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610B1 -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610B1
KR102183610B1 KR1020200057933A KR20200057933A KR102183610B1 KR 102183610 B1 KR102183610 B1 KR 102183610B1 KR 1020200057933 A KR1020200057933 A KR 1020200057933A KR 20200057933 A KR20200057933 A KR 20200057933A KR 102183610 B1 KR102183610 B1 KR 10218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driver
service
information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20005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10B1/ko
Priority to PCT/KR2020/010351 priority patent/WO20212304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이용자 단말 및 상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하고,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에 의해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눈, 비와 같은 악천후 사고, 유흥가나 스포츠, 집회, 개인 사정에 의한 특수 상황이 불시에, 불규칙, 국지적으로 발생할 경우에 즉각적으로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에게 특수 상황에 의한 승객 수요 변화 상황을 알릴 수 있어 택시 기사나 대리운전 기사, 고객들에게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도출시키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for Providing Demand information of Taxi or Chauffeur service}
본 발명은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이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수요 데이터를 영역별로 표시하여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나 대리운전 관련 손님의 불편 사항이 전체 교통 민원의 대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심야시간, 택시 기사나 대리기사들이 오지에서 시내복귀(유흥가)가 힘들다는 이유를 들어 오지로 가는 손님들로부터의 콜 수락을 의도적으로 지연시켜 요금상승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골든아워에 비양심 택시 또는 대리기사들의 단거리 승차거부/부당 요금 요구 행위에 의한 고질적 불편사항이다.
그러나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들의 근무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이를 먼저 해결해야할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택시기사나 대리기사도 외딴곳(오지)에 손님하차 후, 유흥가로 다시 복귀할 경우 빈 택시로 돌아오거나, 대리 기사의 경우에는 교통수단이 없을 경우 수km를 걷거나, PC방/현금코너 등에서 첫 버스/전철 기다리는 등 시간낭비/수입감소와 같은 고충에 의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즉 외진 곳으로 가는 손님을 외면하고 요금인상 유도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기 때문에 대리운전손님들의 큰 불편으로 악순환되는 것이다.
특히, 심야나 돌발 교통상황이 발생하거나 눈, 비와 같은 악천후 시에는 택시나 대리기사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반해 오히려 공급은 감소하게 된다. 서행운전으로 수입이 감소할 뿐 아니라 위험한 악천후 상황에서 인사사고시에는 책임까지 져야하기 때문에 눈, 비 악천후 시에는 소극적으로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주말이나 심야시간의 유흥가나 스포츠, 집회, 개인 사정에 의한 특수 상황이 불시에, 불규칙, 국지적으로 발생할 경우에 즉각적으로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에게 특수 상황에 의한 수요의 증가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택시 기사나 운전기사, 고객들에게 모두 만족할만한 상황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항 국내선 마감 무렵에 수십 명의 고객이 줄을 서서 택시를 기다리는 반면, 국제선의 경우에는 수십 대의 빈 택시가 대기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징검다리 연휴 등으로 인해 예고 없이 회식 손님들이 증가한 경우에 유흥가 변두리의 빈 택시들이 이 상황을 파악할 방법이 없어 교통 불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KR 10-2014-0107730 A KR 10-1167666 B1 KR 10-1490363 B1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눈, 비와 같은 악천후 사고, 유흥가나 스포츠, 집회, 개인 사정에 의한 특수 상황이 불시에, 불규칙, 국지적으로 발생할 경우에 즉각적으로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에게 특수 상황에 의한 승객 수요의 증가를 알릴 수 있어 택시 기사나 대리운전 기사, 고객들에게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상황을 도출시키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은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이용자 단말 및 상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하고,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용자 단말, 서비스 제공자 단말 및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이용자 단말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하는 단계 및 정보 제공 서버가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눈, 비와 같은 악천후 사고, 유흥가나 스포츠, 집회, 개인 사정에 의한 특수 상황이 불시에, 불규칙, 국지적으로 발생할 경우에 즉각적으로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에게 특수 상황에 의한 승객 수요 변화 상황을 알릴 수 있어 택시 기사나 대리운전 기사, 고객들에게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을 도출시키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택시나 대리운전 기사의 근무 환경에 대한 구조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거리 승차거부, 불합리한 운행 요금 문제에 의한 고객 불만 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데이터 파악 결과를 제공한 화면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20), 서비스 제공자 단말(30) 및 정보 제공 서버(10)를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20)은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한다. 이용자 단말(20)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된다.
