 섹션(1, 2)은 수직면(도 4a)에 각도 편차를 가지며, 이 각도 편차는 예를 들어, 각도(β)만큼, 그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파이프 섹션(2)의 조인트 표면(8)의 평면의 편차만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수평면(도 4b) 상에는, 제1 파이프 섹션이 각도 편차(α)를 갖는다. 도 6은 도 4c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부터 도 4a-4e의 파이프 조인트를 나타낸다. 도 7a-7e는 조인트를 형성하기 전의, 해당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플랜지 부분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을 제시한다.
도 5a-5e에서, 제1 파이프 섹션(1)은 도 4a-4e의 상황에 비해서, 90도의 회전 각도만큼(또는, 도 3a-3e의 상황에 비해서, 180도의 회전 각도만큼) 제2 파이프 섹션(2)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 파이프 섹션의 조인트 표면의 각도 편차(α)는 제2 파이프 섹션의 조인트 표면의 각도 편차(β)보다 도 5a의 수직 평면의 단면에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한다. 파이프 섹션(1, 2)의 길이방향에서의 각도 편차가 없으면, 조인트 평면은 파이프의 종축에 수직인 수직 평면에 대한 각도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에서, 조인트에 연결될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섹션(1, 2)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각도(α) 또는 각도(β)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파이프 조인트와 연결되는 작은 각도 변위를 구현하는 여러 기회가 성취된다. 본 발명은 파이프 섹션(1, 2)의 양단부를 제공함으로써 작은 각도 변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파이프 섹션(1,2)은 원래 "경사져" 있고, 예를 들면,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각도(α) 또는 각도(β)로 있는 칼라와 함께 직선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상기 단부 부분은 칼라(3, 4)를 가지며, 상기 칼라 중 적어도 하나는 파이프 섹션의 종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각도를 갖고 형성됨), 연결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에 놓여져, 나사(17) 및 너트(18) 등의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9, 10)으로 형성된다.
조인트를 형성할 때, 접합부의 포인트에서의 파이프 섹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각도 변위와, 상기 변위의 크기 및/또는 각도 변위의 방향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이프 섹션의 칼라의 조인트 표면 모두가 종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어긋나는 각도로 배치될 때, 파이프 섹션 또는 파이프 섹션들을 접합부에서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킴에 의해(조인트를 체결하기 전에), 접합부의 전체 각도 편차 및/또는 방향에 따라 작용할 수 있다.
플랜지 부분은 환형, 바람직하게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 부는 전형적으로 칼라의 형성 전에,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파이프 섹션 상에 나사체결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9)은 세그먼트(11a, 11b; 12a, 12b)로 형성된다. 조인트에서 세그먼트(11a, 11b; 12a, 12b) 사용함에 의해, 칼라가 형성되고 난 후에도, 플랜지 부분이 조인트에 장착될 수 있다.
세그먼트로 형성된 플랜지 부분을 사용하는 경우, 조인트는 적어도 두 개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포함하며, 이것으로 플랜지 부분의 세그먼트(11a, 11b; 12a, 12b)가 링에 결합한다.
조인트는,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조인트의 상이한 체결 요소를 체결하는 것은 파이프 섹션을 상호 센터링하게 한다.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l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포함하며, 이것으로 플랜지 부분(9, 10)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가 링에 결합된다.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와 두 개의 바인딩 부분이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 부분은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와 두 개의 바인딩 부분으로 형성된다. 또한, 두 개 이상의 플랜지 세그먼트 및/또는 바인딩 부분이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파이프 섹션(1, 2) 측 상에서 플랜지 부분(9, 10)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벽(lu, 2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다. 이러한 배치는, 특히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과 파이프 섹션의 길이방향 벽의 외부 표면(lu, 2u) 사이의 전이 포인트에 굽어진 섹션이 있기 때문이다. 플랜지 세그먼트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벽의 외부 표면(lu, 2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며, 여기서 칼라의 굽어진 섹션과 파이프 섹션의 벽의 외부 표면은 더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경우, 플랜지 세그먼트는 특히 파이프 섹션의 벽과 칼라의 지지 표면의 전이 포인트의 곡률에 대응하게 형성될 필요가 없다. 체결시에, 상기 플랜지 부분은 칼라의 지지 표면에 대해 효과적으로 가압된다.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에 대하여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l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한다. 이들 도면의 실시예에서, 지지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표면을 향하는 바인딩 부분의 표면이다.
