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073A - 구이용 화로 - Google Patents

구이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073A
KR20200092073A KR1020190009174A KR20190009174A KR20200092073A KR 20200092073 A KR20200092073 A KR 20200092073A KR 1020190009174 A KR1020190009174 A KR 1020190009174A KR 20190009174 A KR20190009174 A KR 20190009174A KR 20200092073 A KR20200092073 A KR 2020009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plate
combustion cylinder
charcoal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광훈
Original Assignee
한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073A/ko
Publication of KR2020009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에 의한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야채와 같은 부재료도 함께 요리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단에 상부안착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의 상부안착대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음식물을 올려놓고 익히기 위한 구이판; 상기 연소통의 하부안착대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숯, 화목,을 포함하는 구이용 화로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상기 숯통의 상부안착대에 얹어놓을 수 있도록 상기 숯통과 같은 평면 형태로 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판형상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숯통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위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석쇠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용 화로{Brazier For Roast}
본 발명은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숯에 의한 직화구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야채와 같은 부재료도 함께 요리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문화의 발달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조리수단이 제안되어 왔다. 특히 고기를 구울 수 있는 구이용 화로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고기를 굽는 방식은 간접가열식과 직접가열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 직접가열식을 보통 직화구이라 하며 맛에 있어서 더 좋다는 평가를 받는 방식이다. 그러나 직화구이는 김치, 양파, 마늘 등을 함께 굽기에 불편하다. 쉽게 타버리기도 하며 김치의 국물이 구이판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간접가열식은 구멍이 뚫리지 않은 불판 위에 김치 등을 함께 올려놓고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을 이용하여 구움으로써 맛있는 요리를 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은 저마다 장단점을 갖고 있다. 종래에 제안되었던 많은 화로 또는 고기구이판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경우를 찾아보기 힘들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93943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의 장점을 취합하여 더욱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직접가열 방식의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단에 상부안착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의 상부안착대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음식물을 올려놓고 익히기 위한 구이판; 상기 연소통의 하부안착대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숯, 화목,을 포함하는 구이용 화로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상기 숯통의 상부안착대에 얹어놓을 수 있도록 상기 숯통과 같은 평면 형태로 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판형상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숯통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위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석쇠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석쇠본체는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되어 "
Figure pat00001
"와 같이 톱니 형태로 주름져 있는 판체이며; 상기 통공은 상기 산의 첨단 부위에 부분적으로 마련되되, 상기 산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석쇠본체는 상기 트레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소통의 하부에는 하부안착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안착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숯, 화목, 착화탄 등 연료를 올려놓기 위한 연료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냄비, 주전자와 같은 용기를 상기 연소통 위에 얹어놓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소통의 상단은 부분적으로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외향절곡판; 상기 연소통 상단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향절곡판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상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용기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석쇠본체를 이용하여 직화구이 방식으로 육류를 익힐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를 이용하여 간접가열식으로 김치, 마늘, 양파, 버섯 등의 야채를 익힐 수 있는 구이용 화로가 제공된다. 즉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을 병용할 수 있는 구이용 화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석쇠본체에서 흘러내리는 기름이 상기 트레이에 흘러 떨어지게 함으로써 이 기름을 이용하여 야채를 구울 수 있게 하는 구이용 화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석쇠본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용접개소를 줄임으로써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이판을 빼낸 다음 용기받침대를 대체 설치하고 그 위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올려놓음으로써 찌개 내지 국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끓일 수 있는 구이용 화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구이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구이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는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이용 화로는 연소통(1)과 구이판(3)을 포함한다. 연소통(1)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의 상단에는 상부안착대(5)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의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구멍(1a)이 마련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연소통(1)의 상측에도 연료(F)의 상부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연소통(1)은 평면상 사각 형태로 되어 있으며, 숯 등의 연료(F)를 담고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공간(S)을 제공한다. 연소통(1)의 측벽에는 유입공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연소통(1)의 바닥판 저면에는 연소통(1)을 지면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다리(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통(1)의 하부에는 하부안착대(9)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하부안착대(9)에는 숯, 화목, 착화탄 등 연료(F)를 올려놓기 위한 연료받침판(11)이 안착된다. 하부안착대(9)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
Figure pat00002
"의 형태로 기다란 판을 절곡한 다음 연소통(1)의 양 측판 내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연료받침판(11)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재가 떨어지고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재구멍(13)이 마련되어 있는 판재로 되어 있다.
연소통(1)의 바닥에는 연료받침판(11)의 아래로 떨어지는 재(A)를 받기 위한 재받이(15)가 마련된다. 재받이(15)는 서랍 형태로 연소통(1)에 마련된 재받이출입구(17)에 끼워진다.
구이판(3)은 연소통(1)의 상부안착대(5)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음식물을 올려놓고 익히기 위한 것이다. 구이판(3)은 프레임(19), 트레이(21) 및 석쇠본체(23)를 포함한다. 프레임(19)은 연소통의 상부안착대(5)에 얹어놓을 수 있도록 연소통(1)과 같은 평면 형태로 된 것이다.
연소통(1)의 상부안착대(5)는 연소통(1)의 상단을 그의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하여 제공된다. 구이판(3)은 이 상부안착대(5) 위에 안착된다. 구이판(3)이 상부안착대(5)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대(미도시됨)가 구이판의 프레임(19) 하단부에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수단의 다른 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9) 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25)와 상부안착대(5)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돌기(25)가 끼워지는 끼움공(27)이 될 수 있다.
판형상의 트레이(21)가 프레임(19)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또는 조립형으로 마련된다. 트레이(21)는, 예를 들어, 프레임(19)의 평면적 전체에 대하여 1/5 ~1/3의 넓이로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1)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넘침방지판(31)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일정량의 음식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21)는 간접가열 방식의 조리를 위한 것이다. 프레임의 외측에는 구이판(3)을 들어내기 위한 손잡이(29)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21)는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최하단의 일지점에는 기름을 빼낼 수 있는 드레인공(33)을 마련할 수 있다(도 6 참조).
석쇠본체(23)는 트레이(2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9)에 설치되어 있다. 석쇠본체(23)에는 연소통(1)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위로 직접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5)이 마련되어 있다. 석쇠본체(23)는 직화구이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석쇠본체(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37)과 산(39)이 반복 형성되어 "
Figure pat00003
"와 같이 톱니 형태로 주름져 있는 판체로 되어 있다. 통공(35)은 산(39)의 첨단 부위에 부분적으로 마련되되, 산(39)의 능선을 따라 길게 마련되어 있다.
석쇠본체(23)는 통공(35)을 프레스 또는 레이저로 먼저 타공한 다음 이를 절곡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석쇠본체(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1)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K)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석쇠본체(23)의 각 골(37)을 따라서 육류에서 빠져나오는 기름이 흘러 트레이(21)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트레이(21)에 떨어진 기름은 김치, 양파, 버섯 등의 야채와 섞이면서 이들의 맛을 더할 수 있게 된다.
석쇠본체(23)는 프레임(19)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세척이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프레임(19)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이는 프레임(19)에 석쇠본체(23)를 안착 결합시키기 위한 석쇠안착대를 마련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석쇠본체(23)에는 걸침판(38)이 형성되어 프레임(19)의 상단에 걸쳐지게끔 할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냄비, 주전자와 같은 용기(C)를 연소통(1) 위에 얹어놓기 위한 용기받침대(41)가 더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도). 용기받침대(41)는 그레이팅 형태로 되어 있다. 용기받침대(41)를 설치하기 위하여 외향절곡판(43)이 연소통(1)의 상단에 부분적으로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받침대(41)에는 외향절곡판(43)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45)이 상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받침대(41)가 안정적으로 연소통(1)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외향절곡판(43)은 연소통(1)을 양손으로 편리하게 들 수 있게 하는 손잡이 기능을 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연소통 3 : 구이판
5 : 상부안착대 7 : 다리
9 : 하부안착대 11 : 연료받침판
15 : 재받이 19 : 프레임
21 : 트레이 23 : 석쇠본체
29 : 측판 31 : 넘침방지판
33 : 드레인공 35 : 통공
37 : 골 39 : 산
41 : 용기받침대 43 : 외향절곡판
45 : 끼움홈
A : 재(ash) C : 용기
F : 연료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단에 상부안착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연소통; 상기 연소통의 상부안착대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음식물을 올려놓고 익히기 위한 구이판; 상기 연소통의 하부안착대에 올려놓는 것으로서 숯, 화목,을 포함하는 구이용 화로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은;
    상기 숯통의 상부안착대에 얹어놓을 수 있도록 상기 숯통과 같은 평면 형태로 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판형상의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숯통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위로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마련되어 있는 석쇠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본체는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되어 "
    Figure pat00004
    "와 같이 톱니 형태로 주름져 있는 판체이며;
    상기 통공은 상기 산의 첨단 부위에 부분적으로 마련되되, 상기 산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석쇠본체는 상기 트레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의 하부에는 하부안착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안착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연료를 올려놓기 위한 연료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4. 제1항에 있어서,
    냄비, 주전자와 같은 용기를 상기 연소통 위에 얹어놓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소통의 상단은 부분적으로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외향절곡판;
    상기 연소통 상단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향절곡판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이 상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용기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KR1020190009174A 2019-01-24 2019-01-24 구이용 화로 KR20200092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74A KR20200092073A (ko) 2019-01-24 2019-01-24 구이용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74A KR20200092073A (ko) 2019-01-24 2019-01-24 구이용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73A true KR20200092073A (ko) 2020-08-03

