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609B1 -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609B1
KR102179609B1 KR1020180105182A KR20180105182A KR102179609B1 KR 102179609 B1 KR102179609 B1 KR 102179609B1 KR 1020180105182 A KR1020180105182 A KR 1020180105182A KR 20180105182 A KR20180105182 A KR 20180105182A KR 102179609 B1 KR102179609 B1 KR 10217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frigerant
cooling
condense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144A (ko
Inventor
사토시 도미나가
다이스케 도코자쿠라
히데키 구보노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3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60H1/00921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wher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oes not change and there is an extra subcondenser, e.g. in an air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vehicles having a combustion engine and electric drive means, e.g.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60H1/00914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wher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oes not change and there is a bypass of the cond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3Controlled cooling or heating of lubricant; Temperature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07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2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 secondary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49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cooling sources, e.g. second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배터리 (4) 와, 전동기 (1) 와, 동력 전달 장치 (2) 를 포함하는 차량 (Ve) 의 열교환 시스템 (100 ; 200 ; 300) 을 제공한다. 상기 열교환 시스템 (100 ; 200 ; 300) 은, 히트 펌프 (10) 와, 열교환기 (20 ; 40) 를 포함한다. 상기 히트 펌프 (10) 는, 냉매를 압축하는 전동 컴프레서 (11) 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컴프레서 (11) 는, 상기 배터리 (4) 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20 ; 40) 는, 상기 동력 전달 장치 (2) 를 윤활하는 윤활유와 상기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HEAT EXCHANGE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84060호에는, 차실 내의 공조에 사용되는 열교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열교환 시스템에서는, 히트 펌프를 사용하여 차량 외부와 차량 내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함으로써, 차실 내의 공조를 실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84060호에 기재된 히트 펌프에서는, 전동 컴프레서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있다.
상기 히트 펌프를 전동기를 주행용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동기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전력의 일부가, 공조 사용시에 전동 컴프레서에서 소비된다. 그 때문에, 히트 펌프를 사용하여 차실 내를 난방할 때, 난방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동 컴프레서에서 필요한 작업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소비 전력이 증대되면, 전동기에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의 전력이 감소하여, 차량의 항속 (航續) 거리가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공조용의 히트 펌프에 포함되는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소비 전력을 줄이고, 주행용 동력원의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배터리와, 주행용 동력원으로서의 전동기와,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전동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 시스템은, 히트 펌프와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히트 펌프는, 냉매를 압축하는 전동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컴프레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동력 전달 장치를 윤활하는 윤활유와 상기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력 전달 장치의 윤활유로부터 히트 펌프의 냉매로 열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차실 내의 난방시, 난방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작업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어,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항속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파워 컨트롤 유닛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상기 열교환 시스템은, 파워 컨트롤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열교환기는, 냉각수, 윤활유, 냉매의 3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력 전달 장치의 윤활유의 열에 추가하여, 냉각 회로 내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열을 히트 펌프의 냉매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차실 내의 난방시, 난방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작업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윤활유, 냉각수, 냉매의 3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을 하나의 열교환기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히트 펌프는, 제 1 콘덴서와, 제 2 콘덴서와, 차실 내의 난방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난방용 팽창 밸브와, 상기 차실 내의 냉방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냉방용 팽창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전동 컴프레서로부터 유출된 후, 상기 난방용 팽창 밸브, 상기 제 2 콘덴서, 상기 냉방용 팽창 밸브의 순으로 흘러도 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난방용 팽창 밸브의 하류측이면서 제 2 콘덴서의 상류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난방시에 흡열 과정의 냉매에 대해 제 2 콘덴서로 유입되기 전에 열교환기에 의해서 윤활유의 열을 건네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제 2 콘덴서에서의 외기의 열에 추가하여, 열교환기에서의 윤활유의 열을 냉매에 건넬 수 있다.
상기 히트 펌프는, 제 1 콘덴서와, 제 2 콘덴서와, 차실 내의 난방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난방용 팽창 밸브와, 차실 내의 냉방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냉방용 팽창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전동 컴프레서로부터 유출된 후, 상기 난방용 팽창 밸브, 상기 제 2 콘덴서, 상기 냉방용 팽창 밸브의 순으로 흘러도 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제 2 콘덴서의 하류측이면서 냉방용 팽창 밸브의 상류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난방시에 흡열 과정의 냉매에 대해 제 2 콘덴서로부터 유출된 후에 열교환기에 의해 윤활유의 열을 건네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제 2 콘덴서에서의 외기의 열에 추가하여, 열교환기에서의 윤활유의 열을 냉매에 건넬 수 있다.