조인트의 각 파이프 섹션(1, 2)의 측면에는, 파이프 섹션의 외부 표면(l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이 있다.
조인트의 각 파이프 섹션(1, 2)의 측면에는, 파이프 섹션의 외부 표면(l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이 있다.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도면의 실시예에서 굽어진 플레이트 부분이며, 반경 방향으로의 그 높이는, 도면의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의 높이보다 어느 정도 더 크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바인딩 부분의 두께는 플랜지 세그먼트의 두께보다 어느 정도 더 작다.
슬롯(16), 개구 또는 이에 상당하는 이징(easings)이 주로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도 3a-5e에서 노치(19)는 구멍(16)과 플랜지 부분의 외부 림 사이에서 플랜지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 7a-7e는 명확성을 위해, 조인트의 형성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에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 섹션(1, 2)을 나타낸다. 도 7a-7e에서, 제1 파이프 섹션(1)은 도 3a-3e의 상황에 비하여 제2 파이프 섹션(2)에 대하여 90도의 회전 각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경우 파이프 섹션(1, 2)은 수직면(도 7a) 상에 각도 편차를 가지며(도 7a), 상기 각도 편차는 예를 들어 각도(β)만큼 그 종축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파이프 섹션(2)의 조인트 표면(8)의 평면의 편차로만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수평면(도 7b) 상에서는, 제1 파이프 섹션이 각도 편차(α)를 갖는다. 도 7c, 및 도 7d 및 7e는 칼라(3, 4)의 편차 및 반경 방향의 그들 높이의 변화를 또한 나타낸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에 대한 자신의 요건을 설정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단부 부분은 칼라(3, 4)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지고, 나사(17) 및 너트(18) 등의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9, 10)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법에서,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는 성형 수단(F)에 의한 성형에 의해 파이프 섹션의 단부의 벽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될 제1 파이프 섹션(1)의 단부에 형성된 칼라(3)의 조인트 표면(7)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될 제2 파이프 섹션(2)의 단부에 형성된 칼라(4)의 조인트 표면(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크기는, 조인트의 체결 전에, 접합부에서 서로에 대한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방향은, 조인트의 체결 전에, 접합부에서 서로에 대한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로부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4)의 조인트 표면(9, 10)은 파이프 섹션(1, 2)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각도는 0.5 - 10도 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19), 개구 또는 이에 상당하는 이징(easings)이 주로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 부분(9, 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9, 10) 및 체결 수단(17, 18)은 조인트에 직접 장착되는 완전한 패키지로서 배치된다.
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께 연결될 파이프 섹션(1, 2)은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연결될 파이프 섹션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상호 센터링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가 링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프 조인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상기 단부 부분은 칼라(3, 4)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져, 나사(17) 및 너트(18)와 같은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파이프 섹션(1, 2)의 칼라(3, 4)는 성형 수단(F)에 의한 성형에 의해 파이트 섹션의 단부의 벽으로부터 형성된다.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될 파이프 섹션(1)의 단부에 형성된 칼라(3)의 조인트 표면(7)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될 파이프 섹션(2)의 단부에 형성된 칼라(4)의 조인트 표면(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크기는 조인트의 체결전에, 접합부에서의 서로에 대하여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방향은 조인트의 체결전에, 접합부에서의 서로에 대하여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로부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1, 2)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각도는 0.5 - 10도 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16), 개구 또는 이에 상당하는 이징(easings)이 주로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 부분(9, 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9, 10) 및 체결 수단(17, 18)은 조인트에 직접 장착되는 완전한 패키지로서 배치된다.
본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는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연결될 파이프 섹션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가 링에 결합된다.
