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11B1 -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11B1
KR102196511B1 KR1020200069779A KR20200069779A KR102196511B1 KR 102196511 B1 KR102196511 B1 KR 102196511B1 KR 1020200069779 A KR1020200069779 A KR 1020200069779A KR 20200069779 A KR20200069779 A KR 20200069779A KR 102196511 B1 KR102196511 B1 KR 10219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urethane
seal composition
polyurethan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장렬
고건웅
Original Assignee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4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08G18/341Dicarboxylic acids, 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containing two carboxylic aci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5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복합 방수방근공법에 사용되는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된 씰 조성물이 방근성능을 가지면서도 접착력, 인장응력, 최대신율, 경도 등의 물성이 개선되어 시공후에도 방근 내구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 80~9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 60~7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 40~5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 30~40중량부 혼합된 폴리우레탄 주제와;
네오펜틸글리콜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 70~8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40~5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 20~3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 5~10중량부, 아연분말 3~5중량부, 구리분말 2~4중량부, 씰리카분말 1~3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혼합되어 조성된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Polyurethane seal composition with root isol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복합 방수방근공법에 사용되는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되어 방근성능을 제공하는 풀리우레탄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용으로서의 폴리우레탄 소재는 1980년대 초기에 도입되었다. 폴리우레탄 소재는, 소재 자체로서의 특징인 이음새 없는 시공이 가능하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해 잘 순응하는 시공 상의 특성과 소지면과의 접착성, 내약품성, 내구성과 같은 화학적인 특성과 흡음성, 치수 안정성과 같은 물리적인 성질이 뛰어나며, 특히 신장율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 때문에 하지 균열에 대한 추종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내, 외벽 및 시트 연결부위 보강 씰란트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녹화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말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표면 또는 지표면 상부에 시설된 인공 구조물상의 조경시설물 구조물로서 자연지반에서 분리된 부분에 인공적인 지형지질로서의 지반을 새로이 조성하여 조경공간으로 이용하는 터전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옥상 또는 지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내의 부족한 녹지공간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식재물을 설치하고 휴식공간을 조성하여 곤충이나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사람들에게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서는 이러한 구조체 정원의 증가로 도시는 인공적인 도시보다는 자연환경적인 도시로 변해갈 것이고 이렇게 된다면 자연적으로 대기오염도 줄어들 것이다.
또한, 건축물 또는 옥상을 녹화하는 주된 이유는 최상층에서의 차열이나 단열에 대해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고, 녹화를 통해 경관의 개선, 기온의 조정, 공기의 정화 등을 실현할 수 있으며, 작은 새나 곤충, 물고기 등과의 공생을 꾀하여 자연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3가지 이유 이외에도 녹화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방재, 빗물에 대한 대책, 프라이버시의 확보, 취미 생활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옥상녹화는 식물뿌리 성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발생 및 균열 거동으로 인한 누수발생, 토양층의 상시 습윤 조건으로 인한 방수층의 열화가속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뿌리에 의한 콘크리트 슬라브층 및 슬라브층 위에 도포된 방수층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기와 같은 옥상에 식재된 뿌리의 성장을 방지하고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근,방수 공법과 같은 기술적 수단이 미비하여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옥상녹화 사업의 진전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특허등록 제 10-0872127호에서는 PET필름과, 상기 PET필름 하부에 부착시킨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하부에 고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함침 시켜서 구성되는 방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 10-2009-0102024호에는 뿌리가 침투되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근재와 상기 방근재 저면에 부착되어 물을 흡수하도록 된 흡수재와 상기 흡수재 저면에 부착되는 접착성 또는 점착성 방수재와 상기 방수재와 흡수재에 탈부착 가능토록 부착되는 이형지로 구성된 방수/방근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방근시트와 방근시트의 이음부를 통해 식생물의 뿌리가 침투하게 되더라도 뿌리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함은 물론, 식생물의 뿌리가 가지고 있는 물을 흡수재가 흡수하여 식생물의 뿌리가 성장 및 생장할 수 없게 함으로써 식생물의 뿌리가 방근시트의 이음부로 침투하여 방수층을 파괴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방수층의 방수성능이 오랫동안 보장되게 하는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한국 특허 등록 10-1039065호에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를 하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시트 상면에 코팅하는 방근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근 기술은 주로 복수개의 방수방근시트들을 맞댐이음 방식으로 서로간의 접합부분 및 건물 또는 옥상 구조물의 벽체와 접하는 파라펫(parapet) 단부쪽을 씰 조성물로 접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방근시트에 의한 방근 성능은 우수하지만 씰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방근성능이 부여되지 않은 접착용 조성물이라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초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계절변화 또는 일교차 등으로 인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된 씰 조성물의 접착력, 인장응력, 최대신율, 경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노화현상이 발생하면 파단 또는 틈새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결함 부분을 통해 식물의 뿌리가 침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결국은 방근시트에 의한 방수방근성능이 유지되어도 씰 조성물의 결함부위를 통한 방수방근이 파괴되면서 전체적인 내방수방근 성능을 상실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72127(2008.11.28.)