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815B1 - 구조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815B1
KR101665815B1 KR1020140189035A KR20140189035A KR101665815B1 KR 101665815 B1 KR101665815 B1 KR 101665815B1 KR 1020140189035 A KR1020140189035 A KR 1020140189035A KR 20140189035 A KR20140189035 A KR 20140189035A KR 101665815 B1 KR101665815 B1 KR 101665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junction
hole
junction node
n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809A (ko
Inventor
정경수
정진안
최인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8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2001/386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for foam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골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조부재; 상기 구조부재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접합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는, 노드본체와, 상기 노드본체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인 공간부를 구비하는 접합노드유닛; 및, 상기 노드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을 연결하는 삽입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삽입강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합노드에 설치되는 상기 구조부재의 결합각도가 설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노드본체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관통홀과, 상기 노드본체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강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2차 부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구조부재의 접합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시스템{STRUCTURE SYSTEM}
본 발명은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작업을 생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외피구조는 통상적으로 시공의 편의성에 의해 직선 형상의 프레임을 갖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의 다양한 형태와 자유로운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곡면 형태의 시공을 요구하고 있다.
구조물의 외부구조를 이루는 구조부재로부터 접합노드로 축력과 모멘트가 복합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접합노드와 구조부재의 접합부분은 이러한 외피구조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이며, 자중절감 및 시공성 확보를 위한 형상 구현이 핵심적인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주물재로 접합노드를 제작하거나, 용접방식에 의해 접합노드를 제작하여 왔다.
하지만, 주물재로 접합노드를 제작할 경우, 구조부재 간의 접합에 대한 접합노드의 형상에 따라 각각 주물형틀을 제작하여야 하는 점에서 접합노드의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용접방식에 의해 접합노드를 제조할 경우에는 접합노드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각각 용접해야 하는바,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합노드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접합노드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각각 용접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접합노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공장생산을 통해 접합노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현장에서의 용접량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노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골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조부재; 상기 구조부재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접합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는, 노드본체와, 상기 노드본체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인 공간부를 구비하는 접합노드유닛; 및, 상기 노드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을 연결하는 삽입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삽입강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합노드에 설치되는 상기 구조부재의 결합각도가 설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노드본체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관통홀과, 상기 노드본체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강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2차 부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구조부재의 접합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노드본체는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형태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골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조부재; 상기 구조부재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접합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는, 노드본체와, 상기 노드본체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인 공간부를 구비하는 접합노드유닛; 및, 상기 노드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을 연결하는 삽입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삽입강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합노드에 설치되는 상기 구조부재의 결합각도가 설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노드본체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관통홀과, 상기 노드본체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강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2차 부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구조부재의 접합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접합노드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구조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공간부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노드를 후물재를 절단하여 형성함으로써, 접합노드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각각 용접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화된 접합노드유닛을 연결하여 접합노드를 구성함으로써, 공장생산을 통해 품질의 향상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공기 단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합노드유닛이 삽입강재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접합노드와 구조부재를 활용하여 지붕시스템, 건물의 외피구조 등 구조물을 형성시, 접합노드에 설치되는 구조부재의 결합각도가 시공현장에서 결정될 수 있어,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노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방향의 단면도로서, 삽입강재가 설치되기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방향의 단면도로서, 삽입강재가 설치되기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접합노드의 일 구성인 다양한 형태의 접합노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접합노드와 구조부재의 접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노드(2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노드(20)는 접합노드유닛(100) 및, 삽입강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노드(20)는 구조부재(10)의 연결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접합노드(20)는 2 이상의 접합노드유닛(10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노드(20)는 노드본체(110)와, 상기 노드본체(110)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접합노드유닛(100)을 포함하고,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노드유닛(100)은 노드본체(110)와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본체(110)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1)은 노드본체(1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111)은 노드본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1)은 노드본체(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노드본체(110)의 높이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드본체(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관통홀(115)과, 하부관통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드본체(110)에 관통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접합노드(20)의 구조적 하중성능과 무관한 부분에 관통부를 형성할 경우, 접합노드(20)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재(130)는 노드본체(110)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부재로서, 인접한 지지부재(130)가 형성하는 공간부(150)에는 구조부재(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노드유닛(100)은 삽입강재(200)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100) 상호 간에 용접 접합되는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접합노드유닛(100)은 후물재를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는다.