이용자 단말(20)은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택시 또는 대리운전 기사 회원이 소지한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구동된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정보 제공 서버(10)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의 수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의 수요 정보를 지도상에 가시적인 데이터로 표시하고, 음성 지원을 통해 수요 상황 및 교통상황을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원격 CCTV 카메라로 촬영된 교통 인프라 및 실시간 교통상황, 공연이나 집회, 스포츠 경기 등의 주최 측으로부터 제공 받은 행사 일정 관련 정보, 유흥가, 사고, 비상 상황 등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아 택시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 통보해줄 수 있다. 실시간으로 문자데이터,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 음성 형태로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택시 또는 대리운전 기사는 손님 즉 서비스 이용자 수요 현황이나 도로상황을 원격에서도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서비스 수요가 많은 위치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IP 할당된 단말기로서 인터넷 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일예로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이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동작,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모빌리티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에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도록 다운로드시키고, 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정보 제공 서버(10)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20)의 GPS 정보와 같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 단말(20)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한다. 즉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용자의 수요량을 파악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 서버(10)는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준다. 구체적으로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구분하여 특별히 수요가 많은 지역 정보를 확인하기 용이하게 정보 제공해준다.
도 1과 같이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서버(10)는 통신부(110), 요청 입력부(120), 수요 데이터 파악부(130),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 제공자 평가부(150) 및 대리-택시 매칭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인터넷 등을 통해 이용자 단말(20) 및 서비스 제공자 단말(30)과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모듈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요청 입력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용자 단말(20)로부터 택시 호출 또는 대리기사 호출 요청을 수신한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20)에 탑재된 모빌리티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호출 또는 대리운전 기사를 호출한다.
이때 요청 입력부(120)는 운행 성향, 택시 종류나, 기사 성별, 금연 여부에 대한 선택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택시 운전기사나 대리 운전 기사의 운행 성향에 따라 도착지까지 신속한 시간 내에 도착하는 것을 중요시여기는지,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안전하게 운행하는 것을 중요시 여기는지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요청 입력부(120)로 입력한 정보에 부합한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만 해당 이용자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가 금연 차량을 선택한 경우에는 금연 차량을 운행하는 택시기사나 대리운전 기사에게는 서비스 이용자가 수요 데이터로 제공되지만, 흡연 차량은 운행하는 택시기사나 대리운전 기사에게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수요 데이터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수요 데이터 파악부(130)는 요청 입력부(120)로 택시 호출 또는 대리기사 호출 요청한 이용자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이용자 단말(20)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요 데이터 파악부(130)는 물리적인 행정 구역별로 구분하거나 또는 거리 단위로 영역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요 데이터 파악부(130)는 택시 또는 대리기사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수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요 데이터 파악부(130)는 택시 정거장에 설치된 CCTV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택시 정거장에서 대기중인 이용자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는 수요 데이터 파악부(130)에서 파악된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 제공해준다. 이때 파악된 서비스 수요량 정보는 지도 이미지에 표시하여 나타내거나 음성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는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수요량 초과 지역 정보를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로 제공해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행정 구역 또는 물리적 거리로 구분된 영역,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파악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로 제공해준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데이터 파악 결과를 제공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는 도 2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에서 구동되는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해준다.
또한 도 3 과 같이 보다 상세하게 구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는 도 2 에 표시된 지도의 확대를 통해서 더 좁은 영역의 거리 구획별로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수요량 대비 공급량 정보를 %로 제공해줌으로써 택시 기사나 대리운전 기사가 지역별 수요량 대비 공급량 정보를 파악하여 보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이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는 단순히 서비스 이용자의 수가 많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영역 내에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공급자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에 따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이 일정 비율이상 낮은 지역은 별색으로 표시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인지하기 쉽게 표시해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0)는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수요 정보와 함께 해당 지역 부근의 교통 상황 정보를 더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 수 km단위 영역별로 구분하여 수요 데이터 및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 단말(30)은 수요 데이터 및 교통 상황 정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수요 데이터 제공부(140)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기사가 입력한 설정 조건에 부합한 이용자들만 수요 데이터로 파악하여 제공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주 여부, 성별 또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제한하거나, 소정 거리 이상으로 제한하여 조건에 부합한 이용자들만 필터링하여 수요 데이터로 파악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0)는 택시기사나 대리운전 기사별로 설정한 조건 정보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택시기사나 대리운전 기사의 운행 조건에 부합한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수요량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10)는 대리기사나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30)로 교통상황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10)는 수요 데이터 정보와 교통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10)의 제공자 평가부(150)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회원이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20)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서비스 평가를 입력받고, 고객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상점 또는 벌점을 허여한다.
