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66A - 조립식 캥핑 화로 - Google Patents

조립식 캥핑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66A
KR20230108166A KR1020220003643A KR20220003643A KR20230108166A KR 20230108166 A KR20230108166 A KR 20230108166A KR 1020220003643 A KR1020220003643 A KR 1020220003643A KR 20220003643 A KR20220003643 A KR 20220003643A KR 20230108166 A KR20230108166 A KR 2023010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wall
support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843B1 (ko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아트
Priority to KR102022000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8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3Grates; Ir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캥핑 화로에 관한 것으로, 화로의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속이 필요없이 캠핑장 등 현장에서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을 이용한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해할 수 있고, 화로를 조립한 후에도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여 화목의 연소과정에서 외력에 의한 부속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캥핑 화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캥핑 화로 {prefab camping brazier}
본 발명은 조립식 캥핑 화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핑장 등 현장에서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 가능하며 차량을 이용한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해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캥핑 화로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주5일 근무 환경 등으로 주말 연휴를 이용하여 가족, 친구 등과 함께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한 증가로 이와 관련된 캠핑 장비들의 수요 급증 및 시장의 저변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장의 조건 성숙으로 인하여 캠핑 장비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캠핑을 즐기기에 매우 유용한 수많은 새로운 캠핑 장비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캠핑을 즐기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 중의 하나가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소지가 간편하여 모닥불을 피우는 등의 목적으로 캠핑용 화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캠핑용 화로는 건조된 나무나 숯을 화로에 채우고 불을 피우게 되는데 나무 등의 연소하여 숯으로 달아오르게 되면 석쇠 등을 올려 놓고 삼겹살, 쇠고기 등의 구이 요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캠핑용 화로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2165526호(참고문헌 1)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캠핑용 화목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이 형성되며,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공기통과공을 포함하는 화로부; 및 상기 화로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단에 외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화로부와 상기 외부하우징이 이격되는 공간에 공기통로가 마련되고,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통로로 유입되며, 연소실 내부의 열기와 접촉하면서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참고문헌 1의 구조는 화로부와 외부하우징을 접거나 분해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차량을 이용한 이동 또는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참고문헌 1의 캠핑용 화목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캠핑용 화로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2290289호(참고문헌 2)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에 관한 것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과, 상기 하판의 둘레면에 상부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하부 둘레판과, 상기 하부 둘레판의 내측에 단면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절곡 형성된 하부 끼움홈으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양 측면의 하부 끼움홈에 하단부가 끼워지고, 양측 단부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 고리가 형성된 한 쌍의 측판;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전면의 하부 끼움홈에 하단부가 끼워지고, 양 측 단부에는 측면 고리가 끼워지도록 원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전면 고리가 형성된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중앙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전면 투시창이 설치된 전면도어;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후면의 하부 끼움홈에 하단부가 끼워지고, 양 측 단부에는 측면 고리가 끼워지도록 원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후면 고리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후면 투시창이 설치된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한 쌍의 측판의 상부에 설치되게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판의 둘레면에 하부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상부 둘레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과 한 쌍의 측판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 둘레판의 내측에 단면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절곡 형성된 상부 끼움홈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측판을 견고히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 고정수단;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 측면 전방 및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다리; 상기 지지다리의 상단에 연장되게 형성된 하부 고정편과, 상기 하부고정편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측판의 하측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하부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 고정수단;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댐퍼 끼움공이 형성된 난로용 상판; 상기 난로용 상판을 상부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참고문헌 2에 제안된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는 하부 프레임의 양 측면 전방 및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다리가 분해 조립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측판과 전면판의 상단을 별도의 상부 프레임에 끼움 형태로 지지해야 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참고문헌 2는 지지다리가 회동가능한 구조여서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를 캠핑장 바닥에 지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지지다리가 쉽게 접힐 수 있고 이로 인해 하부 프레임과 측판 또는 전면판이 쉽게 분리되면서 화상 등을 입을 수 있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아울러 참고문헌 2는 이러한 하부 프레임과 측판과 전면판 및 상부 프레임을 흔들림 없이 견고한 조립을 위해 고리를 회동가능한 고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조립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고리 조립방식의 경우 숯불 등에 의해 하부 프레임과 측판과 전면판 및 상부 프레임의 열변형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여 위치가 어긋나거나 먼지가 고리 사이에 묻는 경우 고리의 회동이 어려워 이 역시 조립 및 분해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2165526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2290289호
