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867B1 - 화목난로 - Google Patents

화목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867B1
KR102395867B1 KR1020210015921A KR20210015921A KR102395867B1 KR 102395867 B1 KR102395867 B1 KR 102395867B1 KR 1020210015921 A KR1020210015921 A KR 1020210015921A KR 20210015921 A KR20210015921 A KR 20210015921A KR 102395867 B1 KR102395867 B1 KR 10239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frame
air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미
Original Assignee
황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미 filed Critical 황은미
Priority to KR102021001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5Supply of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Abstract

"화목난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목난로"는 화목연료가 적재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후방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후면프레임(115)과, 상기 바닥판(111)의 전방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연료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전면프레임(117)을 갖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바닥판(11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싱(121)과, 상기 후면프레임(115)과 상기 도어프레임(131)을 수용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1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연통결합공(125)이 형성된 상부케이싱(123)을 갖는 케이싱부(120)와; 상기 전면프레임(117)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30)와;상기 전면프레임(117)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도어(130)가 개방되었을 때 하강하며 상기 연료투입구의 상부를 덮어 상기 연료투입구의 개방 면적을 줄이는 오토셔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토셔터(150)는 상기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일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셔터본체(151)와, 상기 셔터본체(151)의 측면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31)의 상부에 구비된 셔터회동축(117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면(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130)의 내측 상부에는 내부를 향해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31)에 닫혀질 때 상기 연료투입구를 덮고 있는 상기 셔터본체(151)를 가압하여 상기 셔터본체(151)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푸시로드(13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화목난로{WOOD STOVE}
본 발명은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오토셔터를 구비하여 도어 개방시에 화염과 연소가스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석유 고갈로 인한 에너지 위기 문제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저탄소 녹색 성장의 기치아래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연친화적인 연료로 목재와 펠릿(pellet)연료가 각광받고 있으며, 이를 연료로 하는 화목난로 및 펠릿 연소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a)는 종래 화목난로(100)의 내부 연소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목난로(10)는 연소실이 형성되는 케이싱(11) 내부에 화목연료(A)가 연소되며 열을 발생시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화목난로(100)의 전방에는 화목연료(A)를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13)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연소가스(B)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15)이 구비된다.
최근에 캠핑족들이 증가하면서 불멍을 즐기려는 사람이 늘어나고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목난로(10)의 전체 크기에 비해 투명창이 형성된 도어(13)의 크기가 커지는 추세이다. 이렇게 도어(13)가 커지게 되면, 연통(15)을 통해 연소가스(B)를 외부로 배출하는 음압이 작을 경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가 열렸을 때 연소가스(B)와 화염(F)이 실내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렇게 연소가스(B)와 화염(F)이 실내로 역류하게 되면 냄새와 화재발생 위험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도어(13) 앞에 위치된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놀라는 문제가 발생된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468604호, "화목난로"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959138호,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배기압 밸런스가 유지되게 하여 화염과 연소가스의 실내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목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목연료가 2차에 걸쳐 완전연소되게 하여 화목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목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목난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목난로는, 화목연료가 적재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후방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후면프레임(115)과, 상기 바닥판(111)의 전방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연료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전면프레임(117)을 갖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바닥판(11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싱(121)과, 상기 후면프레임(115)과 상기 도어프레임(131)을 수용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1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연통결합공(125)이 형성된 상부케이싱(123)을 갖는 케이싱부(120)와; 상기 전면프레임(117)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30)와;상기 전면프레임(117)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도어(130)가 개방되었을 때 하강하며 상기 연료투입구의 상부를 덮어 상기 연료투입구의 개방 면적을 줄이는 오토셔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토셔터(150)는 상기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일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셔터본체(151)와, 상기 셔터본체(151)의 측면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31)의 상부에 구비된 셔터회동축(117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면(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130)의 내측 상부에는 내부를 향해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31)에 닫혀질 때 상기 연료투입구를 덮고 있는 상기 셔터본체(151)를 가압하여 상기 셔터본체(151)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푸시로드(13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는 내부의 화염을 관찰할 수 있게 큰 크기의 도어가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오토셔터가 구비된다.