예를 들어 제공자 평가부(150)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회원으로부터 운전습관, 친절도, 바가지요금 존재 여부 등에 대한 서비스 평가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는 금연 여부 및 차량의 노후 정도에 대한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공자 평가부(150)는 고객 회원으로부터 콜 거부, 승차거부 신고를 받으면, 해당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기사의 서비스 평가 점수에 벌점을 가중 부여함으로써 평가 제도에 대한 효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리-택시 매칭부(16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대리기사가 소지하는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택시호출 요청이 수신되면, 대리 기사 단말의 위치에서 반경 일정범위 이내에서 콜 대기중인 택시 기사 단말로 대리기사의 픽업 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택시기사 단말로부터 픽업 요청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대리기사 단말로 응답 수신 알림 메시지 및 응답한 택시 정보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10)는 모빌리티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가입한 택시기사 및 택시기사가 소지한 택시기사 단말 정보, 대리기사 및 대리기사가 소지한 대리기사 단말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여기서 택시기사단말 정보 및 대리기사 단말 정보는 단말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 서버(10)는 대리기사 단말과 택시기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일 예로 정보 제공 서버(10)는 초정밀 위치정보 ABAS(Aircraft Based Augmentation System)를 이용하여 택시기사 단말 및 대리기사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리-택시 매칭부(160)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 중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택시호출요청이 수신되면,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택시탑승지역 반경 일정범위 이내의 택시기사 단말로 대리운전기사의 픽업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대리기사 단말은 회원가입시에 대리운전기사임을 증명하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는 대리운전 호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실제 고객으로부터 대리운전을 요청받고 수행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절차를 거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대리-택시 매칭부(160)가 탑승지역 반경 일정범위 이내의 택시기사 단말로 대리운전기사의 픽업요청을 전송하면, 대리기사 단말의 모빌리티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반경 2km이내의 택시 5호에게 픽업을 요청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출력하여 대리 기사에게 픽업 요청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픽업 요청한 택시기사단말의 위치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택시탑승지역 반경 일정범위는 정보 제공 서버(10)상에서 초기 설정된 값일 수도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택시기사나 대리기사로부터 설정받은 값일 수 있다.
그리고 택시기사단말로 "대리기사 24호, 및 4호 픽업해주세요"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대리기사 단말과 택시기사 단말 간에 서로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택시기사 단말은 문자→음성 변환시스템 TTS(text to speech)을 이용하여 운전 중에도 안전하게 음성형태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AI음성지원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서버(10)의 대리-택시 매칭부(16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의 픽업 요청을 동시에 하나의 택시기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택시기사 단말은 대리운전기사의 픽업장소 간 이동이 용이한 경우에 둘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의 픽업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기사가 둘 이상의 대리기사로부터의 픽업 요청에 응답한 경우, 정보 제공 서버(10)의 대리-택시 매칭부(160)는 택시 5호와, 대리기사 24호, 대리기사 4호의 현위치정보와, 택시 5호의 최종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파악하여 택시 5호가 어느 대리기사를 먼저 픽업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결과에 따라 택시 5호 기사가 소지하는 택시기사 단말에게 이동경로를 안내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0)는 모빌리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전용 페이를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여 서비스 이용자 계좌에서 실시간 이체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자 계좌로 입금되는 방식으로 서비스 이용 비용의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같은 비용 처리 구조에 따라 기존에 택시기사들이, T-money/이비카드 등에 지불중인, 택시요금결제수수료/통신비(대당 연평균 50만원)를 면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제공자 평가부(150)에서의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평가 점수가 소정의 기준 점수 이상이거나, Insur-Tech/pay per mile 무사고 시 보험료의 40%를 환불해주는 가격 체계를 적용하여 택시 보험료를 인하하여 택시 기사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고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심야 시간이나 오지, 변두리 손님 하차 후에, 근방에서 업무종료하고 시내로 복귀하는 대리기사들을 픽업함으로써 대리기사들의 복귀를 원활히 할 뿐 아니라 택시기사들의 수익창출을 도울 수 있다.