따라서 이러한 종래 화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로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고 구성간의 조립시 안정성도 우수한 조립식 캥핑 화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로의 조립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화로를 조립한 후에도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캥핑 화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좌측 및 우측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며 양측 하단에 좌측 및 우측 다리부가 각각 형성되는 좌측 및 우측 벽체와, 상기 받침대의 전방 및 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전방 및 후방 벽체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와 전방 및 후방 벽체로 형성되는 연소공간에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화목이 놓여지는 연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하향 절곡된 제1 및 제2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벽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의 제1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제1 지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벽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의 제2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제2 지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 몸체의 전단 및 후단을 상향 절곡하여 전방 및 후방 벽부를 형성하여 화목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벽부의 단부에는 재받이 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의 하단이 지지되는 전방 및 후방 지지부가 연소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부에는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단 끼움돌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방 벽체의 제3 몸체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의 전방 지지부에 지지되며 연소판의 전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제1 판지지부가 연소공간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판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전방 지지부에 형성되는 전방 지지홈에 지지되는 제1 하단 끼움돌부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후방 벽체의 제4 몸체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의 후방 지지부에 지지되며 연소판의 후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제2 판지지부가 연소공간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판지지부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후방 지지부에 형성되는 후방 지지홈에 지지되는 제2 하단 끼움돌부가 하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좌측 벽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벽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가장자리에 제3 및 제4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벽체는 판 형상의 제3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좌측 벽체의 제1 끼움공에 끼워지는 제1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우측 벽체의 제3 끼움공에 끼워지는 제2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벽체는 판 형상의 제4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좌측 벽체의 제2 끼움공에 끼워지는 제3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우측 벽체의 제4 끼움공에 끼워지는 제4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벽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의 하부면에는 받침대의 재받이 공간과 연통되는 좌측 하부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의 상부면에는 좌측 손잡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벽체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의 하부면에는 받침대의 재받이 공간과 연통되는 우측 하부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의 상부면에는 우측 손잡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벽체는 판 형상의 제1 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좌측 다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벽체는 판 형상의 제2 몸체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우측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 벽체의 표면에는 연소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투광부가 형성되고, 후방 벽체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투광부에는 유리재질의 투광판 또는 금속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로의 구조가 간단하고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속이 필요없이 캠핑장 등 현장에서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을 이용한 이동 또는 보관시에는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화로를 조립한 후에도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여 화목의 연소과정에서 외력에 의한 부속간 분리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캥핑 화로(1)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며 양측 하단에 좌측 및 우측 다리부(210,310)가 각각 형성되는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및 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으로 형성되는 연소공간(S)에 상기 받침대(100)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화목이 놓여지는 연소판(6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벽체(200,300,400,500)를 받침대(100)에 연속적으로 조립하여 가운데에 화목이 놓여지는 연소공간(S)을 확보한다. 이러한 구조는 야외에서 캠핑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소공간이 형성되는 단일의 화로 장치가 갖는 사이즈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고 이동의 편의성이 확보되며 파손 우려가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화로 장치(1)를 구성하는 받침대(100), 벽체(200,300,400,500) 및 연소판(600) 등은 모두 열에 강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받침대(100), 벽체들(200,300,400,500) 및 연소판(600) 등은 스테인레스스틸(SU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받침대(100), 벽체들(200,300,400,500) 및 연소판(600) 등은 알루미늄재로 제작하고 표면을 아노다이징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받침대(100)는 판재로 제적되는 것으로 평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받침대(100)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다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벽체들(200,300,400,500) 및 연소판(600)의 설계변경시 원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대(100)는 다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의 벽체들(200,300,400,500)이 조립된다. 일 예로 상기 받침대(100)는 정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에 따라 4개의 벽체들(200,300,400,500)를 조립한다.
