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969B1 - 조립식스토브 - Google Patents

조립식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969B1
KR102173969B1 KR1020190149422A KR20190149422A KR102173969B1 KR 102173969 B1 KR102173969 B1 KR 102173969B1 KR 1020190149422 A KR1020190149422 A KR 1020190149422A KR 20190149422 A KR20190149422 A KR 20190149422A KR 102173969 B1 KR102173969 B1 KR 10217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ve
fuel
outer panel
primary 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403A (ko
Inventor
김태환
황은미
Original Assignee
황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미 filed Critical 황은미
Priority to KR102019014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9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2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립식스토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스토브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이 서로 조립되어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단위스토브모듈은, 하부에 1차공기가 유입되는 1차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1차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가 온도가 상승하며 이동되는 공기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상기 연소공간으로 배출하는 2차공기토출구가 형성된 내부패널과; 상기 내부패널의 하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연료가 적재되며 판면에 연료로 1차공기를 공급하는 1차공기공급공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연료받침과; 상기 상부연료받침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연료받침로 1차공기를 공급하는 하부연료받침과; 상기 외부패널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결합된 단위스토브모듈들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키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조립식스토브{stove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스토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하며 필요에 따라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 근무제의 시행과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주말에 캠핑이나 야영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캠핑 용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캠핑 용품 중 야외에서 장작이나 연료를 태워 주위를 난방하거나 고기나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것이 화로대이다.
종래 화로대는 장작이나 숯과 같은 연료를 태우기 위한 연소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상에 안착되는 그릴과,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료의 연소후 발생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침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화로대의 연소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로대는 연료(B)가 안착될 때, 연료(B)의 하부로부터 외부공기(A)가 유입된다. 그리고, 연료(B)의 하부를 점화하여 연료(B) 전체가 화염(F)에 휩싸이게 된다.
이런 종래 화로대는 연료(B)의 하부로 한번만 외부공기(A)가 유입되므로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화로대는 연료가 한번만 연소되어 대부분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가 있다.
불완전연소된 연소가스(C1)는 산소가 부족하여 수소와 이산화탄소 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가 발생되며, 완전연소와 비교할 때 단위연료당 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열효율이 낮으므로 불의 온도가 낮고 음식물의 조리시간도 길어지며 연료 소모량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화로대는 크기가 정해진 상태로 제조된다. 이에 따라 큰 크기의 화로대가 필요한 경우, 해당 사이즈의 화로대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화로대를 구비하는 경우 운반과 보관시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69514호,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79870호, "조립식 화로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로 2차에 걸쳐 산소를 공급하여 연료를 완전연소시킬 수 있는 조립식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조립식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조립식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스토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스토브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이 서로 조립되어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은, 하부에 1차공기가 유입되는 1차공기흡입구(111a)가 형성된 외부패널(11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가 온도가 상승하며 이동되는 공기이동공간(118)을 형성하며 상부에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상기 연소공간으로 배출하는 2차공기토출구(127)가 형성된 내부패널(120)과; 상기 내부패널(120)의 하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연료가 적재되며 판면에 연료로 1차공기를 공급하는 1차공기공급공(151)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연료받침(150)과; 상기 상부연료받침(1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연료받침(150)로 1차공기를 공급하는 하부연료받침(16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결합된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키는 잠금레버(1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는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을 서로 조립하여 목적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위스토브모듈을 분해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는 연료의 하부로 공급되는 1차공기 외에 연료의 상부로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가 공급되어 2차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단위연료당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는 이웃하는 단위스토브모듈이 결합될 때, 이들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키는 잠금레버가 구비되어 연료의 무게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화로대의 연료 연소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의 연료 연소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를 형성하는 단위스토브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단위스토브모듈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하부연료받침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의 연소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1)의 연소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1)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게 된다.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연료(B)가 연소되는 연소공간(D)을 형성한다. 이 때, 조립식스토브(1)의 하부에는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이 상하로 배치되고, 이들의 외부를 감싸도록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이 결합된다.