상기 제 1 콘덴서는, 상기 차실 내를 난방할 때에, 차 내의 공기와 상기 히트 펌프의 상기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2 콘덴서는, 상기 히트 펌프의 작동시에, 상기 차량의 외기와 상기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히트 펌프는,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전환 밸브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매가 순환하는 경로를, 열교환기를 경유하는 경로와,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경로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환 밸브는, 차실 내의 냉방시에 바이패스 통로를 닫는 경우와 바이패스 통로를 여는 경우 사이에서 개폐 상태가 전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방시에 전환 밸브에 의해 바이패스 통로를 닫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히트 펌프의 냉매가 열교환기에 의해 윤활유로부터 열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냉방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전동기는, 동력 전달 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윤활유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동기를 냉각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동기에 의해 데워진 윤활유의 열을 열교환기에 의해 히트 펌프의 냉매에 건넬 수 있다. 이로써, 열교환기에 의해 냉매에 건넬 수 있는 열량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배터리와, 파워 컨트롤 유닛과, 주행용 동력원으로서의 전동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전동기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워 컨트롤 유닛은,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 시스템은, 히트 펌프와 냉각 회로와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히트 펌프는 공조에 사용된다. 상기 히트 펌프는, 냉매를 압축하는 전동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 컴프레서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냉각수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워 컨트롤 유닛의 냉각수로부터 히트 펌프의 냉매로 열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차실 내의 난방시, 난방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작업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어, 차량의 항속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 전달 장치를 윤활하는 윤활유의 열이나, 파워 컨트롤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의 열을 사용하여, 공조용의 히트 펌프를 순환하는 냉매를 데울 수 있다. 그 때문에, 난방시에는 흡열 과정의 냉매에 그것들의 열을 건넬 수 있으므로, 전동 컴프레서의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전동 컴프레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어, 차량의 항속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스켈리톤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4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100) 을 탑재한 차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스켈리톤도이다. 열교환 시스템 (100) 은, 주행용 동력원으로서 모터·제너레이터 (MG) (1) 를 탑재한 차량 (Ve) 에 적용된다. 차량 (Ve) 에서는, 모터·제너레이터 (1) 로부터 출력된 동력이 동력 전달 장치 (T/M) (2) 를 통하여 구동륜 (3) 에 전달된다. 모터·제너레이터 (1) 는, 배터리 (4) 의 전력을 소비하여 동력을 출력하는 전동기로서 기능하고, 구동륜 (3) 으로부터의 외력을 회생시키는 발전기로서도 기능한다. 이 모터·제너레이터 (1) 에는, 전력을 축전하는 배터리 (4) 가, 배터리 (4) 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모터·제너레이터 (1) 에 공급하는 파워 컨트롤 유닛 (PCU) (5) 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4) 는, 모터·제너레이터 (1) 와 함께, 후술하는 히트 펌프 (10) 의 컴프레서 (11) 에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것으로, 그것들에 전력을 공급하면 충전 용량 (SOC) 이 줄어든다. 동력 전달 장치 (2) 는, 기어 기구에 의해 구성된 트랜스미션이나 디퍼렌셜 기구 등을 포함한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동력 전달 장치 (2) 를 수용하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이하, 간단히 「케이스」라고 한다) (2a) 의 내부에 모터·제너레이터 (1) 가 수용되어 있다. 이 케이스 (2a) 내에는, 동력 전달 장치 (2) 를 윤활시키는 윤활유가 포함된다. 요컨대,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에 의해 케이스 (2a) 내의 모터·제너레이터 (1) 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Ve) 은, 모터·제너레이터 (1) 만을 주행용 동력원으로 하는 차량,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연료 전지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제너레이터 (1) 및 엔진 (도시 생략) 을 주행용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어도 된다. 또, PCU (5) 에는 승압을 실시하는 승압부 등의 전압 조정부가 포함된다.
열교환 시스템 (100) 은, 차실 내의 공조에 사용되는 히트 펌프 (10) 와,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와 히트 펌프 (10) 의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 (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히트 펌프 (10) 는, 차량 (Ve) 의 외기와 공조용 냉매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차실 내의 난방 혹은 냉방을 실시한다. 열교환기 (20) 는, 히트 펌프 (10) 의 냉매가 유통 가능하고, 또한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가 유통 가능한 구조를 갖는 오일 쿨러 (O/C) 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100)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 시스템 (100) 은, 냉매 회로 내를 순환하는 냉매가 열교환기 (20) 를 경유하도록 구성된 히트 펌프 (10) 를 구비한다. 히트 펌프 (10) 는, 컴프레서 (11), 제 1 콘덴서 (12), 난방용 팽창 밸브 (13), 제 2 콘덴서 (14), 열교환기 (20), 냉방용 팽창 밸브 (15), 이배퍼레이터 (16), 탱크 (17) 를 갖는다. 또한, 히트 펌프 (10) 에 포함되는 각 요소는 냉매용의 관 (냉매 통로) 을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도 2 에는, 점선의 화살표로 냉매 통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히트 펌프 (10) 의 작동시에 순환하는 냉매는, 컴프레서 (11), 제 1 콘덴서 (12), 난방용 팽창 밸브 (13), 제 2 콘덴서 (14), 열교환기 (20), 냉방용 팽창 밸브 (15), 이배퍼레이터 (16), 탱크 (17) 의 순으로 흐른다.
컴프레서 (11) 는, 배터리 (4) 의 전력을 소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전동 컴프레서이다. 컴프레서 (11) 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면, 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제 1 콘덴서 (12) 에 공급된다.
