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05B1 -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05B1
KR102197405B1 KR1020190160633A KR20190160633A KR102197405B1 KR 102197405 B1 KR102197405 B1 KR 102197405B1 KR 1020190160633 A KR1020190160633 A KR 1020190160633A KR 20190160633 A KR20190160633 A KR 20190160633A KR 102197405 B1 KR102197405 B1 KR 102197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resin
compound
equivalent
weight
solid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헌
정연수
고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화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화성
Priority to KR102019016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6Di-epoxy compounds hetero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2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reparation process or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25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urification method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08G59/06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 C08G59/063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with epihalohydr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하여, 바이오 함량이 높고 분체 도료에 적용 가능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은 (a) 주쇄에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제1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화합물과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혼합한 후 용융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용융된 용융물에 촉진제를 첨가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d) 상기 용융물의 에폭시 당량무게(EEW)가 2,000g/eq 이하이면 필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당량무게(EEW)는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A 첨가량 + B 첨가량)/{(A 첨가량/A 당량 또는 A의 OH 당량)-(B 첨가량/B 당량 또는 B의 OH 당량)}]±10g/eq = 에폭시 당량무게(EEW)
A : 제1화합물, B :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

Description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SOLID PHASE EPOXY RESIN USING ECO-FRIENDLY BIOMASS-BASED ISOSORBIDE EPOXY RAW MATERIAL}
본 발명은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하여 분체 도료에 적용 가능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폭시 수지는 배선 기판, 회로 기판이나 이들을 다층화한 회로판, 반도체 칩, 코일, 전기 회로 등의 봉지 재료에 사용된다. 또는 에폭시 수지는 접착제, 도료, 섬유 강화 수지용의 수지로도 사용된다. 이처럼, 에폭시 수지가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적용에 필요한 경우 이들의 반응성에 따라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는 고체, 액체 또는 반고체일 수 있으며, 이들이 적용될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에폭시 수지의 반응성은 단일 반응성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수지의 분자량인 에폭시 당량의 관점에서 종종 측정된다. 에폭시 당량이 낮을수록 에폭시 수지의 반응성은 더 높다.
에폭시 수지라 함은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의 화학적인 단위로서 반드시 에폭시 결합을 갖고 있다. 에폭시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은 없으며, 경화제를 첨가하여 열경화성의 물질로 변화시킨 열경화성 중합체이다.
한편, 에폭시 수지, 희석제 및 경화제의 종류와 함량을 달리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지만, 종래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는 목표로 하는 물성 효과를 달성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에폭시 수지와 동등 수준 또는 그 이상의 물성 효과를 달성할수 있으면서도, 친환경적이어서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폭시 수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포함하여 분체 도료에 적용할 수 있는 친환경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원료에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첨가하여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은 (a) 주쇄에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제1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화합물과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혼합한 후 용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융된 용융물에 촉진제를 첨가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용융물의 에폭시 당량무게(EEW)가 2,000g/eq 이하이면 필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당량무게(EEW)는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A 첨가량 + B 첨가량)/{(A 첨가량/A 당량 또는 A의 OH 당량)-(B 첨가량/B 당량 또는 B의 OH 당량)}]±10g/eq = 에폭시 당량무게(EEW)
A : 제1화합물, B :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에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첨가하여 바이오 함량이 높은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를 출발원료로 채택함에 따라 친환경 바이오 매스 기반의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고체상 에폭시 수지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재 비스페놀계로 사용 중인 분체 도료용 고상 에폭시 시장에 점진적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체상 에폭시 수지는 물리적 형태가 23~25℃ 범위에서 고체 상태인 에폭시 수지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은 주쇄에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제1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110),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혼합하는 단계(S120), 촉진제를 첨가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S130) 및 에폭시 당량무게(EEW)가 2,000g/eq 이하이면 필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주쇄에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제1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S110)
먼저, 아이소소바이드와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을 수산화염 존재 하에 혼합하여 제1화합물을 형성한다.
