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947B1 -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947B1
KR102176947B1 KR1020200031788A KR20200031788A KR102176947B1 KR 102176947 B1 KR102176947 B1 KR 102176947B1 KR 1020200031788 A KR1020200031788 A KR 1020200031788A KR 20200031788 A KR20200031788 A KR 20200031788A KR 102176947 B1 KR102176947 B1 KR 10217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anel
coupling
partition wall
st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427A (ko
Inventor
김태환
황은미
Original Assignee
황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미 filed Critical 황은미
Priority to KR102020003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4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688 priority patent/WO2021187657A1/ko
Publication of KR2020007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47B1/ko
Priority to JP2020005589U priority patent/JP3230997U/ja
Priority to CN202023151041.0U priority patent/CN214791264U/zh
Priority to US17/135,653 priority patent/US116684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1Free-standing fireplaces, e.g. for mobile homes ; Fireplaces convertible into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8Surrounds-fro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5Supply of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6Supply of primary and secondary air f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03Stoves or ranges on which a removable cooking element is arr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스토브용 격벽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토브용 격벽조립체"는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개의 격벽 각각은, 하부에 1차공기가 유입되는 1차공기흡입구(111a)가 형성된 외부패널(11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가 온도가 상승하며 이동되는 공기이동공간(119)을 형성하며, 상부에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상기 연료를 향해 배출하는 2차공기토출구(121b)가 형성된 내부패널(12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상기 내부패널(120)을 서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측면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패널(120)은,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된 내부패널본체(121)와; 상기 내부패널본체(12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결합되는 하부내측결합판(122)과; 상기 내부패널본체(121)의 상부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결합되는 상부내측결합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토브용 격벽조립체{Partition wall assembly for stove}
본 발명은 스토브용 격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스토브에 적재된 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하며 필요에 따라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 근무제의 시행과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주말에 캠핑이나 야영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캠핑 용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캠핑 용품 중 야외에서 장작이나 연료를 태워 주위를 난방하거나 고기나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것이 스토브이다.
종래 스토브는 장작이나 숯과 같은 연료를 태우기 위한 연소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상에 안착되는 그릴과,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료의 연소 후 발생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토브의 상부에는 바람을 막을 목적으로 격벽을 둘러 사용하게 된다.
종래 스토브는 나무나 숯과 같은 연료가 안착될 때, 연료의 하부로부터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연료의 하부를 점화하여 연료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게 된다.
이런 종래 스토브는 연료의 하부로 한 번만 외부공기가 유입되므로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스토브는 연료가 한번만 연소되어 대부분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가 있다.
불완전연소된 연소가스는 산소가 부족하여 수소와 이산화탄소 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가 발생되며, 완전연소와 비교할 때 단위연료당 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열효율이 낮으므로 불의 온도가 낮고 음식물의 조리시간도 길어지며 연료 소모량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토브의 상부를 감싸는 격벽은 연료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과 접촉하게 되므로 장시간 반복사용할 경우 열에 의해 표면이 우그러지는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514호,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870호, "조립식 화로대"쪽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브에서 연소되는 연료로 2차에 걸쳐 산소를 공급하여 연료가 완전연소되게 유도하는 격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격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격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격벽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이 서로 조립되어 연료가 연소되는 스토브의 외부를 감싸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은 각각, 하부에 1차공기가 유입되는 1차공기흡입구(111a)가 형성된 외부패널(11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가 온도가 상승하며 이동되는 공기이동공간(119)을 형성하며, 상부에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상기 연료를 향해 배출하는 2차공기토출구(121b)가 형성된 내부패널(12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상기 내부패널(120)을 서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측면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패널(120)은,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된 내부패널본체(121)와; 상기 내부패널본체(12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결합되는 하부내측결합판(122)과; 상기 내부패널본체(121)의 상부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결합되는 상부내측결합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복수개의 격벽을 서로 조립하여 스토브의 크기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격벽을 분해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연료의 하부로 공급되는 1차공기 외에 연료의 상부로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공급하여 2차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단위연료당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격벽의 양측에 측면경사결합날개와 수결합브라켓 및 암결합브라켓을 구비하여, 이웃하는 격벽이 사선방향으로 이중구조로 끼움결합된다. 이에 의해 결합과정이 간단하며, 외력이나 반복적인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내부패널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열이 전영역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의 연료 연소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의 격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의 격벽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의 연소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1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10)가 스토브(20)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연소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10)는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게 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이 조립되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세 개의 격벽(100,100a,100b)이 조립되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섯개 이상의 격벽(100,100a,100b,100c,...)이 조립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격벽조립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들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연료(B)가 연소되는 연소공간(D)을 형성한다. 격벽조립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B)가 적재된 스토브(20)의 상부를 둘러 배치된다. 본 발명의 격벽조립체(10)는 스토브(20)를 감싸 연료(B)가 연소되는 연소공간(D)을 형성함과 동시에 연료(B)가 완전연소가 될 수 있도록 공기를 2차에 걸쳐 공급한다.