이와 같은 받침대(100)는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 몸체(101)의 전단 및 후단을 상향 절곡하여 전방 및 후방 벽부(102,103)를 형성하여 화목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 공간(A)이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및 후방 벽부(102,103)의 단부에는 재받이 공간(A)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하단이 지지되는 전방 및 후방 지지부(110,120)가 연소공간(S) 방향으로 수평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부(110,120)에는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단 끼움돌부(422,522)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지지홈(112,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 몸체(101)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앙에는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제1 및 제2 지지돌기(130,1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는 받침대(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양측 하단에 좌측 및 우측 다리부(210,310)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는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와 함께 상기 받침대(200) 상측에 설치되어 중앙에 화목이 연소되는 연소공간(S)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 벽체들(200,300,400,500)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좌측 벽체(200)는 판 형상의 제1 몸체(201)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좌측 다리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측 다리부(210)는 대칭되는 제1 및 제2 좌측 다리(212,2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좌측 다리(212,214)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에 지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지만 하중에 의한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좌측 다리(212,214)의 일측단을 설정각도(예를 들어 90°) 절곡하여 보강부(212a,214a)가 더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좌측 벽체(200)는 제1 몸체(201)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100)의 좌측단 중앙에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제1 지지돌기(130)가 끼워지는 제1 지지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201)의 일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방 벽체(400)의 일단부가 체결되는 제1 끼움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201)의 타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방 벽체(500)의 일단부가 체결되는 제2 끼움공(2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201)의 하부면에는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과 연통되는 좌측 하부 통기공(2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201)의 상부면에는 좌측 손잡이공(2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1 및 제2 끼움공(230,232)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하부 통기공(240)은 제1 몸체(20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또는 외기)를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좌측 손잡이공(250)은 조립이 완료된 화로(1)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측 벽체(300)는 상기 좌측 벽체(200)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 형상의 제2 몸체(301)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우측 다리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측 다리부(310)는 대칭되는 제1 및 제2 우측 다리(312,3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우측 다리(312,314)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에 지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지만 하중에 의한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우측 다리(312,314)의 일측단을 설정각도(예를 들어 90°) 절곡하여 보강부(312a,314a)가 더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우측 벽체(300)는 제2 몸체(301)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100)의 우측단 중앙에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제2 지지돌기(132)가 끼워지는 제2 지지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301)의 일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방 벽체(400)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제3 끼움공(3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301)의 타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방 벽체(500)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제4 끼움공(3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301)의 하부면에는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과 연통되는 우측 하부 통기공(34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301)의 상부면에는 우측 손잡이공(3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3 및 제4 끼움공(330,332)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하부 통기공(340)은 제2 몸체(30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또는 외기)를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우측 손잡이공(350)은 조립이 완료된 화로(1)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 벽체(400)는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판 형상의 제3 몸체(401)의 일단부에는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1 끼움공(230)에 끼워지는 제1 