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73B1 - 조립식 캠핑용 화로 - Google Patents

조립식 캠핑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73B1
KR102241573B1 KR1020200121200A KR20200121200A KR102241573B1 KR 102241573 B1 KR102241573 B1 KR 102241573B1 KR 1020200121200 A KR1020200121200 A KR 1020200121200A KR 20200121200 A KR20200121200 A KR 20200121200A KR 102241573 B1 KR102241573 B1 KR 102241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combustion
spac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미
Original Assignee
황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미 filed Critical 황은미
Priority to KR1020200121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73B1/ko
Priority to PCT/KR2020/018351 priority patent/WO2022059862A1/ko
Priority to CN202023155342.0U priority patent/CN215226942U/zh
Priority to US17/134,304 priority patent/US117399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2Closed stoves easily collapsible or easily re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03Stoves or ranges on which a removable cooking element is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6Stov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5Supply of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24C1/0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by replacing parts, e.g. replacing burners by electric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조립식 캠핑용 화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캠핑용 화로"은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레그(113)에 의해 이격 배치된 재받이판(115)과, 상기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양측에으로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111)과 상기 재받이판(115) 사이에 수납공간(117)이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가 상기 재받이판(115)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때,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재받이판(115)과 함께 연소공간(230)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중패널(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이 결합된 상기 연소공간(23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연료가 배치되는 연소판(3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조립식 캠핑용 화로{Buildable brazier for camping}
본 발명은 조립식 캠핑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조립과 수납이 용이하며 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 근무제의 시행과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주말에 캠핑이나 야영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캠핑 용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캠핑 용품 중 야외에서 장작이나 연료를 태워 주위를 난방하거나 고기나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것이 화로대이다.
종래 화로대는 장작이나 숯과 같은 연료를 태우기 위한 연소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상에 안착되는 그릴과,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료의 연소 후 발생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침으로 구성된다.
종래 화로대는 크기가 정해진 상태로 제조된다. 이에 따라 큰 크기의 화로대가 필요한 경우, 해당 사이즈의 화로대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화로대를 구비하는 경우 운반과 보관시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화로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연료의 연소시에 뜨겁게 가열된다. 이에 따라 화재의 위험으로 종래 화로대는 테이블 위에 얹혀 놓은 상태로 사용하지 못하고, 땅바닥에 놓은 상태로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캠핑체어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야만 바닥의 화로대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화로대는 연료의 하부로 한 번만 외부공기가 유입되므로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화로대는 연료가 한번만 연소되어 대부분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가 있다.
불완전연소된 연소가스는 산소가 부족하여 수소와 이산화탄소 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가 발생되며, 완전연소와 비교할 때 단위연료당 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열효율이 낮으므로 불의 온도가 낮고 음식물의 조리시간도 길어지며 연료 소모량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514호,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870호, "조립식 화로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보관 및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캠핑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블 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캠핑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키트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캠핑용 화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캠핑용 화로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레그(113)에 의해 이격 배치된 재받이판(115)과, 상기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양측에으로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111)과 상기 재받이판(115) 사이에 수납공간(117)이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가 상기 재받이판(115)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때,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재받이판(115)과 함께 연소공간(230)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중패널(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이 결합된 상기 연소공간(23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연료가 배치되는 연소판(3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는 본체 내부에 이중패널과 구이판이 함께 수납되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을 위해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를 펼치고, 한 쌍의 이중패널을 끼우고 연소판을 안착시키는 간단한 과정에 의해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조립된 조립식 캠핑용 화로는 바닥이 열이 전달되지 않는 목재로 형성되어 땅바닥 뿐만 아니라 테이블 상에도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료의 하부로 공급되는 외부공기 외에 연료의 상부로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공급하여 2차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단위연료당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에 구이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를 수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1)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1)에 구이판(4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1)가 수납을 위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1)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된 후 작은 부피로 수납되어 보관되고, 사용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현장에서 즉시 조립하여 사용된다. 즉, 분해와 조립 및 수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1)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B)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A)를 통해 1차 연소가 이루어지고, 이중패널(200)의 내부를 통해 이동되며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를 공급받아 2차연소가 이루어지며 완전연소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열효율이 높아져 단위연료당 발열량이 증가하고,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1)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며 테이블의 상면에 적재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조립되며 연료(B)가 연소되는 연소공간(230)을 형성하며 공기이동공간(218)을 제공하는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연소공간에 설치되며 연료(B)가 적재되는 연소판(300)을 포함한다.
