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121B1 - 산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121B1
KR102184121B1 KR1020190044329A KR20190044329A KR102184121B1 KR 102184121 B1 KR102184121 B1 KR 102184121B1 KR 1020190044329 A KR1020190044329 A KR 1020190044329A KR 20190044329 A KR20190044329 A KR 20190044329A KR 102184121 B1 KR102184121 B1 KR 10218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nja
heating
b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958A (ko
Inventor
송희자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성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성한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성한과
Publication of KR2020007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91After-treatment of puffed cereals, e.g. coating or s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적인 튀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조상 편리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산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탑커버부(2110)와,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단위안착면이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히터부(2101)가 배치되는 플레이트부(2120)와, 산자바탕의 인입출공간이 마련되는 메인프레임(2010)와, 상기 인입출공간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안착부(2310)와, 상기 인입출공간의 상측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탑커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탑구동부(2210)와, 상기 인입출공간의 하측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플레이트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업다운구동부(2220)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 산자바탕을 인입출공간으로 인입시키는 로딩부(2230)와, 상기 인입출공간으로부터 가열이 완료된 산자바탕을 인출시키도록 말단에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언로딩부(2240)를 포함하는 산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RATUS FOR KOREAN CRA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자의 제조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통적인 튀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제조상 편리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산자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자(疝子)는 쌀알을 튀겨 고물을 묻힌 전병류로서 잔치나 제례용 음식으로 가정에서 만들어 먹다가 조선 후기부터 상품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일상적으로도 즐겨 섭취하고 있는 전통과자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산자의 어의에 대해 '성호사설(星湖僿說)'에는 “쌀알을 튀기면 마치 꽃처럼 부풀어 벌어지므로, 이렇게 만든 고물을 묻힌 유전병류를 산자라 한다.”고 하였다. 즉, 산자는 고물의 모습에서 붙여진 음식명이라고 전해진다.
일반적으로 산자는 찹쌀을 물에 오랫동안 불린 후, 빻아 찹쌀가루로 만들어 물로 반죽하고, 이 반죽을 찐 뒤 얇게 밀어 늘린다. 그리고, 늘린 반죽을 소정크기로 잘라 약 2일 내지 4일 동안 말렸다가 기름에 튀겨낸 다음 외면에 끓는 물에 흰엿과 꿀을 섞어 조린 것을 바르거나 조청을 바른 뒤 쌀알을 튀겨 고물을 묻히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산자는 바삭거림을 제공하고 과자로서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산자는 기름에 튀겨 제조하는 유탕처리 식품인 만큼, 다량의 기름을 함유하고 있는 관계로 유지의 자동 산화 또는 조리시의 가열 산화 등에 의해 산패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닐에 싸서 상자 속에 넣어 서늘한 곳에 두더라도 수일만 경과해도 기름 절은 냄새가 나거나 변향되어 풍미가 급속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반대로 건조하면 바삭바삭하게 되어 쉽게 부서지게 되어 유통 및 보관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84434호는 종래기술의 산자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찹쌀을 반죽한 재료를 튀김기름에서 가열하여 튀기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산자의 경우 이러한 찹쌀 반죽의 재료를 기름에 튀겨 불리는 방식으로 형상과 바삭한 식감을 충족하게 되는데, 기름에 튀겨서 팽창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형태를 만들기 쉽지 않고 경우에 따라 잘라내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름으로 인한 산패나 눅눅해짐과 같은 한계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경우에 따라 튀밥의 제조와 같이 기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산자 고유의 식감을 만족하기 어려워 실제로는 적용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조공정상의 편리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식감의 유지가 가능한 산자를 제조할 수 있는 산자 제조장치 및 산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탑커버부(2110)와,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단위안착면이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히터부(2101)가 배치되는 플레이트부(2120)와, 산자바탕의 인입출공간이 마련되는 메인프레임(2010)와, 상기 인입출공간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안착부(2310)와, 상기 인입출공간의 상측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탑커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탑구동부(2210)와, 상기 인입출공간의 하측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플레이트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업다운구동부(2220)와,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 산자바탕을 인입출공간으로 인입시키는 로딩부(2230)와, 상기 인입출공간으로부터 가열이 완료된 산자바탕을 인출시키도록 말단에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언로딩부(2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로딩부에 의하여 안착부에서 