오토셔터는 도어가 열려지면 하부로 하강되며 연료투입구의 상부를 덮어 연료투입구의 개방면적을 줄여 배압밸런스가 무너지지 않게 한다.
또한, 오토셔터는 도어가 닫혀지면 도어의 푸시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로 회동되며 도어의 관찰창을 덮지 않아 사용자가 내부를 관찰하는데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연소실의 내부에 후면프레임에 구비된 공기공급패널이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부로 공급하여 화목연료가 2차에 걸쳐 연소되게 하여 완전연소를 유도가므로 연소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화목난로의 연소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연소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도어가 닫혔을 때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도어가 열렸을 때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도어 개폐시 연료투입구의 면적을 비교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화목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100)의 연소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100)는 내부에 연소실이 형성되는 프레임부(110)와, 프레임부(110)의 전방에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100)는 도어(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오토셔터(150)를 포함한다. 오토셔터(15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닫혀 있을 때는 도어(130)의 내측에 구비된 푸시로드(135)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개방될 때는 푸시로드(135)와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하강되어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차폐한다.
이에 의해 도어(130)가 열리더라도 외부로 노출된 연료투입구(C)의 면적이 줄어들어 배기압밸런스가 무너지지 않아 화목연료(A)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F)과 연소가스(B)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화목난로(100)의 크기에 비해 도어(130)를 크게 형성하더라도 오토셔터(150)가 상하로 이동하며 연료투입구(C)의 개방면적을 줄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100)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화목난로(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100)는 화목연료(A)가 연소되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10)와, 프레임부(110)의 상하를 덮어 지지하는 케이싱부(120)와, 프레임부(11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료투입구(C)를 개폐하는 도어(130)와, 프레임부(110)의 후방에 결합되어 화목연료(A)가 완전연소되도록 화목연료(A)로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패널(140)과, 프레임부(110)의 연료투입구(C)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어(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며 연료투입구(C)이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오토셔터(15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목연료(A)가 적재되는 바닥판(111)과, 바닥판(111)의 중심영역에 구비되는 연료적재대(113)와, 바닥판(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연료적재대(113)에서 떨어지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침(114)과, 바닥판(111)의 후방에 수직하게배치되는 후면프레임(115)과, 바닥판(111)의 전방에 구비되며 연료투입구(C)가 형성된 전면프레임(117)과, 전면프레임(117)의 하부에 결합되어 닫혀진 도어(130)를 지지하는 도어지지프레임(118)과, 전면프레임(117)의 상부에 결합되어 오토셔터(150)를 지지하는 셔터지지프레임(119)을 포함한다.
케이싱부(120)는 바닥판(111)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케이싱(121)과, 프레임부(110)의 바닥판(111)과 전면프레임(117) 및 후면프레임(115) 사이의 개방된 측면과 상부를 덮는 상부케이싱(123)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10)와 케이싱부(120)는 결합되어 화목연료(A)가 연소되는 연소실을 형성한다. 연소실은 바닥판(111)과 후면프레임(115)과 도어(130)가 결합된 전면프레임(117)과 상부케이싱(123)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판(111)의 판면에는 화목연료(A)가 적재되는 연료적재대(113)가 구비된다. 연료적재대(113)의 판면에는 공기유입구(113a)가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공기유입구(113a)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O1)가 유입되어 화목연료(A)로 공급된다. 또한, 공기유입구(113a)를 통해 화목연료(A)가 연소된 후 잔류하는 재가 재받침(114)으로 낙하하게 된다.
