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02B1 -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 Google Patents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02B1
KR102311102B1 KR1020210068433A KR20210068433A KR102311102B1 KR 102311102 B1 KR102311102 B1 KR 102311102B1 KR 1020210068433 A KR1020210068433 A KR 1020210068433A KR 20210068433 A KR20210068433 A KR 20210068433A KR 102311102 B1 KR102311102 B1 KR 10231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ombustion housing
side wall
brazier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성
Original Assignee
구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성 filed Critical 구자성
Priority to KR102021006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는, 소정 부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측벽판 결속구조로 구성되고, 측벽판의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연소하우징부; 상기 측벽판 내측에 소정 부피의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연소하우징부 내부 공간의 상부로 유동시키도록 내측 상부에 공기공급구가 형성된 연소공간형성부; 상기 연소하우징부 내부 공간의 하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연소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판; 상기 연소하우징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받침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키도록 고정되는 중간지지부; 및 지면상에 거치되는 구조의 하부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완전연소를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인 화력을 발생할 수 있는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Furnace Having Multiple Combus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전연소를 통해 효율적인 화력을 발생할 수 있는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관한 것이다.
캠핑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텐트, 조리용 기구, 야외용 침구 등 여러 캠핑용 도구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조리용 기구는 버너와 코펠만으로 이루어지는 종전과는 달리, 다양한 버너 장치와 코펠 이외의 다른 식기와, 그리고 다양한 조리용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야외에서 단순한 식사만을 하기보다는 다양한 구이, 즉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닭 등을 굽거나 훈제하여 요리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야외용 화로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화로의 한 예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94357호에 개시되어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다리부와, 거치대를 분리 또는 접철식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동체 자체는 분리 또는 접철식으로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고 또한 많은 구성 부품으로 인해 그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442364호에서는, 접철식의 몸체부와, 이러한 몸체부를 지지하는 접철식의 받침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를 접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의 고정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경첩부재와, 받침부재의 지지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경첩부재를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몸체부와 받침부재를 접철하여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받침부재를 펼친 다음 그 위에 펼친 몸체부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종래 야외용 화로보다 휴대성을 한층 더 강화하였지만, 접철된 몸체부와 받침부재의 평면 크기 비교적 크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야외용 화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화로가 개발되었으나,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구성이 부재하여 최적의 연소 상태를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7535호 (등록일자: 2013년12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효율적인 화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는, 소정 부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측벽판 결속구조로 구성되고, 측벽판의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연소하우징부; 상기 측벽판 내측에 소정 부피의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연소하우징부 내부 공간의 상부로 유동시키도록 내측 상부에 공기공급구가 형성된 연소공간형성부; 상기 연소하우징부 내부 공간의 하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연소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판; 상기 연소하우징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받침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키도록 고정되는 중간지지부; 및 지면상에 거치되는 구조의 하부받침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하우징부는, 상기 연소하우징부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이고, 양측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결속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제1측벽부; 및 상기 연소하우징부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이고, 양측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측벽부의 결속홈에 체결되는 구조의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제2측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벽부의 결속홈은,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슬릿 구조이고, 상기 제2측벽부의 결속돌기는,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 구조이며,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가 교번배열되어 다각기둥 구조의 연소하우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의 상단부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거치돌기가 각각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의 하단부에는, 소정 높이만큼 절곡되어 하단부를 보강하는 구조의 보강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는, 연소하우징부의 높이 대비 0 내지 30 %의 높이 범위 이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구는, 연소하우징부의 높이 대비 90 내지 100%의 높이 범위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간형성부는, 상기 제1측벽부의 내측면에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상부에 공기공급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연소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거치판을 지지하는 지지돌기판이 장착된 제1형성부; 및 상기 제2측벽부의 내측면에 공기유입구와 연통되는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상부에 공기공급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연소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거치판을 