한편, 종래에 심야시간, 악천후 시 택시/대리기사의 수요가 급증하는데, 공급은 오히려 크게 감소하게 된다. 심할 때는 10%이하로 운행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서행으로 수입이 30%가량 감소하게 되는데 위험수당은 고사하고, 사고시 손해배상 및 100~200%의 보험할증을 부담해야하는 구조적 모순 때문이다.
또한 심야 시간이나 오지에서 손님하차 후 걸어서 시내로 복귀하는 대리 운전 기사와 빈 택시의 처지가 같고, 대리운전 출동 시 택시 자주 이용하는 행동반경이 같은, 택시/대리들의 장단점을 서로 잘 보완해 주면, 택시/대리가 연대하는 전국 24시 이멀젼시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조건과 여건에 따라 대리기사들이 평균 택시비용보다 저렴하게 되돌아 올 수 있는 가격 체계가 마련되어 적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10)는 심야시간이나 눈, 비, 태풍과 같은 악천후에서 운행하는 택시 기사 또는 대리 기사에게 위험수당을 지급하는 가격 체계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모빌리티 서비스는 기존보다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 지급되는 수익율을 기존보다 높여줄 수 있어 근무 여건을 개선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어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발적 서비스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악천후시에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오지의 긴급환자, 벽지 주민들의 이동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24시간 이멀젼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사업을 제안할 수 있고, 손님 편의에 맞춰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리미엄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르면 자발적 서비스 참여를 유도하여 기존보다 적은 수수료체계로도 높은 사업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이용자 단말, 서비스 제공자 단말 및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이용자 단말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이 입력되면(S400), 정보 제공 서버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S410) 상기 이용자 단말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한다(S420).
그리고 정보 제공 서버가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준다(S430).
이때 정보 제공 서버는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으로부터 택시 종류나, 기사 성별, 금연 여부에 대한 선택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 서버로 입력한 정보에 부합한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만 해당 이용자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자가 금연 차량을 선택한 경우에는 금연 차량을 운행하는 택시기사나 대리운전 기사에게는 서비스 이용자가 수요 데이터로 제공되지만, 흡연 차량은 운행하는 택시기사나 대리운전 기사에게는 해당 서비스 이용자가 수요 데이터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
정보 제공 서버는 택시 호출 또는 대리기사 호출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이용자 단말의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는 물리적인 행정 구역별로 구분하거나 또는 거리 단위로 영역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수요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는 택시 또는 대리기사 서비스를 이용하기 원하는 서비스 이용자의 수요량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제공 서버는 택시 정거장에 설치된 CCTV나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택시 정거장에서 대기중인 이용자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정보 제공 서버는 파악된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 제공해준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가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수요량 초과 지역 정보를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제공해줄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가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제공해준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 단말은 행정 구역 또는 물리적 거리로 구분된 영역,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파악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제공해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해준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 구역별로 확대하여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는 화면 지도의 확대를 통해서 더 좁은 영역의 거리 구획별로 서비스 수요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수요량 정보는 음성지원으로 출력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요량 대비 공급량 정보를 %로 제공해줌으로써 택시 기사나 대리운전 기사가 지역별 수요량 대비 공급량 정보를 파악하여 보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이 낮은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있다.
즉,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는 단순히 서비스 이용자의 수가 많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영역 내에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공급자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에 따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이 일정 비율이상 낮은 지역은 별색으로 표시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인지하기 쉽게 표시해줄 수 있다.
이 후에 정보 제공 서버가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회원이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서비스 평가를 입력받고, 고객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상점 또는 벌점을 허여한다(S450).