하부케이싱(121)은 바닥판(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부케이싱(121)은 바닥판(111)과 이격배치되어 바닥판(111)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바닥판(111)과 이격되므로 바닥판(111)의 열이 하부케이싱(121)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화목난로(100)를 실내의 바닥에 놓더라도 열에 의해 바닥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재받침(114)은 바닥판(111)과 하부케이싱(121)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다. 재받침(114)은 바닥판(111)의 하면에 결합되어 연료적재대(113)에서 떨어지는 재가 수용된다. 재받침(114)은 바닥판(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재를 버릴 수 있게 한다.
후면프레임(115)은 바닥판(111)의 후방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후면프레임(115)의 하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후면공기유입구(115a)가 형성된다. 후면공기유입구(115a)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공급패널(140)로 공급된다.
전면프레임(117)은 바닥판(111)의 전방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전면프레임(117)에는 연료투입구(C)가 관통형성된다. 도어(130)가 열리면 연료투입구(C)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연료투입구(C)를 통해 화목연료(A)를 공급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7)의 하부 양측에는 도어(13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회동축(117a)이 형성된다. 도어회동축(117a)은 도어프레임(131)이 회동축결합공(131a)에 결합되어 도어(130)가 회동되게 한다.
전면프레임(117)의 상부에는 오토셔터(15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셔터회동축(117b)이 돌출형성된다. 셔터회동축(117b)은 오토셔터(150)의 셔터회동축결합공(153a)에 결합되어 오토셔터(150)가 상하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전면프레임(117)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로브지지돌기(117c)가 구비된다. 로브지지돌기(117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닫혔을 때 도어(130)의 푸시로드(135)의 하부를 접촉지지하여 푸시로드(135)가 오토셔터(150)를 가압하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푸시로드(135)의 변형에 의해 오토셔터(15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프레임(117)의 상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부공기유입공(117d)이 형성된다. 상부공기유입공(117d)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30)의 상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어지지프레임(118)은 도어(130)가 닫혀질 때 도어(130)의 하부 내측영역을 접촉지지하여 화염(F)이 도어(130)로 직접 닿지 않게 한다.
셔터지지프레임(11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117)의 상부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130)와 오토셔터(150) 사이에 배치된다. 셔터지지프레임(119)은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연소실의 열기가 도어(130)의 상부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게 차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지지프레임(118)과 셔터지지프레임(119)이 각각 도어(130)의 내측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화염과 열기가 도어(130) 측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도어(130)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지지프레임(119)의 하부에는 로브삽입공(119a)이 양측에 구비된다. 로브삽입공(119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열렸을 때 연료투입구(C) 측에 배치되어 도어(130)이 푸시로드(135)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푸시로드(135)가 로브삽입공(119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오토셔터(150)를 가압하게 된다.
상부케이싱(123)은 바닥판(111)과 전면프레임(117) 및 후면프레임(115)의 개방된 측면을 덮도록 하부케이싱(121)에 결합된다. 상부케이싱(123)의 상면에는 연통결합공(125)이 형성된다. 연통결합공(125)의 하부에는 연통결합관(126)이 결합되어 연통(180)이 삽입될 수 있게 지지한다.
도어(130)는 전면프레임(117)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료투입구(C)를 개폐한다. 도어(130)는 전면프레임(11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프레임(131)과, 도어프레임(131)의 내측에 구비된 투명창(133)과, 도어프레임(131)의 내측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푸시로드(135)와, 도어프레임(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137)를 포함한다.
도어(13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117)에 상하로 회동된다. 도어(130)는 도어프레임(131)의 하부에 구비된 회동축결합공(131a)이 도어회동축(117a)에 결합된다. 도어(130)는 사용자가 손잡이(137)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며 열려지고, 손잡이(137)를 후방으로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며 닫혀진다.
도어프레임(131)의 양측 상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이 푸시로드(135)는 도어(130)가 닫혀질 때 셔터지지프레임(119)의 로브삽입공(119a)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며 오토셔터(150)를 가압하여 오토셔터(150)가 상부로 이동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135)는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로브지지돌기(117c)와 맞닿는 위치로 삽입되어 상부로 회동된 오토셔터(150)의 하부를 받쳐 오토셔터(150)가 하강되지 못하게 한다.