연료(B)는 스토브(20)에 적재된 상태로 스토브(20)의 하부로부터 1차공기(A1)를 공급받아 1차 연소된다.
한편, 격벽(100,100a,100b,100c)의 외측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A1)는 격벽(100,100a,100b,100c) 내부의 공기이동공간(119)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고 격벽(100,100a,100b,100c)의 내측에 형성된 2차공기토출구(121b)를 통해 연소공간(D)으로 배출된다.
공기이동공간(119)을 따라 이동되는 1차공기(A1)는 연소공간(D)의 열을 전달받아 상부로 이동되며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뜨겁게 데워진 2차공기(A2)가 2차공기토출구(127)를 통해 연소공간(D)으로 배출되고, 1차공기(A1)에 의해 형성된 화염(F)과 연소가스(C2)로 공급되어 연료(B)의 2차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2차연소에 의해 연료의 완전연소가 유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10)는 각 격벽(100,100a,100b,100c) 내부의 공기이동공간(118)을 따라 이동되며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를 연료(B)를 향해 토출하여 연료(B)가 2차 연소가 이루어지며 완전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스토브(20)의 열효율이 높아져 단위연료당 발열량이 증가하고,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시간이 단축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들은 사용되는 스토브(20)의 크기에 맞게 조립되어 사용된다.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들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제1격벽(10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격벽(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격벽(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00)은 외부패널(110)과, 외부패널(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공간(119)을 형성하는 내부패널(120)과, 외부패널(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외부패널(110)을 내부패널(120)과 결합시키는 한 쌍의 측면결합부재(130)와, 외부패널(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강부재(140)를 포함한다.
외부패널(110)은 제1격벽(100)의 외벽면을 형성한다. 외부패널(110)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패널(110)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외부패널본체(111)와, 외부패널본체(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상면(112)과,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하면(114)과, 외부패널본체(111)의 일측에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측면경사결합날개(116)와,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상면에 구비된 수결합브라켓(117)과, 외부패널본체(111)의 타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암결합브라켓(118)을 포함한다.
외부패널본체(111)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형태로 구비된다.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1차공기흡입구(111a)가 관통형성된다. 1차공기흡입구(111a)는 외부로부터 1차공기(A1)를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118)으로 유입시킨다.
외부패널본체(111)의 양측 판면에는 복수개의 제1측면체결공(111b)이 형성된다. 제1측면체결공(111b)은 측면결합부재(130)의 제2측면체결공(133a)과 동축상에 배치된 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상면(112)에는 화염안내날개(113)가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일정면적 형성된다. 화염안내날개(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120)의 2차공기토출구(121b)에서 토출되는 2차공기(A2)가 상부로 향하지 않고 연소공간(D) 내부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에 의해 2차공기(A2)와 만나 형성된 화염이 화염안내날개(113)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즉, 화염이 퍼지지 않고 가운데로 모아지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안내날개(113)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상부체결공(113a)이 형성된다. 제1상부체결공(113a)에는 내부패널(120)의 제2상부체결공(121a)이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하면(114)은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공기흡입구(111a)는 외부패널본체(111)과 하면(114)의 경계영역에 걸쳐 "L"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1차공기(A1)가 두 방향에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1차공기흡입구(111a)의 형상에 의해 1차공기(A1)가 유입되는 각도를 완만하게 해줄 수 있다. 1차공기(A1)의 유입각도가 완만해짐에 따라 흡이저항에 줄어들어 1차공기(A1)의 유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면(114)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면적 연장형성된 하부외측결합판(115)이 구비된다. 하부외측결합판(115)은 내부패널(120)의 하부내측결합판(122)과 맞닿게 배치되어 내부패널(120)과 결합된다. 하부외측결합판(115)의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하부체결공(115a)이 구비되고, 하부내측결합판(122)의 제2하부체결공(122a)과 동축상에 배치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측면경사결합날개(116)와 수결합브라켓(117) 및 암결합브라켓(118)은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들이 서로 조립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측면경사결합날개(116)는 외부패널본체(111)의 일측에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판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이 관통형성된다.