산자바탕이 단위안착면으로 이동되면 업다운구동부에 의하여 하강되어 가열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탑커버부는, 탑구동부에 의하여 가열위치로 이동된 플레이트부에 밀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산자바탕이 가열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안착부에 배치되는 산자바탕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는 가열 성형이 완료된 산자바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자바탕의 불림을 수행하는 기초성형부(2500)와, 상기 탑구동부, 업다운구동부, 로딩부,언로딩부 및 히터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2020)와, 탑커버부 및 플레이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부에 전송하는 센서부(2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 찹쌀반죽으로 산자바탕을 마련하는 단계; b) 기초성형부에서 110℃ 이상 및 120℃ 이하의 기름에 산자바탕을 불리는 단계; c) 상기 불린 산자바탕을 산자제조장치에서 1차로 가열하여 부풀리는 단계; d) 상기 부풀린 산자바탕을 2차로 가열하여 표면을 경화하는 단계; e) 표면이 경화된 산자바탕 표면을 집청하고 고명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종래에 기름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경우 산패에 의한 경제성의 상실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불림 과정에서 함유된 기름에 의하여 팽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산자의 형상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산자바탕의 가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송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제조상 경제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자틀에 의한 1차 가열과 오븐에 의한 2차 가열이 구분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팽화를 위한 공정과 경화를 위한 공정이 분리되고 내면의 촉촉함과 외부의 바삭거리는 식감을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공정의 진행이나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산자의 형상 유지와 식감의 유지에 대한 만족감이 높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림을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불림을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에 따라 불림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림을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에서 1차 가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자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산자틀에 대한 추가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산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산자틀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산자틀부에 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산자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 또는 실험예 등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불림을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은,
a) 산자바탕을 제조하는 단계(S100);
b) 기름에 산자바탕을 불리는 단계(S200);
c) 산자틀에서 산자바탕을 1차로 가열하여 부풀리는 단계(S310);
d) 부풀린 산자바탕을 오븐에서 2차로 가열하여 표면을 경화하는 단계(S320);
e) 표면이 경화된 산자바탕 표면에 집청하고 고명을 부착하는 단계(S400);
로 구성된다.
a) 상기 산자바탕을 제조하는 과정은 종래의 다양한 찹쌀떡 등을 만드는 방식이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찹쌀을 물 속에서 침지하여 불리는 단계와, 불려진 찹쌀을 분쇄하여 찹쌀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찹쌀분말에 물 등의 액체를 혼합하여 찹쌀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찹쌀반죽을 스팀이나 찜통으로 쪄서 찹쌀떡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찹쌀을 불리는 단계에서는 10일 내외로 그늘진 곳에서 불릴 수 있으며, 찹쌀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체질을 통하여 소정의 크기 이하로 선별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소금 등의 조미재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찹쌀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찹쌀과 물을 7:1 내지 3:1 정도의 부피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반죽의 제조시 소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찹쌀떡 형태의 산자바탕을 위하여 상기 찹쌀반죽을 보자기 등을 통하여 감싸고 찌거나 스팀 가열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산자바탕은 다양한 재료와 제조방법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b) 기름에 산자바탕을 불리는 과정은 기름을 설정된 온도로 마련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불리는 과정을 통하여 팽화단계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된 온도는 110℃ 이상 및 120℃ 이하가 적절하며, 설정된 시간은 2분±10초 정도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산자바탕이 팽화하기 때문에 원하는 산자의 형태를 만들 수 없다. 종래기술의 경우 대략 180℃ 정도로 가열하여 기름 속에서 산자바탕을 바로 팽화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름에 담그는 과정을 통하여 조직 사이로 기름이 어느 정도 스며들고 설정된 온도 정도로 예열을 하는 데 그치기 때문에 실질적인 산자의 형성을 위한 팽화가 일어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이러한 불림의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산자바탕이 기름에 담겨진 상태(a)에서 불림이 완료되면 산자바탕이 떠오른 상태(b)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에서는 불린 온도에 따른 산자바탕의 불림부피와 팽화부피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불림온도 100℃ 110℃ 120℃ 130℃ 140℃
불림부피 120% 130% 135% 180% 200%
팽화부피 270% 350% 330% 250% 230%
실험조건은 불림 시간을 2분으로 설정하고, 산자틀에 가열(1차 가열) 조건은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180℃에서 1분으로 설정하였다. 불림부피란 산자바탕에 대하여 불림이 완료되었을 때의 부피비이며, 팽화부피란 최초 산자바탕에 대한 팽화 가열시의 부피비이다. 여기서 기름은 식용유를 적용하였다.