공기공급패널(140)은 후면프레임(115)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연소되는 화목연료(A)로 뜨거운 공기(O2)가 공급되게 하여 화목연료(A)가 2차연소되게 한다. 공기공급패널(140)은 후면프레임(115)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패널본체(141)와, 패널본체(14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구비되는 상부절곡판(143)과 하부절곡판(145)을 포함한다.
상부절곡판(143)과 하부절곡판(145)은 각각 패널본체(141)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어 후면프레임(115)에 결합된다. 상부절곡판(143)과 하부절곡판(145)의 절곡폭 만큼 패널본체(141)는 후면프레임(115)과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을 통해 후면공기유입구(115a)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패널본체(141)의 상부에는 온도가 상승된 공기(O2)를 연소실로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42)가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목연료(A)가 연소될 때 연료적재대(113)의 공기유입구(113a)를 통해 외부공기(O1)가 유입되어 화목연료(A)가 1차 연소된다. 또한, 후면프레임(115)의 후면공기유입구(115a)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후면프레임(115)과 패널본체(14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상승한다.
외부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며 열과 접촉되며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공기(O2)는 1차 연소된 화목연료(A)로 공급되며 화목연료(A)가 2차 연소되게 한다. 이렇게 화목연료(A)는 2차에 걸쳐 연소가 진행되며 완전연소가 유도된다.
여기서, 공기토출구(142)는 후면공기유입구(115a)와 높이차가 형성되도록 패널본체(141)의 상부에 구비된다.
한편, 패널본체(141)는 후면프레임(115)을 향해 함몰형성된 곡률을 갖는 곡면형태로 형성된다. 패널본체(141)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화염에 의한 열변형을 줄이기 위함이다.
오토셔터(150)는 도어(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며 도어(130)가 열렸을 때 연료투입구(C)의 면적을 줄여 배압밸런스가 유지되게 한다. 오토셔터(150)는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차폐하는 셔터본체(151)와, 셔터본체(151)의 양측에 절곡형성되어 전면프레임(117)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면(153)과, 셔터본체(151)의 하부에 절곡형성되어 화염을 안내하는 화염안내면(155)을 포함한다.
셔터본체(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닫혔을 때는 상부로 회동되어 연료투입구(C)를 덮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가 열렸을 때는 하부로 회동되며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가리게 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셔터(150)가 하강하지 않았을 때 연료투입구(C)의 전체 높이(h1)는 전체 화목난로(100)의 크기에 비해 면적이 커 배압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크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셔터(150)가 하강하면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일부분 덮어 연료투입구(C)의 개방높이(h2)를 줄이게 된다. 이에 의해 배압밸런스가 유지되게 된다.
셔터본체(151)의 높이가 높을 수록 배압밸런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연료를 바닥판(111)으로 공급하기에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료를 투입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범위로 셔터본체(151)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결합면(153)에는 셔터회동축결합공(153a)이 형성된다. 셔터회동축결합공(153a)은 셔터회동축(117b)에 결합되어 셔터본체(151)가 상하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도어(130)가 개방될 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본체(151)는 연료투입구(C)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30)가 닫히면 푸시로드(135)가 로브삽입공(119a)으로 삽입되며 하강되어 있는 셔터본체(151)의 판면을 가압하며 밀게 된다. 이에 의해 셔터본체(15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회동축(117b)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며 연료투입구(C)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셔터본체(151)가 연료투입구(C)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때, 화염안내면(155)은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화염(F)과 연소가스(B)가 상부의 연통(180)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후방화염안내판넬(160)은 후면프레임(115)의 상부에 중심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화염이 연소실의 가운데 영역에 집중되게 안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본체(151)와 후방화염안내판넬(16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화목연료(A)에서 발생된 화염(F)이 연소실의 중심에 위치하게 안내한다.