바이오 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isosorbide)와 바이오 물질인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제1화합물은 합성식 1 또는 합성식 2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화합물이 합성될 때 주로 합성식 2로 진행되나,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일부 합성식 1로 진행되기도 한다.
[합성식 1]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1
상기 합성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 의 정수이다.
[합성식 2]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2
아이소소바이드는 옥수수를 원료로 한 100% 바이오 매스 물질로 옥수수에서 전분을 추출한 뒤 포도당, 솔비톨 등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여 만든 플라스틱은 기존 석유화학 물질을 원료로 한 플라스틱과 달리 독성이 없고 분해가 잘 되며, 투명도 및 표면경도 등이 우수하다.
아이소소바이드는 2개의 융합된 퓨란고리를 함유하는 디올과 산소를 함유하는 헤테로 고리 화합물의 이중고리 화합물이다. 이러한 아이소소바이드는 다양한 기능의 생분해성 유도체를 얻을 수 있는 소재이다.
상기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은 에폭시기 도입을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에피브로모히드린(epibromohydrin) 및 에피플루오로히드린(epifluorohydrin)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은 에폭시링 생성의 반응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위해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이소소바이드 :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의 혼합비는 당량비로 1 : 0.9 ~ 1 : 1.1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의 첨가량이 0.9 당량비 미만인 경우, 에폭시기가 형성되기에 불충분하다. 반대로 첨가량이 1.1 당량비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에피할로히드린의 함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부산물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제1화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수산화염은 알칼리금속과 히드록시기로 구성되는 염이다. 수산화염은 예를 들면 LiOH, NaOH, KOH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산화염은 아이소소바이드 1당량에 대하여 0.9 이상 내지 1.5 당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수산화염의 첨가량이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당량이 높아지거나, 부산물이 증가하거나, 과량의 수산화염이 수지 내에 잔존하면 최종 단계에서 분자량이 상승하는 고분자 분산물이 생길 수 있다.
수산화염 외에 용매로서 증류수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증류수는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합성식 1 또는 합성식 2의 반응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화합물은 30~100℃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수득될 수 있다. 반응 온도와 반응 시간이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부산물이 증가하게 되거나, 결과물이 생성되기에 불충분할 수 있다.
제조된 제1화합물은 주쇄에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화합물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 에테르 아이소소바이드(DGEI)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 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4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혼합하는 단계(S120)
이어서, 상기 제1화합물과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혼합한 후 용융시킨다. 제1화합물과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가 용융되는 온도인 약 120~130℃까지 승온하여 혼합물을 용융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는 고체상, 결정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첨가되는 첨가물로서, 23~25℃ 범위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결정성을 갖는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7의 사이클로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및 할로젠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를 나타내고, a 및 b는 각각 1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는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3,3'-다이메틸-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3,5,3',5'-테트라메틸-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2,2',6,6'-테트라메틸-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놀(TMBP), 3,3'-다이페닐-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및 2,3,5,6,2',3',5',6'-헥사플루오로-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또는/및 TMBP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 30~10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모노머의 함량이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촉진제를 첨가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S130)
이어서, 상기 용융된 용융물에 촉진제를 첨가하고, 온도를 유지한다.
고체상의 모노머가 액체화가 되면, 인계 촉진제 및 할로겐계 촉진제 중 1종 이상을 투입한다. 촉진제 투입에 의해 용융물은 발열되어 반응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용융물의 온도가 150℃ 를 초과하지 않도록 냉각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반응 온도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과중합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제1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진제 0.1~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진제의 함량이 이를 벗어나는 경우, 촉진제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반응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계 촉진제는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 포스포네이트
(phosphonate) 화합물,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화합물, 포스파젠(phosphazene)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로겐계 촉진제는 브롬화 폴리스티렌, 브롬화 폴리페닐렌옥시드,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 스티렌-무수마레인산 공중합체, 브롬화 에폭시 수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데카브로모비페닐, 브롬화폴리카르복시산에스테르, 프레브로모 트리 시클로 펜타데칸, 브롬화 방향족 가교 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당량무게(EEW)가 2,000g/eq 이하이면 필터하는 단계(S140)
이어서, 상기 용융물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140℃에 도달한 시간을 반응 0 시간으로 하고, 2시간 이후부터 매시간 에폭시 당량무게(EEW)를 측정/확인한다.