또한, 조립식 캠핑용 화로(1)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구이판(4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캠핑용 화로(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부의 수납공간(117)에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연소판(300) 및 구이판(400)을 수용한다. 또한, 본체(100)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1)를 사용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중패널(200)이 조립되게 지지하고, 구이판(400)이 상부에 안착되게 지지한다.
본체(100)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하부스탠드(110)와, 하부스탠드(110)의 상부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스탠드(110)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1)과 베이스판(111)의 전방과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레그(113)와, 한 쌍의 지지레그(113)의 상부에 결합되는 재받이판(115)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11)은 열이 전달되지 않는 목재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본체(100)를 캠핑 테이블의 상면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판(111)은 목재 뿐만 아니라 열이 전달되지 않으며 내구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레그(113)는 베이스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베이스판(111)과 재받이판(115) 사이에 수납공간(117)이 형성되게 한다. 한 쌍의 지지레그(113)의 높이는 내부에 수납되는 한 쌍의 이중패널(200)의 두께와, 구이판(40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한 쌍의 지지레그(113)의 상부와 하부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부절곡결합면(113a)과 하부절곡결합면(113b)이 각각 구비된다. 상부절곡결합면(113a)은 재받이판(115)과 결합되고, 하부절곡결합면(113b)은 베이스판(111)과 결합된다. 베이스판(111)과 한 쌍의 지지레그(113) 및 베이스판(111)은 결합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재받이판(115)은 한 쌍의 지지레그(113)의 상면에 결합되어 연소공간(23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또한, 재받이판(115)은 연소공간(230)에 위치된 연소판(300)에서 연소된 연료(B)의 재를 수집한다. 사용자는 사용 후 재받이판(115)에 수집된 재를 분리하여 폐기하게 된다.
재받이판(115)의 테두리영역에는 일정 높이 수직하게 형성된 테두리수직벽(115a)이 형성된다. 테두리수직벽(115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상태에서 측면결합날개(120)와 재받이판(115) 사이의 이격공간 및 이중패널(200)과 재받이판(115) 사이의 이격공간을 일정 높이 커버하여 내부의 재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테두리수직벽(115a)은 이중패널(200)과 일정 높이 이격공간이 발생되게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A)가 이격공간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후 연소판(300)의 하부를 통해 연료(B)로 공급되게 한다.
테두리수직벽(115a)의 양측에는 내부접힘축결합공(115b)이 형성된다. 내부접힘축결합공(115b)에는 측면결합날개(120)가 회동되며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게 지지하는 내부접힘축(116)이 삽입된다. 내부접힘축(116)은 측면결합날개(120)의 외부접힘축결합공(122a)과 내부접힘축결합공(115b)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는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접혀지거나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결합된다. 측면결합날개(120)는 수납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접힘축(11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접혀진다.
반면, 측면결합날개(120)는 사용시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받이판(115)에 대해 내부접힘축(11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직방향으로 펼쳐진다.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는 재받이판(115)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펼쳐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부패널(210)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게 한다.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는 각각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절첩판(121)과, 외부절첩판(12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지지판(123)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외부절첩판(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받이판(115)의 폭에 대응되는 폭과 재받이판(115)의 길이의 1/2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가 접혀졌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양측으로 겹쳐지지 않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외부절첩판(121)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하부를 향해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 한 쌍의 위치고정볼트삽입홈(121a)이 구비된다. 위치고정볼트삽입홈(121a)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210)이 조립될 때, 외부패널(210)의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위치고정볼트(216)가 끼워진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볼트삽입홈(121a)에 위치고정볼트(216)가 끼워지면서 외부패널(210)이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가 구속된다.
