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465B1 -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465B1
KR102175465B1 KR1020130140377A KR20130140377A KR102175465B1 KR 102175465 B1 KR102175465 B1 KR 102175465B1 KR 1020130140377 A KR1020130140377 A KR 1020130140377A KR 20130140377 A KR20130140377 A KR 20130140377A KR 102175465 B1 KR102175465 B1 KR 10217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pyrogenic silica
particle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633A (ko
Inventor
박정은
박창훈
한상훈
신민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주)피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주)피티엘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4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4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카 복합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자외선 차단제 및 발열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코어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이며,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쉘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COMPOSITE POWD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제 분말이 코어(core) 입자이고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쉘(shell)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 화장품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피부에 홍반, 태닝, 나아가서는 피부암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기능성 화장품이다. 자외선 필터 중 하나로 사용되는 원료 중 Tinosorb S(상품명)가 있는데, 제조원은 바스프, 화학명(INCI명)은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이다. 이 원료는 자외선 A 뿐만 아니라 자외선 B 영역까지 차단해주는 우수한 원료로 알려져있다. 성상은 고체로서 사용시에는 에몰리언트를 용매로 용해시켜 사용하는데, 충분한 용매가 없을 경우, 결정이 석출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O/W 제형에서보다 W/O 제형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심각하게 나타난다. 또한 Tinosorb S를 용해하여 파우더를 제조한 후 실리카 분자체 안에 담지시키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화장품의 제조 공정 중 고온에서 용융하는 왁스상의 분말을 미립화하는 방법은 저온에서의 분쇄 또는 용제를 이용한 용융-석출의 방법으로 가능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가루분말(LOOSE POWDER)을 다루기가 어렵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Tinosorb S는 녹는점이 195℃ 정도로 왁스상의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Tinosorb S를 가루분말의 성상을 갖도록 하여 화장품에 분말 형태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입자 차원의 미소공간에 다른 종류의 소재를 삼차원적으로 배치시켜 공간적으로 특수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입자설계를 바탕으로 Tinosorb S 분말을 복합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879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제 분말 및 탄소 함량이 0.1 내지 7.0중량%인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를 혼합하여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형성하고 기계적 분쇄하여 자외선 차단제 입자 표면에 발열성 실리카를 부착-고정화함으로써 분산 안정성, 특히 유중 분산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차단제의 석출 및 복합입자의 응집과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카 복합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자외선 차단제 및 발열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코어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이며,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쉘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0.1 내지 7.0중량%의 탄소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복합입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0중량%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트리아진, 트라아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노소브 S (Tinosorb 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비표면적이 50 내지 300㎡/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알킬실란, 할로겐알킬실란, 알킬실라잔, 알콕시알킬실란 및 알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되어 알킬기가 표면에 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입자크기의 비율이 1:10 내지 1:1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인 자외선 차단제 및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를 혼합하여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체를 분쇄함으로써 복합화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코어(core) 입자이고 상기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쉘(shell)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복합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쇄는 메카노 퓨전(mechano fusion)법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쇄는 크러싱(crushing) 타입, 쉬어링(shearing) 타입, 임팩트(impact) 타입, 서라운딩 미디엄(surrounding medium) 타입 및 열충격, 폭발력 또는 유체이동을 이용하는 넌메커니컬(nonmechanical) 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제/실리카 복합입자의 코어쉘 형태의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고, 분산 안정성, 특히 유중 분산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므로, 기존 화장료의 단점인 자외선 차단제의 석출 및 복합입자의 응집과 분리 등을 방지함으로써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코어/쉘 형태의 복합입자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인 자외선 차단제 및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를 혼합하여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체를 분쇄함으로써 복합화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코어(core) 입자이고 상기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쉘(shell)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복합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복합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리카 복합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인 자외선 차단제 및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를 혼합하여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차단제는, 분말을 분쇄 및 분급하여 입자 크기를 200㎛ 이하로 균일하게 제조하여 사용한다. 자외선 차단제의 입자크기가 0.1㎛ 미만이거나 200㎛이면, 이종 입자간의 부착이 없는 혼합 상태인 랜덤 혼합체(Random Mixture)와 달리, 두 종류 이상의 입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부착이 일어나는 혼합 상태인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단제 코어 입자의 입도 분석은 표준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입자가 70mesh를 전부 통과하면 입자 크기가 200마이크로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차단제는 트리아진, 트라아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트리아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일 수 있고, 이의 상품명은 티노소브 S (Tinosorb S)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이다.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0.1 내지 7.0중량%의 탄소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발열성 실리카의 입자크기는 자외선 차단제 분말과 혼합되기 이전 발열성 실리카의 원래 입자 크기를 말한다.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의 입자크기는 5 내지 100nm, 보다 구체적으로 5 내지 60nm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0nm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 사용 가능한 실리카(silica) 분말은 비정질 실리카로서, 실리카 겔(silica gel),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 및 습식 실리카(precipitated silica)가 있는데, 실리카 겔 분말과 습식 실리카 분말의 입자크기는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얻기 위한 쉘로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크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입자크기가 5 내지 100㎚인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입자크기의 비율은 1:10 내지 1:100일 수 있다. 코어가 되는 자외선 차단제 분말의 입자크기가 쉘이 되는 발열성 실리카의 입자크기에 비하여 10배 이상 작을 때 이후 진행되는 메카노 퓨전(mechano fusion)에 의한 분쇄가 가능하고, 100배 보다 더 작아지면 사이즈가 너무 작아 메카노 퓨전에 의한 제조가 불가능하다.