100℃인 조건에서 불림부피는 120%로서 어느 정도 억제되어 있었으나, 팽화 과정에서 250% 정도의 팽창에 그쳤다. 이는 낮은 온도로 인하여 기름이 충분히 스며들지 못한 결과로 예상된다. 120℃를 초과한 온도에서는 불림시 부피의 변화가 커진 관계로 팽화시에 원하는 부피를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서는 불림의 온도는 110 ~ 120℃ 조건을 충족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c) 산자틀에서 산자바탕을 1차로 가열하여 부풀리는 단계에서는 산자틀에 불림이 완료된 산자틀을 팽화하여 원하는 1차 부피로 부풀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븐 내부에서 2차로 가열하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초벌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기초적인 팽화는 1차 가열 과정으로 완료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1차 가열 조건은 180℃에서 30초 내지 1분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산자틀을 통한 1차 가열은 오븐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복수의 산자틀이 오븐 내에서 소정의 컨베이너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경우 넣고 빼는 동작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가열수단을 통하여 산자틀 개별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자틀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d) 부풀린 산자바탕를 오븐에서 2차로 가열하여 표면을 경화하는 과정은 기본적으로 산자틀에서 꺼낸 산자바탕을 오븐에서 연속적으로 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팽화공정은 주로 1차 가열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 가열은 제품의 식감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외부를 경화하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2차 가열 공정은 오븐 터널을 통하여 3 내지 5분 가량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븐 터널의 온도는 180℃ 내외인 것이 적절하다.
e) 1차 가열 및 2차 가열을 통하여 팽화되고 표면이 경화된 산자바탕 표면에는 물엿이나 유청과 같은 점성을 가지는 유체가 코팅되는 방식으로 집청될 수 있으며, 튀밥이나 곡물가루 등의 고명을 부착함으로써 산자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및 부착과 관련하여서는 공지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고명은 튀밥, 곡분, 과실, 야채, 견과 등 다양한 유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명을 부착하기 전 단계를 산자바탕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산자의 제조방법에서 1차 가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가열은 오븐의 외부에서 산자틀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데, 이 경우 산자틀에서 바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경우 산자틀이 밀폐되어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기 전에 팽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제품의 불균일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균일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자틀을 예열(S311)하여 1차 가열을 위한 준비를 하고, 산자틀에 산자바탕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송풍을 통한 냉각(S312)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송풍냉각은 산자틀에 대한 것이 아닌 산자바탕에 대한 것임에 유의한다. 따라서, 산자틀이 밀폐되기 이전에 산자바탕의 바람직하지 않은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송풍냉각은 산자틀의 밀폐전에 팬과 같은 송풍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냉각의 온도는 상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송풍냉각(S312)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산자틀은 밀폐되고 소정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 및 팽화(S313)를 거치면서 1차 가열(S310)의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자의 제조방법을 위한 산자틀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자바탕(100)의 제조(S100)가 완료되면 기름에 불리는 공정(S200)을 통하여 불림한 이후에 1차 가열(S310)이 이루어져 팽화되며, 원하는 형상을 얻기 위한 틀로써 산자틀(1000)이 제공된다.
