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331B1 -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331B1
KR102530331B1 KR1020220058876A KR20220058876A KR102530331B1 KR 102530331 B1 KR102530331 B1 KR 102530331B1 KR 1020220058876 A KR1020220058876 A KR 1020220058876A KR 20220058876 A KR20220058876 A KR 20220058876A KR 102530331 B1 KR102530331 B1 KR 10253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driver
termi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고가요
최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고가요, 최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고가요
Priority to KR1020220058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운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DB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들 중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제1 후보 차량들을 결정하는 후보 차량 결정부; 결정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에 대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후보 차량들 중 하나의 차량을 예약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매칭하는 차량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예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BILITY PLATFORM FOR PROVIDING A RESERVATION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VEHICLE MATCHING}
본 발명은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자와 사용자 간 차량 매칭을 수행하고, 차량 매칭이 성사된 경우 차량 매칭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해서 사용자 및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매칭 서비스는 사용자인 고객이 콜밴 또는 콜택시를 소유하고 있는 회사에 콜밴 또는 콜택시를 요청하여 자신이 원하는 장소로 콜밴 또는 콜택시를 호출하는 것으로서, IT 기술 발달에 따라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매칭 시스템은 사용자가 콜밴 또는 콜택시를 소유하고 있는 회사에 전화 문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콜밴 또는 콜택시 이용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현 위치 정보 및 연락처 정보 등을 입력받아 각 운전자들에게 고객 승차가 가능한지를 필터링한 후, 사용자에게 차량 이용 가능 여부 및 이용 가능한 차량의 도착 대기 시간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만, 현재는 고객인 사용자마다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는 차량의 이용 목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니즈가 다양할 수 있는데,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차량을 추천하는 기술 및 다양한 니즈에 따른 예약 내용을 통합 관리해주는 시스템이 미비하다. 따라서, 차량 매칭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직접 결정하도록 하고, 차량 매칭과 관련된 예약 현황 정보를 사용자들이 알기 쉽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차량 매칭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맞춤형 차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차량을 포함한 이용 가능 차량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운전자와 사용자 간 차량 매칭을 수행하고, 차량 매칭이 성사된 경우 차량 매칭에 관한 예약 정보를 생성해서 사용자 및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운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DB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들 중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제1 후보 차량들을 결정하는 후보 차량 결정부; 결정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에 대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후보 차량들 중 하나의 차량을 예약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매칭하는 차량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예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차량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운행 일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전 운행 일정 및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다음 운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중에서 제2 후보 차량들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에 대응하는 운전자 단말들에 조건 충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조건 충족 신호에 대응하는 공급 신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공급 신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차량 결정부는, 상기 제 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사전 대기(pre-standby) 적합도 및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사후 대기(post-standby) 적합도에 기초하여, 후보 차량의 운행 원활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운행 원활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제1 후보 차량들을 상기 제2 후보 차량들로 결정하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차량 결정부는,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전 운행의 완료 지점에서 상기 운행 일정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출발 지점까지의 제1 거리, 상기 이전 운행의 완료 시점과 사용자의 출발 시점 사이의 제1 공백 시간, 상기 이전 운행의 도착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출발 지점으로 가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하고, 상기 운행 일정에 따른 사용자의 도착 지점에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다음 운행의 시작 지점까지의 제2 거리, 상기 사용자의 도착 예정 시점과 상기 다음 운행의 운행 시작 시점 사이의 제2 공백 시간, 상기 사용자의 도착 지점에서 상기 다음 운행의 시작 지점으로 가는데 소요되는 제2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매칭부는, 상기 완료 지점을 중심으로 갖고, 상기 완료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반지름으로 갖는 원을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동 편의 구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편의 구역에 상기 출발 지점이 위치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이동 편의 구역 내에 상기 출발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완료 지점에서 상기 출발 지점을 향하는 제1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도착 지점에서 상기 시작 지점을 향하는 제2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거리, 상기 제2 거리, 및 상기 제1 벡터와 상기 제2 벡터 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동 편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차량 결정부는,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S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D1은 상기 제1 거리, Tg1은 상기 제1 소요 시간 및 Tb1은 상기 제1 공백 시간이고,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2