제 1 콘덴서 (12) 는, 차실 내를 난방할 때, 차 내의 공기와 히트 펌프 (10) 의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이다. 난방시에는, 제 1 콘덴서 (12) 내를 유통하는 냉매의 열을 차 내의 공기에 제공한다.
난방용 팽창 밸브 (13) 는, 차실 내를 난방할 때에, 제 1 콘덴서 (12) 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팽창 (감압) 시켜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에서는, 제 1 콘덴서 (12) 와 제 2 콘덴서 (14) 의 사이에 난방용 팽창 밸브 (13) 가 배치된다. 난방시에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제 2 콘덴서 (14) 에 공급된다.
제 2 콘덴서 (14) 는, 히트 펌프 (10) 의 작동시에, 차량 (Ve) 의 외기와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이다. 난방시에는, 외기의 열을 제 2 콘덴서 (14) 에서 모으도록, 제 2 콘덴서 (14) 내를 유통하는 냉매에 외기의 열을 이동시킨다. 냉방시에는, 차실 내의 열을 제 2 콘덴서 (14) 에 의해 방열하도록, 제 2 콘덴서 (14) 내를 유통하는 냉매의 열을 외기로 이동시킨다.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열교환기 (20) 에 공급된다.
열교환기 (20) 는, 제 2 콘덴서 (14) 와 냉방용 팽창 밸브 (15)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콘덴서 (14) 의 하류측을 흐르는 냉매와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윤활유의 온도는 냉매의 온도보다 고온이다. 난방시에는, 제 2 콘덴서 (14) 에 의해 외기로부터 열을 수취한 냉매가 열교환기 (20) 내를 유통하여 윤활유로부터 열을 수취하여 온도 상승한다. 즉,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가 히트 펌프 (10) 의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이와 같이,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컴프레서 (11) 에 이르는 경로 중에 열교환기 (20) 를 형성함으로써 난방시에는 제 2 콘덴서 (14) 에 의해 열을 수취한 후의 냉매에 대해서 윤활유의 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방용 팽창 밸브 (15) 는, 차실 내를 냉방할 때에,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를 팽창 (감압) 시켜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에서는, 제 2 콘덴서 (14) 와 이배퍼레이터 (16) 의 사이로서, 열교환기 (20) 의 하류측이면서 이배퍼레이터 (16) 의 상류측에, 냉방용 팽창 밸브 (15) 가 배치된다. 냉방시에는,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의해 팽창된 냉매 (저온·저압의 냉매) 가 이배퍼레이터 (16) 에 공급된다.
이배퍼레이터 (16) 는, 차실 내를 냉방할 때에, 차 내의 공기와 히트 펌프 (10) 의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이다. 냉방시에는, 이배퍼레이터 (16) 내를 유통하는 냉매가 차 내의 공기로부터 열을 수취한다.
탱크 (17) 는, 이배퍼레이터 (16) 와 컴프레서 (11) 사이에 배치되어, 컴프레서 (11) 에 도달하기 전의 냉매를 일단 저류하는 저류부로서 기능한다. 이배퍼레이터 (16) 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탱크 (17) 를 경유하여 다시 컴프레서 (11) 로 되돌아온다.
여기서, 히트 펌프 (10) 내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 변화 및 상태 변화에 대해 난방시와 냉방시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냉방용 팽창 밸브 (15) 및 이배퍼레이터 (16) 는, 냉방시에만 기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난방시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 변화 및 상태 변화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또, 난방용 팽창 밸브 (13) 및 제 1 콘덴서 (12) 는, 난방시에만 기능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냉방시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 변화 및 상태 변화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나아가, 난방시와 냉방시를 불문하고, 탱크 (17) 는 냉매의 온도 변화 및 상태 변화에 관여하지 않는다.
난방시의 역(逆)카르노 사이클에 있어서, 컴프레서 (11) 는 압축, 제 1 콘덴서 (12) 는 방열, 난방용 팽창 밸브 (13) 는 팽창, 제 2 콘덴서 (14) 및 열교환기 (20) 는 흡열을 실시한다. 흡열 과정의 냉매에 착안하면, 제 2 콘덴서 (14) 에 의해 외기로부터 열을 받은 냉매는 열교환기 (20) 에 의해 윤활유로부터 추가로 열을 받는다. 이로써,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될 때의 냉매의 비(比)엔탈피는, 제 2 콘덴서 (14) 에 의한 증가분에 추가하여 열교환기 (20) 에 의한 증가분을 포함한다. 그 결과, 제 2 콘덴서 (14) 에 의해서만 흡열한 경우보다, 컴프레서 (11) 에서의 작업을 저감할 수 있다. 이는, 열교환기 (20) 에 의한 비엔탈피의 증가분에 의해,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되기 전의 비엔탈피와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된 후의 비엔탈피의 차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요컨데, 난방시에 컴프레서 (11) 에서의 작업을 줄이기 위해서는, 컴프레서 (11) 의 작업에 대해 외기만이 아니라 열교환기 (20) 로부터 냉매를 흡열할 수 있는 열량이 많아지면 되기 때문에, 열교환 시스템 (100) 에서는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컴프레서 (11) 에 도달할 때까지의 유통 경로에 열교환기 (20) 가 형성되어 있다.