지지하는 지지돌기판이 장착된 제2형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연소하우징부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연소하우징부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된 구조가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이고, 하부면에 제1체결홈이 기둥형 지지부의 상단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연소하우징 거치부; 상기 연소하우징 거치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하부받침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소하우징 거치부를 이격시키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의 기둥형 지지부; 상기 기둥형 지지부의 양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의 핸들부; 및 상기 기둥형 지지부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된 판상형 구조이고, 연소하우징 거치부의 제1체결홈과 결속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받침부의 제2체결홈과 결속되어 연소하우징 거치부, 기둥형 지지부 및 하부받침부를 일체형 구조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받침부는, 상부면에 기둥형 지지부의 하단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제2체결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로대는, 상기 연소공간형성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공급구의 개방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다중연소 증감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연소 증감조절부는, 상기 연소공간형성부의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공기공급구의 개방면적을 변경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소하우징부의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이고 상하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핸들부; 및 상기 연소하우징부의 측면에 핸들부의 상하방향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형 관통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연소하우징부, 연소공간형성부, 거치판, 중간지지부 및 하부받침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효율적인 화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홈이 형성된 제1측벽부, 결속돌기가 형성된 제2측벽부를 구비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분해한 상태로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 후 분해하여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공기유입구와 공기공급구를 형성하는 연소하우징부와 연소공간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거치판의 상부에 거치되는 연소되는 연소대상물의 1차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다가 공기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재차 연소되어 완전연소됨으로써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지지돌기판, 독립된 공기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제1형성부 및 제2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거치판의 상부에 거치되는 연소되는 연소대상물의 1차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다가 공기공급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재차 연소되어 완전연소됨으로써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체결홈이 형성된 연소하우징 거치부, 제1체결홈이 형성된 하부받침부, 기둥형 지지부, 핸들부 및 결속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조립한 상태로 핸들링이 간편하며, 분해한 상태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 후 분해하여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 개폐부, 핸들부 및 슬릿형 관통구를 포함하는 다중연소 증감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연소대상물의 상태, 연소 환경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기공급구의 개방면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공기공급구의 개방면적에 따라 공기공급구를 통해 연소 공간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연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로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로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로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화로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C-C'선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D-D'선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연소하우징부의 제1측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연소하우징부의 제2측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연소공간형성부의 제1형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연소공간형성부의 제2형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중간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다중연소 증감조절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화로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100)는, 특정 구조의 연소하우징부(110), 연소공간형성부(120), 거치판(130), 중간지지부(140) 및 하부받침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효율적인 화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화로대를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10에는 도 5의 A-A'선, B-B'선, C-C'선 및 D-D'선 절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100)의 연소하우징부(110)는, 소정 부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측벽판 결속구조로 구성되고, 측벽판의 하부에 공기유입구(16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연소공간형성부(120)는, 측벽판 내측에 소정 부피의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공기유입구(16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연소하우징부(110) 내부 공간의 상부로 유동시키도록 내측 상부에 공기공급구(162)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거치판(130)은, 연소하우징부(110) 내부 공간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관통구(131)가 형성되며, 연소대상물이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다.