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02024(2009.09.30.)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9065(2011.05.30.)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68711(2014.02.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복합 방수방근공법에 사용되는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된 씰 조성물이 방근성능을 가지면서도 접착력, 인장응력, 최대신율, 경도 등의 물성이 개선되어 시공후에도 방근 내구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 80~9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 60~7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 40~5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 30~40중량부 혼합된 폴리우레탄 주제와;
네오펜틸글리콜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 70~8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40~5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 20~3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 5~10중량부, 아연분말 3~5중량부, 구리분말 2~4중량부, 씰리카분말 1~3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무게중량비 2:1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폴리우레탄 주제는 각 조성물이 혼합된 후 5~7시간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은 비노출방수공법 또는 노출방수공법의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상부면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은 방근성능을 가지면서도 접착력, 인장응력, 최대신율, 경도 등의 물성이 개선되어 건물의 복합 방수방근공법에 사용되는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후 방근성능을 가지면서 점착력을 유지한다는 장점과.
또한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계절변화 또는 일교차 등으로 인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에 따른 노후화가 진행되어도 장기간 방근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이 시공되는 부위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은 건축·토목구조물의 옥상면, 저층부 슬라브 등의 전면밀착되는 비노출방수공법 또는 노출방수공법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되는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이다.
이를 위해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methyl-1,5-pentamethylene diisocyanate)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cyclohexanecarboxylic acid) 80~9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1-methylcyclobutanecarboxylic acid) 60~7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1,2-cyclopentanedicarboxylic acid) 40~5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terephthalic acid) 30 ~ 40중량부가 혼합된 폴리우레탄 주제와;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N,N-dimethyl-p-nitroaniline) 70~8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N-methyl-N-nitrosoaniline) 40~5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2-chloro-6-nitrotoluene) 20~3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2-fluoromethoxybenzene) 5~10중량부, 아연분말 3~5중량부, 구리분말 2~4중량부, 씰리카분말 1~3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주제는 각 조성물이 혼합된 후 5 ~ 7시간 혼합되어 제조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주제와 경화제는 무게중량비 2:1로 혼합하면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이 조성된다. 여기서 혼합비를 2:1로 한정한 이유는 무게중량비로 2:1이 혼합시에만 본 발명에서 원하는 우수한 물성이 나오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methyl-1,5-pentamethylene diisocyanate)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cyclohexanecarboxylic acid) 80~9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1-methylcyclobutanecarboxylic acid) 60~7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1,2-cyclopentanedicarboxylic acid) 40~5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terephthalic acid) 30 ~ 40중량부를 첨가하여 5~7시간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주제를 제조한 후,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N,N-dimethyl-p-nitroaniline) 70~8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N-methyl-N-nitrosoaniline) 40~5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2-chloro-6-nitrotoluene) 20~3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2-fluoromethoxybenzene) 5~10중량부, 아연분말 3~5중량부, 구리분말 2~4중량부, 씰리카분말 1~3중량부를 넣고 제조한 경화제를 폴리우레탄 주제와 무게중량비 2(폴리우레탄 주제) : 1(경화제)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에서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우레탄 합성을 위한 이소시아네이트(-N=C=O)기를 가진 조성원소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에서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 및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는 우레탄 반응시 점도 조절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함량이 상기 규정된 양보다 적거나 많으면 점도 조절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한정하였다.