상기 수학식에서, S2은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 D2은 상기 제2 거리, Tg2은 상기 제2 소요 시간 및 Tb2은 상기 제2 공백 시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보 차량 결정부는,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운행 원활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S는 상기 운행 원활도, S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S2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w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 w2는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이고, w1 및 w2의 합은 1이며, 상기 w1 및 상기 w2은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며,
상기 w1 및 상기 w2는 상기 이전 운행에 대응하는 시간의 교통 혼잡도 및 상기 다음 운행에 대응하는 시간의 교통 혼잡도에 따라 결정되며, 교통 혼잡도가 더 높은 시간에 대응하는 운행에 대한 가중치가 더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매칭부는,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동 편의 점수를 산출하고,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4
상기 수학식에서, C는 상기 이동 편의 점수,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5
는 상기 제1 벡터와 상기 제2 벡터 간 각도, d는 상기 완료 지점부터 상기 출발 지점까지의 상기 제1 거리, r은 상기 이동 편의 구역의 반지름을 의미하고, 산출된 상기 이동 편의 점수를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에 대응하는 운전자 단말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차량을 매칭해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차량 이용뿐 아니라 운전자의 인적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운전자의 차량 동선을 고려하여 차량을 효율적으로 추천해줄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사용자가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차량을 예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사용자가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차량을 예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차량이 예약된 경우, 예약 관리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운전자 단말 간 네트워크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을 매칭하는 것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차량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할 차량을 고르기 위한 요소인 운행 원활도를 산출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차량 매칭 요청에 따라 운전자가 수락할지 말지 용이하게 결정하도록 차량의 이동 편의도를 산출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동작들은 서버(100)에 의하여 제어되는 플랫폼(예: 웹 페이지 및/또는 일종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차량 이용에 관하여 차량 매칭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은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운전자 단말(300)로부터 차량 등록 신호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차량 매칭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차량 매칭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운전자 단말(300) 간의 차량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소유자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 매칭 요청 정보를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매칭 요청 정보는 희망 차량 종류, 희망 차량 모델, 희망 차량 연식, 희망 운전자, 탑승 인원, 출발 지점, 출발 시점(예: 출발 일자, 출발 시간), 도착 지점, 희망 편의 서비스 및 희망 가격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300)은 운전자 단말(300)의 소유자인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 성별, 운전자 나이, 운전 경력, 관련 업종 종사 이력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 종류, 차량 모델명, 연식, 최대 탑승 가능 인원, 운행 가능 지역, 편의 서비스, 용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운전자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차량 등록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DB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매칭 요청 신호에 따라 차량 DB에 저장된 차량들 중 사용자에게 추천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결정된 후보 차량들에 대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차량들 중 하나를 예약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을 매칭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회원으로 등록된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스템 정기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 정기 사용료는 운전자마다 다르게 책정될 수 있으며, 정기 사용료는 예를 들어 월 10만원에서 20만원일 수 있다. 정기 사용료는 운전자에 대한 평점, 운전자의 경력, 운전자의 운행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차량 매칭 수수료를 운전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매칭 수수료는 사용자가 운전자에게 지불하는 이용 요금 결제액의 미리 결정된 비율(예: 20%)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차량 실내 광고 수입, 차량 경정비 내지 소모품의 판매 유통 수수료, 편의 서비스(예: 와이파이, 고프로 카메라, 유모차 렌탈, 반려동물 호텔 이용 중개)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차량 매칭 요청 정보, 운전자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은 각각 통신 네트워크(50)에 연결되어,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 서로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50)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5G 등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회원 관리부(101), 차량 매칭부(102), 후보 차량 결정부(103) 및 예약 