이러한 산자틀(1000)은 상하판과 산자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10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하판은 각각 케이싱(1100)의 평단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열의 흡수를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케이싱(1100)은 직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하는 산자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싱(1100)의 하부에는 저면부(1200)가 배치되며, 상부에는 일단측에 덮개부(1300)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1310)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200)와 덮개부(1300)가 상하판을 이루게 되며, 케이싱(1100)의 내부에 산자바탕이 배치되면 클램프부(132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어 케이싱(1100)의 개구인 투입 및 송풍부(1210)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부(1320)는 후크나 볼트 등 다양한 고정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케이싱(1100)의 상부의 개구인 투입 및 송풍부(1210)는 산자바탕(100)이 입출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산자바탕(100)의 투입 과정에서 예열된 산자틀(1000)에 의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팽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송풍 냉각(S312)될 수 있는 주입구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강제적인 공기의 흐름이 산자바탕(100)의 투입 과정에서 산자바탕(100)이 배치된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케이싱(1100)이 밀폐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산자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산자틀(1000)을 통한 1차 가열 과정에서 산자바탕(100)이 팽창되어 케이싱(1100)의 내부에 가득 차도록 팽창되면 이를 꺼내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자틀(1000)에 인출수단을 마련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자틀(1000)은 덮개부(1300)가 케이싱(1100)에 힌지부(1310)를 통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산자바탕(100)이 배치되는 바닥면을 리프팅할 수 있는 개념이 제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트부(1400)가 덮개부(1300)의 저면에 연결되는 브라켓부(1430)와, 상기 브라켓부(1430)에 회동부(1420)에서 일단이 연결되는 저판(14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판(1410)의 타단은 케이싱(1100)의 전방 하측 모서리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저판(1410)은 산자바탕(100) 내지는 산자바탕가 직접 그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저면부(1200)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덮개부(1300)가 투입 및 송풍부(1210)를 밀폐한 상태에서는 저판(1410)의 저면이 저면부(1200)의 상면에 밀착되어 전달되는 열을 산자바탕(100)에 전달하는데, 가열이 완료되면 덮개부(1300)의 상방 회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산자바탕가 케이싱(1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저판(1410)이 후방측으로부터 상승되어 산자바탕(100)을 인출시키는 것이다. 다만, 상기 리프트부(1400)는 덮개부(1300)와 별도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리프트부(1400)의 구성에 따라 산자바탕를 더욱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제조상의 시간과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됨에 유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산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산자틀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산자바탕(100)에 대하여 소정의 불림과 가열공정을 통하여 보다 상품성이 높은 산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는 이러한 제조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산자 제조장치를 제시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1실시예의 경우 덮개부와 케이싱이 상호 연결되어 수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구조가 상호 분리 가능하고 소정의 액추에이터를 통하여 자동적인 제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산자 제조장치는 상기 '불림 - 1차 가열 - 2차 가열' 공정에서 1차 및/또는 2차 가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다른 일반적인 산자의 제조공정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한다.
이를 위하여, 산자틀부(2100)는 상부의 구조인 탑커버부(2110)와 하부의 구조인 플레이트부(2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부(2110)와 플레이트부(2120)는 복수의 산자바탕(1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상태에서 소정의 수용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단일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탑커버부(2110)는 상측으로 탑구동부(221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플레이트부(2120)와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는데, 상기 탑커버부(2110)와 플레이트부(2120)는 산자바탕의 인입, 가열 및 산자의 생산과 산자의 배출의 과정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탑커버부(2110)와 플레이트부(2120) 및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액추에이터 등의 구성들은 메인프레임(20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2010)은 구조물을 지지하는 프레임들을 의미하며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산자틀부의 구성에 대한 평면도들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탑커버부(2110)와 플레이트부(2120)는 상호 밀착되어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산자바탕(100)에 대한 가열 기능을 수행하고 소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산자바탕(100)의 인입출 과정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인입출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산자틀부(2100)에는 전통적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가열을 통하여 산자바탕에 열을 가할 수 있을 것이나, 적절한 온도의 제어와 제조과정의 자동화를 고려하여 탑커버부(2110) 및/또는 플레이트부(2120)에는 히터부(2101)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탑커버부(2110) 또는 플레이트부(2120)의 선택된 위치에 히터부(2101)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나 고른 가열을 위하여 상하측에 전부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열전달과 제어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산자바탕(100)에 주로 열을 가하는 기능은 하측의 플레이트부(212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탑커버부(2110)는 열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산자바탕(100)이 안착될 수 있는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플레이트부(2120)의 상면을 단위안착면(2121)으로 정의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다섯 개의 단위안착면(2121)이 플레이트부(212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플레이트부(2120)에 배치되는 각각의 히터부(2101)는 전후방향(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측방향으로 복수로서 배열된다. 플레이트부(2120)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히터부(2101)는 선택적이나, 가열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길이방향의 외곽측에 배치되는 히터부(2101)는 단위안착면(2121)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음 순위의 단위안착면(2121)을 사이에 두고 히터부(2101)가 양측에서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순서에 따라 외곽측으로부터 '중심-양측-중심-양측-중심'과 같은 배열순서를 가질 수 있다. 다섯 개의 단위안착면(2121)에 대해 가로지르도록 하나씩 히터부(2101)가 배치되는 경우 총 다섯 개의 히터부(2101)가 소요될 것인데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7개의 히터부(2101)가 적용되므로 고른 가열이 가능할 것이다.