이때 상점 또는 벌점을 허여하는 단계는, 고객 회원으로부터 콜 거부, 승차거부 신고를 받으면, 해당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기사의 서비스 평가 점수에 벌점을 가중부여한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정보 제공 서버 20 : 이용자 단말
30 : 서비스 제공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요청 입력부 130 : 수요 데이터 파악부
140 : 수요 데이터 제공부 150 : 제공자 평가부
160 : 대리-택시 매칭부

Claims (10)

  1.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이용자 단말; 및
    상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하고,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수요량 초과 지역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제공해주며,
    이용자 단말로부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 입력시에 운행 성향, 택시 종류나, 기사 성별, 금연 여부에 대한 선택을 더 입력받고, 입력한 정보에 부합한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만 해당 이용자 정보를 서비스 수요 데이터로 포함시키며,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기사가 입력한 설정 조건에 부합한 이용자들을 필터링하여 수요 데이터로 파악하되,
    상기 택시기사 또는 대리기사가 입력한 설정 조건은,
    음주 여부, 성별 또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제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 중 대리운전기사임을 증명하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택시호출요청이 수신되면,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반경 일정범위 이내의 택시기사 단말로 대리운전기사의 픽업요청을 전송하고, 대리운전기사에게 적용되는 가격 체계에 따라 픽업 요금을 산출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회원이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서비스 평가를 입력받고, 고객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상점 또는 벌점을 허여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고객 회원으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기사에 의한 콜거부, 승차거부 신고 접수를 받으면, 해당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기사의 서비스 평가 점수에 벌점을 가중부여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6. 이용자 단말, 서비스 제공자 단말 및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단말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을 요청하는 고객 회원이 소지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의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파악하는 단계; 및
    정보 제공 서버가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파악된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가 지역별로 서비스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파악하여 수요량 초과 지역 정보 및 상기 파악된 수요량 대비 공급량을 택시 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가 소지하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 제공해주며,
    상기 서비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요청 입력시에 운행 성향, 택시 종류나, 기사 성별, 금연 여부에 대한 선택을 더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수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단계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부합한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에게만 해당 이용자 정보를 서비스 수요 데이터로 포함시키며,
    서비스 제공자 단말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기사가 입력한 설정 조건에 부합한 이용자들을 필터링하여 수요 데이터로 파악하되,
    상기 택시기사 또는 대리기사가 입력한 설정 조건은,
    음주 여부, 성별 또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제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 중 대리운전기사임을 증명하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친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택시호출요청이 수신되면, 대리기사 단말로부터 반경 일정범위 이내의 택시기사 단말로 대리운전기사의 픽업요청을 전송하고, 대리운전기사에게 적용되는 가격 체계에 따라 픽업 요금을 산출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서버가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회원이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서비스 평가를 입력받고, 고객 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평가 점수에 기반하여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 기사별로 상점 또는 벌점을 허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점 또는 벌점을 허여하는 단계는,
    고객 회원으로부터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기사에 의한 콜 거부, 승차거부 신고를 받으면, 해당 택시기사 또는 대리운전기사의 서비스 평가 점수에 벌점을 가중부여하는,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200057933A 2020-05-14 2020-05-14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8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33A KR102183610B1 (ko) 2020-05-14 2020-05-14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CT/KR2020/010351 WO2021230428A1 (ko) 2020-05-14 2020-08-05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933A KR102183610B1 (ko) 2020-05-14 2020-05-14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610B1 true KR102183610B1 (ko) 2020-11-26

Family

ID=7367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933A KR102183610B1 (ko) 2020-05-14 2020-05-14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3610B1 (ko)
WO (1) WO20212304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269B1 (ko) 2021-02-04 2021-11-09 서병희 교통정보 안내 스마트 파라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93061B1 (ko) * 2021-09-28 2022-05-02 주식회사 선배들 차량 간 무선 통신 방법
KR102399382B1 (ko) * 2022-01-19 2022-05-19 주식회사 타고가요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3305A (zh) * 2024-03-07 2024-04-09 中国标准化研究院 基于大数据的汽车代驾服务质量监控方法及系统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266A (ko) * 2007-06-25 2009-01-09 (주)시티드라이브 대리운전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6368A (ko) * 2010-04-19 2011-10-26 박채경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방법