또한 테레프탈릭에시드의 함량이 적거나 많으면 분자량 조절이 되지 않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함량을 가질 때 목표로 하는 수평균중량분자량 7000~10000을 가지게 된다.
상기 네오펜틸글리콜은 경화제를 구성하는 기본 조성원소이다. 이를 사용한 이유는 경화시간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과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 및 2-플르오르메톡시벤젠의 함량이 상기 규정된 양보다 적거나 많으면 접착강도와 기계적 강도가 저조해 진다. 이와 같이 3가지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성원소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의 접착강도와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또한 아연분말과 구리분말 및 씰리카분말의 함량이 적거나 많으면 방근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규정된 함량을 지켜야 한다. 이와 같은 3가지 물질은 방근을 위한 복합적인 충전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기능은 경도를 향상시켜서 방근 성능을 우수하게 한다. 이를 포함한 본 발명 폴리우레탄 씰 조성물의 물성 데이터는 표 1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 8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 6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 4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 30중량부를 첨가하여 5~7시간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주제를 제조한 후 네오펜틸글리콜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 7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 4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 2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 5중량부, 아연분말 3중량부, 구리분말 2중량부, 씰리카분말 1중량부를 넣고 제조한 경화제를 폴리우레탄 주제와 2:1로 혼합하여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 9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 7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 5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5~7시간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주제를 제조한 후 네오펜틸글리콜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 8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 5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 3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 10중량부, 아연분말 5중량부, 구리분말 4중량부, 씰리카분말 3중량부를 넣고 제조한 경화제를 폴리우레탄 주제와 2:1로 혼합하여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20059311049-pat00001
- 물성 비교 데이터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 씰 조성물의 시공예를 이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이 시공되는 부위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이 적용되는 구조를 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폴리우레탄 씰 조성물을 사용한 복합방수구조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바탕콘크리트 슬라브층(1)의 상부에 프라이머층(2)이 전면 도포되어 형성된다.
이후 프라이머층(2) 상면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는 도막방수층(3)이 도포되고, 그 상부에 방수방근시트(4)가 맞댐이음 방식으로 시공된다.
이때 방수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는 수팽창씰재(5)가 도포되어 방수방근시트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수팽창씰재(5)가 도포된 방수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상부면에는 추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부재층(6)이 형성된다.
이후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상부면에 시공된 수팽창씰재(5) 및 신축부재층(6)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7)이 시공되어 방근방수 접착재로 사용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파라펫(parapet) 단부쪽 부위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씰 조성물(7)이 시공되어 방근방수 접착재로 사용된다.
이후 그 상부로 녹지공간(8)이 설치된다.