탑커버부(2110)에도 히터부(21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부(2120)에 대응되는 배열을 고려할 수 있으나 제조상의 편의와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면 일부의 개소에만 배치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어느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선태적이다.
상기 히터부(2101)는 각각 소정의 제어부와 전력제어라인으로 연결되어 제어전력을 공급받게 되며, 플레이트부(2120)에 배치되는 히터부(2101)가 주로 산자바탕(100)에 대한 가열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발열 성능이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고, 예를 들어 개당 1kw의 전력을 소요하면 총 7kw의 전력을 열발생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커버부(2110)와 플레이트부(2120)의 측면 가열을 위하여 사이드커버(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히터부(2101)가 배치될 수 있을것이다.
또한, 플레이트부(2120) 및/또는 탑커버부(21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온도를 감지하고 원하는 온도로의 제어를 위하여 센서부(2102)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의 감지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상기한 실시예가 준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101)와 센서부(2102)는 소정의 전력제어라인과 센싱라인(참조번호미표시)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통합적인 정보의 제공 및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자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산자틀부(2100)의 자동적인 제어를 위하여 메인프레임(2010)에는 액추에이터 및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효율적인 장비의 운용을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프레임(2010)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구조들을 지지하며, 상부에 산자바탕(100)의 인입출 및 가열을 위한 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산자바탕(100)의 인입출공간의 상측에는 산자틀부(2100)의 탑커버부(2110)를 이송하기 위한 탑구동부(2210)가 구비되며 이러한 탑커버부(2110)의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공간의 하측으로는 업다운구동부(2220)가 구비된다. 또한, 산자바탕(100)의 인입을 위한 후방측에는 로딩부(2230)가 구비되며, 배출을 위한 전방측에는 언로딩부(2240)가 구성된다. 상기 탑구동부(2210)와 업다운구동부(2220) 및 로딩부(2230)와 언로딩부(2240)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및/또는 전후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공지의 구동요소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산자바탕(100)의 이동 과정과 관련되어 상기 구동요소들의 작동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요소들의 작동에 의한 산자바탕(100)의 공정 진행을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한 컨트롤러부(20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러부(2020)는 메인프레임(2010)의 선택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부(2020)는 사용자가 로딩부(2230) 측에 서있을 때 손이 편하게 닿을 수 있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부(2020)는 경우에 따라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릭과 같은 모바일기기로 연결되어 원격 조작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력공급부(2030)는 외부 전력을 입력받아 구동요소들에 적절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컨트롤러부(2020)를 통해 제어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자체적으로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산자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측에서 바라볼 때 탑구동부(2210)가 배치되는 가열위치에서는 산자바탕(100)을 가열하여 팽창시키는 공정이 수행되고 이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측에서는 산자가 배출되는 배출부(2320)가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산자바탕(100)이 인입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안착부(2310)가 구비된다.
플레이트부(2120)의 단위안착면(2121)들은 양측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며 이러한 단위안착면(2121)에 대응하여 탑커버부(2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탑구동부(22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산자 제조장치(2000)와 일체 또는 별개로서 기초성형부(25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기초성형부(2500)는 상술된 불림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기름 가열조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되어서는 상기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단계로서 사용자가 기초성형부(2500)에서 불림을 수행하여 산자바탕(100)을 마련하면, 사용자는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2310)에 각각의 산자바탕(100)을 올려놓게 된다. 이러한 기초성형부(2500)로부터 안착부(2310)로의 이동은 소정의 로봇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고려될 수는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2차 가열을 위하여 산자 제조장치(2000)가 구성되기 때문에 산자바탕(100)이 안착된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2단계로서, 이렇게 산자바탕(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컨트롤러부(2020)의 조작을 통하여 성형이 시작되는데 안착부(2310)로부터 가열위치로의 이동은 로딩부(22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딩부(2230)는 가열위치의 후방측에서 전후로 신축되는 동작을 수행하며, 소정의 암 말단부에서 안착부(2310)에 배치된 산자바탕(100)을 가열위치 즉 플레이트부(2120)의 단위안착면(2121)에 전진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딩부(2230)는 각각의 단위안착면(2121)의 위치에 대응되는 암 및/또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로딩부(2230)의 암 말단의 높이는 안착부(2310)에 안착된 산자바탕(100)의 높이에 대응된다.
