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450A -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450A
KR20210005450A KR1020190081515A KR20190081515A KR20210005450A KR 20210005450 A KR20210005450 A KR 20210005450A KR 1020190081515 A KR1020190081515 A KR 1020190081515A KR 20190081515 A KR20190081515 A KR 20190081515A KR 20210005450 A KR20210005450 A KR 2021000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me
dispatch
waiting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490B1 (ko
Inventor
박재욱
이정행
Original Assignee
브이씨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씨엔씨(주) filed Critical 브이씨엔씨(주)
Priority to KR102019008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배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차량 호출 수신 단계,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하는 한계 대기 시간 획득 단계; 차량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단계,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시간 계산 단계, 한계 대기 시간 및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하는 배차 후보 판단 단계 및 출발지, 목적지 정보 및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차 후보 차량 중 배정된 차량을 결정하고 배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VEHICLE RENTAL METHOD, SYSTEM AND PROGRAM BASED ON LIMIT WAITING TIME}
본 발명은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배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 별 차량 배차 이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승객 별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하여, 이에 기초한 운전 기사가 알선된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배차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 기술의 발전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차량배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여객차량을 배차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배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차량 배차를 위한 대기 시간이 계산되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배차된 차량이 사용자에게 도착할 때까지 걸리는 대기 시간은 차량의 위치나 교통상황에 따라 변동되어 일정하지 않다. 배차된 차량은 배차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를 향해 출발하게 되나 사용자에 따라 배차된 차량이 도착하기 전에, 즉 대기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차량 배차 요청을 취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를 향해 이동하던 배차 차량은 배차 요청이 취소되기 전까지 다른 사용자의 배차 요청을 받지 못하는 등 전체적인 차량 배차 서비스의 비효율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사용자 별 한계 대기 시간을 고려한 배차를 통해, 대기 시간이 지나기 전 배차 요청을 취소하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 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배차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차량 호출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하는 한계 대기 시간 획득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상기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시간 계산 단계; 상기 한계 대기 시간 및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하는 배차 후보 판단 단계; 및 상기 출발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 후보 차량 중 배정된 차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 요청 통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호출한 시간별 대기 시간 정보 및 장소별 대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한계 시간 계산 단계는 상기 배차 요청 통계 정보 중 상기 차량 호출 요청이 수신된 시간 및 상기 출발지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한계 대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의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 후보 판단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 후보 판단 단계는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가장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배정 단계는, 상기 출발지에서의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배차 방법은,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 기사 결정까지 걸린 차량 배정 시간과 상기 이동 시간을 바탕으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차 후보 판단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배차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배정된 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차량 호출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하는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상기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시간 계산부; 상기 한계 대기 시간 및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하는 배차 후보 판단부; 및 상기 출발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 후보 차량 중 배정된 차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 요청 통계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호출한 시간별 대기 시간 정보 및 장소별 대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한계 시간 계산부는 상기 배차 요청 통계 정보 중 상기 차량 호출 요청이 수신된 시간 및 상기 출발지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한계 대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의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 후보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차 후보 판단부는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가장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배정부는, 상기 출발지에서의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을 판단하고,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배차 시스템은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 기사 결정까지 걸린 차량 배정 시간과 상기 이동 시간을 바탕으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배차 후보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배차 시스템은,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배정된 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화된 사용자 별 배차 요청 이력에 기초하여 차량 배차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배차를 방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계 대기 시간을 고려한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계 시간을 고려하여 배차 후보 차량을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배차 요청이 있는 경우, 차량을 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차량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차랑 단말(300)은 네트워크망(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버(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100)는 본 발명의 차량 배차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자이고, 차량 단말(300)의 사용자는 차량의 운전 기사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 단말(300)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 단말(3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외에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 