하부연료받침(160)과 상부연료받침(150)을 통해 연료(B)로 1차공기(A1)가 공급된다. 동시에 각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의 외부패널(110,210)에 형성된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1차공기(A1)가 유입된다.
상부연료받침(150)을 통해 유입된 1차공기(A1)가 연료(B)로 공급되면서 연료(B)가 1차 연소하게 된다. 한편,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A1)는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118)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고 내부패널(12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2차공기토출구(127)를 통해 연소공간(D)으로 배출된다.
공기이동공간(118)을 따라 이동되는 1차공기(A1)는 연소공간(D)의 열을 전달받아 상부로 이동되며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뜨겁게 데워진 2차공기(A2)가 2차공기토출구(127)를 통해 연소공간(D)으로 배출되고, 1차공기(A1)에 의해 형성된 화염(F)과 연소가스(C2)로 공급되어 연료(B)의 2차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2차연소에 의해 연료의 완전연소가 유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1)는 연료(B)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1차공기(A1)를 통해 1차 연소가 이루어지고, 외부패널(110)와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118)을 따라 이동되며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를 공급받아 2차 연소가 이루어지며 완전연소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열효율이 높아져 단위연료당 발열량이 증가하고,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스토브(1)가 조립된 다양한 다각형스토브(10,20,30,40)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스토브(1)를 형성하는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1)는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을 복수개 조립하여 도 3에 도시된 다양한 크기의 다각형스토브(10,20,30,40)로 조립할 수 있다. 즉, 세 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을 조립하여 도 3의 (a)에 도시된 삼각스토브(10)를 조립하고, 네 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을 조립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사각스토브(30)를 조립하고, 다섯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을 조립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오각스토브(30)를 조립하고, 여섯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을 조립하여 도 3의 (d)에 도시된 육각스토브(40)를 조립한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을 함께 휴대하고, 사용처에서 필요한 크기의 다각형스토브에 맞게 조립되는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의 개수를 선택하여 조립하게 된다.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립된 다각형스토브를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로 분해하여 보관 및 휴대하게 된다.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에 의해 형성된 삼각스토브(10), 사각스토브(20), 오각스토브(30) 및 육각스토브(4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연소공간(D)이 형성되는 폐공간 형태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은 외부패널(110)과, 외부패널(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공기이동공간(118)을 형성하는 내부패널(120)과, 외부패널(11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과 외부패널(11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절첩다리(130)와, 외부패널(110)의 상부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소공간(D)으로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절첩바람막이(140)와, 외부패널(110)의 하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연료가 적재되는 상부연료받침(150)과, 상부연료받침(15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연료받침(160)을 포함한다.
외부패널(110)은 내부패널(120)과 결합되어 조립된 다각형스토브(10,20,30,40)의 외벽면을 형성한다. 외부패널(110)은 전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패널(110)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외부패널본체(111)와, 외부패널본체(111)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상면(113)과, 외부패널본체(111)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115)과,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하부면(117)을 포함한다.
외부패널본체(111)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형태로 구비된다. 외부패널본체(11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1차공기흡입구(111a)가 관통형성된다. 1차공기흡입구(111a)는 외부로부터 1차공기(A1)를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118)으로 유입시킨다.
상면(113)에는 화염안내날개(113a)가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복수개 형성된다. 화염안내날개(113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120)의 2차공기토출구(127)에서 토출되는 2차공기(A2)가 상부로 향하지 않고 연소공간(D) 내부를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에 의해 2차공기(A2)와 만나 형성된 화염이 화염안내날개(113a)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상부체결부재체결공(113b)이 형성된다. 상부체결부재체결공(113b)에는 내부패널(120)의 상부체결고리(121)가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측면(115)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다리결합공(115a)과 제2다리결합공(115b)이 구비된다. 제1다리결합공(115a)에는 절첩바람막이(140)의 바람막이지지다리(141)를 절첩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람막이절첩축(143)이 결합된다. 제2다리결합공(115b)에는 절첩다리(130)를 절첩가능하게 지지하는 다리절첩축(133)이 결합된다.