조인트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섹션(1, 2) 측 상의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벽(1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다.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에 대하여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단부 부분은 칼라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져, 나사 및 너트 등의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으로 형성된다.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연결될 파이프 섹션(1, 2)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로부터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더 포함하며, 이것으로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가 링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섹션(1, 2) 측 상의 플랜지 부분(9, 10)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고,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에 대하여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표면(23a, 23b; 24a, 24b) 중 적어도 하나는 조인트의 각각의 파이프 섹션(1, 2)의 측면 상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표면(23a, 23b; 24a, 24b) 중 적어도 두 개는 조인트의 각각의 파이프 섹션(1, 2)의 측면 상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또는 제 1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에 제시된 것, 또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제시된 것에 따라, 본 방법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부분, 플랜지 수단, 세그먼트는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와 같이, 응용에 필요한 요건을 충족하는 원하는 재료로부터 다이-절단 또는 레이저 절단 등으로 절단하여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 청구범위 내에서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임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하다. 가능하게는 다른 특징적인 구성과 함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특징적인 구성은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상기 단부 부분은 칼라(3, 4)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지고, 나사(17) 및 너트(18) 등의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9, 10)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는 성형 수단(F)에 의한 성형에 의해 파이프 섹션의 단부의 벽으로부터 형성되며,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되고,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은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상호 센터링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은 상기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고,
    상기 파이프 섹션(1, 2) 측 상의 플랜지 부분(9, 10)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고,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에 대하여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는 상기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크기는, 상기 조인트의 체결 전에, 접합부에서 서로에 대한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방향은, 조인트의 체결 전에, 접합부에서 서로에 대한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11b; 12a, 12b)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상기 파이프 섹션(1, 2)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각도는 0.5 -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슬롯(19) 또는 개구는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플랜지 부분(9, 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9, 10) 및 체결 수단(17, 18)은 조인트에 직접 장착되는 패키지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은 상기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가 링 모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2. 파이프 조인트로서,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상기 단부 부분은 칼라(3, 4)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상기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져, 나사(17) 및 너트(18)와 같은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9, 10)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섹션(1, 2)의 칼라(3, 4)는 성형 수단(F)에 의한 성형에 의해 파이트 섹션의 단부의 벽으로부터 형성되는, 파이프 조인트에 있어서,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는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고,