KR101078776B1 (ko) * 2009-02-20 2011-11-01 (주)테슬라시스템 지능형 택시 정보 시스템
KR101139340B1 (ko) * 2010-09-06 2012-04-26 원영주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1167666B1 (ko) 2011-06-25 2012-08-07 아비드소프트(주) 고객의 위치 파악이 가능한 택시 운행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30038641A (ko) * 2011-10-10 2013-04-18 백종호 고객이 대리운전 기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JP5232298B2 (ja) * 2009-04-23 2013-07-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手段需要予測支援サーバ、移動手段供給システム、及び移動手段需要予測データ作成方法
KR20140107730A (ko) 2013-02-26 2014-09-05 고재송 택시 승차장 서비스 방법
KR101490363B1 (ko) 2014-10-23 2015-02-06 이영우 실시간 택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45962A (ko) * 2015-04-06 2015-04-29 리모택시코리아 주식회사 경로 추천에 기반한 콜택시 배차 시스템 및 방법
JP2019036231A (ja) * 2017-08-21 2019-03-07 株式会社アース・カ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62750A (ko) * 2017-11-29 2019-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선형 노이즈에 의한 광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는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266A (ko) * 2007-06-25 2009-01-09 (주)시티드라이브 대리운전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78776B1 (ko) * 2009-02-20 2011-11-01 (주)테슬라시스템 지능형 택시 정보 시스템
JP5232298B2 (ja) * 2009-04-23 2013-07-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手段需要予測支援サーバ、移動手段供給システム、及び移動手段需要予測データ作成方法
KR20110116368A (ko) * 2010-04-19 2011-10-26 박채경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39340B1 (ko) * 2010-09-06 2012-04-26 원영주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1167666B1 (ko) 2011-06-25 2012-08-07 아비드소프트(주) 고객의 위치 파악이 가능한 택시 운행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130038641A (ko) * 2011-10-10 2013-04-18 백종호 고객이 대리운전 기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07730A (ko) 2013-02-26 2014-09-05 고재송 택시 승차장 서비스 방법
KR101490363B1 (ko) 2014-10-23 2015-02-06 이영우 실시간 택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45962A (ko) * 2015-04-06 2015-04-29 리모택시코리아 주식회사 경로 추천에 기반한 콜택시 배차 시스템 및 방법
JP2019036231A (ja) * 2017-08-21 2019-03-07 株式会社アース・カ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62750A (ko) * 2017-11-29 2019-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선형 노이즈에 의한 광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는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는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생활 정보 팁] 유용한 콜택시 앱 추천(카카오택시, 티맵택시, 비클), 중ICCT(한국정보문화콘텐츠기술원) 공식 블로그*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269B1 (ko) 2021-02-04 2021-11-09 서병희 교통정보 안내 스마트 파라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93061B1 (ko) * 2021-09-28 2022-05-02 주식회사 선배들 차량 간 무선 통신 방법
KR102399382B1 (ko) * 2022-01-19 2022-05-19 주식회사 타고가요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0331B1 (ko) * 2022-01-19 2023-05-10 주식회사 타고가요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28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610B1 (ko)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1821737B2 (en) Public and ordered transportation trip planning
US6356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transportation route
US10410519B2 (en) Public transportation navigator
JP5935887B2 (ja) 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装置、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方法及びオンデマンド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8423544B2 (en) Hotspot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US20160371607A1 (en)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US20150254581A1 (en) Rideshare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instant carpooling
US20160180712A1 (en) Citywide parking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006072A1 (en) Dynamically Optimized Transportation System
US20100088026A1 (en) Location-aware selec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US20120004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dvertising Information to Transportation Users
WO2002006994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fficient transportation route
US20140350830A1 (en)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90248435A1 (en) Method for locating just in time mobile services
KR101851893B1 (ko) 택시 합승 서비스 제공방법
KR101596810B1 (ko) 이동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5631A (ko) 개인 차량을 이용한 광고중개 제공 방법
KR102167679B1 (ko) 택시를 이용하여 대리기사의 픽업이 가능한 택시-대리기사 매칭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Nelson et al. Flexible transport management
KR102315188B1 (ko) 자율주행자동차 기반 이동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184100B1 (ko)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90064554A (ko) 개인 차량을 이용한 광고중개 제공 방법
Meshram Best Practices in ADA Paratransit: Cost Reduction and Service Enhancement
JP6905760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