관리부(1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01)는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된 웹 사이트나 어플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회원 정보는 이름, 전화 번호, 주민 번호, 거주지, 사업장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01)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300)부터 획득된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300)의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01)는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 및 운전자를 리스트화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매칭 요청 정보를 만족하는 운전자의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통해서 설명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후보 차량 결정부(103)에 의하여 결정된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자 단말(300)에 조건 충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충족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매칭 정보에 부합한다는 취지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조건 충족 신호는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포함된 차량 종류, 차량 모델, 희망 차량 연식, 희망 운전자, 탑승 인원, 희망 편의 서비스 및 희망 가격대를 만족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출발 지점 및 출발 시점에 운행이 가능한 차량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300)에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운전자 단말(300)로부터 조건 충족 신호에 대응하는 공급 신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건 충족 신호를 수신한 운전자는 차량을 공급할지 말지 결정할 수 있고, 운전자가 사용자에게 차량을 공급하기를 원하는 경우 운전자 단말(300)은 차량을 공급할 수 있다는 취지의 신호를 차량 매칭부(102)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상기 운전자 단말(300)의 소지자인 운전자의 차량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후보 차량으로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시키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이 포함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상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들 중 하나의 차량을 예약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매칭할 수 있다.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운전자의 차량의 운행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운전자 단말(300)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운전자 단말(300)이 매칭된 시점, 매칭 이후 운전자의 차량이 출발지에 도착한 시점, 운전자의 차량이 출발지에서 출발한 시점, 운전자의 차량이 도착지에 도착한 시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a는 사용자가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차량을 예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사용자가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차량을 예약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 번호 30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이용 목적을 선택 내지 입력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이용 목적을 선택 내지 입력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목적은 시내에서 공항으로 이동, 공항에서 시내로 이동, 여객선터미널 이동, 버스터미널 이동, 도심공항터미널 이동, 병원 이동, 학교 등하교, 군인 휴가, 군입소, 견학, 골프장 이동, 웨딩 투어, 여행 투어, 공연장 이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승차 시점, 출발지, 경유지 및 도착지를 선택 내지 입력할 수 있다.
참조 번호 302 및 303을 참고하면,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량 DB에 포함된 차량들 중 후보 차량들을 결정하고, 후보 차량들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차량들에 관한 정보는 차량 종류, 운전자 성함, 운전자 자기소개, 운전자 연락처, 운전자로부터 제시된 금액, 할인 가능한 금액, 차량 사진, 카시트 존재 여부, 피켓 서비스 가부, 반려동물 동승 가부, 운전자의 외국어 가능 여부, 차량이 가입된 보험 회사, 증명 서류(예: 자동차 보험 계약서, 자량등록증, 운전면허증, 렌터카 계약서 등), 차량 와이파이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 304를 참고하면, 차량 매칭부(102)는 차량 매칭 요청 정보외에 이후 일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출발 지점, 출발 시점(예: 출발 일자, 출발 시간), 도착 지점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이용 정보(예: 출발 지점, 출발 시간, 도착 지점, 도착 예상 시간)과 이후 일정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이용 시간이 이후 일정과 겹치거나 차량 이용 시간과 이후 일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 이하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차량 이용 불가능 메시지나 차량 매칭 요청 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참조 번호 305를 참고하면,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탑승 인원, 화물 개수, 서비스 종류 및 부가 서비스를 선택 내지 입력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탑승 인원은 성인, 초중고학생 및 미취학 아동으로 분류되어 입력될 수 있다. 화물 개수는 큰 짐, 작은 짐으로 분류되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종류는 사용자가 차량만 이용하는 서비스, 차량 이용에 동행 서비스(예: 병원 진료 동행 서비스)가 더해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 306을 참고하면,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부가 서비스를 선택 내지 입력을 지시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서비스는 유아 카시트 서비스, 공항 피켓 서비스, 반려동물 케이지 이용 서비스 및 외국어 가능 운전사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차량 매칭 서비스를 통해 차량이 예약된 경우, 예약 관리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 간 차량 매칭이 성사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에 예약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참조 번호 401을 참고하면,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메시지 및/또는 서버(100)와 연동된 SNS 서버(예: 카카오톡 서버, 트위터 서버, 페이스북 서버, 인스타 서버, 유튜브 서버 등)를 통해서 예약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되는 예약 관련 정보는 예약 번호, 예약자 성명, 탑승 인원, 이용방법, 승차일시, 매칭된 운전자, 매칭된 차량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되는 예약 관련 정보는 예약 번호, 예약자 성명, 탑승 인원, 이용방법, 