측면경사결합날개(1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격벽(100,100a,100b,100c)들이 서로 조립되었을 때, 이웃하는 격벽(100,100a,100b,100c)의 타측으로 돌출된 암결합브라켓(118)과 맞닿아 암결합브라켓(118)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면적과 경사각도로 형성된다.
수결합브라켓(117)은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상면에 결합되어 암결합브라켓(118)과 걸림결합된다. 수결합브라켓(117)은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경사결합날개(116)에 결합되는 브라켓본체(117a)와, 브라켓본체(117a)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117b)와, 브라켓본체(117a)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손잡이(117c)와, 브라켓본체(117a)의 전방에 구비되는 걸림턱(117d)을 포함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본체(117a)는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판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이 때, 결합돌기(117b)는 브라켓본체(117a)의 전방에서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의 상부에 걸쳐질 수 있게 돌출형성된다. 결합돌기(117b)는 암결합브라켓(118)의 돌기끼움공(118a)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끼움공(118a)에 끼움결합된다.
손잡이(117c)는 사용자가 이웃하는 격벽(100,100a,100b,100c)을 서로 조립할 때, 손으로 파지하여 사선방향으로 결합각도를 조절하여 수결합브라켓(117)과 암결합브라켓(118)을 서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손잡이(117c)는 브라켓본체(117a)의 후방을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걸림턱(117d)은 브라켓본체(117a)와 결합돌기(117b) 사이의 경계영역에 형성된다. 걸림턱(117d)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결합브라켓(118)과 수결합브라켓(117)이 서로 끼움결합되었을 때, 암결합브라켓(118)을 접촉지지하여 암결합브라켓(118)의 결합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암결합브라켓(118)은 외부패널본체(111)의 타측에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어 이웃하는 격벽(100,100a,100b,100c)의 측면경사결합날개(116)와 수결합브라켓(117)에 걸림결합된다. 암결합브라켓(118)은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에 끼워진다. 암결합브라켓(118)의 판면에는 결합돌기(117b)가 끼워지는 돌기끼움공(118a)이 관통형성된다.
내부패널(120)은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공간(119)을 형성한다. 내부패널(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본체(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패널본체(121)와, 내부패널본체(12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하부내측결합판(122)과, 내부패널본체(12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상부내측결합판(123)과, 내부패널본체(121)의 양측에 외부패널(11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체결고리(125)를 포함한다.
내부패널본체(121)는 외부패널본체(11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패널본체(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외부패널본체(111)를 향해 돌출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된다. 내부패널본체(121)가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연료(B)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내부패널본체(121)는 폭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될 있다.
곡면형태의 내부패널본체(121)는 화염에 의해 열이 전달될 때, 전영역에 균일하게 열을 받게 된다. 이에 의해 내부패널본체(121)가 열에 의해 우그러지는 것과 같은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내부패널본체(121)의 상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2차공기토출구(121b)가 관통형성된다. 2차공기토출구(12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공기이동공간(119)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 2차공기(A2)를 연소공간(D)을 향해 토출한다.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공기이동공간(119)으로 유입된 1차공기(A1)는 상부로 상승하면서 연소공간(D)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는 연소공간(D)의 연료(B)와 연소가스(C2)로 공급되어 연료(B)의 2차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하부내측결합판(122)은 외부패널(110)의 하부외측결합판(115)과 결합되고, 상부내측결합판(123)은 외부패널(110)의 화염안내날개(113)과 결합된다. 측면체결고리(1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본체(121)의 양측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측면결합부재(130)의 고리체결공(131a)에 결합된다.
한 쌍의 측면결합부재(130)는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게 지지한다. 측면결합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결합면(131)과 외부패널결합면(133)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내부패널결합면(131)은 내부패널(120)의 측면체결고리(125)와 맞닿게 배치되며, 판면에 측면체결고리(125)와 동축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고리체결공(131a)이 형성된다. 외부패널결합면(133)은 외부패널본체(111)의 내측에 맞닿게 배치되며 판면에 제1측면체결공(111b)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2측면체결공(133a)이 복수개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내측에는 보강부재(140)가 결합된다. 보강부재(140)는 측면경사결합날개(116)에 이웃하는 격벽(100,100a,100b,100c)의 암결합브라켓(118)이 결합될 때 결합구속력에 의해 측면경사결합날개(116)가 휘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한다.