상기 제2단계에서 로딩부(2230)가 전방측의 가열위치로 산자바탕(100)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언로딩부(2240)는 말단을 전방측으로 이송하는 수축동작을 수행하고 산자바탕(100)이 단위안착면(2121)에 위치되면 상기 로딩부(2230)의 동작과 연동되어 후진되어 초기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언로딩부(2240)의 신축되는 피스톤(참조번호 미표시)에는 배출암부(2241)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암부(2241)는 말단측에 성형이 완료된 산자를 전방측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스크래퍼(참조번호 미표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스크래퍼, 안착부에 배치되는 산자바탕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고, 가열 및 팽화되어 성형이 완료된 산자바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게 되면 가열을 준비하는 산자바탕의 인입 과정에서 전방 이동 및 복귀시 장애가 되지 않으며, 가열이 완료된 산자바탕은 개구 양측에서 걸림되어 인출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암부(2241)의 말단측 스크래퍼의 하단 높이가 산자바탕(100)의 높이보다는 높고 가열되어 성형이 완료된 산자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언로딩부(2240)의 후방 복귀 동작은 후술된 제3단계의 업다운구동부(2220)의 하강 동작 이후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로딩부(2230)의 복귀 동작도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언로딩부(2240)의 위치는 탑커버부(2110)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양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배출암부(2241) 또는 배출암부(2241)의 말단이 양측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산자바탕(100)의 배치 및 가열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3단계에서 업다운구동부(2220)가 하강하여 플레이트부(2120)를 가열을 위한 가열위치로 이동시킨 후 탑구동부(2210)가 하강하여 탑커버부(2110)를 플레이트부(2120)에 밀착하여 내부의 공간에 산자바탕(100)을 수용하도록 한다.
제4단계에서는 상기 산자틀부(2100)의 히터부(2101)에 제어전력을 인가하여 가열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열조건은 180℃ 및 30초 내외인 것이 적절한데 이러한 시간과 온도의 조건은 선택적이다. 이러한 제4단계에서는 1차 가열 및 2차 가열을 선택하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제5단계에서 상기 제어전력의 공급을 중단한 이후에 탑구동부(2210)를 상승하여 탑커버부(2110)를 플레이트부(2120)로부터 분리하여 단위안착면(2121)을 노출시키고 탑구동부(2210)를 상승하여 플레이트부(2120)를 초기 위치에 위치한 다음 언로딩부(2240)를 전진 구동하여 배출암부(2241)를 통하여 산자바탕을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배출되는 산자는 배출부(2320)를 따라 전방측 위치에서 자중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소정의 수거함(미도시) 등에서 포장 등의 상품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불림을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종래에 기름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경우 산패에 의한 경제성의 상실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불림 과정에서 함유된 기름에 의하여 팽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산자의 형상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산자틀에 의한 1차 가열과 오븐에 의한 2차 가열이 구분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팽화를 위한 공정과 경화를 위한 공정이 분리되고 내면의 촉촉함과 외부의 바삭거리는 식감을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공정의 진행이나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산자의 형상 유지와 식감의 유지에 대한 만족감이 높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산자바탕의 가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이송 동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제조상 경제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산자바탕 1000...산자틀
1100...케이싱 1200...저면부
1210...투입 및 송풍부 1300...덮개부
1310...힌지부 1320...클램프부
1400...리프트부 1410...저판
1420...회동부 1430...브라켓부
2000...산자 제조장치 2010...메인프레임
2030...전력공급부 2100...산자틀부
2101...히터부 2102...센서부
2110...탑커버부 2120...플레이트부
2121...단위안착면 2210...탑구동부
2220...업다운구동부 2230...로딩부
2240...언로딩부 2241...배출암부
2310...안착부 2320...배출부
2500...기초성형부

Claims (2)

  1.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탑커버부(2110);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단위안착면이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히터부(2101)가 배치되는 플레이트부(2120);
    산자바탕의 인입출공간이 마련되는 메인프레임(2010);
    상기 인입출공간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안착부(2310);
    상기 인입출공간의 상측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탑커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탑구동부(2210);
    상기 인입출공간의 하측의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며 플레이트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업다운구동부(2220);
    상기 안착부에 배치된 산자바탕을 인입출공간으로 인입시키는 로딩부(2230); 및
    상기 인입출공간으로부터 가열이 완료된 산자바탕을 인출시키도록 말단에 스크래퍼를 구비하는 언로딩부(224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로딩부에 의하여 안착부에서 산자바탕이 단위안착면으로 이동되면 업다운구동부에 의하여 하강되어 가열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탑커버부는, 탑구동부에 의하여 가열위치로 이동된 플레이트부에 밀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산자바탕이 가열 성형되도록 하며,
    상기 스크래퍼는, 안착부에 배치되는 산자바탕이 통과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는 가열 성형이 완료된 산자바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산자 제조장치.