냉방시에는, 컴프레서 (11) 는 압축, 제 2 콘덴서 (14) 는 방열, 냉방용 팽창 밸브 (15) 는 팽창, 이배퍼레이터 (16) 는 흡열을 실시한다.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된 냉매 (고온·고압의 냉매) 가 제 2 콘덴서 (14) 에 공급된다. 제 2 콘덴서 (14) 에서 냉각된 냉매 (중온·고압의 냉매) 는, 제 2 콘덴서 (14) 에서 유출된 후,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의해 팽창된다. 이로써, 이배퍼레이터 (16) 에는 저온의 냉매가 공급되므로, 차실 내를 냉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방시에 흡열 과정에서 제 2 콘덴서 (14) 에 의한 흡열에 추가하여,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의 열을 냉매에 건네줄 수 있으므로, 냉매의 수열량이 증가하여,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줄일 수 있다. 컴프레서 (11) 에서의 작업이 줄어듦으로써 난방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동력원인 모터·제너레이터 (1) 에 공급 가능한 배터리 전력을 확보할 수 있어, 차량 (Ve) 의 항속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 윤활유는 케이스 (2a) 의 내부에서 모터·제너레이터 (1) 를 냉각시키므로, 모터·제너레이터 (1) 에 의해 데워진 윤활유의 열을 열교환기 (20) 에 의해 냉매로 건넬 수 있다. 이로써, 열교환기 (20) 에서의 열교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20) 에서 윤활유를 냉매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고, 윤활유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동력 전달 장치 (2) 를 수용하는 케이스 (2a) 의 내부에 수용된 모터·제너레이터 (1) 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시스템 (100) 은, 난방시에, 흡열 과정의 냉매에 대해 열교환기 (20) 에 의한 비엔탈피의 증가가 가능하면 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20) 는 제 2 콘덴서 (14) 의 앞뒤 어느 쪽에 배치해도 된다. 단, 히트 펌프 (10) 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냉방용 팽창 밸브 (15) 를 포함하는 냉매 회로이기 때문에, 냉방시를 고려하여, 냉방용 팽창 밸브 (15) 보다 상류측에 열교환기 (20) 가 배치된다. 그래서,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2 콘덴서 (14) 의 상류측에 열교환기 (20) 를 배치한 냉매 회로를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 (100)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의 열교환 시스템 (100) 에서는, 열교환기 (20) 가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제 2 콘덴서 (14) 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히트 펌프 (10) 에서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열교환기 (20) 에서 열을 수취한 후에 제 2 콘덴서 (14) 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그대로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공급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난방시에 흡열 과정의 냉매에 대해 제 2 콘덴서 (14) 에 추가하여 열교환기 (20) 에 의해 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 난방시에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열교환기 (20) 에 공급되기 때문에, 냉매와 윤활유의 온도차가 커져 열교환기 (20) 에서의 열교환량이 많아진다. 요컨대, 난방시의 냉매는 윤활유로부터 많은 열을 수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200)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200) 은, PCU (5) 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PCU 냉각 회로 (30) 를 포함하고, 하나의 열교환기 (40) 로, 히트 펌프 (10) 의 냉매,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 PCU 냉각 회로 (30) 의 냉각수의 3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열교환 시스템 (200) 은, 히트 펌프 (10) 와, PCU 냉각 회로 (30) 와, 냉매와 윤활유와 냉각수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 (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그 참조 부호를 인용한다.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에서는, 제 2 콘덴서 (14) 와 냉방용 팽창 밸브 (15) 사이에 열교환기 (40) 가 배치된다.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열교환기 (40) 로 유입된다.