하부면(117)에는 상부연료받침(150)의 제1고정리브(155)가 끼워지는 리브끼움공(117a)이 형성된다. 상부연료받침(150)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패널(120)의 내벽면을 향해 절곡된 결합벽(153)의 하부에 제1고정리브(155)가 구비된다. 제1고정리브(155)는 외부패널(110)의 하부면(117) 사이로 삽입되어 리브끼움공(117a)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패널(110)의 하부 외측으로 제1고정리브(155)가 돌출되게 된다.
절첩다리(130)는 외부패널(110)의 하부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패널(110)이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게 지지한다. 절첩다리(130)는 외부패널(110)의 폭에 대응되게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형태로 구비된다. 절첩다리(130)의 양측에는 외부패널(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패널결합바(131)가 구비된다. 패널결합바(131)의 상부에는 제1절첩축결합공(131a)이 구비된다.
제1절첩축결합공(131a)에는 다리절첩축(133)이 삽입되어 외부패널(110)의 제2다리결합공(115b)에 결합된다. 다리절첩축(133)을 중심으로 패널결합바(131)가 상하로 회동되며 절첩다리(130)가 절첩된다. 즉, 조립식스토브(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다리(130)가 외부패널(110)의 표면에 맞닿게 접혀져 위치되고, 조립식스토브(1)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절첩축(133)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펼쳐져 지면에 지지된다.
절첩바람막이(140)는 외부패널(110)의 상부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연소공간(D)으로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폐한다. 절첩바람막이(140)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 재질로 구비된다. 절첩바람막이(14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람막이지지다리(141)가 구비된다. 바람막이지지다리(141)의 하부에는 제2절첩축결합공(141a)이 구비된다.
제2절첩축결합공(141a)에는 바람막이절첩축(143)이 삽입되어 외부패널(110)의 제2다리결합공(115b)에 결합된다. 바람막이절첩축(143)을 중심으로 절첩바람막이(140)가 상하로 회동되며 절첩바람막이(140)가 절첩된다.
즉, 조립식스토브(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다리(130)가 외부패널(110)의 상부측 표면에 맞닿게 접혀져 위치되고, 조립식스토브(1)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절첩축(143)을 중심으로 절첩바람막이(140)가 상부로 회동되며 펼쳐져 연소공간(D) 또는 2차공기토출구(127)를 향한 바람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부연료받침(150)은 내부패널(120)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면에 연료(B)가 적재된다. 상부연료받침(150)은 삼각형 형태의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상부연료받침(150)의 판면에는 상면에 적재된 연료(B)로 1차공기(A1)를 공급하는 1차공기공급공(151)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상부연료받침(150)의 일측에는 하부를 향해 절곡형성된 결합벽(153)이 일정 높이 형성된다. 결합벽(153)은 내부패널(120)의 내벽면과 맞닿아 상부연료받침(150)이 하부연료받침(16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결합벽(153)의 하부에는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제1고정리브(155)가 구비된다.
제1고정리브(155)는 상부연료받침(150)을 외부패널(11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제1고정리브(155)는 외부패널(110)의 하부면(117)에 형성된 리브끼움공(117a)에 끼워진다.
상부연료받침(150)의 외측에는 결합벽(153)과 이격된 위치에 간격조절리브(156)가 구비된다. 간격조절리브(156)는 하부를 향해 일정 높이 형성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료받침(160)의 상면에 접촉지지된다. 이에 의해 간격조절리브(156)는 하부연료받침(160)과 상부연료받침(150)의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상면에 적재된 연료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상부연료받침(150)이 연료(B)의 무게에 의해 하부연료받침(160)을 향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부연료받침(150)의 중심영역에는 연소판지지대(170)의 받침결합돌기(171)가 삽입되는 제1지지대삽입공(157)이 형성된다. 제1지지대삽입공(157)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판지지대(170)의 받침결합돌기(171)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삽입되어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의 간격이 유지되고 연료(B)의 하중을 연소판지지대(170)로 분산하게 한다.