  2. 제1항의 산자 제조장치를 이용한 산자 제조방법으로서,
    a) 찹쌀반죽으로 산자바탕을 마련하는 단계;
    b) 기초성형부에서 110℃ 이상 및 120℃ 이하의 기름에 산자바탕을 불리는 단계;
    c) 상기 불린 산자바탕을 산자제조장치에서 1차로 가열하여 부풀리는 단계;
    d) 상기 부풀린 산자바탕을 2차로 가열하여 표면을 경화하는 단계;
    e) 표면이 경화된 산자바탕 표면을 집청하고 고명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자의 제조방법.



KR1020190044329A 2018-12-14 2019-04-16 산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 KR102184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2173 2018-12-14
KR1020180162173 2018-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58A KR20200073958A (ko) 2020-06-24
KR102184121B1 true KR102184121B1 (ko) 2020-11-27

Family

ID=7140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29A KR102184121B1 (ko) 2018-12-14 2019-04-16 산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077B1 (ko) 2015-08-26 2015-11-19 유한회사 떡고물 단감분말 포함 산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산자
KR101777728B1 (ko) 2016-09-29 2017-09-12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1385A1 (en) * 2004-02-03 2005-08-10 Incomec-Cerex Production of expanded food crackers
KR101211529B1 (ko) * 2010-04-01 2012-12-12 고한영 산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077B1 (ko) 2015-08-26 2015-11-19 유한회사 떡고물 단감분말 포함 산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산자
KR101777728B1 (ko) 2016-09-29 2017-09-12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58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3955B (zh) 自動油炸機
JP2007508829A (ja) 充填された食料製品、関連する半加工された製品、およびそれを生産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JPS58111648A (ja) ド−製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188088B1 (ko) 쌀국수면 및 쌀국수면의 생산 방법
KR101987765B1 (ko) 김 튀김 제조장치
US804364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doughnut, and doughnut produced thereby
KR102184121B1 (ko) 산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자의 제조방법
KR200485656Y1 (ko) 누룽지 제조장치
JPH0923805A (ja) 食用可能な又は飼料として使用可能なかつ動物学的に容易に分解し得る材料からなる容器、皿、盆、カップ等の製造方法
KR100459670B1 (ko) 압착누룽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U744175B2 (en) Process and correspon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ready-cooked and semi-cooked dishes
CN108991436B (zh) 一种蔬菜素糕组合式生产线的使用方法
JP4583266B2 (ja) パン類の製造方法
JPS5844343B2 (ja) 急速減圧油揚げ法による膨化食品の製造方法
TWM579460U (zh) Thin skin food grilling device
CN214433768U (zh) 烤笼和智能烤箱
KR101469550B1 (ko) 찐빵의 제조방법
JP4344302B2 (ja) ポーチドエッグ様食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CN215684485U (zh) 一种棒形面包生产线
CN114365817A (zh) 一种速冻速食面条的熟成设备及方法
CN210055680U (zh) 多功能温泉蛋机
CN109463653B (zh) 一种利用离心分离技术制作丸产品的制备方法
JPS625312A (ja) 全自動製パン機
JPS6241624A (ja) 全自動製パン機
CN115606792A (zh) 红薯粉皮加工方法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