승차일시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 402를 참고하면,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사용자 및 운전자가 예약된 차량 운행 일정을 잊지 않도록 운행 시작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기간 이른 시점에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에 예약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2021년 7월 19일 6시에 차량 운행 일정이 있는 경우, 2021년 7월 19일 6시에 예약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 및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은 사용자 및/또는 운전자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참조 번호 403을 참고하면,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운전자의 일정 관리를 보조하기 위한 예약 확정 내용을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예약 관리부(104)는 날짜별로 운전자의 예약된 운행 일정들을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운행 일정들을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운전자 단말 간 네트워크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을 매칭하는 것에 관한 흐름도이다.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차량 매칭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501).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차량 매칭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차량 매칭 요청 정보를 만족하는 제1 후보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S503).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결정된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운행 원활도에 기초하여, 제1 후보 차량들 중 제2 후보 챠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S505).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운행 원활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제1 후보 차량들을 제2 후보 차량들로 결정할 수 있다. 운행 원활도는 이하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결정된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에 대응하는 운전자 단말들에 조건 충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07). 차량 매칭부(102)는 운전자 단말들로부터 공급 신청 신호 및/또는 승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509). 차량 매칭부(102)는 공급 신청 신호 및/또는 승낙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S511). 차량 매칭부(102)는 공급 신청 신호 및/또는 승낙 신호를 전송한 운전자 단말의 소지자인 운전자의 차량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후보 차량으로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시키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이 포함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차량 선택을 지시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513).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과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을 매칭할 수 있다(S515). 예약 관리부(104)는 사용자 단말 및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에 매칭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17).
도 6은 사용자의 차량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할 차량을 고르기 위한 요소인 운행 원활도를 산출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다수의 차량들 중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제1 후보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제1 후보 차량들 중에서,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운행 일정에 기초하여 제2 후보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서버(100)의 차량 DB에 포함된 차량의 예약된 운행 일정들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예약된 운행 일정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의 예상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앞뒤 예약된 운행 일정에 따른 예상 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중에서 상기 제2 후보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사용자의 운행 일정을 기준으로,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전 운행 일정 및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다음 운행 일정에 기초하여, 제2 후보 차량들을 결정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후보 차량의 사전 대기(pre-standby) 적합도 및 후보 차량의 사후 대기(post-standby) 적합도에 기초하여, 후보 차량의 운행 원활도를 결정할 수 있고, 후보 차량의 운행 원활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후보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전 대기 적합도는, 후보 차량이 이전 운행을 마치고 사용자의 운행 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 지표이고, 사후 대기 적합도는 후보 차량이 사용자의 운행 일정을 마치고 후보 차량의 다음 운행 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 지표일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이전 운행의 완료 지점에서 사용자의 출발 지점까지의 제1 거리, 이전 운행의 완료 시점과 사용자의 출발 시점 사이의 제1 공백 시간, 이전 운행의 도착 지점에서 사용자의 출발 지점으로 가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 시간 등에 기초하여 후보 차량의 사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이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6
상기 수학식 1에서, S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D1은 상기 제1 거리, Tg1은 상기 제1 소요 시간 및 Tb1은 상기 제1 공백 시간일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사용자의 도착 지점에서 다음 운행의 시작 지점까지의 제2 거리, 사용자의 도착 예정 시점과 다음 운행의 운행 시작 시점 사이의 제2 공백 시간, 사용자의 도착 지점에서 다음 운행의 시작 지점으로 가는데 소요되는 제2 소요 시간 등에 기초하여 후보 차량의 사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착 예정 시점은 실시간 도로 교통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결정하는 공지의 기술을 통해서 쉽게 결정될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이하 수학식 2를 통해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7
상기 수학식 2에서, S2은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 D2은 상기 제2 거리, Tg2은 상기 제2 소요 시간 및 Tb2은 상기 제2 공백 시간일 수 있다.