외부절첩판(121)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일정면적 절곡형성된 패널끼움가이드판(122)이 구비된다. 패널끼움가이드판(122)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210)이 조립될 때, 외부패널(2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외부패널(210)은 패널끼움가이드판(122)과 내부지지판(123) 사이의 이격공간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패널끼움가이드판(122)의 하부에는 내부접힘축(116)이 삽입되는 외부접힘축결합공(122a)이 형성된다. 외부접힘축결합공(122a)에 삽입된 내부접힘축(116)을 중심으로 측면결합날개(120)가 절첩될 수 있다.
내부지지판(123)은 외부절첩판(121)의 내면에 고정결합된다. 내부지지판(123)은 복수개의 결합볼트 등에 의해 외부절첩판(121)에 고정된다. 내부지지판(123)은 외부절첩판(121) 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지지판(123)의 측면 테두리와 외부절첩판(121)의 패널끼움가이드판(122)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격공간의 폭은 이중패널(200)의 두께에 대응되게 설계되고, 이중패널(200)은 이격공간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내부지지판(123)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일정면적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연소판거치턱(123a)이 형성된다. 연소판거치턱(123a)에는 연소판(300)이 거치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내부지지판(123)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한 쌍의 버너키트안착턱(123b)이 구비된다. 버너키트안착턱(123b)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가스버너키트(6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이중패널(200)은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사이 전후에 끼움결합되어 측면결합날개(120)와 함께 연소공간(230)을 형성한다. 한 쌍의 이중패널(200)은 각각 외부패널(210)과, 외부패널(2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패널(2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공간(218)을 형성하는 내부패널(220)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이중패널(200)은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와 결합되어 단면이 사각형이며 내부에 연소공간(230)이 형성된 함체형태를 형성한다. 외부패널(210)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외부패널본체(211)와, 외부패널본체(211)의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수평하게 구비되는 상면(213)과, 외부패널본체(211)의 양측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215)과, 외부패널본체(211)의 하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하부면(217)을 포함한다.
외부패널본체(211)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형태로 구비된다. 외부패널본체(21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1차공기흡입구(211a)가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1차공기흡입구(21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1차공기(A1)를 외부패널(210)과 내부패널(2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218)으로 유입시킨다.
상면(213)에는 화염안내날개(213a)가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화염안내날개(213a)는 내부패널(220)의 2차공기토출구(221a)에서 토출되는 2차공기(A2)가 상부로 향하지 않고 연소공간(230) 내부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에 의해 2차공기(A2)와 만나 형성된 화염(F)이 화염안내날개(213a)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면(213)의 양측에는 고임쇠결합공(214)이 형성된다. 고임쇠결합공(2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캠핑용 화로(1)에 구이판(400)을 결합시킬 때, 철판고임쇠(420)가 결합된다.
측면(215)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결합공(215a)과 하부결합공(215b)이 구비된다. 상부결합공(215a)과 하부결합공(215b)에는 위치고정볼트(216)가 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하부면(217)은 외부패널본체(211)의 하부에 내측으로 일정면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면(21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일정 면적 형성되어 테두리수직벽(115a)의 상부로 유입된 외부공기(A)가 공기이동공간(218)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에 의해 외부공기(A)가 연소판(300)을 통해 연료(B)로 공급된다.
내부패널(220)은 외부패널(2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외부패널(2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공간(218)을 형성한다. 내부패널(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본체(2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패널본체(221)와, 내부패널본체(22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내측결합판(223)과, 내부패널본체(22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상부내측결합판(227)을 포함한다.