서버(1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 단말(300)의 행위는 각각 서비스 이용자(또는 사용자) 및 영업용 차량 운전자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 및 운전 기사는 사용자 단말(200) 및 차량 단말(300)을 이용하여 서버(100)에 접속 후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100)에 접속하여 차량에 대한 배차 요청을 전송하고, 배차된 차량 및 배정된 운전 기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300)은 서버(100)에 접속하여 차량 배차 지시를 수신하고,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여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단말(30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0)로부터 차량 배차 지시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나, 이것이 서버(100)의 운영 주체와 운전 기사가 직접적인 계약 관계를 맺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버(100)의 운영 주체인 차량 회사는 운전 기사를 직접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용역 업체와 용역 계약을 맺고, 용역 업체에 고용된 운전 기사에게 배차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서버(100)를 통해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
네트워크망(400)은 복수의 단말(200, 300) 및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망(400)은 복수의 단말(200, 300)들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망(4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네트워크망(4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망(4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서버(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사용자 별 배차 요청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별, 시간대별, 요일별, 장소별 다양한 기준으로 한계 시간 통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행동 패턴 특성을 바탕으로 비슷한 사용자 그룹별 한계 대기 시간 통계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성별, 나이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주로 배차 요청을 수행하는 위치, 패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120)를 통해 메모리(1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망(400)을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10)에 로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와이파이칩(미도시), 블루투스 칩(미도시), 무선 통신 칩(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20)를 이용하여 외부 채팅 서버 또는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120)는 NFC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 및 통신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버 (100) 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RAM, ROM, 메인 CPU,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메인 CPU(154),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서버(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한편, 서버(100)는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사용자 별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별 한계 대기 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통계 서버 등 복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서버(100)의 프로세서(130)는 차량 호출 수신부(131),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 위치 정보 수집부(133), 이동 시간 계산부(134), 배차 후보 판단부(135) 및 차량 배정부(1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호출 수신부(131),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 위치 정보 수집부(133), 이동 시간 계산부(134), 배차 후보 판단부(135) 및 차량 배정부(136)는 서버(10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계 대기 시간을 고려한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호출 수신부(13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10). 이때, 차량 호출 요청이란, 사용자가 차량 렌트를 희망한다는 요청으로서, 해당 차량 요청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예약 시간, 차량 등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발지는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GPS 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 주변의 지도가 표시되는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도착지는 사용자가 직접 주소를 입력하거나, 지도가 표시되는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택시, 고급차량, 장애인용, 골프, 공항, 웨딩 등 특수목적을 위한 서비스 및 요금체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출발 시간을 지정할 수 있으며, 결제 카드 및 사용 쿠폰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이 완료되면 호출 버튼을 눌러 차량 호출 요청을 완료할 수 있다.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420).
구체적으로,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사용자 별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통해 현재 배차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한계 대기 시간이란, 사용자가 배차 요청 후 대기 시간이 도과하기 전에 배차 요청을 취소하는 데까지 도과된 시간이다. 이때 대기 시간은 서버가 차량을 배정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 및 차량이 배차 요청의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즉, 서버(100)는 한계 대기 시간을 통해서 해당 사용자가 배차 요청 후 얼마나 대기하는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사용자별, 시간대별, 요일별, 장소별 등 다양한 기준에 대하여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배차 요청이 강남역과 같은 번화가에서 오전 0시와 같은 피크 타임에 수행된 경우,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유사한 번화가의 피크 타임에서의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사용자 행동 패턴 특성을 바탕으로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배차 요청한 사용자와 유사한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한계 대기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별 그룹이 주로 호출하는 위치 별 호출 패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가 30대 초반 남성인 경우,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30대 초반 남성인 사용자들의 호출 패턴을 고려하여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차량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복수개 차량들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이때 수집하는 위치 정보는 실시간 위치 정보일 수도 있고, 혹은 과거의 위치 정보를 시간과 결합하여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차량의 위치 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 단말(300)로부터 획득하거나, 차량에 설치된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는 비록 차량 단말(300)이라 기재되었지만, 차량 단말(300)은 영업용 차량에 설치된 단말 및 영업용 차량의 운전자가 소유 또는 소지한 운전자 단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기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 안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해 하기로 한다.
이동 시간 계산부(134)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S4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시간 계산부(134)는 차량의 위치에서 출발지까지의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시간 계산부(134)는 교통상황 및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한 최소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배차 후보 판단부(135)는 한계 대기 시간 및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할 수 있다(S450).