    상기 파이프 섹션(1, 2) 측 상의 플랜지 부분(9, 10)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고,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에 대하여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는 상기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항에 있어서,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크기는 조인트의 체결전에, 접합부에서의 서로에 대하여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16. 제 12항에 있어서, 조인트의 파이프 섹션(1, 2)에 의해 발생된 결합 각도 편차의 방향은 조인트의 체결전에, 접합부에서의 서로에 대하여 파이프 섹션(1, 2)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섹션(1, 2)의 적어도 하나의 칼라(3, 4)의 조인트 표면(7, 8)은, 파이프 섹션(1, 2)의 종축(L)에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각도(α, β)만큼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각도는 0.5 -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19. 제 12항에 있어서, 슬롯(16) 또는 개구는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 부분(9, 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9, 10) 및 체결 수단(17, 18)은 조인트에 직접 장착되는 패키지로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가 링 모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23.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로서, 상기 파이프 조인트는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의 단부 부분(상기 단부 부분은 칼라를 가짐)과, 접합부에서 볼 때, 칼라의 다른 측면에 놓여져, 나사(17) 및 너트(18) 등의 적용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체결되는 플랜지 부분(3, 4)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적어도 조인트의 체결 단계에서, 적어도 접합부에서, 함께 결합될 파이프 섹션(1, 2)을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은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의 지지 표면(5, 6)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표면(1u, 2u)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고,
    상기 파이프 섹션(1, 2) 측 상의 플랜지 부분(9, 10)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내부 림(21a, 21b; 22a, 22b)은 파이프 섹션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고, 파이프 섹션의 칼라(3, 4)에 대하여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으로부터 가이드를 수용하는 상기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플랜지 부분(9, 10)은 적어도 두 개의 플랜지 세그먼트(11a, l1b; 12a, 12b)로부터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바인딩 부분(13a, 13b; 14a, 14b)을 더 포함하며, 이것으로 상기 플랜지 부분(9, 10)의 세그먼트(11a, l1b; 12a, 12b)가 링 모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23a, 23b; 24a, 24b)은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26. 제 23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23a, 23b; 24a, 24b) 중 적어도 하나는 조인트의 각각의 파이프 섹션(1, 2)의 측면 상에서, 파이프 섹션(1, 2)의 외부 벽(1u, 2u)과 접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27. 삭제
  28. 제 23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는, 제 1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 12항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를 위한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KR1020157034245A 2013-05-03 2014-04-29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조인트 및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KR102200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35464 2013-05-03
FI20135464A FI124788B (fi) 2013-05-03 2013-05-03 Putkiliitos ja laippaosajärjestely putkiliitosta varten
PCT/FI2014/050310 WO2014177766A1 (en) 2013-05-03 2014-04-29 Method for forming a pipe joint, pipe joint and flange part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078A KR20160005078A (ko) 2016-01-13
KR102200858B1 true KR102200858B1 (ko) 2021-01-11

Family

ID=5184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245A KR102200858B1 (ko) 2013-05-03 2014-04-29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조인트 및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34063B2 (ko)
EP (1) EP2992263B1 (ko)
JP (1) JP6426710B2 (ko)
KR (1) KR102200858B1 (ko)
CN (1) CN105339716B (ko)
AU (1) AU2014261258B2 (ko)
CA (1) CA2910487C (ko)
ES (1) ES2955948T3 (ko)
FI (1) FI124788B (ko)
RU (1) RU2659846C2 (ko)
WO (1) WO2014177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38B1 (ko) * 2015-11-23 2016-09-06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26A (en) * 1910-11-29 Olaf E Oleson Pipe-coupling.
US674928A (en) * 1900-03-22 1901-05-28 Castner Electrolytic Alkali Company Pipe-coupling.
GB410600A (en) * 1933-04-10 1934-05-24 Alfred Lenze Pipe connection
US3332710A (en) * 1966-08-03 1967-07-25 Chevron Res Flanged pipes with low clamping stress
NO125950B (ko) 1968-08-29 1972-11-27 B Lund
US3780421A (en) * 1970-08-20 1973-12-25 Hydrotech Services Method of joining pipes in a hostile environment
US3742590A (en) * 1970-09-25 1973-07-03 Dow Chemical Co Method for making improved lined conduit joints
DE3341044A1 (de) * 1983-11-12 1985-05-30 Deutsche Gesellschaft für Wiederaufarbeitung von Kernbrennstoffen mbH, 3000 Hannover Zentriervorrichtung fuer zusammenkuppelbare rohrleitungsteile
FI89137C (fi) 1987-02-24 1993-08-25 Gs Hydro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rma en krage vid aendan av ett metallroer i vaesentligen raet vinkel i foerhaollande till roerets laengdriktning
FI870983A (fi) 1987-03-05 1988-09-06 Gs Hydro Oy Flaensad aendfog och en daeri tillaemplig flaens.