또한, 실리카는 자외선 차단제 분말 입자의 표면에 달라 붙기 쉽고, 열에 안정하므로 자외선 차단제 분말의 성질을 제어하는 제어물질로서 적합한바,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인 자외선 차단제 분말을 코어 입자로 하고,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실리카를 쉘 입자로 하는 경우 고도로 균질화된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비표면적이 50 내지 300㎡/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90 내지 290㎡/g, 더욱 바람직하게 125 내지 175㎡/g일 수 있다.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의 비표면적이 50㎡/g 미만이면 이후 진행되는 메카노 퓨전에 의해 분쇄될 가능성이 있고, 300㎡/g 초과이면 복합입자 분말을 얻을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 비표면적은 BET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는 실리콘 화합물로 표면처리되어 탄소 함량이 0.1 내지 7.0중량%인 것이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로서, 알킬실란, 할로겐알킬실란, 알킬실라잔, 알콕시알킬실란 및 알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할 수 있고, 이러한 표면처리에 의하여 발열성 실리카의 표면에 알킬기가 분포하게 되어 탄소 함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클로로알킬실란(chloroalkylsilanes),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등일 수 있다. 즉,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의 표면은 표면 실란올이 다량으로 분포한 친수성 표면으로, 여기에 실리콘 화합물의 표면처리로 알킬기가 표면에 분포하도록 함으로써 발수성을 가지는 표면으로 바꾸어 주고, 실라카 본래의 표면장력보다 낮은 알킬기의 표면장력으로 바꾸어 주어, 유중 분산시 분산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표면 상태가 된다.
탄소를 0.6 내지 1.2중량% 함유하는 Aerosil R972(EVONIK Industries)가 대표적인 발수성을 갖는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로 시판되고 있고, 탄소 함량이 0.1 내지 7.0중량%까지 다양한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도 시판되고 있다.
그 다음, 상기 혼합체를 분쇄함으로써 복합화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제 분말이 코어(core) 입자이고 상기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쉘(shell)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복합입자 분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쇄는 메카노 퓨전(mechano fusion)법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쇄기의 분쇄력을 이용한 기계적 입자 복합화 방법인 메카노 퓨전(mechano fusion)법은 입자끼리 또는 입자와 기계 장치간의 접촉과 마찰을 이용한 복합화 방법으로, 이종 입자간의 부착이 없는 혼합 상태인 랜덤 혼합체(Random Mixture)와 다르게 두 종류 이상의 입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부착이 일어나는 혼합 상태인 정렬된 혼합체(Ordered Mixture) 상태에서 가능한 방법으로, 대전성이 크고(유기/무기계) 대상물질인 코어와 제어물질인 쉘의 크기의 비가 1/10 보다 작을 때 효과적이며, 기계적 에너지를 코어 입자와 쉘 입자에 공급함으로써 코어 입자를 코어/쉘(core/shell) 형태로 변형시켜 복합화하는 방법이다. 또한 코어 입자에는 모든 방향으로 기계적 힘이 가해지고 쉘 입자에는 단일방향으로만 힘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복합화가 가능하며, 입자의 크기가 3마이크로미터 이상일 때 기계적 에너지가 모든 방향에 고루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메카노 퓨전(mechano fusion)법에 의한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은 다양한 분쇄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용 가능한 기계장치는 분쇄하고자 하는 물질에 분쇄력이 가해지는 방식에 따라, 1) 두 물질 표면에 가해지는 크러싱(crushing), 쉬어링(shearing) 타입, 2) 하나의 물질 표면에 가해지는 임팩트(impact) 타입, 3) 물질 표면에 직접 가해지지 않고 주위 매체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서라운딩 미디엄(surrounding medium) 타입, 4) 분쇄력의 에너지를 기계장치가 아닌 열충격, 폭발력 또는 유체이동 등을 이용하는 넌메커니컬(nonmechanical) 타입이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Jaw crushers, Gyratory crusher, Impact mills, Roll crushers, Dry pans and crusher mills, Shredders, Rotary cutters and dicers, Media mills, Peripheral-speed mills, Fluid-energy superfine mill 을 사용할 수 있고, 단독 또는 여러가지 기계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인 자외선 차단제 분말이 코어(core)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쉘(shell)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제공한다.