구체적으로, 배차 후보 판단부(135)는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이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되는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차 후보 판단부(135)는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이 한계 대기 시간보다 짧은 차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정보가 확인된 차량 중 이동 시간이 가장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또는 서버(100)는 차량과 운전 기사 결정까지 걸린 차량 배정 시간 및 배정된 차량이 출발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합산하여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배차 후보 판단부(136)는 위치정보가 수집된 차량 중 예상 대기 시간이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 배정까지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스템 연산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예상 대기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배정부(136)는 출발지, 목적지 정보 및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차 후보 차량 중 배정된 차량을 결정하고 배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S4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서비스는 운전 기사가 알선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 배정부(136)는 차량을 결정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해당 차량을 운행할 운전 기사도 함께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200)의 출발지, 목적지, 배차 후보 차량들의 현재 위치,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까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 배정부(136)는 차량 요청에 대응하여 차량이 배정되면, 배정된 차량에 매칭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서비스에서는 용역 업체와의 운전 용역 제공 계약에 의해 차량에 매칭되는 운전 기사가 존재한다. 따라서, 차량이 정해지면 대응하는 운전 기사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배정부(136)는 출발지에서의 운행 출발 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운행 출발 시간 및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바탕으로 목적지 도착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목적지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 배정부(136)는 운전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차량에 있어 오전 시간과 오후 시간에 서로 상이한 운전 기사가 매칭될 수 있으므로, 운행 출발 시간 및 예상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운전 기사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배정부(136)는 운전 기사에 대한 기설정된 퇴근시간을 고려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운행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1 소요 시간), 운행 출발지에서 운행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2 소요 시간), 운행 목적지부터 차고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3 소요 시간)을 기초로 제1 소요 시간 내지 제3 소요 시간이 도과한 종료시간이 퇴근시간 이전인 경우에만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즉 회사가 소유한 차량일 수 있다. 이때 차량은 배기량이 특정 크기 이상의 차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1인승 이상 차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운전 기사는 용역 업체에 고용된 고용인으로서, 용역 업체는 서버(100)에 고용된 운전 기사들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운전 기사 단말에 배차 지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 회사는 운전 기사를 직접적으로 고용하지 않더라도, 계약 관계인 용역 업체에 의해 등록된 운전 기사에 한해 배차 지시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해 기사 알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관은 운전 기사 알선 포함 승합자동차 서비스 이용 약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회사가 소유한 차량들 각각에는 시간 별로 운전 기사가 배정될 수 있다. 이때 운전 기사의 배정은 용역 업체에서 수행하며, 운전 기사 배정 스케줄은 용역 회사가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회사가 소유한 차량을 렌트하는 계약을 체결하되, 계약에 따라 배정된 차량에 대해 회사는 용역 업체를 통해 차량의 운전 기사를 알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회사는 용역 업체와 차량 임차인(사용자) 알선 위탁 및 운전 용역 제공 서비스에 대한 계약을 맺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 기사는 회사가 직접 고용한 고용인일 수도 있으며, 배정된 차량에는 반드시 대응되는 운전 기사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차량 호출 요청이 있을 때마다 요청에 응답하여 서버(100)가 차량 및 운전 기사를 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서버(100)의 프로세서(130)는 업데이트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미도시)는 서버(100)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이 배정된 차량에 승차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정된 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데이트부(미도시)는 사용자가 배차 요청을 수행한 이후 배정된 차량에 승차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 배차 요청한 시간, 장소, 요일 등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서버(100)는 상술한 업데이트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계 시간을 고려하여 배차 후보 차량을 결정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도 상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출발지(510)가 표시되어있고, 복수의 차량(520,521, 522)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출발지(5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차량 호출 요청이 있던 곳일 수 있다.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배차 요청 통계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복수의 차량(520,521, 522)의 위치를 수집하고, 각각 출발지(510)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이동 시간 계산부(134)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이동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량(521)에서부터 출발지(510)까지의 거리는 제3 차량(522)에서부터 출발지(510)까지의 거리보다 짧지만, 제2 차량(521) 주변의 교통이 복잡한 경우 이동 시간은 제3 차량(522)보다 더 길게 계산된다.