주로 두께가 6 mm 이상 되는 두꺼운 철판을 후판이라고 하고 이를 후물재라고도 하는데, 너무 두꺼운 강판의 경우 이를 후물재라고 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후물재는 6 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접합노드(20)를 용접방식에 의해 접합노드(20)를 제조하여 접합노드(2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각각 용접해야 하는바,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접합노드(20)를 후물재를 절단하여 형성함으로써, 접합노드(20)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각각 용접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노드(20)는 적어도 2 이상의 접합노드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은 노드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에 삽입강재(200)가 삽입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접합노드(2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강재(200)는,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관통홀(111)이 연통되어 형성되는 연통관통홀(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강재(200)의 길이는 상기 연통관통홀(113)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연통관통홀(113)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에 설치되는 2차부재의 설치공간(170)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2차부재(30)는 접합노드(2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부재(10) 이외의 건물의 외피구조를 형성하는 마감부재 등을 일 수 있다.
연통관통홀(113)은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노드유닛(100)은 상기 삽입강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접합노드유닛(100)과 삽입강재(200)를 구비하는 접합노드(20)를 활용하여 구조부재(10)를 연결시, 접합노드유닛(100)과 삽입강재(200)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결합되는 구조부재(10)의 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접합노드유닛(10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합노드유닛(100)이 삽입강재(200)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접합노드(20)와 구조부재(10)를 활용하여 지붕시스템, 건물의 외피구조 등 구조물을 형성시, 접합노드(20)에 설치되는 구조부재(10)의 결합각도가 시공현장에서 결정될 수 있어,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본체(110)는 상기 관통홀(111)을 둘러싸는 형태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본체(11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될 경우, 원형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곡률에 의해 구조부재(10)에서 전달된 하중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구조부재(10)의 접합단부를 곡면으로 가공되어야 하는 점에서 노드본체(110)와 구조부재(10)의 연결부분의 가공이 난해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본체(110)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될 경우, 접속되는 구조부재(10)의 접합단부의 가공을 곡면이 아닌 직선으로 가공할 수 있어, 노드본체(110)와 구조부재(10)의 연결부분의 가공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노드유닛(100)은 상부관통홀(115)과 하부관통홀(117)을 구비할 수 있다.
접합노드유닛(100)은 상기 노드본체(11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관통홀(115)과, 상기 노드본체(110)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관통홀(11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강재(200)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의 하부관통홀(117)과, 하측에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100)의 상부관통홀(115)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의 상부관통홀(115)과,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의 하부관통홀(117)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2차부재의 설치공간(170)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2차부재(30)는 접합노드(20)에 연결되는 구조부재(10) 이외의 건물의 외피구조를 형성하는 마감부재일 수 있다.
접합노드(20)는 복수 개의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100)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110)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130)의 수가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접합노드유닛(100)은 노드본체(110)에서 분기되는 지지부재(130)의 수가 6개이고, 도 5의 (c)에 도시된 접합노드유닛(100)은 노드본체(110)에서 분기되는 지지부재(130)의 수가 4개이다.
이와 같이, 도 5의 (a) 및 (c)에 도시된 접합노드유닛(100)을 조합시, 접합노드유닛(100)에서 설치되는 구조부재(10)의 수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100)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110)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130)의 둘레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우선,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노드유닛(100)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110)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130)의 둘레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30)는, 노드본체(110)에서 둘레방향으로 분기되는 길이가 짧은 제1 지지부재(131)와, 노드본체(110)에서 둘레방향으로 분기되는 길이가 제1 지지부재(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제2 지지부재(1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30)의 둘레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접합노드유닛(100)에 설치되는 구조부재(10) 중 어느 일부가 다른 구조부재(10)에 비해 폭이 클 경우, 폭이 큰 구조부재(10)와의 연결부분을 제2 지지부재(132)를 통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조물 시스템(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시스템(1)은 복수 개의 구조부재(10)와 복수 개의 접합노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2차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시스템(1)은 기본골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조부재(10)와, 상기 구조부재(10)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부재(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접합노드(2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구조부재(10)와 복수 개의 상기 접합노드(20)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10)는,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의 상기 지지부재(1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0)에 상기 구조부재(10)의 접합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접합노드유닛(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50)에 동일한 크기의 구조부재(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10)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100)의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공간부(15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접합노드(20)에 설치되는 구조부재(10)는 적어도 2 이상의 접합노드유닛(100)의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150)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1 구조부재(11)와, 하나의 접합노드유닛(100)에 설치되는 제2 구조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조부재(11)는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150)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이므로, 2개의 공간부(150) 전체에 제1 구조부재(11)가 연결되는 형태와, 2개의 공간부(150)의 일부에 제1 구조부재(11)가 걸쳐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시스템(1)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접합노드(20) 및, 구조부재(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구조물 시스템(1)에서 활용되는 접합노드(20) 및, 구조부재(1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물 시스템(1)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구조물 시스템 10: 구조부재