중간지지부(140)는, 연소하우징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받침부(15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키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부(150)는, 지면상에 거치되는 구조로서 상부면에 중간지지부(140)를 안정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 8의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 내지 도 1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하우징부(110)는 특정 구조의 제1측벽부(111) 및 제2측벽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소하우징부(110)의 제1측벽부(111)는, 연소하우징부(11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로서, 양측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결속홈(111a)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유입구(16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소하우징부(110)의 제2측벽부(112)는, 연소하우징부(11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로서, 양측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측벽부(111)의 결속홈(111a)에 체결되는 구조의 결속돌기(112a)가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유입구(16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111)의 결속홈은,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슬릿 구조이고, 제2측벽부(112)의 결속돌기(112a)는,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112)가 교번배열되어 다각기둥 구조의 연소하우징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홈(111a)이 형성된 제1측벽부(111), 결속돌기(112a)가 형성된 제2측벽부(112)를 구비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분해한 상태로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 후 분해하여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111)와 제2측벽부(112)의 상단부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거치돌기(113)가 각각의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돌기(113)는 상부에 가열하고자 하는 물건을 거치할 때, 물건의 위치를 중앙부에 거치되도록 유도하거나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측벽부(111)와 제2측벽부(112)의 하단부에는, 소정 높이만큼 절곡되어 하단부를 보강하는 구조의 보강절곡부(114)가 형성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강절곡부(114)의 라운드 형상 절곡 구조는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 일부와 접촉하더라도 상처를 입히지 않는 구조이다. 즉, 보강절곡부(114)는 구조적 안정성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발생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소공간형성부(120)는, 특정 구조의 제1형성부(121) 및 제2형성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형성부(121)는,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111)의 내측면에 공기유입구(161)와 연통되는 독립된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공기공급구(16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연소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거치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판(123)이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2형성부(122)는, 도 10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벽부(112)의 내측면에 공기유입구(161)와 연통되는 독립된 공간(S2)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공기공급구(16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연소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거치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판(123)이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입구(161)는 연소하우징부(110)의 높이 대비 0 내지 30 %의 높이 범위 이내에 형성되고, 공기공급구(162)는 연소하우징부(110)의 높이 대비 90 내지 100%의 높이 범위 이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지지돌기판(123), 독립된 공기유동공간(S1, S2)을 형성하는 제1형성부(121) 및 제2형성부(122)를 구비함으로써, 거치판(130)의 상부에 거치되는 연소되는 연소대상물의 1차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다가 공기공급구(16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재차 연소되어 완전연소됨으로써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공기유입구(161)와 공기공급구(162)를 형성하는 연소하우징부(110)와 연소공간형성부(120)를 구비함으로써, 거치판(130)의 상부에 거치되는 연소되는 연소대상물의 1차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상방으로 유동하다가 공기공급구(16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재차 연소되어 완전연소됨으로써 연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지지부(140)는, 특정 구조의 연소하우징 거치부(141), 기둥형 지지부(142), 핸들부(143) 및 결속부재(1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하부받침부(150)에 제2체결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지지부(140)의 연소하우징 거치부(141)는, 연소하우징부(11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연소하우징부(110)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된 구조가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로서, 하부면에 제1체결홈(145)이 기둥형 지지부(142)의 상단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지지부(140)의 기둥형 지지부(142)는, 연소하우징 거치부(141)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받침부(15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소하우징 거치부(141)를 이격시키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일 수 있다.
핸들부(143)는, 기둥형 지지부(142)의 양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하부받침부(150)의 상부면에는, 기둥형 지지부(142)의 하단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제2체결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144)는, 기둥형 지지부(142)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된 판상형 구조로서, 연소하우징 거치부(141)의 제1체결홈(145)과 결속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받침부(150)의 제2체결홈(146)과 결속되어 연소하우징 거치부(141), 기둥형 지지부(142) 및 하부받침부(150)를 일체형 구조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체결홈(145)이 형성된 연소하우징 거치부(141), 제1체결홈(145)이 형성된 하부받침부(150), 기둥형 지지부(142), 핸들부(143) 및 결속부재(144)를 구비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조립한 상태로 핸들링이 간편하며, 분해한 상태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 후 분해하여 청소 및 유지관리가 간편한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의 다중연소 증감조절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도 7 및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100)는, 연소공간형성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공기공급구(162)의 개방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는, 특정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171), 개폐부(172), 핸들부(173) 및 슬릿형 관통구(17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의 슬라이딩 레일(171)은, 연소공간형성부(120)의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의 개폐부(172)는, 슬라이딩 레일(17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공기공급구(162)의 개방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의 핸들부(173)는, 개폐부(172)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소하우징부(110)의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로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슬릿형 관통구(174)는, 연소하우징부(110)의 측면에 핸들부(143)의 상하방향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슬라이딩 레일(171), 개폐부(172), 핸들부(143) 및 슬릿형 관통구(174)를 포함하는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연소대상물의 상태, 연소 환경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기공급구(162)의 개방면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공기공급구(162)의 개방면적에 따라 공기공급구(162)를 통해 연소 공간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연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화로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로대