보강부재(140)는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내측에 결합되는 날개결합판(141)과, 날개결합판(141)의 선단에 돌출형성되어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의 하부에 배치되는 내부브라켓삽입판(143)을 포함한다.
날개결합판(141)은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게 형성되며, 상하에 한 쌍의 본체결합리브(141a)가 절곡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결합리브(141a)는 외부패널(110)의 상면(112)과 하면(114)에 각각 결합되어 보강부재(140)의 위치를 고정한다.
내부브라켓삽입판(143)의 판면에는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과 동축상에 형성되는 내부암결합브라켓삽입공(143a)이 관통형성된다. 이에 의해 이웃하는 격벽의 암결합브라켓(118)은 내부암결합브라켓삽입공(143a)과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10)는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을 사용자가 현장에서 스토브(20)의 크기에 맞게 조립하여 사용된다.
각 격벽(100,100a,100b,100c)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내부패널(120)이 배치되고,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의 양측에 한 쌍의 측면결합부재(130)가 배치된 후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패널(110)의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외측에 수결합브라켓(117)이 결합되고, 내측에 보강부재(140)가 결합되어 제조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는 측면끼리 끼워지며 조립되어 사용된다.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격벽(100,100a,100b,100c)을 서로 결합시킬 때, 사용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00)과 제2격벽(100a)을 서로 희망하는 위치로 배치하고, 제1격벽(100)의 암결합브라켓(118)을 제2격벽(100a)의 측면경사결합날개(116)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수결합브라켓(117)의 손잡이(117c)를 손으로 잡고 제1격벽(100)과 제2격벽(100a)을 서로 경사지게 사선 배치하고 제1격벽(100)의 암결합브라켓(118)을 제2격벽(100a)의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으로 경사지게 삽입한다. 그리고,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에 삽입된 암결합브라켓(118)을 제2격벽(100a)의 수결합브라켓(117) 측으로 가압하여 수결합브라켓(117)의 결합돌기(117b)를 돌기끼움공(118a)에 끼운다.
이에 의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00)의 암결합브라켓(118)과 제2격벽(100a)의 측면경사결합날개(116)와 수결합브라켓(117)이 서로 교차되게 걸림결합된다. 즉, 암결합브라켓(118)이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에 1차로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수결합브라켓(117)의 결합돌기(117b)가 암결합브라켓(118)의 돌기끼움공(118a)에 2차로 끼움결합된다.
제1격벽(100)의 암결합브라켓(118)과 제2격벽(100a)이 수결합브라켓(117)이 이중구조로 걸림결합되고, 암결합브라켓(118)이 걸림턱(117d)에 걸려져 위치가 고정되므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격벽(100)과 제2격벽(100a)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격벽(100a)에 제3격벽(100b)을 결합시키고, 제3격벽(100b)의 타측에 제1격벽(100)을 결합시켜 삼각형 형태의 격벽조립체(10)를 형성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격벽(100,100a,100b,100c)를 조립하여 사각형 형태의 격벽조립체(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조립된 상태의 제1격벽(100)과 제2격벽(100a)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1격벽(100) 또는 제2격벽(100a)을 손으로 잡고 회동시켜 사선으로 배치하고 제2격벽(100a)의 결합돌기(117b)를 제1격벽(100)의 돌기끼움공(118a)으로부터 분리하고, 제1격벽(100)의 암결합브라켓(118)을 제2격벽(100a)의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사각형 형태로 조립된 본 발명의 격벽조립체(10)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브(20)의 상면에 연료(B)가 적재되고, 스토브(20)의 외부를 감싸도록 격벽조립체(10)가 배치된다. 스토브(20)의 상부에 연료(B)를 적재하고 불을 점화한다. 스토브(20)의 공기유입구(21)를 통해 1차공기(A1)가 유입되고, 연료(B)가 1차 연소된다.