하부연료받침(160)은 상부연료받침(150)의 하부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연료(B)의 무게를 함께 지지하고, 연료(B)의 열기가 지면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하부연료받침(160)은 상부연료받침(150)과 동일한 크기의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하부연료받침(160)의 일측에는 상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형성된 한 쌍의 제2고정리브(161)가 구비된다. 제2고정리브(161)는 내부패널(1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끼움홈(122)에 끼워진다. 하부끼움홈(122)에 끼워진 한 쌍의 제2고정리브(161)는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하부연료받침(16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제2고정리브(161)는 상부연료받침(150)의 제1고정리브(155)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된다.
하부연료받침(160)의 타측에는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위치고정돌기(163)가 구비된다. 위치고정돌기(163)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이 서로 결합되어 다각형스토브(10,20,30,40)를 형성할 때, 이웃하는 하부연료받침(160)과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부연료받침(160)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하부연료받침(160)의 위치고정돌기(163)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삽입공(165)이 형성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스토브(10)를 형성하는 경우, 세 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의 하부연료받침(160,260,360)은 서로 중첩되게 포개어져 배치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스토브(30)를 형성하는 경우, 네 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의 네 개의 하부연료받침(160,260,360,460)들은 서로 일정 면적이 겹쳐지며 사각형을 형성한다. 이 때, 하부연료받침(160,260,360,460)들의 위치고정돌기(163)들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이웃 하부연료받침의 고정돌기삽입공(165)에 삽입되어 사각형의 형상이 고정되게 한다.
이는 도 8의 (c)에 도시된 오각스토브(30)와 도 8의 (d)에 도시된 육각스토브(40)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하부연료받침(160)의 표면에는 연소판지지대(170)의 받침결합돌기(171)가 삽입되는 제2지지대삽입공(167)이 형성된다. 제2지지대삽입공(167)은 상부연료받침(150)의 제1지지대삽입공(157)과 동축상에 구비되어 받침결합돌기(171)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연소판지지대(170)는 지면과 하부연료받침(160) 사이에 구비되어 지면과 하부연료받침(16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연료(B)의 무게를 분산지지한다. 연소판지지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료받침(160)의 하부를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단면이 "ㄹ"자 형태로 구비된다.
연소판지지대(170)의 상부에는 하부연료받침(160)과 상부연료받침(150) 사이로 삽입되는 받침결합돌기(0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받침결합돌기(171)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료받침(150)을 관통하여 상부연료받침(150)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스토브(1)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은 서로 조립되어 다각형스토브(10,20,30,40)를 형성할 때, 이웃하는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과의 결합상태가 구속되게 하기 위해 각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에 잠금레버(180)가 구비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의 잠금레버(180)는 외부패널(1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잠금레버(180)는 외부패널(1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게 구비된다. 잠금레버(180)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외부패널(110)의 상면(113)과 하부면(117)에 결합되는 한 쌍의 축결합바(183)가 구비된다.
한 쌍의 축결합바(183)는 레버축(181)에 의해 외부패널(110)의 상면과 하부면(11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다.
잠금레버(180)에서 내부패널(120)을 향하는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잠금홈(184)과 잠금돌기(185)가 교번적으로 반복되게 구비된다. 잠금홈(184)과 잠금돌기(185)는 한 쌍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이 결합될 때, 선순위 단위스토브모듈의 외부패널과 차순위 단위스토브모듈의 내부패널의 결합영역에 삽입되어 선순위 단위스토브모듈과 차순위 단위스토브모듈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도 6과 도 7은 제1단위스토브모듈(100)과 제2단위스토브모듈(200)이 서로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스토브모듈(100)과 제2단위스토브모듈(200)이 서로 결합될 때,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의 잠금레버(180)는 내부패널(120)을 향해 회동되어 내부패널(120)의 측면결합면(126)의 돌기결합공(126a)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위스토브모듈(200)의 내부패널(220)에 형성된 측면결합돌기(225)를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의 돌기결합공(126a)으로 삽입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결합돌기(225)가 돌기결합공(126a)에 삽입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단위스토브모듈(100)의 잠금레버(180)를 레버축(181)을 중심으로 제2단위스토브모듈(200) 측으로 회동시킨다.