110: 연소하우징부
111: 제1측벽부
111a: 결속홈
112: 제2측벽부
112a: 결속돌기
113: 거치돌기
114: 보강절곡부
120: 연소공간형성부
121: 제1형성부
122: 제2형성부
123: 지지돌기판
S1: 제1공기유동공간
S2: 제2공기유동공간
130: 거치판
131: 관통구
140: 중간지지부
141: 연소하우징 거치부
142: 기둥형 지지부
143: 핸들부
144: 결속부재
145: 제1체결홈
146: 제2체결홈
150: 하부받침부
161: 공기유입구
162: 공기공급구
170: 다중연소 증감조절부
171: 슬라이딩 레일\
172: 개폐부
173: 핸들부
174: 슬릿형 관통구

Claims (5)

  1. 소정 부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를 형성하는 다수의 측벽판 결속구조로 구성되고, 측벽판의 하부에 공기유입구(161)가 형성된 연소하우징부(110);
    상기 측벽판 내측에 소정 부피의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공기유입구(161)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연소하우징부(110) 내부 공간의 상부로 유동시키도록 내측 상부에 공기공급구(162)가 형성된 연소공간형성부(120);
    상기 연소하우징부(110) 내부 공간의 하부에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131)가 형성되며, 연소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판(130);
    상기 연소하우징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하부받침부(15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시키도록 고정되는 중간지지부(140); 및
    지면상에 거치되는 구조의 하부받침부(150);
    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하우징부(110)는,
    상기 연소하우징부(11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이고, 양측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결속홈(111a)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유입구(16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제1측벽부(111); 및
    상기 연소하우징부(11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판상형 구조이고, 양측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제1측벽부(111)의 결속홈(111a)에 체결되는 구조의 결속돌기(112a)가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유입구(16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제2측벽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부(111)의 결속홈(111a)은,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슬릿 구조이고,
    상기 제2측벽부(112)의 결속돌기(112a)는,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돌기 구조이며,
    상기 제1측벽부(111)와 제2측벽부(112)가 교번배열되어 다각기둥 구조의 연소하우징부(1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161)는, 연소하우징부(110)의 높이 대비 0 내지 30 %의 높이 범위 이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구(162)는, 연소하우징부(110)의 높이 대비 90 내지 100%의 높이 범위 이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측벽부(111)와 제2측벽부(112)의 상단부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거치돌기(113)가 각각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벽부(111)와 제2측벽부(112)의 하단부에는, 소정 높이만큼 절곡되어 하단부를 보강하는 구조의 보강절곡부(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간형성부(120)는,
    상기 제1측벽부(111)의 내측면에 공기유입구(161)와 연통되는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상부에 공기공급구(16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연소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거치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판(123)이 장착된 제1형성부(121); 및
    상기 제2측벽부(112)의 내측면에 공기유입구(161)와 연통되는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고, 상부에 공기공급구(162)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연소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거치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돌기판(123)이 장착된 제2형성부(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140)는,
    상기 연소하우징부(11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연소하우징부(110)의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된 구조가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이고, 하부면에 제1체결홈(145)이 기둥형 지지부(142)의 상단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연소하우징 거치부(141);
    상기 연소하우징 거치부(141)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하부받침부(15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소하우징 거치부(141)를 이격시키는 중공형 다각기둥 구조의 기둥형 지지부(142);
    상기 기둥형 지지부(142)의 양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의 핸들부(143); 및
    상기 기둥형 지지부(142)의 측면을 감싸는 절곡된 판상형 구조이고, 연소하우징 거치부(141)의 제1체결홈(145)과 결속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받침부(150)의 제2체결홈(146)과 결속되어 연소하우징 거치부(141), 기둥형 지지부(142) 및 하부받침부(150)를 일체형 구조로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44);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받침부(150)는,
    상부면에 기둥형 지지부(142)의 하단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제2체결홈(14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대는,
    상기 연소공간형성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공급구(162)의 개방면적을 변경할 수 있는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연소 증감조절부(170)는,
    상기 연소공간형성부(120)의 상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71);
    상기 슬라이딩 레일(17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공기공급구(162)의 개방면적을 변경하는 개폐부(172);
    상기 개폐부(172)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소하우징부(110)의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이고 상하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핸들부(173);
    상기 연소하우징부(110)의 측면에 핸들부(143)의 상하방향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형 관통구(1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로대.