또한 비노출 방수방근 구조일 경우 상기와 같은 방수방근 구조의 상부면으로 누름콘크리트층을 일정 두께로 시공 후 녹지공간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는 파라펫(parapet) 단부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슬라브층 (2) : 프라이머층
(3) : 도막방수층 (4) : 방수방근시트
(5) : 수팽창씰재 (6) : 신축부재층
(7) :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8) : 녹지공간
(9) : 파라펫 단부

Claims (6)

  1. 2-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싸이클로헥산카복실릭에시드 80~90중량부, 1-메틸싸이클로부탄카복실릭에시드 60~70중량부, 1,2-싸이클로펜탄디카복실릭에시드 40~50중량부, 테레프탈릭에시드 30~40중량부 혼합된 폴리우레탄 주제와;
    네오펜틸글리콜 100중량부에 N,N-디메틸-p-니트로아닐린 70~80중량부, N-메틸-N-니트로소아닐린 40~50중량부, 2-클로로-6-니트로톨루엔 20~30중량부, 2-플르오르메톡시벤젠 5~10중량부, 아연분말 3~5중량부, 구리분말 2~4중량부, 씰리카분말 1~3중량부로 조성된 경화제;가
    무게중량비 2:1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주제는 각 조성물이 혼합된 후 5~7시간 혼합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씰 조성물은 비노출방수공법 또는 노출방수공법의 방근시트 간의 맞댐이음 부위 상부면 및 파라펫(parapet) 단부쪽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KR1020200069779A 2020-06-09 2020-06-09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KR10219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79A KR102196511B1 (ko) 2020-06-09 2020-06-09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79A KR102196511B1 (ko) 2020-06-09 2020-06-09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11B1 true KR102196511B1 (ko) 2020-12-30

Family

ID=7408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779A KR102196511B1 (ko) 2020-06-09 2020-06-09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1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370A (ja) * 2002-09-13 2004-04-08 Yokohama Rubber Co Ltd:The 一液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2127B1 (ko) 2008-04-24 2008-12-05 주식회사 부일건화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20090102024A (ko) 2008-03-25 2009-09-30 장혁수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방법
KR101039065B1 (ko) 2010-12-30 2011-06-0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KR101196330B1 (ko) * 2012-06-08 2012-11-05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우레아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368711B1 (ko) 2012-09-27 2014-03-04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20170001937A (ko) * 2015-12-22 2017-01-05 주식회사페트로산업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가 포함된 복합 방수시트
KR20170066338A (ko) * 2014-09-26 2017-06-14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그 용도
KR101944762B1 (ko) * 2018-09-21 2019-02-07 주식회사 성오방수건설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을 위한 폴리우레탄 탄성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9089889A (ja) * 2017-11-13 2019-06-13 大倉工業株式会社 二液硬化型メタクリル系接着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370A (ja) * 2002-09-13 2004-04-08 Yokohama Rubber Co Ltd:The 一液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02024A (ko) 2008-03-25 2009-09-30 장혁수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방법
KR100872127B1 (ko) 2008-04-24 2008-12-05 주식회사 부일건화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1039065B1 (ko) 2010-12-30 2011-06-07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KR101196330B1 (ko) * 2012-06-08 2012-11-05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폴리우레아계 도막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368711B1 (ko) 2012-09-27 2014-03-04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20170066338A (ko) * 2014-09-26 2017-06-14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및 그 용도
KR20170001937A (ko) * 2015-12-22 2017-01-05 주식회사페트로산업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가 포함된 복합 방수시트
JP2019089889A (ja) * 2017-11-13 2019-06-13 大倉工業株式会社 二液硬化型メタクリル系接着剤
KR101944762B1 (ko) * 2018-09-21 2019-02-07 주식회사 성오방수건설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을 위한 폴리우레탄 탄성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318B1 (ko)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KR100949599B1 (ko) 2액형 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방수공법
KR102000461B1 (ko)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 도장시 방수용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균열부위 보수 보강용 무기질 고탄성 충진제 및 그를 이용한 균열 부위 보수 보강방법
KR101891204B1 (ko) 계면 접착성과 신축성 및 고방수 성능이 있는 개질 복합 폴리머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탄성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5909B1 (ko) 방수시트 이음부위 보강을 위한 수팽창성 폴리우레탄 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0791587B1 (ko) 건축용 아스팔트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2905B1 (ko)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공법
KR101564242B1 (ko) 비스코스 연질 변성우레탄 도막방수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EP1712690B1 (en) Belowgrade damp proofing and/or waterproofing with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KR100887404B1 (ko) 건축용 방수 및 방근 시공방법
KR102088103B1 (ko) 복합 방수층
KR102214921B1 (ko)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399117B1 (ko) 구조물의 방수 방법
KR102196511B1 (ko)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039065B1 (ko)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수지 방근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복합 시공 방법
KR102092819B1 (ko)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64153B1 (ko)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 이 다기능 변성우레탄 도막재와 함침형 폴리시트재를 이용한 적층형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124805B1 (ko) 복합방수방근공법
KR101627580B1 (ko)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구조물 시공용 탄성봉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8283B1 (ko) 슁글방수시트용 프라이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33129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2049B1 (ko) 복합 방수 방근층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