11: 제1 구조부재 13: 제2 구조부재
20: 접합노드 30: 2차부재
100: 접합노드유닛 110: 노드본체
111: 관통홀 113: 연통관통홀
115: 상부관통홀 117: 하부관통홀
130: 지지부재 131: 제1 지지부재
132: 제2 지지부재 150: 공간부
170: 2차부재의 설치공간 200: 삽입강재

Claims (13)

  1. 기본골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조부재;
    상기 구조부재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접합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는,
    노드본체와, 상기 노드본체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인 공간부를 구비하는 접합노드유닛; 및,
    상기 노드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을 연결하는 삽입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삽입강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합노드에 설치되는 상기 구조부재의 결합각도가 설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노드본체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관통홀과, 상기 노드본체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강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2차 부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구조부재의 접합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접합노드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수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본체는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형태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기본골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구조부재;
    상기 구조부재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접합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는,
    노드본체와, 상기 노드본체에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부재가 삽입되는 영역인 공간부를 구비하는 접합노드유닛; 및,
    상기 노드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을 연결하는 삽입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삽입강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접합노드에 설치되는 상기 구조부재의 결합각도가 설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은,
    상기 노드본체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관통홀과, 상기 노드본체의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강재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부관통홀과,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하부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2차 부재의 설치공간으로 활용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상기 공간부에 상기 구조부재의 접합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접합노드유닛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합노드유닛 중 일부는 상기 노드본체에서 분기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접합노드유닛의 적어도 2 이상의 상기 공간부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시스템.
KR1020140189035A 2014-12-24 2014-12-24 구조물 시스템 KR101665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035A KR101665815B1 (ko) 2014-12-24 2014-12-24 구조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035A KR101665815B1 (ko) 2014-12-24 2014-12-24 구조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809A KR20160078809A (ko) 2016-07-05
KR101665815B1 true KR101665815B1 (ko) 2016-10-13

Family

ID=5650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035A KR101665815B1 (ko) 2014-12-24 2014-12-24 구조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8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672Y1 (ko) * 2006-09-27 2006-12-06 박상목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KR101052076B1 (ko) * 2011-01-10 2011-07-27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KR101205381B1 (ko) * 2012-09-21 2012-11-27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3차원 외벽 프레임용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341B1 (ko) * 2011-05-11 2012-12-13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싱글 레이어 프리폼 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672Y1 (ko) * 2006-09-27 2006-12-06 박상목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KR101052076B1 (ko) * 2011-01-10 2011-07-27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KR101205381B1 (ko) * 2012-09-21 2012-11-27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3차원 외벽 프레임용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809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368218B1 (ko) 내부 보강구조를 가진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CN104428472A (zh) 复合结构
JP6888970B2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及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の施工方法
JP2016153598A (ja) 組立式コンクリート柱およびその接合方法
KR101865376B1 (ko) 일체형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cft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cft기둥
JP6535704B2 (ja) 柱梁架構
KR101750177B1 (ko)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KR101665815B1 (ko) 구조물 시스템
KR102276624B1 (ko) 사선형 내다이어프램이 설치된 cft 기둥구조
JP2010174557A (ja) 鉄筋の組立構造および組立方法
JP6508866B2 (ja) 柱梁架構
JP6466196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1750176B1 (ko) 분리 독립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내력 증가 시공방법
KR101641334B1 (ko) 조립식 라운드 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공법
CN110258819B (zh) 一种钢筋混凝土柱与无梁楼盖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JP6567368B2 (ja)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14227688A (ja) 杭の継手部構造
JP5344702B2 (ja) 柱とスラブの接合構造
JP5759317B2 (ja) 梁と柱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部材
JP690274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の柱と梁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505657B1 (ko) 보부재의 보강구조 및 보부재의 보강방법
JP2020020170A (ja) 足場構造体のための連結装置
JP6188323B2 (ja) 梁のピン連結構造
KR102242105B1 (ko) 십자경사형 전단강재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