끼움돌기(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몸체(401)의 타단부에는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3 끼움공(330)에 끼워지는 제2 끼움돌기(4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벽체(400)의 제1 및 제2 끼움돌기(410,412)는 제3 몸체(40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1 끼움공(230) 및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3 끼움공(330)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벽체(400)의 제3 몸체(401)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지지부(110)에 지지되며 연소판(600)의 전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제1 판지지부(420)가 연소공간(S)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판지지부(42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지지부(110)에 형성되는 전방 지지홈(112)에 지지되는 제1 하단 끼움돌부(422)가 하향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벽체(400)를 상기 좌측 벽체(200)의 일단부와 우측 벽체(300)의 일단부 사이에 조립시 받침대(100)의 전방 지지부(110)에 전방 벽체(400)의 제1 판지지부(420)가 지지되면서 제1 하단 끼움돌부(422)가 전방 지지홈(112)에 삽입되어 전방 벽체(400)가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받침대(100)에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벽체(500)는 상기 받침대(100)의 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판 형상의 제4 몸체(501)의 일단부에는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2 끼움공(232)에 끼워지는 제3 끼움돌기(510)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501)의 타단부에는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4 끼움공(332)에 끼워지는 제4 끼움돌기(5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벽체(500)의 제3 및 제4 끼움돌기(510,512)는 제4 몸체(50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2 끼움공(232) 및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4 끼움공(332)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벽체(500)의 제4 몸체(501)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후방 지지부(120)에 지지되며 연소판(600)의 후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제2 판지지부(520)가 연소공간(S)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판지지부(52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후방 지지부(120)에 형성되는 후방 지지홈(122)에 지지되는 제2 하단 끼움돌부(522)가 하향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벽체(500)를 상기 좌측 벽체(200)의 타단부와 우측 벽체(300)의 타단부 사이에 조립시 받침대(100)의 후방 지지부(120)에 후방 벽체(500)의 제2 판지지부(520)가 지지되면서 제2 하단 끼움돌부(522)가 후방 지지홈(122)에 삽입되어 후방 벽체(500)가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받침대(100)에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이에 더해 상기 전방 벽체(400)의 제3 몸체(401)의 표면에는 연소공간(S)을 확인할 수 있는 투광부(430)가 형성되고, 후방 벽체(500)의 제4 몸체(501)의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5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광부(430)는 제3 몸체(401)의 표면을 관통하게 형성한 후 유리재질의 투광판(434) 또는 금속망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광부(4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개구되게 지지틀(432)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고정하여 유리재질의 투광판(434)을 착탈이 가능하다. 즉 상기 유리재질의 투광판(434)은 상기 지지틀(432)의 상측에서 하강시켜 설치하거나 상측으로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다.
물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방 벽체(400)에 통기공(530)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 벽체(500)에 투광부(4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에 투광부(430)만을 형성하거나,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에 통기공(530)만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연소공간(S)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이격되게 연소판(600)이 장착되어 화목이 놓여진다. 이러한 연소판(6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연소판 몸체(601)의 표면에는 복수의 관통공(60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판 몸체(401)의 표면에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관통공(602)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통공(602)의 형상 및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소판(600)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하단에 연소공간(S)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판지지부(420,520)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대(100)의 바닥면 상측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연소판(600)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제1 및 제2 판지지부(420,520)에 걸쳐져 지지되고 화목이 연소판(600) 위에 놓여져 연소되는 경우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의 하부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하부 통기공(240,340)을 통해 외기(외부공기)가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으로 유입되며 연소판(600)에 형성된 관통공(602)을 통해 연소공간(S)으로 이동하게 되어 화목의 연소효율을 높이게 되며, 화목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는 관통공(602)을 통해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으로 모이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캥핑 화로의 조립 설치 예를 설명한다.