Family

ID=7204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174A KR20200092073A (ko) 2019-01-24 2019-01-24 구이용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20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73B1 (ko) * 2020-09-21 2021-04-19 황은미 조립식 캠핑용 화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943A (ko) 2011-11-01 2014-07-29 아메디카 코포레이션 연결 가능한 삽입체를 갖는 임플란트 및 관련 시스템과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943A (ko) 2011-11-01 2014-07-29 아메디카 코포레이션 연결 가능한 삽입체를 갖는 임플란트 및 관련 시스템과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73B1 (ko) * 2020-09-21 2021-04-19 황은미 조립식 캠핑용 화로
US20220090791A1 (en) * 2020-09-21 2022-03-24 Eun Mi Hwang Self-assembly brazier for camping
WO2022059862A1 (ko) * 2020-09-21 2022-03-24 황은미 조립식 캠핑용 화로
US11739939B2 (en) * 2020-09-21 2023-08-29 Eun Mi Hwang Self-assembly brazier for cam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188B2 (en) Food cooker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US3276351A (en) Portable charcoal cooker
US20080121221A1 (en) Barbecue with grease pan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US20190350406A1 (en) Multi-function griddle pan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11129495B2 (en) CHAR-PiT universal charcoal grill tray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20200092073A (ko) 구이용 화로
US20170273505A1 (en) Non-Electric, Non-Steaming Stove Top/Grill Adapter and Method of Use
US6125835A (en) Camping range
US5579680A (en) Smokeless grill for indoor use
KR20230002006U (ko) 구이용 불판
US20080053427A1 (en) Versatile food cooking grill and grill features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200425826Y1 (ko) 신선로 겸용 고기구이판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AU765383B1 (en) A cooking device
KR101135123B1 (ko)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KR200394369Y1 (ko) 고기 구이판
US20240016336A1 (en) Modular multipurpose cooking surface and smoking tray
JP6856839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