DE3717989A1 (de) 1987-05-27 1988-12-08 Bischoff Erhardt Gmbh Co Kg Flansch zur befestigung von rohren
JPH07145891A (ja) 1993-11-25 1995-06-06 Sekisui Chem Co Ltd 自在継手
US5421623A (en) * 1994-05-26 1995-06-06 Cassin; Allen E. Friction sealed coupling for pipe
JPH11210957A (ja) 1998-01-27 1999-08-06 Akimitsu Maruyama 継 手
US6467811B2 (en) * 2000-08-10 2002-10-22 Omega Multi National Flanged connection repair device and method
SE524724C2 (sv) * 2001-12-28 2004-09-21 Verax Engineering Ab Flänsförsett element försedd med en i radiell riktning konkav ändyta samt förband innefattande flänsförsedda element
DE10215112C1 (de) 2002-04-05 2003-09-25 Meinig Metu System Stossverbindung zwischen zwei Rohrabschnitten aus Blech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144049B2 (en) * 2004-05-04 2006-12-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pherical flange assembly
JP4559774B2 (ja) * 2004-06-10 2010-10-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フレア付き鋼管、鋼管継手、鋼管杭、鋼管柱とフレア付き鋼管の製造方法
FI118095B (fi) 2004-10-29 2007-06-29 Maricap Oy Putkiliitos
IL183868A (en) * 2007-06-12 2011-08-31 Eliezer Krausz Multi-angle joint
JP4551462B2 (ja) * 2008-03-24 2010-09-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のシール性改善方法、フレア部端面角度制御方法、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用鋼管、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用鋼管の製造方法及び鋼管の接合方法
KR100910340B1 (ko) 2009-04-13 2009-08-04 (주)케이아이티 상수도관 연결구조
JP5384417B2 (ja) 2010-04-06 2014-01-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用鋼管、ルーズフランジ式フレア管継手用鋼管の製造方法及び鋼管の接合方法
JP5616715B2 (ja) * 2010-08-09 2014-10-29 ノーラ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配管の施工確認方法
CN201909128U (zh) 2011-01-24 2011-07-27 宏岳塑胶集团有限公司 组合式法兰盘
GB201102369D0 (en) * 2011-02-10 2011-03-30 Equalizer Internat Ltd Apparatus and method
CN202532062U (zh) 2012-03-28 2012-11-14 福建绿源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具有可转动法兰盘的连接管
FI125207B (fi) * 2013-10-08 2015-07-15 Gs Hydro Oy Menetelmä kiinnityskauluksen muodostamiseksi ja laippaliit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0487C (en) 2021-09-21
US20160116092A1 (en) 2016-04-28
AU2014261258A1 (en) 2015-11-26
ES2955948T3 (es) 2023-12-11
EP2992263A4 (en) 2017-04-12
FI20135464A (fi) 2014-11-04
CN105339716B (zh) 2018-06-12
CA2910487A1 (en) 2014-11-06
AU2014261258B2 (en) 2017-12-14
EP2992263B1 (en) 2023-08-09
JP2016524677A (ja) 2016-08-18
CN105339716A (zh) 2016-02-17
RU2015151603A (ru) 2017-06-08
RU2659846C2 (ru) 2018-07-04
FI124788B (fi) 2015-01-30
JP6426710B2 (ja) 2018-11-21
AU2014261258A2 (en) 2015-12-10
EP2992263C0 (en) 2023-08-09
US10234063B2 (en) 2019-03-19
RU2015151603A3 (ko) 2018-04-26
KR20160005078A (ko) 2016-01-13
WO2014177766A1 (en) 2014-11-06
EP2992263A1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433B1 (ko) 파이프 조인트
KR102200858B1 (ko) 파이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조인트 및 플랜지 부분 배치장치
JP2017223071A (ja) 鋼製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20170015872A (ko) 철골 보 접합부 시공방법
KR101533831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JP2010065478A (ja) 補鋼材付き鋼管の製造方法
JP2006291531A (ja) 柱・梁接合部構造
JP5391941B2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及び該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の継手構造
JP2010174557A (ja) 鉄筋の組立構造および組立方法
KR20200033296A (ko) 풍력 터빈-타워용 풍력 터빈-강철 타워 섹션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338875A1 (en) Elbow-equipped expansion joint
JP5706731B2 (ja) 柱部材の接続構造および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
JP6238695B2 (ja) 鋼管矢板基礎工法
JP6336773B2 (ja) 山留めh形鋼杭の接合構造および建込み方法
JP2006291551A (ja) 杭の継手構造
JP2006291543A (ja) 鋼管の継手構造
KR101665815B1 (ko) 구조물 시스템
JP4296546B2 (ja) 柱建方用治具
JP6259702B2 (ja) 煙突のサポート装置
JP3168839U (ja) 溶接用裏当金
JP5455751B2 (ja) テーパー鋼管杭の連結構造
JP2017106345A (ja) 風車タワーの組み立て方法
JPH10266339A (ja) 鋼管柱梁接合用金物
JP2018035562A (ja) 鋼製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