우선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를 조립한다. 이때, 받침대(100)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의 제1 및 제2 지지공(220,320)에 받침대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앙에 기역(┓)자 형상으로 하향 절곡된 제1 및 제2 지지돌기(130,132)를 끼우고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세우게 되면 좌측 및 우측 다리부(210,310)에 의해 받침대(100)가 떠받쳐진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에 전방 벽체(400)를 조립한다. 이때, 전방 벽체(4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끼움돌기(410)는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1 끼움공(230)에 끼우고, 타단부의 제2 끼움돌기(412)는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3 끼움공(330)에 끼우고 전방 벽체(400)를 하강시키면 전방 벽체(400)의 제1 하단 끼움돌부(422)가 받침대(100)의 전방 지지부(110)에 형성된 전방 지지홈(112)에 삽입 지지되어 전방 벽체(400)가 받침대(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받침대(100)의 후방에 후방 벽체(500)를 조립한다. 이때, 후방 벽체(5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3 끼움돌기(510)는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2 끼움공(232)에 끼우고, 타단부의 제4 끼움돌기(512)는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4 끼움공(332)에 끼우고 후방 벽체(500)를 하강시키면 후방 벽체(500)의 제2 하단 끼움돌부(522)가 받침대(100)의 후방 지지부(120)에 형성된 후방 지지홈(122)에 삽입 지지되어 후방 벽체(500)가 받침대(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받침대(100)의 상측에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를 조립하면 연소공간(S)이 형성되고, 연소판(600)을 연소공간(S)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제1 및 제2 판지지부(420,520)에 수평상태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목을 연소공간(S)의 연소판(600) 위에 놓고 연소시키게 되면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의 하부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하부 통기공(240,340)을 통해 외기(외부공기)가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으로 유입되며 연소판(600)의 표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602)을 통해 연소공간(S)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화목의 연소를 돕게 되며, 화목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는 연소판(600)의 관통공(602)을 통해 하측의 받침대(100) 바닥으로 모이게 된다.
물론 화목의 연소를 마친 후 화로(1)를 보관 또는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연소판(600)을 분리하고 벽체들(200,300,400,500)을 분해하여 세척한 후 적층하면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를 보관용기 또는 보관용 파우치 등에 담아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조립식 캠핑 화로 100: 받침대
200: 좌측 벽체 300: 우측 벽체
400: 전방 벽체 500: 후방 벽체
600: 연소판 A: 공기통로
S: 연소공간

Claims (8)

  1.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좌측 및 우측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며 양측 하단에 좌측 및 우측 다리부(210,310)가 각각 형성되는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및 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벽체(200,300)와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로 형성되는 연소공간(S)에 상기 받침대(100)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화목이 놓여지는 연소판(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하향 절곡된 제1 및 제2 지지돌기(130,132)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벽체(2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201)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100)의 제1 지지돌기(130)가 끼워지는 제1 지지공(220)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벽체(3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301)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100)의 제2 지지돌기(132)가 끼워지는 제2 지지공(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 몸체(101)의 전단 및 후단을 상향 절곡하여 전방 및 후방 벽부(102,103)를 형성하여 화목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 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벽부(102,103)의 단부에는 재받이 공간(A)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하단이 지지되는 전방 및 후방 지지부(110,120)가 연소공간(S)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부(110,120)에는 상기 전방 및 후방 벽체(400,5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하단 끼움돌부(422,522)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지지홈(112,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체(400)의 제3 몸체(401)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지지부(110)에 지지되며 연소판(600)의 전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제1 판지지부(420)가 연소공간(S)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판지지부(42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지지부(110)에 형성되는 전방 지지홈(112)에 지지되는 제1 하단 끼움돌부(422)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후방 벽체(500)의 제4 몸체(501)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후방 지지부(120)에 지지되며 연소판(600)의 후단부 하측이 지지되는 제2 판지지부(520)가 연소공간(S)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판지지부(520)의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의 후방 지지부(120)에 형성되는 후방 지지홈(122)에 지지되는 제2 하단 끼움돌부(522)가 하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체(2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201)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가장자리에 제1 및 제2 끼움공(230,232)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벽체(3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301)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가장자리에 제3 및 제4 끼움공(330,332)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벽체(400)는 판 형상의 제3 몸체(401)의 일단부에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1 끼움공(230)에 끼워지는 제1 끼움돌기(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몸체(401)의 타단부에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3 끼움공(330)에 끼워지는 제2 끼움돌기(41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벽체(500)는 판 형상의 제4 몸체(501)의 일단부에 상기 좌측 벽체(200)의 제2 끼움공(232)에 끼워지는 제3 끼움돌기(510)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501)의 타단부에 상기 우측 벽체(300)의 제4 끼움공(332)에 끼워지는 제4 끼움돌기(5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체(2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몸체(201)의 하부면에는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과 연통되는 좌측 하부 통기공(2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201)의 상부면에는 좌측 손잡이공(250)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벽체(3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301)의 하부면에는 받침대(100)의 재받이 공간(A)과 연통되는 우측 하부 통기공(34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301)의 상부면에는 우측 손잡이공(3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벽체(200)는 판 형상의 제1 몸체(201)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좌측 다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벽체(300)는 판 형상의 제2 몸체(301)의 일단 및 타단에 대칭되게 하향 절곡된 우측 다리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체(400)에는 연소공간(S)을 확인할 수 있는 투광부(430)가 형성되고, 후방 벽체(500)의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530)이 형성되며;
    상기 투광부(430)에는 유리재질의 투광판(434) 또는 금속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캠핑 화로.