내부패널본체(221)는 외부패널본체(21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패널본체(2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외부패널본체(211)를 향해 돌출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된다. 내부패널본체(221)가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연료(B)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내부패널본체(221)는 폭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곡면형태의 내부패널본체(221)는 화염에 의해 열이 전달될 때, 전영역에 균일하게 열을 받게 된다. 이에 의해 내부패널본체(221)가 열에 의해 우그러지는 것과 같은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내부패널본체(221)의 상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2차공기토출구(221a)가 관통형성된다. 2차공기토출구(22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공기이동공간(218)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 2차공기(A2)를 연소공간(230)을 향해 토출한다.
1차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공기이동공간(218)으로 유입된 1차공기(A1)는 상부로 상승하면서 연소공간(230)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는 연소공간(230)의 연료(B)와 연소가스로 공급되어 연료(B)의 2차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하부내측결합판(223)과 상부내측결합판(227)은 하부면(217)과 동일한 두께로 연장형성되며 외부패널본체(211)와이 사이에 공기이동공간(218)이 형성될 수 있게 이격시킨다. 하부내측결합판(223)과 상부내측결합판(227)의 단부에는 각각 상부와 하부로 절곡형성되어 외부패널본체(211)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하부결합절곡판(225) 및 상부결합절곡판(228)이 구비된다.
연소판(300)은 연소공간(230) 내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연료(B)가 적재되어 연소될 수 있게 지지한다. 연소판(300)은 판면에 재배출공(310)이 관통형성된다. 재배출공(310)은 또한 이중패널(200)과 재받이판(115) 사이로 유입된 외부공기(A)를 연료(B)로 공급한느 역할을 한다.
연소판(300)의 양측에는 하부로 일정 높이 거치레그(320)가 구비된다.
연소판(30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중패널(200)이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에 결합된 후, 연소공간(230)에 배치된다. 이 때, 사용자는 연소판(300)의 양측을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의 연소판거치턱(123a)에 거치시켜 연소판(30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구이판(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상부에 거치되어 연료(B)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로 음식물(M)이 조리되게 한다.
본 발명의 구이판(40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PH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이판(400)은 6mm 두께로 형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구이판(400)의 양측에는 손잡이(410)가 구비된다. 손잡이(410)에는 리프터삽입공(411)이 형성된다.
구이판(400)은 철판고임쇠(420)를 이용해 한 쌍의 외부패널(210) 상부에 거치된다. 철판고임쇠(420)는 구이판(400)에 경사를 줘 구이판(400)에 고기를 구울 때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흘러내릴 수 있게 한다.
철판고임쇠(420)는 고임쇠레그(421)가 일정 높이 형성되고, 고임쇠레그(421)가 외부패널(210) 상면의 고임쇠결합공(2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이판(400)이 철판고임쇠(420)에 의해 외부패널(210) 상부에 거치될 때, 경사진 구이판(400)의 하부측에는 기름받이(4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름을 수용한다. 기름받이(430)에는 끼움홈(431)이 형성되어 구이판(400)의 테두리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수납과 조립 및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립식 캠핑용 화로(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연소판(300) 및 구이판(400)을 수납하고,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를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한다.
경우에 따라 이렇게 부피가 최소화된 조립식 캠핑용 화로(1)는 보관백(미도시)에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중패널(200)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구이판(400)은 이중패널(200)의 상부에 적재된다. 이렇게 서로 적층된 이중패널(200)과 구이판(400)은 본체(100)의 수납공간(117) 내부로 밀어 수납된다. 이 때, 기름받이(430)와 철판고임쇠(420)는 보관백(미도시)에 함께 보관된다.
캠핑장 등에서 조립식 캠핑용 화로(1)를 사용할 때는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17)에 수납된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구이판(400)을 외부로 꺼낸다.
그리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를 내부접힘축(116)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측면결합날개(120)를 펼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펼쳐진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사이에 한 쌍의 외부패널(210)을 끼움결합한다.