후보 차량 결정부(103)는 이하 수학식 3을 통해 상기 운행 원활도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8
상기 수학식 3에서, S는 상기 운행 원활도, S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S2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w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 w2는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일 수 있다. w1 및 w2의 합은 1이며, w1 및 w2은 0보다 크고 1보다 작을 수 있다. w1 및 w2는 상기 이전 운행에 대응하는 시간의 교통 혼잡도 및 상기 다음 운행에 대응하는 시간의 교통 혼잡도에 따라 결정되며, 교통 혼잡도가 더 높은 시간에 대응하는 운행에 대한 가중치가 더 클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차량 매칭 요청에 따라 운전자가 수락할지 말지 용이하게 결정하도록 차량의 이동 편의도를 산출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차량 매칭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매칭 요청 정보를 만족하는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300)에 조건 충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운전자 단말(300)에 조건 충족 신호를 전송할 때, 차량의 이동 편의도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운전자가 조건 충족 신호에 따라 차량을 제공할지 말지 결정함에 있어서 더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차량 매칭부(102)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요청 매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출발 시점 이전인 상기 차량의 이전 운행 정보 및 사용자의 도착 시점 이후인 상기 차량의 다음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차량의 이동 편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상기 완료 지점을 중심으로 갖고, 상기 완료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반지름으로 갖는 원을 차량의 이동 편의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이동 편의 구역에 상기 출발 지점이 위치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이동 편의 구역에 상기 출발 지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완료 지점에서 상기 출발 지점을 향하는 제1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도착 지점에서 상기 시작 지점을 향하는 제2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상기 제1 거리, 상기 제2 거리 및 상기 제1 벡터와 상기 제2 벡터 간 각도인
Figure 112022050919811-pat00009
에의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편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이하 수학식 4를 통해 이동 편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2050919811-pat00010
상기 수학식 4에서, C는 이동 편의 점수,
Figure 112022050919811-pat00011
는 상기 제1 벡터와 상기 제2 벡터 간 각도, d는 상기 완료 지점부터 상기 출발 지점까지의 제1 거리, r은 상기 이동 편의 구역의 반지름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 매칭부(102)는 산출된 이동 편의 점수를 운전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된 이동 편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차량 매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을 제공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서버(100)의 동작이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명령어들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도 8에 따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운전자 단말

Claims (1)

  1.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운전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차량 매칭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DB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들 중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할 제1 후보 차량들을 결정하는 후보 차량 결정부;
    결정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에 대한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된 제1 후보 차량들 중 하나의 차량을 예약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을 매칭하는 차량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예약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예약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차량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운행 일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전 운행 일정 및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다음 운행 일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중에서 제2 후보 차량들을 결정하되,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이전 운행의 완료 지점에서 상기 운행 일정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출발 지점까지의 제1 거리, 상기 이전 운행의 완료 시점과 사용자의 출발 시점 사이의 제1 공백 시간, 상기 이전 운행의 도착 지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출발 지점으로 가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사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제 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사전 대기(pre-standby) 적합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3500940186-pat00012

    상기 수학식에서, S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D1은 상기 제1 거리, Tg1은 상기 제1 소요 시간 및 Tb1은 상기 제1 공백 시간이고,
    상기 운행 일정에 따른 사용자의 도착 지점에서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다음 운행의 시작 지점까지의 제2 거리, 상기 사용자의 도착 예정 시점과 상기 다음 운행의 운행 시작 시점 사이의 제2 공백 시간, 상기 사용자의 도착 지점에서 상기 다음 운행의 시작 지점으로 가는데 소요되는 제2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사후 대기 적합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사후 대기(post-standby) 적합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3500940186-pat00013

    상기 수학식에서, S2은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 D2은 상기 제2 거리, Tg2은 상기 제2 소요 시간 및 Tb2은 상기 제2 공백 시간이고,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제1 후보 차량들 각각의 운행 원활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3500940186-pat00014

    상기 수학식에서, S는 상기 운행 원활도, S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S2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 w1은 상기 사전 대기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 w2는 상기 사후 대기 적합도에 대한 가중치이고, w1 및 w2의 합은 1이며, 상기 w1 및 상기 w2은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며,
    상기 w1 및 상기 w2는 상기 이전 운행에 대응하는 시간의 교통 혼잡도 및 상기 다음 운행에 대응하는 시간의 교통 혼잡도에 따라 결정되며, 교통 혼잡도가 더 높은 시간에 대응하는 운행에 대한 가중치가 더 크고,
    결정된 상기 운행 원활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제1 후보 차량들을 상기 제2 후보 차량들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차량들 각각에 대응하는 운전자 단말들에 조건 충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조건 충족 신호에 대응하는 공급 신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공급 신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이용가능 차량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예약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 간 차량 매칭이 성사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예약 관련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예약 번호, 예약자 성명, 탑승 인원, 이용방법, 승차일시, 매칭된 운전자, 매칭된 차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에 예약 번호, 예약자 성명, 탑승 인원, 이용방법, 승차일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출발 시점보다 미리 설정된 기간만큼 이른 시점에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전자 단말에 상기 예약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날짜별로 상기 운전자의 예약된 운행 일정들을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운행 일정들을 상기 운전자 단말에 제공하는,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서버.