KR1020210068433A 2021-05-27 2021-05-27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KR10231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33A KR102311102B1 (ko) 2021-05-27 2021-05-27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33A KR102311102B1 (ko) 2021-05-27 2021-05-27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102B1 true KR102311102B1 (ko) 2021-10-08

Family

ID=7811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33A KR102311102B1 (ko) 2021-05-27 2021-05-27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1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53B1 (ko) * 2023-07-05 2023-12-11 주식회사 라인웍스 연소효율이 우수한 캠핑용 화로
KR20240014887A (ko) * 2022-07-26 2024-02-02 장성현 이중연소 화로
KR102681770B1 (ko) 2023-11-13 2024-07-05 황현수 가열된 세라믹볼을 이용한 연기제거 구이기
WO2024147409A1 (ko) * 2023-01-06 2024-07-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 표면적 조절을 통한 발열량 및 지속시간 조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845A (ja) * 2004-04-26 2005-11-10 Tsutomu Shimoyama 自動空気調整付バーベキューコンロ
JP2013200048A (ja) * 2012-03-23 2013-10-03 Mitsunaka:Kk 組立て式こん炉及び該こん炉の組立て方法
KR101347535B1 (ko) 2012-04-20 2014-01-03 최진홍 휴대용 화로
KR20170002517U (ko) * 2015-12-30 2017-07-11 김종근 고체연료용 화로
KR20200077403A (ko) * 2019-11-20 2020-06-30 황은미 조립식스토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845A (ja) * 2004-04-26 2005-11-10 Tsutomu Shimoyama 自動空気調整付バーベキューコンロ
JP2013200048A (ja) * 2012-03-23 2013-10-03 Mitsunaka:Kk 組立て式こん炉及び該こん炉の組立て方法
KR101347535B1 (ko) 2012-04-20 2014-01-03 최진홍 휴대용 화로
KR20170002517U (ko) * 2015-12-30 2017-07-11 김종근 고체연료용 화로
KR20200077403A (ko) * 2019-11-20 2020-06-30 황은미 조립식스토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887A (ko) * 2022-07-26 2024-02-02 장성현 이중연소 화로
KR102652988B1 (ko) * 2022-07-26 2024-03-28 장성현 이중연소 화로
WO2024147409A1 (ko) * 2023-01-06 2024-07-1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 표면적 조절을 통한 발열량 및 지속시간 조절 장치
KR102611953B1 (ko) * 2023-07-05 2023-12-11 주식회사 라인웍스 연소효율이 우수한 캠핑용 화로
KR102681770B1 (ko) 2023-11-13 2024-07-05 황현수 가열된 세라믹볼을 이용한 연기제거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102B1 (ko) 다중연소구조를 포함하는 화로대
US4508094A (en) Convertible cooking unit
US5711210A (en) Collapsible and portable combination chafing dish and barbecue
US5065734A (en) Portable convertible barbeque grill
US4759276A (en) Fold up leg barbeque conversion from free standing to table deep fry insertion
KR101347535B1 (ko) 휴대용 화로
KR101407213B1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US5575195A (en) Collapsible portable cooking unit
WO1997042865A9 (en) Collapsible, portable combination chafing dish and barbecue
US20050115556A1 (en) Turkey fryer/outdoor cooker wind and fire guard
KR20200077403A (ko) 조립식스토브
US20220357039A1 (en) Self-assembly brazier
KR20160039840A (ko) 캠핑용 그릴 구조
KR200480913Y1 (ko) 캠핑용 확장형 조립식 화로대
KR200389623Y1 (ko)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
KR20230108166A (ko) 조립식 캥핑 화로
KR200244899Y1 (ko) 불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10151131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화로대
WO2023037492A1 (ja) 焚き火台
KR200454476Y1 (ko) 휴대형 숯불구이 화로
JP2004141603A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102297286B1 (ko) 활용도가 우수한 화로
US20060027229A1 (en) Portable smoker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50000146A (ko) 접철식 야외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