이 때 셔터본체(151)와 후방화염안내판넬(160) 사이의 공간으로 연소가스(B)가 안내된 후 연통(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부케이싱(123)의 상면 내측에는 복수개의 보강부재(170)가 구비된다. 보강부재(170)는 상부케이싱(123)의 강도를 보강하여 열변형을 줄인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100)의 동작과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30)를 개방하고 바닥판(111)의 연료적재대(113)에 화목연료(A)를 적재한다. 화목연료(A)에 점화하고 도어(130)를 닫으면 푸시로드(135)가 하부로 하강한 오토셔터(150)를 가압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셔터(150)가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적재대(1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O1)와 공기공급패널(140)에서 공급되는 온도가 상승된 공기(O2)에 의해 화목연료(A)는 2차 연소된다.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연소가스(B)는 연통(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연소과정에서 화목연료(A)의 내부투입을 위해 도어(130)를 개방하면, 오토셔터(150)를 가압하던 푸시로드(135)가 이격되므로 오토셔터(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하강되며 연료투입구(C)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연료투입구(C)의 개방면적을 줄이게 된다.
이에 의해 배압밸런스가 유비되어 연소실 내부의 화염(F)과 연소가스(B)가 연료투입구(C)를 통해 실내로 역류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토셔터(150)가 화염(F)과 연소가스(B)를 막아주므로 도어(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열기가 덜 전달되어 보다 안전하게 화목연료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는 내부의 화염을 관찰할 수 있게 큰 크기의 도어가 형성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오토셔터가 구비된다.
오토셔터는 도어가 열려지면 하부로 하강되며 연료투입구의 상부를 덮어 연료투입구의 개방면적을 줄여 배압밸런스가 무너지지 않게 한다.
또한, 오토셔터는 도어가 닫혀지면 도어의 푸시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로 회동되며 도어의 관찰창을 덮지 않아 사용자가 내부를 관찰하는데 간섭되지 않는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화목난로 110 : 프레임부
111 : 바닥판 113 : 연료적재대
113a : 공기유입구 114 : 재받침
115 : 후면프레임 115a : 후면공기유입구
117 : 전면프레임 117a : 도어회동축
117b : 셔텨회동축 117c : 로브지지돌기
117d : 상부공기유입공 118 : 도어지지프레임
119 : 셔터지지프레임 119a : 로브삽입공
120 : 케이싱부 121 : 하부케이싱
123 : 상부케이싱 125 : 연통결합공
126 : 연통결합관 130 : 도어
131 : 도어프레임 131a : 회동축결합공
133 : 투명창 135 : 푸시로드
137 : 손잡이 140 : 공기공급패널
141 : 패널본체 142 : 공기토출구
143 : 상부절곡판 145 : 하부절곡판
150 : 오토셔터 151 : 셔터본체
153 : 프레임결합면 153a : 셔터회동축결합공
155 : 화염안내면 160 : 후방화염안내판넬
170 : 보강부재 180 : 연통
A : 연료
B : 연소가스
C : 연료투입구

Claims (3)

  1. 화목연료가 적재되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후방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후면프레임(115)과, 상기 바닥판(111)의 전방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연료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전면프레임(117)을 갖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바닥판(11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싱(121)과, 상기 후면프레임(115)과 도어프레임(131)을 수용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1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연통결합공(125)이 형성된 상부케이싱(123)을 갖는 케이싱부(120)와;
    상기 전면프레임(117)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료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30)와;
    상기 전면프레임(117)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1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하로 회동되며 상기 도어(130)가 개방되었을 때 하강하며 상기 연료투입구의 상부를 덮어 상기 연료투입구의 개방 면적을 줄이는 오토셔터(150)를 포함하며,
    상기 오토셔터(150)는 상기 연료투입구의 상부를 일부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셔터본체(151)와, 상기 셔터본체(151)의 측면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31)의 상부에 구비된 셔터회동축(117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면(153)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130)의 내측 상부에는 내부를 향해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31)에 닫혀질 때 상기 연료투입구를 덮고 있는 상기 셔터본체(151)를 가압하여 상기 셔터본체(151)를 상부로 회동시키는 푸시로드(1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1)에는 판면에 하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13a)가 형성된 연료적재대(113)가 구비되며,