열교환기 (40) 는, 히트 펌프 (10) 의 냉매, 동력 전달 장치 (2) 의 윤활유, PCU 냉각 회로 (30) 의 냉각수의 3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삼상형 열교환기이다. 이 열교환기 (40) 내를 유통하는 냉매는, 윤활유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함과 함께, 냉각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PCU 냉각 회로 (30) 는, 워터 펌프 (W/P) (31) 와, 라디에이터 (32)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워터 펌프 (31) 는, PCU 냉각 회로 (30) 내에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전동 펌프이다. 워터 펌프 (31) 로부터 토출된 냉각수는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여 라디에이터 (32) 에 유입된다. 그리고, 라디에이터 (32) 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PCU (5) 에 공급된다. 이로써, 저온의 냉각수에 의해 PCU (5) 를 냉각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열 과정의 냉매에 착안하면, 제 2 콘덴서 (14) 에서 외기로부터 열을 받은 냉매는, 열교환기 (40) 에 의해 윤활유와 함께 냉각수로부터 열을 받는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 (40) 에 의한 비엔탈피의 증가분은 윤활유의 열과 냉각수의 열을 합한 것이 된다. 또, 냉각수의 온도가 윤활유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열교환기 (40) 에서는 냉각수에 의한 윤활유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에 의한 윤활유의 냉각, 윤활유의 열을 냉매로 이동시키는 열이동, 냉각수의 열을 냉매로 이동시키는 열이동을, 하나의 열교환기 (40) 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하나의 열교환기 (40) 에 의해 냉매, 윤활유, 냉각수의 3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열교환 시스템 (200) 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체격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 시스템 (200) 의 탑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40) 에 대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20) 와 마찬가지로, 제 2 콘덴서 (14) 의 앞뒤 어느 쪽에 배치해도 된다. 그래서,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2 콘덴서 (14) 의 상류측에 열교환기 (40) 를 배치한 냉매 회로를 도 5 에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 (200) 에서는, 열교환기 (40) 가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제 2 콘덴서 (14) 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히트 펌프 (10) 에서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냉매 (저온·저압의 냉매) 가, 열교환기 (40) 에 의해 윤활유의 열 및 냉각수의 열을 수취한 후에 제 2 콘덴서 (14) 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그대로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공급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난방시에 흡열 과정의 냉매에 대해 제 2 콘덴서 (14) 에 추가하여 열교환기 (40) 에 의해 윤활유의 열과 냉각수의 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 난방시에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열교환기 (40) 에 공급되기 때문에, 냉매와 윤활유의 온도차가 커져 열교환기 (40) 에서의 열교환량이 많아진다. 난방시의 냉매는 윤활유와 냉각수로부터 많은 열을 수취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6 은, 제 3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300)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3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300) 은,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 중에,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는 경우와 우회하는 경우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 (18) 가 형성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그 참조 부호를 인용한다.
열교환 시스템 (300) 은, 히트 펌프 (10) 와, PCU 냉각 회로 (30) 와, 열교환기 (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 내에,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여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도달하는 열교환 루트 (제 1 경로) 와,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지 않고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도달하는 우회 루트 (제 2 경로) 를 포함한다. 전환 밸브 (18) 는, 제 2 콘덴서 (14) 와 냉방용 팽창 밸브 (15)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를 전환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전환 밸브 (18) 는, 제 2 콘덴서 (14) 에 연통하는 냉매 통로에 접속되는 유입구와, 열교환기 (40) 에 연통하는 공급 통로에 접속되는 제 1 유출구와, 열교환기 (40) 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통로 (41) 에 접속되는 제 2 유출구를 갖는다. 히트 펌프 (10) 의 작동시, 전환 밸브 (18) 의 제 1 유출구와 제 2 유출구는 어느 일방이 열린다. 이 전환 밸브 (18) 에서는 일방의 유출구가 열린 경우에는 타방의 유출구가 닫히므로, 예를 들어 제 2 유출구가 열리고 바이패스 통로 (41) 가 열리는 경우에는 열교환기 (40) 측의 공급 통로는 닫혀 있다. 이와 같이, 전환 밸브 (18) 는 바이패스 통로 (41) 의 개폐를 전환한다.
난방시에는, 전환 밸브 (18) 는 바이패스 통로 (41) 를 닫고,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는 열교환 루트 (제 1 경로) 로 설정된다. 이로써, 난방시의 냉매는, 흡열 과정에 있어서 열교환기 (40) 에 의해 윤활유와 냉각수로부터 열을 수취할 수 있다.
냉방시에는, 전환 밸브 (18) 가 바이패스 통로 (41) 를 여는 경우와, 전환 밸브 (18) 가 바이패스 통로 (41) 를 닫는 경우 사이에서 개폐 상태가 전환된다. 냉방시에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 (40) 에 의해 냉매의 열을 윤활유 및 냉각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방시에 열교환기 (40) 에 의해 냉매의 열을 방열 가능하게 되면, 제 2 콘덴서 (14) 만으로 방열시키는 경우보다 방열 과정에서의 방열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컴프레서 (11) 에서 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냉방시에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우회하여 바이패스 통로 (41) 를 유통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 (40) 에 의해 윤활유의 열 및 냉각수의 열이 냉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냉방시에 열교환기 (40) 에 의해 냉매가 데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배퍼레이터 (16) 에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냉방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냉방시에 전환 밸브 (18) 가 바이패스 통로 (41) 를 엶으로써, 냉매가 윤활유와 냉각수로부터 열을 수취하지 않고 이배퍼레이터 (16) 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냉방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방시의 방열 과정에서 방열 가능한 구성이 제 2 콘덴서 (14) 에 추가하여 열교환기 (40) 를 포함하기 때문에, 냉방시에 방열 과정의 방열량이 많아져, 컴프레서 (11) 에서 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40) 에 대해서도,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40) 와 마찬가지로, 제 2 콘덴서 (14) 의 앞뒤 어느 쪽에 배치해도 된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2 콘덴서 (14) 의 상류측에 열교환기 (40) 를 배치한 냉매 회로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 (300) 에서는, 열교환기 (40) 가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제 2 콘덴서 (14)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열교환기 (40) 와 난방용 팽창 밸브 (13) 사이에 배치된 전환 밸브 (19) 와, 열교환기 (40) 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통로 (42) 를 구비한다. 이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 내에,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여 제 2 콘덴서 (14) 에 도달하는 열교환 루트 (제 1 경로) 와,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콘덴서 (14) 에 도달하는 우회 루트 (제 2 경로) 를 포함한다. 전환 밸브 (19) 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연통하는 냉매 통로에 접속되는 유입구와, 열교환기 (40) 에 연통하는 공급 통로에 접속되는 제 1 유출구와, 열교환기 (40) 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통로 (42) 에 접속되는 제 2 유출구를 갖는다.