사용자는 한 쌍의 외부패널(210)을 패널끼움가이드판(122)과 내부지지판(123) 사이의 공간으로 끼워 넣는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210)의 위치고정볼트(216)를 측면결합날개(120)의 위치고정볼트삽입홈(121a)에 끼워 외부패널(210)을 고정한다.
외부패널(210)의 위치가 고정되면, 사용자는 연소판(300)을 연소공간(230) 내부로 삽입하고, 연소판(300)을 측면결합날개(120)의 연소판거치턱(123a)에 거치시켜 고정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 연소판(300)의 하부에 연소판보강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조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판(300)의 상면에 연료(B)를 적재하고 불을 점화한다. 연료(B)로는 외부패널(210)과 테두리수직벽(115a)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공기(A)가 유입되고 연료(B)는 1차 연소된다.
그리고 외부패널(210)의 1차공기흡입구(211a)로 1차공기(A1)가 유입된다. 1차공기흡입구(211a)로 유입된 1차공기(A1)는 공기이동공간(218)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1차공기는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는 내부패널(220)의 2차공기토출구(221a)를 통해 연소공간(230)으로 공급되어 1차연소된 화염과 연소가스와 만나게 된다. 이에 의해 화염과 연소가스가 2차연소되며 완전연소가 유도된다. 완전연소가 되면 화염의 온도가 상승되고 열효율이 상승되게 된다.
연료(B)가 연소되면 사용자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1)를 캠핑 테이블의 상면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베이스판(111)은 열이 전달되지 않는 목재로 형성되므로 테이블로 열이 전달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상부에 구이판(400)을 결합시켜 음식 조리에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고임쇠(420)를 양쪽 고임쇠결합공(214) 중 어느 한쪽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고임쇠(420)와 상면(213)에 구이판(400)을 경사지게 거치한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받이(430)의 끼움홈(431)을 구이판(400)의 높이가 낮은 단부에 결합시켜 고기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의 조리에 이용할 수 있다.
사용 후 뜨겁게 가열된 구이판(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440)를 이용해 이중패널(200)의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리프터(440)는 손잡이(410)의 리프터삽입공(411)에 끼워 사용된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조립식 캠핑용 화로(1)는 구이판(400) 외에 그릴(500), 가스버너키트(600), 알코올벽난로키트(700)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그릴(500)을 적재하여 직화방식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철판고임쇠(420)를 사용하여 그릴(500)을 수평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상부에 가스버너키트(600)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소공간(230)에 연료를 채우지 않고 버너(C)를 가스버너키트(60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가스버너키트(600)는 한 쌍의 외부패널(210)의 상면(213) 사이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가스버너키트(600)에는 버너(C)가 결합되는 가스버너삽입공(6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캠핑용 화로(1)의 상부에 알코올벽난로키트(700)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캠핑용 화로는 본체 내부에 이중패널과 연소판 및 구이판이 함께 수납되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을 위해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를 펼치고, 한 쌍의 이중패널을 끼우고 연소판을 안착시키는 간단한 과정에 의해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조립된 조립식 캠핑용 화로는 바닥이 열이 전달되지 않는 목재로 형성되어 땅바닥 뿐만 아니라 테이블 상에도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료의 하부로 공급되는 외부공기 외에 연료의 상부로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공급하여 2차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단위연료당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조립식 캠핑용 화로 100 : 본체
110 : 하부스탠드 111 : 베이스판
113 : 지지레그 113a : 상부절곡결합면
113b : 하부절곡결합면 115 : 재받이판
115a : 테두리수직벽 115b : 내부접힘축결합공
116 : 내부접힘축 117 : 수용공간
120 : 측면결합날개 121 : 외부절첩판
121a : 위치고정볼트삽입홈 122 : 패널끼움가이드판
122a : 외부접힘축결합공 123 : 내부지지판
123a : 연소판거치턱 123b : 버너키트안착턱
200 : 이중패널 210 : 외부패널
211 : 외부패널본체 211a : 1차공기흡입구
213 : 상면 213a : 화염안내날개
214 : 고임쇠결합공 215 : 측면
215a : 상부결합공 215b : 하부결합공
216 : 위치고정볼트 217 : 하부면
218 : 공기이동공간 220 : 내부패널
221 : 내부패널본체 221a : 2차공기토출구
223 : 하부내측결합판 225 : 하부결합절곡판
227 : 상부내측결합판 228 : 상부결합절곡판