    상기 후면프레임(115)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후면공기유입구(115a)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후면프레임(115)의 내벽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후면공기유입구(115a)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되며 온도가 상승되게 안내하고,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화목연료 측으로 공급하는 공기토출구(142)가 형성된 공기공급패널(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목연료는 상기 공기유입구(113a)로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1차 연소되고, 상기 공기토출구(142)를 통해 공급되는 온도가 상승된 공기에 의해 2차 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115)의 상부에 내측을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화목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중심영역에 집중되게 유도하는 후방화염안내판넬(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KR1020210015921A 2021-02-04 2021-02-04 화목난로 KR10239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21A KR102395867B1 (ko) 2021-02-04 2021-02-04 화목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21A KR102395867B1 (ko) 2021-02-04 2021-02-04 화목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867B1 true KR102395867B1 (ko) 2022-05-09

Family

ID=8158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21A KR102395867B1 (ko) 2021-02-04 2021-02-04 화목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8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9727A1 (fr) * 1984-10-22 1986-04-30 Cheminees Rene Brisach S.A. Appareil de chauffage d'air ambiant encastrable dans une cheminée dont le volet d'ouverture du conduit des fumées est asservie par la porte d'accès
KR20110042763A (ko) * 2009-10-20 2011-04-27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0468604Y1 (ko) 2013-07-17 2013-08-27 손덕노 화목난로
KR101959138B1 (ko) 2017-09-20 2019-03-15 김태경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20200078427A (ko) * 2020-03-16 2020-07-01 황은미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KR102165526B1 (ko) * 2020-03-13 2020-10-14 김선정 캠핑용 화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9727A1 (fr) * 1984-10-22 1986-04-30 Cheminees Rene Brisach S.A. Appareil de chauffage d'air ambiant encastrable dans une cheminée dont le volet d'ouverture du conduit des fumées est asservie par la porte d'accès
KR20110042763A (ko) * 2009-10-20 2011-04-27 홍성훈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0468604Y1 (ko) 2013-07-17 2013-08-27 손덕노 화목난로
KR101959138B1 (ko) 2017-09-20 2019-03-15 김태경 이중 연소하우징 구조를 갖는 화목난로
KR102165526B1 (ko) * 2020-03-13 2020-10-14 김선정 캠핑용 화목
KR20200078427A (ko) * 2020-03-16 2020-07-01 황은미 스토브용 격벽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468B2 (en) Partition wall assembly for stove
KR102241573B1 (ko) 조립식 캠핑용 화로
KR102395867B1 (ko) 화목난로
KR101250617B1 (ko) 장작 스토브
KR20150145573A (ko) 난로
KR101750331B1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CN201621734U (zh) 内循环地烟式节能烤火炉
KR102437889B1 (ko) 공기순환식 고온연소 화목난로
JP2004061102A (ja) ゴミ焼却機
CN102954497B (zh) 便携式生物质炊事炉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JP6559742B2 (ja) 組み立て式ストーブ
JP7242111B1 (ja) 薪ストーブ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JP7011359B1 (ja) ストーブ
US20220279799A1 (en) Rotary Combustion Furnace
CN220931166U (en) Multipurpose modularization firewood stove that thermal efficiency is high and be convenient for maintain
CN218328261U (zh) 旋转火焰燃料发生炉
CN218269165U (zh) 伸缩炉膛燃薪气化炉
CN213599420U (zh) 一种户外炉二次供风结构
KR101644235B1 (ko) 무동력 이동식 펠렛난로
CN209371316U (zh) 一种煤柴双炉膛的燃炉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20170054762A (ko) 화목 난로
CN213599425U (zh) 一种户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