잠금레버(180)의 잠금돌기(185)가 제2단위스토브모듈(200)의 측면결합돌기(225) 사이로 삽입되고, 잠금홈(184)이 측면결합돌기(225)를 감싸게 배치된다. 잠금레버(180)의 회동에 의해 제2단위스토브모듈(200)의 측면결합돌기(225)가 잠금홈(184)과 잠금돌기(185) 사이에 끼워져 위치가 구속된다.
이에 의해 제1단위스토브모듈(100)과 제2단위스토브모듈(20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각형스토브(10,20,30,40)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1)의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스토브(1)는 여섯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과, 6각전용중심판(700)을 포함한다. 각각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은 제1단위스토브모듈(100)과 같이 외부패널(110)과, 내부패널(120), 절첩다리(130)와 절첩바람막이(140),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과 연소판지지대(170) 및 잠금레버(180)를 포함한다.
이 때,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 및 연소판지지대(17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되고, 현장에서 사용될 때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 및 연소판지지대(170)는 조립된다.
보관할 때는 절첩다리(130)와 절첩바람막이(140)는 외부패널(110)의 외측면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잠금레버(180)는 내부패널(120)의 측면결합면(126)이 개방되게 위치된다.
사용자는 현장에서 사용목적에 맞는 크기의 다각형스토브를 조립한다. 캠핑장에서 야간에 작은 규모로 장작을 태울 목적이라면 도 3의 (a)에 도시된 삼각스토브(10)로 조립하고,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목적일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사각스토브(20)로 조립하고, 대규모 캠프화이어를 위한 목적일 경우 도 3의 (d)에 도시된 육각스토브(40)로 조립한다.
조립을 위해 사용자는 필요한 개수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에 각각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 및 연소판지지대(170)를 결합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이 준비되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을 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각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의 잠금레버(180)를 이용해 이웃하는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킨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료받침(150)과 하부연료받침(160)은 각 다각형스토브의 모양에 맞게 서로 중첩되거나 일부면적이 겹쳐지며 모양을 형성한다.
여기서, 조립된 다각형스토브가 육각스토브인 경우,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하부연료받침(160,260,360,460,560,660)의 비어있는 가운데 영역에 6각전용중심판(700)이 결합된다. 6각전용중심판(700)은 비어있는 가운데 영역을 채워 화염이나 재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희망하는 다각형스토브의 조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부연료받침(150)에 연료(B)를 적재하고, 불을 점화한다.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료받침(160)의 하부로부터 1차공기(A1)가 공급되어 상부연료받침(150)의 1차공기공급공(151)으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점화된 연료(B)가 1차 연소된다.