230 : 연소공간 300 : 연소판
310 : 재배출공 320 : 거치레그
330 : 연소판보강부재 400 : 구이판
410 : 손잡이 411 : 리프터삽입공
420 : 철판고임쇠 421 : 고임쇠레그
430 : 기름받이 431 : 끼움홈
440 : 리프터 500 : 그릴
600 : 가스버너키트 610 : 가스버너삽입공
700 : 알코올벽난로키트
A : 외부공기
A1 : 1차공기
A2 : 2차공기
B : 연료
C : 가스버너
F : 화염
M : 음식물

Claims (4)

  1.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레그(113)에 의해 이격 배치된 재받이판(115)과, 상기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양측으로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111)과 상기 재받이판(115) 사이에 수납공간(117)이 형성된 본체(100)와;
    화로 사용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가 상기 재받이판(115)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때,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재받이판(115)과 함께 연소공간(230)을 형성하는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이 결합된 상기 연소공간(23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연료가 배치되는 연소판(300);을 포함하며,

    화로 사용시 상기 베이스판(111)과 상기 재받이판(115)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117)이 지면으로 열을 전달시키지 않는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은 각각 외부패널(210)과, 상기 외부패널(2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2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공간(218)을 형성시키는 내부패널(22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패널(210)의 하부에는 1차공기흡입구(211a)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내부패널(220)의 상부에는 2차공기토출구(221a)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1차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상기 공기이동공간(218)으로 유입된 1차공기(A1)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연소공간(230)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되며,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가 상기 연소공간(230)의 연료(B)와 연소가스로 공급되어 상기 연료(B)의 2차연소가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 간 끼움결합시,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상기 재받이판(11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상기 재받이판(115) 사이를 통과한 외부공기(A)가 상기 연소판(300)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결합날개(120)로부터 분리된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상기 연소공간(230)으로부터 분리된 연소판(300)은 상기 수납공간(117)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한 쌍의 이중패널(200)과 분리된 상기 한 쌍의 측면결합날개(120)는 상기 재받이판(115)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널(200)의 상면에 적재되며 음식물이 조리되는 구이판(400)과;
    상기 이중패널(200)의 상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이판(400)에 경사각을 형성하는 철판고임쇠(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이판(400)은 상기 수납공간(117) 내부에 함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패널(2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그릴(500), 가스버너키트(600) 및 알코올벽난로키트(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용 화로.
KR1020200121200A 2020-09-21 2020-09-21 조립식 캠핑용 화로 KR102241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00A KR102241573B1 (ko) 2020-09-21 2020-09-21 조립식 캠핑용 화로
PCT/KR2020/018351 WO2022059862A1 (ko) 2020-09-21 2020-12-15 조립식 캠핑용 화로
CN202023155342.0U CN215226942U (zh) 2020-09-21 2020-12-24 组合式露营火盆
US17/134,304 US11739939B2 (en) 2020-09-21 2020-12-26 Self-assembly brazier for cam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200A KR102241573B1 (ko) 2020-09-21 2020-09-21 조립식 캠핑용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573B1 true KR102241573B1 (ko) 2021-04-19

Family

ID=7571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00A KR102241573B1 (ko) 2020-09-21 2020-09-21 조립식 캠핑용 화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39939B2 (ko)
KR (1) KR102241573B1 (ko)
CN (1) CN215226942U (ko)