이 변형예에서는, 냉방시에 열교환기 (40) 에 공급되는 냉매는, 컴프레서 (11) 에 의해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이기 때문에, 그 냉매의 온도는 윤활유의 온도 및 냉각수의 온도보다 높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 (40) 에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냉매의 열을 윤활유 및 냉각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동력 전달 장치 (2) 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온도 범위의 상한치로서 윤활유의 한계 온도가 설정되므로, 열교환기 (40) 에서 필요 이상으로 윤활유가 열을 수취하는 것은 억제하고자 한다. 냉방시에 윤활유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전환 밸브 (19) 는 바이패스 통로 (42) 를 열고, 냉매는 열교환기 (40) 를 우회하여 제 2 콘덴서 (14) 에 공급된다. 냉방시에 윤활유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전환 밸브 (19) 는 바이패스 통로 (42) 를 닫고, 냉매는 열교환기 (40) 를 경유하여 제 2 콘덴서 (14) 에 공급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방시에 냉방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냉방시에 제 2 콘덴서 (14) 에서 냉각되기 전의 냉매를 열교환기 (40) 에 공급 가능하기 때문에, 열교환기 (40) 에서의 열교환량 (냉매의 방열량) 이 많아져, 제 2 콘덴서 (14) 의 방열량을 줄일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8 은, 제 4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400)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 실시형태의 열교환 시스템 (400) 은,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40) 대신에, 냉매와 냉각수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기 (50) 를 구비한다. 요컨대, 하나의 열교환기 (50) 에 의해, 히트 펌프 (10) 의 냉매와 PCU 냉각 회로 (30) 의 냉각수의 2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그 참조 부호를 인용한다.
열교환 시스템 (400) 은, 히트 펌프 (10) 와, PCU 냉각 회로 (30) 와, 열교환기 (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히트 펌프 (10) 의 냉매 회로에서는, 제 2 콘덴서 (14) 와 냉방용 팽창 밸브 (15) 의 사이에 열교환기 (50) 가 배치된다.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가 열교환기 (50) 에 유입된다. 이 열교환기 (50) 내를 유통하는 냉매는 냉각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열 과정의 냉매에 착안하면, 제 2 콘덴서 (14) 에 의해 외기로부터 열을 받은 냉매는, 열교환기 (50) 에서 냉각수로부터 열을 받는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 (50) 에 의한 비엔탈피의 증가분은 냉각수로부터 수취한 열량이 된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의 열을 냉매로 이동시키는 열이동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흡열 과정에 있어서 냉각수의 열을 냉매에 건넬 수 있으므로,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저감할 수 있다. 컴프레서 (11) 의 작업이 줄어듦으로써, 난방시의 컴프레서 (11) 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차량 (Ve) 의 항속 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50) 에 대해서도,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40) 와 마찬가지로, 제 2 콘덴서 (14) 의 앞뒤 어느 쪽에 배치해도 된다. 그래서,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2 콘덴서 (14) 의 상류측에 열교환기 (50) 를 배치한 냉매 회로를 도 9 에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열교환 시스템 (400) 에서는, 열교환기 (50) 가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제 2 콘덴서 (14) 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히트 펌프 (10) 에서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냉매 (저온·저압의 냉매) 가, 열교환기 (50) 에 의해 냉각수의 열을 수취한 후에 제 2 콘덴서 (14) 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 2 콘덴서 (14) 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그대로 냉방용 팽창 밸브 (15) 에 공급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난방시에 흡열 과정의 냉매에 대해 제 2 콘덴서 (14) 에 추가하여 열교환기 (50) 에 의해 냉각수의 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컴프레서 (11) 의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 난방시에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에 의해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열교환기 (50) 에 공급되기 때문에, 냉매와 냉각수의 온도차가 커져 열교환기 (50) 에서의 열교환량이 많아진다. 요컨대, 난방시의 냉매는 냉각수로부터 많은 열을 수취할 수 있다.