각 외부패널(110,210,310,410)의 1차공기흡입구(111a,411a)들을 통해 1차공기(A1)가 외부패널(110)와 내부패널(120) 사이의 공기이동공간(118)으로 유입되고,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이동공간(118)으로 이동되는 1차공기(A1)는 연소공간(D)에서 연소되는 연료(B)의 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A2)는 내부패널(120)의 2차공기토출구(127)를 통해 연소공간(D) 측으로 공급되어 1차연소된 화염과 연소가스(C2)와 만나게 된다. 이에 의해 화염과 연소가스가 2차연소되며, 완전연소가 유도된다. 완전연소가 되면 화염의 온도가 상승되고, 열효율이 상승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는 단위스토브모듈을 서로 조립하여 목적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위스토브모듈을 분해할 수 있어 보관 및 휴대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는 연료의 하부로 공급되는 1차공기 외에 연료의 상부로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가 공급되어 2차연소가 진행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단위연료당 열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스토브는 이웃하는 단위스토브모듈이 결합될 때, 이들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키는 잠금레버가 구비되어 연료의 무게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조립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조립식스토브 10 : 삼각스토브
20 : 사각스토브 30 : 오각스토브
40 : 육각스토브 100 : 제1단위스토브모듈
110 : 외부패널 111 : 외부패널본체
111a : 1차공기흡입구 113 : 상면
113a : 화염안내날개 113b : 상부체결부재체결공
113c : 레버축결합공 115 : 측면
115a : 제1다리결합공 115b : 제2다리결합공
117 : 하부면 117a : 리브끼움공
118 : 공기이동공간 120 : 내부패널
121 : 상부체결고리 121a : 하부체결고리
122 : 하부끼움홈 125 : 측면결합돌기
126 : 측면결합면 126a : 돌기결합공
127 : 2차공기토출구 130 : 절첩다리
131 : 패널결합바 131a : 제1절첩축결합공
133 : 다리절첩축 140 : 절첩바람막이
141 : 바람막이지지다리 141a : 제2절첩축결합공
143 : 바람막이절첩축 150 : 상부연료받침
151 : 1차공기공급공 153 : 결합벽
155 : 제1고정리브 156 : 간격조절리브
157 : 제1지지대삽입공 160 : 하부연료받침
161 : 제2고정리브 163 : 위치고정돌기
165 : 고정돌기삽입공 167 : 제2지지대삽입공
170 : 연소판지지대 171 : 받침결합돌기
180 : 잠금레버 181 : 레버축
183 : 축결합바 184 : 잠금홈
185 : 잠금돌기 200 : 제2단위스토브모듈
300 : 제3단위스토브모듈 400 : 제4단위스토브모듈
500 : 제5단위스토브모듈 600 : 제6단위스토브모듈
700 : 6각전용중심판
A1 : 1차공기
A2 : 2차공기
B : 연료
C2 : 연소가스
D : 연소공간

Claims (5)

  1. 복수개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이 서로 조립되어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은,
    하부에 1차공기가 유입되는 1차공기흡입구(111a)가 형성된 외부패널(11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110)과의 사이에 상기 1차공기흡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1차공기가 온도가 상승하며 이동되는 공기이동공간(118)을 형성하며 상부에 온도가 상승된 2차공기를 상기 연소공간으로 배출하는 2차공기토출구(127)가 형성된 내부패널(120)과;
    상기 내부패널(120)의 하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연료가 적재되며 판면에 연료로 1차공기를 공급하는 1차공기공급공(151)이 복수개 형성된 상부연료받침(150)과;
    상기 상부연료받침(1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연료받침(150)로 1차공기를 공급하는 하부연료받침(160)과;
    상기 외부패널(1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웃하게 결합된 단위스토브모듈(100,200,300,400,500,600)들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키는 잠금레버(180)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레버(180)는 상기 외부패널(110)에 상기 내부패널(120)의 측면결합면(126)의 결합영역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18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외부패널(110)의 상면과 하면에 레버축(18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바(183)가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180)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패널(120)의 돌기결합공(126a)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단위스토브모듈의 결합상태를 구속시키는 복수개의 잠금돌기(18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스토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11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소공간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차단하는 절첩바람막이(140)와;
    상기 외부패널(110)의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지면과 상기 외부패널(110) 사이를 이격시키는 절첩다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스토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패널(120)의 일측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측면결합돌기(125)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패널(120)의 타측 측면에는 상기 측면결합돌기(125)에 대응되게 함몰형성되어 이웃하는 단위스토브모듈의 측면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는 돌기결합공(126a)이 형성된 측면결합면(1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스토브.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연료받침(160)과 상기 상부연료받침(150)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연료받침(160)과 지면 사이의 이격간격을 유지시키는 연소판지지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스토브.