각 격벽(100,100a,100b,100c)의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1차공기(A1)가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119)으로 유입되고,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1차공기는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는 내부패널(120)의 2차공기토출구(127)를 통해 연소공간 측으로 공급되어 1차연소된 화염과 연소가스와 만나게 된다. 이에 의해 화염과 연소가스가 2차연소되며, 완전연소가 유도된다. 완전연소가 되면 화염의 온도가 상승되고, 열효율이 상승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복수개의 격벽을 서로 조립하여 스토브의 크기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격벽을 분해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연료의 하부로 공급되는 1차공기 외에 연료의 상부로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공급하여 2차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단위연료당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격벽의 양측에 측면경사결합날개와 수결합브라켓 및 암결합브라켓을 구비하여, 이웃하는 격벽이 사선방향으로 이중구조로 끼움결합된다. 이에 의해 결합과정이 간단하며, 외력이나 반복적인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조립체는 내부패널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열이 전영역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격벽조립체 20 : 스토브
100, 100a, 100c, 100d : 격벽 110 : 외부패널
111 : 외부패널본체 111a : 1차공기흡입구
111b : 제1측면체결공 112 : 상면
113 : 화염안내날개 113a : 제1상부체결공
114 : 하면 115 : 하부외측결합판
115a : 제1하부체결공 116 : 측면경사결합날개
116a : 암결합브라켓삽입공 117 : 수결합브라켓
117a : 브라켓본체 117b : 결합돌기
117c : 손잡이 117d : 걸림턱
118 : 암결합브라켓 118a : 돌기끼움공
119 : 공기이동공간 120 : 내부패널
121 : 내부패널본체 121a : 제2상부체결공
121b : 2차공기토출구 122 : 하부내측결합판
122a : 제2하부체결공 123 : 상부내측결합판
125 : 측면체결고리 130 : 측면결합부재
131 : 내부패널결합면 131a : 고리체결공
133 : 외부패널결합면 133a : 제2측면체결공
140 : 보강부재 141 : 날개결합판
141a : 본체결합리브 143 : 내부브라켓삽입판
143a : 내부암결합브라켓삽입공
A1 : 1차공기
A2 : 2차공기
B : 연료
C2 : 연소가스
D : 연소공간

Claims (5)

  1.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이 서로 조립되어 연료가 연소되는 스토브의 외부를 감싸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격벽(100,100a,100b,100c)은 각각,
    하부에 1차공기가 유입되는 1차공기흡입구(111a)가 형성된 외부패널(11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가 온도가 상승하며 이동되는 공기이동공간(119)을 형성하며, 상부에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상기 연료를 향해 배출하는 2차공기토출구(121b)가 형성된 내부패널(12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 상기 내부패널(120)을 서로 결합시키는 한 쌍의 측면결합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패널(110)은,
    일정 면적을 갖게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공기이동공간(119)이 형성되며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가 복수개 형성되는 외부패널본체(111)와;
    상기 외부패널본체(111)의 일측에 경사지게 일정면적 연장형성되며 판면에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이 형성되는 측면경사결합날개(116)와;
    상기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을 향해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17b)가 구비된 수결합브라켓(117)과;
    상기 외부패널본체(111)의 타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웃하는 격벽의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에 끼워지는 암결합브라켓(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110)은,
    상기 외부패널본체(111)의 상면에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2차공기토출구(121b)에서 토출된 2차공기를 연료 측으로 안내하며 상기 내부패널(120)의 상부내측결합판(123)과 결합되는 화염안내날개(113)와;
    상기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패널(120)의 하부내측결합판(122)과 결합되는 하부외측결합판(1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암결합브라켓(118)의 판면에는 상기 이웃하는 격벽의 암결합브라켓삽입공(116a)에 끼워졌을 때 상기 이웃하는 격벽의 결합돌기(117b)가 끼워지는 돌기끼움공(118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패널(120)은,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비된 내부패널본체(121)와;
    상기 내부패널본체(12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패널(110)의 하부외측결합판(115)과 결합되는 하부내측결합판(122)과;
    상기 내부패널본체(121)의 상부에 일정 면적 연장형성되어 상기 외부패널(110)의 화염안내날개(113)과 결합되는 상부내측결합판(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는 상기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 양방향에 걸쳐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경사결합날개(116)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KR1020200031788A 2020-03-16 2020-03-16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KR10217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88A KR102176947B1 (ko) 2020-03-16 2020-03-16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PCT/KR2020/004688 WO2021187657A1 (ko) 2020-03-16 2020-04-07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JP2020005589U JP3230997U (ja) 2020-03-16 2020-12-24 ストーブ用隔壁組立体