KR1020220003643A 2022-01-10 2022-01-10 조립식 캥핑 화로 KR10256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643A KR102562843B1 (ko) 2022-01-10 2022-01-10 조립식 캥핑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643A KR102562843B1 (ko) 2022-01-10 2022-01-10 조립식 캥핑 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66A true KR20230108166A (ko) 2023-07-18
KR102562843B1 KR102562843B1 (ko) 2023-08-03

Family

ID=8742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643A KR102562843B1 (ko) 2022-01-10 2022-01-10 조립식 캥핑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24B1 (ko) * 2023-10-03 2024-03-27 최민우 테이블 확장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화로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87B1 (ko) * 2016-04-14 2017-05-22 김영민 조립식 화로대
KR20190072715A (ko) * 2017-12-16 2019-06-26 김명훈 조립식 캠핑 화로대
KR102165526B1 (ko) 2020-03-13 2020-10-14 김선정 캠핑용 화목
CN212029606U (zh) * 2020-03-25 2020-11-27 金华市脉巍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炉
KR102290289B1 (ko) 2020-09-11 2021-08-13 박연정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
KR102324119B1 (ko) * 2021-04-05 2021-11-11 주식회사 알루엔 이동식 화목 난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87B1 (ko) * 2016-04-14 2017-05-22 김영민 조립식 화로대
KR20190072715A (ko) * 2017-12-16 2019-06-26 김명훈 조립식 캠핑 화로대
KR102165526B1 (ko) 2020-03-13 2020-10-14 김선정 캠핑용 화목
CN212029606U (zh) * 2020-03-25 2020-11-27 金华市脉巍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炉
KR102290289B1 (ko) 2020-09-11 2021-08-13 박연정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
KR102324119B1 (ko) * 2021-04-05 2021-11-11 주식회사 알루엔 이동식 화목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24B1 (ko) * 2023-10-03 2024-03-27 최민우 테이블 확장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화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843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9301A1 (en) Fire Pit and Method of Use
US5682872A (en) Camping furnace
KR102290289B1 (ko)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
KR102241573B1 (ko) 조립식 캠핑용 화로
KR101407213B1 (ko) 휴대용 조립식 그릴
US11821630B2 (en) Self-assembly brazier
KR101499410B1 (ko) 화로대 기능을 가진 휴대용 조립식 화목 난로
KR102562843B1 (ko) 조립식 캥핑 화로
KR101451367B1 (ko) 캠핑용 경량 화로대
KR20100086814A (ko) 조립식 화로
KR102485585B1 (ko) 조립식 우드 스토브
JP3216170U (ja)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ロ
KR101638430B1 (ko) 조립식 화로대
US6050256A (en) Movable campfire box
KR102601274B1 (ko) 조립식 화로 장치
KR102602031B1 (ko) 화로대 상부구조
CN218009411U (zh) 一种拼装式便携烧烤架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102641729B1 (ko) 중심부 연소형 화로대
CN215112746U (zh) 一种兼容两种不同燃料的底座及烤炉
CN214856162U (zh) 一种轻便可移动的炉体及烤炉
KR102551855B1 (ko) 인아웃도어 겸용 포터블 화로대
CN211551681U (zh) 一种便携式火箭炉
KR102386634B1 (ko) 다기능 화로대
CN220205814U (zh) 焚火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