용융물의 에폭시 당량무게(EEW)가 400~2,000g/eq 이면 필터하여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에폭시 당량무게(EEW)는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A 첨가량 + B 첨가량)/{(A 첨가량/A 당량 또는 A의 OH 당량)-(B 첨가량/B 당량 또는 B의 OH 당량)}] ± 10g/eq = 에폭시 당량무게(EEW)
A : 제1화합물, B :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
예를 들어, 제1화합물이 DGEI이고, B가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이라고 가정하고 EEW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00중량부+30중량부)/{(100중량부/175당량)-(30중량부/93당량)}] = 522.4g/eq 이고, 이 값에 ± 10g/eq을 하면 EEW는 512.4 ~ 532.4 값이 나온다.
따라서, 이 값은 400~2,000g/eq 범위에 포함되므로 반응을 종료하고, 필터하여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100~300 메쉬 크기를 갖는 필터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1 메쉬는 약 25.4mm(1인치) 사이의 칸수를 의미한다. 100 메쉬라고 하면 1인치 가로, 세로에 각각 100개씩의 가로눈금과 세로눈금이 있다는 것이다. 필터의 메쉬 크기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필터 효율이 저하되면서, 입자 크기가 불균일한 에폭시 수지가 수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고체상의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고체상의 에폭시 수지는 주쇄에 바이페닐을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6
본 발명에서 합성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Mw)가 대략 4,000~40,000, 수평균분자량(Mn)이 1,000~10,000, z-평균분자량(Mz)가 8,000~80,000 일 수 있다. 이 분자량 값은 고체상 에폭시 수지 0.1g을 THF 용매로 용해시킨 후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로 측정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와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이용하여 바이오 함량이 높은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합성할 수 있다.
제조된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고체상 에폭시 수지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재 비스페놀계로 사용 중인 분체 도료용 고상 에폭시 시장에 점진적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와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1화합물 제조
아이소소바이드 1당량에 대하여, 에피클로로히드린 1당량, 수산화염(KOH) 1.01당량, 증류수 5중량부를 혼합하고, 100℃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화합물을 제조하였다.
2.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실시예 1
합성된 제1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모노머 30중량부를 혼합한 후, 용융온도인 130℃까지 승온하였다. 제1화합물과 모노머가 용융되면서 액체화된 것을 확인한 후,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과 브롬화 폴리스티렌의 혼합 촉진제를 1중량부 첨가하였다.
촉진제 첨가에 따라 용융물이 150℃ 근처까지 발열하는 동안, 용융물이 배치된 반응기 주변에 얼음물을 배치하여 145℃를 유지하였다. 이후, 온도가 점차 하강하면서 140℃에 도달하였을 때 시점을 0시간으로 하고, 2시간 이후 매시간 EEW를 측정하였다.
EEW가 400~2,000g/eq를 만족하면 반응을 종료하고, 200메쉬로 필터하여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모노머 10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혼합 촉진제를 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모노머 2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모노머 12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혼합 촉진제를 0.0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수득하였다.