CN202023151041.0U CN214791264U (zh) 2020-03-16 2020-12-24 用于火炉的隔墙组合件
US17/135,653 US11668468B2 (en) 2020-03-16 2020-12-28 Partition wall assembly for st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88A KR102176947B1 (ko) 2020-03-16 2020-03-16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27A KR20200078427A (ko) 2020-07-01
KR102176947B1 true KR102176947B1 (ko) 2020-11-10

Family

ID=7160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88A KR102176947B1 (ko) 2020-03-16 2020-03-16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68468B2 (ko)
JP (1) JP3230997U (ko)
KR (1) KR102176947B1 (ko)
CN (1) CN214791264U (ko)
WO (1) WO2021187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6639S1 (en) * 2019-10-10 2023-01-31 Firebox Outdoors Llp Combustion container panel
KR102241573B1 (ko) * 2020-09-21 2021-04-19 황은미 조립식 캠핑용 화로
US20220178545A1 (en) * 2020-12-04 2022-06-09 Quality Craft Industries, Inc. Assemblable fire pit
KR102395867B1 (ko) * 2021-02-04 2022-05-09 황은미 화목난로
USD1021031S1 (en) * 2021-11-08 2024-04-02 Xuneng He Firepit
CN216693549U (zh) * 2022-01-15 2022-06-07 浙江磐安正瑞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焚烧炉
USD999892S1 (en) * 2023-01-31 2023-09-26 Qiuming Han Fireplace
CN219976402U (zh) * 2023-05-08 2023-11-07 田川 一种具有燃烧速率调节功能的二次燃烧炉
KR102611350B1 (ko) * 2023-07-05 2023-12-08 (주)아이지코리아 캠핑용 화로
US11846428B1 (en) * 2023-09-18 2023-12-19 Eduardo M Cantelar Self-locking telescopic fire p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719A (ja) 1999-01-29 2000-08-08 Green Life:Kk コンロ
US20140238378A1 (en) * 2013-02-26 2014-08-28 Monty Scott Pellet burning fire p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731A (en) * 1969-02-11 1971-06-01 William M Schulze Portable cooking unit
US4248203A (en) * 1978-09-28 1981-02-03 Willson Allan C Wood burning stove
US6425387B1 (en) * 2000-07-05 2002-07-30 John Rohback, Jr. Portable device for containing a campfire therein
KR20100047582A (ko) * 2008-10-29 2010-05-10 일원판지(주) 포장용 상자
KR20100011008U (ko) * 2009-04-30 2010-11-09 이영호 사각 화로대
KR200469514Y1 (ko) 2012-05-09 2013-10-16 김용태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US10932620B2 (en) * 2012-12-19 2021-03-02 W.C. Bradley Co. High efficiency wind resistant kettle grill
KR101671308B1 (ko) * 2014-05-19 2016-11-01 주식회사 노나메기 캠핑용 난로
KR200479870Y1 (ko) 2014-09-16 2016-03-17 권대운 조립식 화로대
KR102241573B1 (ko) * 2020-09-21 2021-04-19 황은미 조립식 캠핑용 화로
US20220178545A1 (en) * 2020-12-04 2022-06-09 Quality Craft Industries, Inc. Assemblable fire pit
KR102300245B1 (ko) * 2021-05-04 2021-09-09 황은미 조립식 화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7719A (ja) 1999-01-29 2000-08-08 Green Life:Kk コンロ
US20140238378A1 (en) * 2013-02-26 2014-08-28 Monty Scott Pellet burning fire p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27A (ko) 2020-07-01
US11668468B2 (en) 2023-06-06
WO2021187657A1 (ko) 2021-09-23
CN214791264U (zh) 2021-11-19
JP3230997U (ja) 2021-03-04
US20210285648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947B1 (ko)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KR102173969B1 (ko) 조립식스토브
KR102241573B1 (ko) 조립식 캠핑용 화로
US6619280B1 (en) Converging flame burner
JP7123438B1 (ja) 組み立て式火鉢
CA2267869A1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JP2007285660A (ja) 薪ストーブ
US20220257054A1 (en) Portable fire pit and grill assembly
JP3230029U (ja) 組み立て式キャンプ用火鉢
WO1999021465A1 (en) Stove
JP6559742B2 (ja) 組み立て式ストーブ
KR101735639B1 (ko) 야외용 연소통
CN220958536U (zh) 一种方便拆装的炉具
RU223517U1 (ru) Портативная печь «сталинградка»
JP3238802U (ja) テントサウナ用薪ストーブ
KR102395867B1 (ko) 화목난로
CN219982721U (zh) 多功能炉具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102602031B1 (ko) 화로대 상부구조
KR102246390B1 (ko) 캠핑용 열풍난로
KR102469633B1 (ko) 캠핑용 다기능 스토브
CN213542555U (zh) 一种户外便携式火箭炉
KR102508607B1 (ko)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CN212186241U (zh) 一种燃气平板炉
JP2022139710A (ja) 組み立て式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