배차 후보 판단부(135)는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이동 시간이 짧은 것으로 계산된 차량을 배차를 위한 후보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한계 대기 시간이 5분으로 계산되고, 제1 차량(520), 제2 차량(521) 및 제3 차량(522)의 출발지(510)까지의 이동시간을 각각 3분, 7분, 4분이라고 계산된 경우, 배차 후보 판단부(135)는 제1 차량(520) 및 제3 차량(522)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도 상에는 사용자의 출발지(610)가 표시되어 있고, 복수의 차량(620, 621, 622)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출발지(6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차량 호출 요청이 있던 곳일 수 있다.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과거 배차 요청 통계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복수의 차량(620, 621, 62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출발지(6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안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해서만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기설정된 거리의 영역(630) 내의 차랑(620, 621)에 대해서만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거리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 시 기본 값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배차 후보 판단부(135)는 한계 대기 시간 및 각각의 차량의 출발지(610)까지의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가 수집된 제1 차량(620) 및 제2 차량(621)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거리 반경(630) 내에 차량이 없거나, 위치 정보가 수집된 차량 중 후보 차량이 없다고 판단되면,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영역(630)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기설정된 거리를 확장할 수 있고, 영역(630)의 모양을 변경시킬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차량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영역(630)의 모양을 원형 외의 다른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지도 상 정차지 점수가 기준값 이상인 정차 후보지를 포함하는 형태의 영역(630)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정차지 점수는 복수의 차량의 위치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서버(100)에 수집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차 후보지는 하나의 위치 좌표일 수도 있지만, 복수개의 인접한 위치들을 묶은 영역일 수 있다. 대부분의 정차 후보지는 고정된 어떤 위치이기보다 정차하기 적합한 영역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서버(100)는 특정 영역을 정차 후보지로 결정하기 위해 인접한 위치끼리 묶어 클러스터링(clustering)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위치라는 것은 개별 정차위치들 간의 군집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것을 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가 수집된 차량 중 후보 차량이 없다고 판단되고, 제3 차량(622)이 위치하는 장소가 정차 후보지인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제3 차량(622)이 위치를 포함하도록 영역(630)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위치 정보 수집부(133)는 후보 차량을 발견하기 위한 영역(630)을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배차 요청이 있는 경우, 차량을 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도 상에 제1 출발지(710), 제2 출발지(711) 및 차량(720)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출발지(710) 및 제2 출발지(711)는 각각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차량 배차 요청이 있던 곳일 수 있다.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과거 배차 요청 통계 정보로부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각각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배차 요청이 있는 경우, 차량 배정부(136)는 먼저 수신된 배차 요청 사용자에게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다만, 실시간 교통 정보를 고려하여 이동시간을 계산한 결과, 먼저 수신된 배차 요청 사용자의 출발지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차량 배정부(136)는 뒤에 수신된 배차 요청 사용자에게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로부터 배차 요청이 먼저 수신되었더라도, 이동 시간 계산부(134)가 계산한 제1 출발지(710)까지의 제1 이동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차량 배정부(136)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720)을 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수신된 배차 요청 사용자의 출발지까지 이동 시간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도,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이동 시간이 길다고 판단하면 뒤에 수신된 배차 요청 사용자에게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보다 제1 사용자로부터 배차 요청이 먼저 수신되었고, 차량(720)과 제1 출발지(710)까지의 제1 이동 시간이 제2 출발지(711)까지의 제2 이동 시간이 짧은 경우에도 불구하고, 차량 배정부(136)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720)을 배정할 수 있다. 즉,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132)가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한 결과, 상기 제1 이동 시간이 제1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2 이동시간이 제2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짧은 경우, 차량 배정부(136)는 제2 사용자에게 차량(720)을 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 시간이 제1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길고, 제2 이동 시간이 제2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보다 긴 경우, 차량 배정부(136)는 이동 시간과 한계 대기 시간의 차이가 적은 사용자에게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시간이 8분, 제1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이 5분이고 제2 이동 시간이 10분, 제2 사용자의 한계 대기 시간이 9분인 경우, 제1 사용자의 배차 요청이 더 먼저 수신되고 제1 이동 시간이 더 짧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배정부(136)는 차량(720)이 제2 출발지(711)로 이동하도록 제2 사용자로 차량을 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배차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배차를 방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 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110: 메모리
120: 통신부
130: 프로세서
131: 차량 호출 수신부
132: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
133: 위치 정보 수집부
134: 이동 시간 계산부
135: 배차 후보 판단부
136: 차량 배정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차량 단말
400: 네트워크망

Claims (17)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차량 호출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하는 한계 대기 시간 획득 단계;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상기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시간 계산 단계;
    상기 한계 대기 시간 및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하는 배차 후보 판단 단계; 및
    상기 출발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 후보 차량 중 배정된 차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정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배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요청 통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호출한 시간별 대기 시간 정보 및 장소별 대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한계 시간 계산 단계는 상기 배차 요청 통계 정보 중 상기 차량 호출 요청이 수신된 시간 및 상기 출발지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한계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차량 배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의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배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후보 판단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배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후보 판단 단계는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가장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배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정 단계는,
    상기 출발지에서의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기초로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방법은,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 기사 결정까지 걸린 차량 배정 시간과 상기 이동 시간을 바탕으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차 후보 판단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배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배정된 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배차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차량 호출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한계 대기 시간을 획득하는 한계 대기 시간 획득부;
    상기 차량 호출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에 대한 상기 출발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계산하는 이동 시간 계산부;
    상기 한계 대기 시간 및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배차 후보 차량을 판단하는 배차 후보 판단부; 및
    상기 출발지,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배차 후보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차 후보 차량 중 배정된 차량을 결정하고 상기 배정된 차량에 대응하는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정부;
    를 포함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요청 통계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을 호출한 시간별 대기 시간 정보 및 장소별 대기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한계 시간 계산부는 상기 배차 요청 통계 정보 중 상기 차량 호출 요청이 수신된 시간 및 상기 출발지에 대응하는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한계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이내의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후보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차 후보 판단부는 상기 이동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이동 시간이 가장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정부는,
    상기 출발지에서의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운행 출발 시간 및 상기 운행 예상 소요 시간을 기초로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목적지 도착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 기사를 결정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시스템은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 기사 결정까지 걸린 차량 배정 시간과 상기 이동 시간을 바탕으로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배차 후보 판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중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상기 한계 대기 시간보다 작은 차량을 배차 후보 차량으로 판단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배차 시스템은,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배정된 차량에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배차 요청 통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차량 배차 시스템.