KR1020190149422A 2019-11-20 2019-11-20 조립식스토브 KR10217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22A KR102173969B1 (ko) 2019-11-20 2019-11-20 조립식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22A KR102173969B1 (ko) 2019-11-20 2019-11-20 조립식스토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403A KR20200077403A (ko) 2020-06-30
KR102173969B1 true KR102173969B1 (ko) 2020-11-04

Family

ID=7112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422A KR102173969B1 (ko) 2019-11-20 2019-11-20 조립식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14B1 (ko) * 2020-11-04 2021-06-15 이성진 캠핑용 우드 스토브
KR20220076874A (ko) 2020-12-01 2022-06-08 강정관 조립식 난로
US20220178545A1 (en) * 2020-12-04 2022-06-09 Quality Craft Industries, Inc. Assemblable fire pit
KR102300245B1 (ko) * 2021-05-04 2021-09-09 황은미 조립식 화로대
KR102353340B1 (ko) * 2021-05-04 2022-01-19 주식회사 랩도쿠 연소효율이 향상된 화로
KR102447612B1 (ko) * 2021-05-13 2022-09-26 윤대호 공기순환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화로대
KR102311102B1 (ko) * 2021-05-27 2021-10-08 구자성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KR102456435B1 (ko) * 2021-06-02 2022-10-19 (주)코뮤즈 외기 유입형 화로대
KR102485585B1 (ko) * 2021-07-14 2023-01-06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조립식 우드 스토브
KR102601274B1 (ko) * 2022-01-11 2023-11-10 장석원 조립식 화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49B1 (ko) * 2008-10-17 2009-03-17 주식회사 신영가스텍 휴대용 가스렌지의 다기능 덮개판
KR101186499B1 (ko) * 2012-04-30 2012-09-27 (주)닉스틸 조립식 화로
KR200480913Y1 (ko) * 2016-01-20 2016-07-21 이석만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14Y1 (ko) 2012-05-09 2013-10-16 김용태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KR101671308B1 (ko) * 2014-05-19 2016-11-01 주식회사 노나메기 캠핑용 난로
KR20150144108A (ko) * 2014-06-16 2015-12-24 전의종 접철식 캠핑용 화로유닛
KR200479870Y1 (ko) 2014-09-16 2016-03-17 권대운 조립식 화로대
KR101670264B1 (ko) * 2015-02-24 2016-10-28 (주)오빌 야외용 화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949B1 (ko) * 2008-10-17 2009-03-17 주식회사 신영가스텍 휴대용 가스렌지의 다기능 덮개판
KR101186499B1 (ko) * 2012-04-30 2012-09-27 (주)닉스틸 조립식 화로
KR200480913Y1 (ko) * 2016-01-20 2016-07-21 이석만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403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969B1 (ko) 조립식스토브
KR102176947B1 (ko)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KR102241573B1 (ko) 조립식 캠핑용 화로
US11821630B2 (en) Self-assembly brazier
US20040045542A1 (en) Outdoor cook stove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US8459247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with removable heat shield
JP3230029U (ja) 組み立て式キャンプ用火鉢
JP2015036613A (ja) 携帯型固形燃料燃焼器
US2879761A (en) Barbecue grill grate
US4719899A (en) Depot for granular carbonaceous fuel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to provide high efficiency fires for charbroiling and the like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CN211372589U (zh) 颗粒燃料与燃气两用取暖器
KR102652224B1 (ko) 테이블 확장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화로대
CN218721676U (zh) 燃薪炉中炉气化炉
KR10076357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렌지
KR102399003B1 (ko) 휴대용 보일러
KR102641729B1 (ko) 중심부 연소형 화로대
KR102246390B1 (ko) 캠핑용 열풍난로
CN220911485U (zh) 一种拼装式柴火炉
KR102508607B1 (ko)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KR20130120429A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KR20240037454A (ko) 캠핑용 조립식 난로
KR102184783B1 (ko) 화목겸용 펠릿 난로
KR102447699B1 (ko) 캠핑용 스토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