KR1020220058876A 2022-01-19 2022-05-13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3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76A KR102530331B1 (ko) 2022-01-19 2022-05-13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72A KR102399382B1 (ko) 2022-01-19 2022-01-19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58876A KR102530331B1 (ko) 2022-01-19 2022-05-13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072A Division KR102399382B1 (ko) 2022-01-19 2022-01-19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331B1 true KR102530331B1 (ko) 2023-05-10

Family

ID=81801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072A KR102399382B1 (ko) 2022-01-19 2022-01-19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58876A KR102530331B1 (ko) 2022-01-19 2022-05-13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072A KR102399382B1 (ko) 2022-01-19 2022-01-19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9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535A (ko) 2022-09-16 2024-03-25 이우재 차량 렌트 및 카셰어링 서비스를 포함하는 복합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571894B1 (ko) 2023-04-21 2023-08-28 박현열 위치기반의 경로 정보 수집을 활용한 모빌리티 주행 경로 안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330A (ko) *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코나투스 차량 동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079111A (ko) * 2018-12-24 2020-07-02 (주)스타릭스 모빌리티 서비스에서의 기사 및 승객의 상호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610B1 (ko) * 2020-05-14 2020-11-26 이영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10005450A (ko) * 2019-07-05 2021-01-14 브이씨엔씨(주)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330A (ko) *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코나투스 차량 동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200079111A (ko) * 2018-12-24 2020-07-02 (주)스타릭스 모빌리티 서비스에서의 기사 및 승객의 상호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5450A (ko) * 2019-07-05 2021-01-14 브이씨엔씨(주)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183610B1 (ko) * 2020-05-14 2020-11-26 이영우 택시 또는 대리운전 서비스 수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382B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7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JP6707125B2 (ja) 共有可能な注文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062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in priority environments
KR102530331B1 (ko)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201701678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vailable ride-share paths in a transportation network
US11182871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idesharing
JP6655939B2 (ja) 輸送サービス予約方法、輸送サービス予約装置、及び輸送サービス予約プログラム
JP2020074190A (ja) 過去の注文に基づき現在の注文に関係がある情報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20150310379A1 (en) Shared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20140365250A1 (en) Transportation service re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9376311A (zh) 适用于多个共乘模型的驾驶员-乘车者匹配的系统、方法和装置
US113349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llocation of transportation services
JP6956810B2 (ja) シャトルサービスを管理する方法
KR102288490B1 (ko)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US20180365597A1 (en) Service provider appointment booking system
JP2002024659A (ja) 配車予約システム
JP202019436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35121B2 (ja) 提案装置、提案方法及び提案プログラム
Sonet et al. SharY: a dynamic ridesharing and carpooling solution using advanced optimised algorithm
JP7163653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ライドシェア管理装置、経路探索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経路探索方法
Krishnaprasad et al. A pricing mechanism to improve capacity utilisation in ridesharing
JP2021006959A (ja) 配車管理装置、配車管理プログラム及び配車管理方法
CN110675012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