KR1020190081515A 2019-07-05 2019-07-05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288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15A KR102288490B1 (ko) 2019-07-05 2019-07-05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15A KR102288490B1 (ko) 2019-07-05 2019-07-05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50A true KR20210005450A (ko) 2021-01-14
KR102288490B1 KR102288490B1 (ko) 2021-08-10

Family

ID=7414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15A KR102288490B1 (ko) 2019-07-05 2019-07-05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382B1 (ko) * 2022-01-19 2022-05-19 주식회사 타고가요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7359A (ko) * 2021-04-27 2022-11-03 브이씨엔씨(주) 운송 수단의 할당을 위한 서버, 방법 및 명령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515822B1 (ko) * 2022-05-31 2023-03-31 포티투닷 주식회사 수요 대기시간을 고려한 모빌리티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518415B1 (ko) * 2022-07-08 2023-04-07 포티투닷 주식회사 기사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7217466A (zh) * 2023-09-12 2023-12-12 北京阿帕科蓝科技有限公司 车辆调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362A (ja) * 2002-12-04 2004-07-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携帯端末を用いたタクシー自動配車システム
KR101812778B1 (ko) * 2016-05-10 2017-12-27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승객 운반 중인 택시에 대한 배차예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8049408A (ja) * 2016-09-21 2018-03-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配車システム
JP6535713B2 (ja) * 2017-08-28 2019-06-26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車両の配車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362A (ja) * 2002-12-04 2004-07-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携帯端末を用いたタクシー自動配車システム
KR101812778B1 (ko) * 2016-05-10 2017-12-27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승객 운반 중인 택시에 대한 배차예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8049408A (ja) * 2016-09-21 2018-03-2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配車システム
JP6535713B2 (ja) * 2017-08-28 2019-06-26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車両の配車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59A (ko) * 2021-04-27 2022-11-03 브이씨엔씨(주) 운송 수단의 할당을 위한 서버, 방법 및 명령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399382B1 (ko) * 2022-01-19 2022-05-19 주식회사 타고가요 차량 매칭 서비스를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0331B1 (ko) * 2022-01-19 2023-05-10 주식회사 타고가요 차량 매칭에 따른 예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빌리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15822B1 (ko) * 2022-05-31 2023-03-31 포티투닷 주식회사 수요 대기시간을 고려한 모빌리티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518415B1 (ko) * 2022-07-08 2023-04-07 포티투닷 주식회사 기사용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7217466A (zh) * 2023-09-12 2023-12-12 北京阿帕科蓝科技有限公司 车辆调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90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7163B2 (e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and vehicle devices
US11674811B2 (en) Assigning on-demand vehicles based on ETA of fixed-line vehicles
KR102288490B1 (ko)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EP3433767B1 (en) Target addressing system
JP2020074179A (ja) ライドシェア管理装置、ライドシェア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1049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idesharing vehicles
US20170365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idesharing Management
US20220120572A9 (en) Real-time ride sharing solutions for unanticipated changes during a ride
CN109376311A (zh) 适用于多个共乘模型的驾驶员-乘车者匹配的系统、方法和装置
US115147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recommending vehicle pick-up location
US8571918B2 (en) Estimation of transit demand models for enhancing ridership
US113017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iding vehicle adjusting method, and riding vehicle adjusting program
JP7063172B2 (ja) 情報処理装置、乗車車両調整方法及び乗車車両調整プログラム
US20200134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00132481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890456B2 (en)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U2018217973A1 (en) Dynamic selection of geo-based service options in a network system
US20170193405A1 (en) System for dispatching a driver
US10462605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hared journey
JP202115757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2224376A1 (ja) 走行経路算出装置、走行経路算出方法、及び走行経路算出システム
JP202202191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37587A (ko)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 및 주차장 평가를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9133335A (ja) 地図情報作成装置、地図情報作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