WO (1) WO20220598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40B1 (ko) * 2021-05-04 2022-01-19 주식회사 랩도쿠 연소효율이 향상된 화로
KR20230014955A (ko) 2021-07-22 2023-01-31 박재섭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KR102528094B1 (ko) 2022-06-21 2023-05-02 박미영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20230118373A (ko) 2022-02-04 2023-08-11 황유찬 캠핑용 화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47B1 (ko) * 2020-03-16 2020-11-10 황은미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CN219624105U (zh) * 2023-01-19 2023-09-01 韩夏菁 一种带集灰抽屉的火炉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14Y1 (ko) 2012-05-09 2013-10-16 김용태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KR200479870Y1 (ko) 2014-09-16 2016-03-17 권대운 조립식 화로대
KR20160039840A (ko) * 2014-10-02 2016-04-12 권대운 캠핑용 그릴 구조
KR20170127657A (ko) *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창경 그릴 어셈블리
JP3216170U (ja) * 2018-02-27 2018-05-17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ロ
KR20200078427A (ko) * 2020-03-16 2020-07-01 황은미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KR20200092073A (ko) * 2019-01-24 2020-08-03 한라테크 주식회사 구이용 화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4751A (en) * 1982-08-20 1985-06-25 Hoglund Allen C Portable cooking device
JP3216170B2 (ja) * 1991-10-14 2001-10-09 日本鋼管株式会社 厚肉高強度角鋼管の製造方法
US20180195734A1 (en) * 2016-03-11 2018-07-12 Robert A. Wanderscheid Portable Compact Cook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14Y1 (ko) 2012-05-09 2013-10-16 김용태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KR200479870Y1 (ko) 2014-09-16 2016-03-17 권대운 조립식 화로대
KR20160039840A (ko) * 2014-10-02 2016-04-12 권대운 캠핑용 그릴 구조
KR20170127657A (ko) * 2016-05-12 2017-11-22 주식회사 창경 그릴 어셈블리
JP3216170U (ja) * 2018-02-27 2018-05-17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ロ
KR20200092073A (ko) * 2019-01-24 2020-08-03 한라테크 주식회사 구이용 화로
KR20200078427A (ko) * 2020-03-16 2020-07-01 황은미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40B1 (ko) * 2021-05-04 2022-01-19 주식회사 랩도쿠 연소효율이 향상된 화로
KR20230014955A (ko) 2021-07-22 2023-01-31 박재섭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KR20230118373A (ko) 2022-02-04 2023-08-11 황유찬 캠핑용 화로
KR102528094B1 (ko) 2022-06-21 2023-05-02 박미영 캠핑 난로용 연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0791A1 (en) 2022-03-24
CN215226942U (zh) 2021-12-21
WO2022059862A1 (ko) 2022-03-24
US11739939B2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573B1 (ko) 조립식 캠핑용 화로
JP3230997U (ja) ストーブ用隔壁組立体
US5495845A (en) Compact outdoor cooking unit
KR102173969B1 (ko) 조립식스토브
US20210085126A1 (en) Portable cooking grill with folding table panels for communal grilling
KR200469514Y1 (ko)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US6591828B1 (en) Collapsible camp oven, stove top, grill
JP7123438B1 (ja) 組み立て式火鉢
US20050115556A1 (en) Turkey fryer/outdoor cooker wind and fire guard
JP3230029U (ja) 組み立て式キャンプ用火鉢
US3892222A (en) Folding combined broiler, oven and stove
KR101638430B1 (ko) 조립식 화로대
KR102473462B1 (ko) 휴대용 폴딩 타입형 화로대 조립구조
WO2020142323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fuel grill
KR102562843B1 (ko) 조립식 캥핑 화로
CN216924425U (zh)
JP6559742B2 (ja) 組み立て式ストーブ
KR102597469B1 (ko) 캠핑용 화로
KR102508607B1 (ko)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KR102469633B1 (ko) 캠핑용 다기능 스토브
KR102601274B1 (ko) 조립식 화로 장치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102641729B1 (ko) 중심부 연소형 화로대
KR20210040858A (ko) 화로대 겸용 난로 캠핑용
US20060027229A1 (en) Portable sm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