2. 물성 평가 방법 및 그 결과
- 분자량 측정 : 실시예와 비교예의 고체상 에폭시 수지 0.1g 각각을 THF 용매로 용해시킨 후 GPC로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7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고체상 에폭시 수지는 EEW 400~2,000g/eq 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수득되었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의 분자량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분자량 범위인 Mw 4,000~40,000, Mn 1,000~10,000, Mz 8,000~80,000 을 만족하는 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바이오 함량이 높은 고체상태의 에폭시 수지가 잘 제조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본 발명의 친환경 바이오 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에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적정량으로 첨가함으로써 얻은 결과로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8)

  1. (a) 주쇄에 아이소소바이드를 포함하고, 말단에 글리시딜기를 포함하는 제1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화합물과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를 혼합한 후 용융시키는 단계;
    (c) 상기 용융된 용융물에 촉진제를 첨가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용융물의 에폭시 당량무게(EEW)가 2,000g/eq 이하이면 필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당량무게(EEW)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식 1]
    [(A 첨가량 + B 첨가량)/{(A 첨가량/A 당량 또는 A의 OH 당량)-(B 첨가량/B 당량 또는 B의 OH 당량)}] ± 10g/eq = 에폭시 당량무게(EEW)
    A : 제1화합물, B :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아이소소바이드와 에피할로히드린 화합물을 수산화염 존재 하에 혼합하여 제1화합물을 형성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합물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글리시딜 에테르 아이소소바이드(DGEI)를 포함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1000 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125852760-pat00009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제1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계 모노머 30~100중량부를 혼합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제1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진제 0.1~5중량부를 첨가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제는 인계 촉진제 및 할로겐계 촉진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150℃를 초과하지 않도록 냉각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필터는 100~300 메쉬 크기를 갖는 필터로 수행되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190160633A 2019-12-05 2019-12-05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197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33A KR102197405B1 (ko) 2019-12-05 2019-12-05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33A KR102197405B1 (ko) 2019-12-05 2019-12-05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405B1 true KR102197405B1 (ko) 2020-12-31

Family

ID=7408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33A KR102197405B1 (ko) 2019-12-05 2019-12-05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33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삼양사 내수성이 향상된 에폭시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332B1 (ko) * 1991-02-26 1998-07-15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장치-캡슐화 에폭시 수지 조성물
US6441064B1 (en) * 2000-11-01 2002-08-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Imidazole-phosphoric acid salts as accelerators for dicyandiamide in one-component epoxy compositions
KR20050068655A (ko) * 2003-12-30 2005-07-05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150085849A (ko) * 2014-01-16 2015-07-27 코아텍주식회사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0111A (ko) * 2017-05-19 2018-12-07 주식회사 삼양사 친환경 경화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332B1 (ko) * 1991-02-26 1998-07-15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장치-캡슐화 에폭시 수지 조성물
US6441064B1 (en) * 2000-11-01 2002-08-2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Imidazole-phosphoric acid salts as accelerators for dicyandiamide in one-component epoxy compositions
KR20050068655A (ko) * 2003-12-30 2005-07-05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20150085849A (ko) * 2014-01-16 2015-07-27 코아텍주식회사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0111A (ko) * 2017-05-19 2018-12-07 주식회사 삼양사 친환경 경화제를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 Chrysanthos et al. / Polymer 52 (2011) 3611-362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233A1 (ko) * 2021-04-26 2022-11-03 주식회사 삼양사 내수성이 향상된 에폭시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5491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新規エポキシ樹脂、新規フェノール樹脂、及び半導体封止材料
US6797821B2 (en) Phosphorus-containing flame-retardant hardeners, epoxy resins, advanced epoxy resins and cured epoxy resins
WO2011074517A1 (ja) 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物
WO2007099670A1 (ja) 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CN106986893B (zh) 含磷化合物及其制造方法
CN109988285B (zh) 一种多元羧酸及其阻燃环氧树脂的制备方法
JP6432808B2 (ja) エポキシ樹脂とその硬化物
KR102197405B1 (ko)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 원료를 이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268343B1 (ko) 경화성 조성물과 그 경화물
JP2006248912A (ja) 多価ヒドロキシ化合物、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2197406B1 (ko) 친환경 바이오매스 기반의 아이소소바이드 에폭시를 활용한 고체상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JP465549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体
EP0293237A2 (en) Epoxy compounds and epoxy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4354242B2 (ja) 新規結晶性エポキシ樹脂、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体
JPH10147629A (ja) 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9268220A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9165433A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封止材料
WO2018008409A1 (ja) 活性エステル樹脂とその硬化物
JP3825715B2 (ja) リン含有難燃性エポキシ樹脂とその組成物
JP3992181B2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2008239891A (ja) 新規エポキシ樹脂、それを含有する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5579300B2 (ja) 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3729472B2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2747819B2 (ja) 新規エポキシ樹脂およ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CN110799483B (zh) 活性酯化合物和固化性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