Claims (9)

  1. 배터리 (4) 와, 주행용 동력원으로서의 전동기 (1) 와, 동력 전달 장치 (2) 를 포함하는 차량 (Ve) 의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으로서,
    상기 전동기 (1) 는 상기 배터리 (4) 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 (Ve) 은, 상기 배터리 (4) 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기 (1) 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파워 컨트롤 유닛 (5) 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은,
    공조에 사용되는 히트 펌프 (10) 로서, 상기 히트 펌프 (10) 는 냉매를 압축하는 전동 컴프레서 (11)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컴프레서 (11) 는 상기 배터리 (4) 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히트 펌프 (10) ;
    상기 파워 컨트롤 유닛 (5) 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 회로 (30) ; 및
    상기 동력 전달 장치 (2) 를 윤활하는 윤활유와, 상기 냉각수, 상기 냉매의 3 종류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열교환기 (40)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열교환기 (40) 에서 상기 윤활유의 열을 상기 냉매로 이동시키는 열이동 및 상기 냉각수의 열을 상기 냉매로 이동시키는 열이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상기 윤활유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각수에 의한 상기 윤활유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펌프 (10) 는, 제 1 콘덴서 (12) 와, 제 2 콘덴서 (14) 와, 차실 내의 난방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차실 내의 냉방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냉방용 팽창 밸브 (15)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전동 컴프레서 (11) 로부터 유출된 후, 상기 난방용 팽창 밸브 (13), 상기 제 2 콘덴서 (14), 상기 냉방용 팽창 밸브 (15) 의 순으로 흐르고,
    상기 하나의 열교환기 (40) 는, 상기 난방용 팽창 밸브 (13) 의 하류측이면서 상기 제 2 콘덴서 (14) 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시 흡열 과정의 상기 냉매에 대해 상기 윤활유의 열과 상기 냉각수의 열을 이동시키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펌프 (10) 는, 제 1 콘덴서 (12) 와, 제 2 콘덴서 (14) 와, 차실 내의 난방시에 작동하는 난방용 팽창 밸브 (13) 와, 차실 내의 냉방시에 작동하는 냉방용 팽창 밸브 (15)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전동 컴프레서 (11) 로부터 유출된 후, 상기 난방용 팽창 밸브 (13), 상기 제 2 콘덴서 (14), 상기 냉방용 팽창 밸브 (15) 의 순으로 흐르고,
    상기 하나의 열교환기 (40) 는, 상기 제 2 콘덴서 (14) 의 하류측이면서 상기 냉방용 팽창 밸브 (15) 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시 흡열 과정의 상기 냉매에 대해 상기 윤활유의 열과 상기 냉각수의 열을 이동시키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덴서 (12) 는, 상기 차실 내를 난방할 때에, 차 내의 공기와 상기 히트 펌프 (10) 의 상기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콘덴서 (14) 는, 상기 히트 펌프 (10) 의 작동시에, 상기 차량의 외기와 상기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펌프 (10) 는, 상기 하나의 열교환기 (40) 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전환 밸브 (18 ; 19) 를 추가로 구비하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 (18 ; 19) 는, 차실 내의 냉방시에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닫는 경우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여는 경우 사이에서 개폐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1) 는, 상기 동력 전달 장치 (2) 를 수용하는 케이스 (2a) 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윤활유는, 상기 케이스 (2a) 의 내부에서 상기 전동기 (1) 를 냉각시키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열교환기 (40) 를 유통하는 상기 히트 펌프 (10) 의 냉매는, 상기 윤활유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함과 함께, 상기 냉각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열교환 시스템 (200 ; 300).
KR1020180105182A 2017-09-15 2018-09-04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 KR102179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8363A JP6753379B2 (ja) 2017-09-15 2017-09-15 車両の熱交換システム
JPJP-P-2017-178363 2017-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144A KR20190031144A (ko) 2019-03-25
KR102179609B1 true KR102179609B1 (ko) 2020-11-17

Family

ID=6357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82A KR102179609B1 (ko) 2017-09-15 2018-09-04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14696B2 (ko)
EP (1) EP3456561B1 (ko)
JP (1) JP6753379B2 (ko)
KR (1) KR102179609B1 (ko)
CN (1) CN109501550B (ko)
RU (1) RU2692133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3446U1 (ru) * 2019-09-06 2019-10-2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Лаборатор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климата "ЛАТРАК" Клима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электробуса
DE102019130803B4 (de) * 2019-11-14 2021-09-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Wärmemanagement eines Kraftfahrzeugs
FR3104660B1 (fr) * 2019-12-17 2021-11-26 Renault Sas Procédé et dispositif de pilotage du refroidissement d'une boite de vitesses
US11390137B2 (en) * 2020-01-15 2022-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ermal management for electrified vehicle
CN111347934B (zh) * 2020-03-11 2021-04-23 北京新能源汽车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燃料电池汽车热管理系统及方法
GB2606220B (en) * 2021-04-30 2023-12-20 Jaguar Land Rover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an electric vehicle
JPWO2022270215A1 (ko) * 2021-06-24 2022-12-29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254A (ja) * 2005-04-13 2006-10-26 Calsonic Kansei Corp 蒸気圧縮式冷凍機
JP2014037959A (ja) * 2012-07-18 2014-02-27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4095487A (ja) * 2012-11-07 2014-05-22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518A (ja) * 1990-03-20 1991-12-0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熱交換装置
JP3182987B2 (ja) * 1993-06-16 2001-07-03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ハイブリット車輌における潤滑装置
JPH0712422A (ja) * 1993-06-22 1995-01-17 Sanden Corp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H10119552A (ja) * 1996-10-21 1998-05-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両用暖房装置
JP2001354029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ヒートポンプ式車両用空調装置
JP2004027991A (ja) * 2002-06-27 2004-01-29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制御装置
JP2006090382A (ja) * 2004-09-22 2006-04-06 Mazd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のオイル熱交換装置
JP4201011B2 (ja) * 2006-03-27 2008-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熱装置
JP2009113674A (ja) * 2007-11-07 2009-05-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9241910A (ja) * 2008-04-01 2009-10-22 Toyota Motor Corp インホイールモータの冷却構造
DE102009043316A1 (de) 2009-09-28 2011-03-31 Valeo Klimasysteme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Innenraumtemperatur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und Klimaanlagensystem
JP5433387B2 (ja) 2009-11-30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機器冷却暖房システム
KR101316355B1 (ko) * 2011-09-14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히트펌프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난방장치
RU2014114186A (ru) * 2011-10-03 2015-11-10 Фоллбрук Интеллекчуэл Проперти Компани Ллс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с бесступенчатой коробкой передач
DE102012004002A1 (de) * 2012-02-25 2013-08-29 Daimler Ag Fahrzeug mit einem Hochtemperaturkreislauf, einem Niedertemperaturkreislauf, einem Klimaanlagenkühlkreislauf und/oder einem Abwärmerückgewinnungskreislauf
JP2013217631A (ja) * 2012-03-14 2013-10-24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5860360B2 (ja) 2012-08-13 2016-02-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動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JP5920133B2 (ja) 2012-09-18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14084060A (ja) 2012-10-26 2014-05-12 Toyota Motor Corp 空調装置
JP6068229B2 (ja) * 2013-03-29 2017-01-25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CN104121724B (zh) * 2013-04-27 2018-10-26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一种热交换器
JP6167892B2 (ja) * 2013-06-06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SE537479C2 (sv) * 2013-09-20 2015-05-12 BAE Systems Hägglunds Aktiebolag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vätskekylning av elmotor och transmissionskonfiguration
US20160023532A1 (en) 2014-07-25 2016-01-28 Atieva, Inc. EV Integrated Temperature Control System
FR3024961B1 (fr) 2014-08-19 2016-08-12 Renault Sa "dispositif de regulation thermique d'une batterie comportant un evaporateur de refroidissement de la batterie et un radiateur de chauffage de la batterie"
US9758011B2 (en) 2014-10-21 2017-09-12 Atieva, Inc. EV multi-mode thermal management system
US9533544B2 (en) 2014-10-21 2017-01-03 Atieva, Inc. EV multi-mode thermal management system
JP6605928B2 (ja) 2014-11-27 2019-11-13 マレリ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US9650941B2 (en) * 2014-12-16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nkine cycle for a vehicle
KR101855759B1 (ko) 2015-12-08 2018-05-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0254A (ja) * 2005-04-13 2006-10-26 Calsonic Kansei Corp 蒸気圧縮式冷凍機
JP2014037959A (ja) * 2012-07-18 2014-02-27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4095487A (ja) * 2012-11-07 2014-05-22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01550A (zh) 2019-03-22
US10814696B2 (en) 2020-10-27
JP2019051872A (ja) 2019-04-04
EP3456561A1 (en) 2019-03-20
CN109501550B (zh) 2022-07-22
US20190084373A1 (en) 2019-03-21
KR20190031144A (ko) 2019-03-25
JP6753379B2 (ja) 2020-09-09
RU2692133C1 (ru) 2019-06-21
BR102018067934A2 (pt) 2019-04-16
EP3456561B1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609B1 (ko) 차량의 열교환 시스템
CN111409411B (zh) 空气调节和电池冷却装置以及用于运行空气调节和电池冷却装置的方法
CN107848368B (zh) 用于电动车或混合动力车的热系统以及用于运行这种热系统的方法
CN108136875B (zh) 热系统、具有热系统的电动或混合动力车辆以及用于运行热系统的方法
CN111532098B (zh) 空气调节和电池冷却装置及其运行方法
CN108501658B (zh) 一种热管理系统及汽车
WO2014034061A1 (ja) 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US20200101810A1 (en) Vehicle heat management system
KR102361190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온도 제어 장치
KR102320361B1 (ko) 차량 객실 가열 회로 및 배터리 가열 회로를 구비한 차량용 열 펌프 장치
US11142037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CN102120412A (zh) 用于控制电动车辆乘客室温度的方法和空调系统
US20230373264A1 (en)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N111231603B (zh) 基于混合动力汽车的整车热管理系统与方法
JP2011240777A (ja) 冷却装置
JP2013250035A (ja) ヒートサイフォン式冷凍サイクル装置
US20240042829A1 (en) Refrigerant circuit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ircuit
CN113195290B (zh) 温度调整回路
CN216033622U (zh) 集成式热管理系统及车辆
WO2022088689A1 (zh) 车辆热管理系统和车辆
US20220332169A1 (en) Coolant circuit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ircuit
CN115303005A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KR20220127295A (ko) 승객실 공기 공조 및 자동차 파워트레인의 구성 요소를 통한 열 전달 시스템 및 시스템 작동 방법
CN112060865A (zh) 电动汽车的热管理系统
CN221090419U (zh) 重型卡车的热泵热管理系统和重型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