코어 입자를 기준으로, 쉘 입자가 메카노 퓨전법에 의하여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하여 코어 입자를 둘러싼다. 코어 입자를 둘러싸고 쉘 입자가 결합하면, 그 후 쉘 입자가 겹쳐서 결합할 수 있다. 겹쳐서 결합된 쉘 입자 이후에도 더 많은 쉘 입자가 추가적으로 겹쳐서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코어/쉘 입자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쉘 입자 각각은 구분을 위하여 다른 색으로 표시하였으나 동일한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은 쉘이 실리카이기 때문에 표면개질된 실리카 표면의 탄소 함량 조성에 따라 복합입자의 표면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자외선 차단제/실리카 복합입자를 화장품에 사용하기 위해 유중 분산시켰을 때, 표면장력이 분산매보다 낮도록 조절된 복합입자를 분산시키는 경우 자외선 차단제/실리카 복합입자의 표면층이 되는 실리카가 자외선 차단제와 분산매 사이의 계면막처럼 거동하여 왁스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 상태로 분산 안정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제 분말이 코어(core) 입자이고 발열성 실리카(pyrogenic silica)가 쉘(shell)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이 0.1 내지 50.0중량% 함유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 분말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200㎛이며, 상기 발열성 실리카의 입자크기는 5 내지 100nm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0중량%, 바람직하게 1.0 내지 20.0중량%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일 수 있고, 특히 유중 분산시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므로 화장품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 분말의 제조
1) 입자의 크기가 15~20㎚이고 BET 표면적(surface area)이 110±20 ㎡/g이며, 탄소 함량(carbon content)이 0.6~1.2 중량%인 Aerosil R972, 150g과 100메쉬(mesh) 표준체로 분급된 Tinosorb S 분말, 850g을 5L실린더 볼밀(Ball Mill)에 투입하고 지르코니아볼 Ø5mm 300g을 투입한 후 35rpm으로 1시간 처리하였다.
2) 상기 1)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0메쉬(mesh) 표준체로 걸러서 지르코니아 볼을 제거하였다.
3) 상기 2)에서 얻어진 Tinosorb S/Silica 혼합물을 로터(Rotor) 직경이 12㎝, Max 9600rpm인 해머밀(Hammer Mill)로 1회 처리하였다.
4) 상기 3)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공기압 6kg/cm2인 조건에서 기류충격식 에어제트밀로 1회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된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 분말의 입자크기가 20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 분말의 제조
1) 입자의 크기가 10~15㎚이고 BET 표면적(surface area)이 150±25 ㎡/g이고, 탄소 함량(carbon content)이 4.5~6.5 중량%인 Aerosol R805, 150g과 150메쉬(mesh) 표준체로 분급된 Tinosorb S 분말, 850g을 5L실린더 볼밀(Ball Mill)에 투입하고 지르코니아볼 Ø5mm 300g을 투입한 후 35rpm으로 1시간 처리하였다.
2) 상기 1)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0메쉬(mesh) 표준체로 걸러서 지르코니아 볼을 제거하였다.
3) 상기 2)에서 얻어진 Tinosorb S/Silica 혼합물을 로터(Rotor) 직경이 12㎝, Max 9600rpm인 해머밀(Hammer Mill)로 1회 처리하였다.
4) 상기 3)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공기압 6kg/cm2인 조건에서 기류충격식 에어제트밀로 1회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된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 분말의 입자크기가 15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3]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 분말의 제조
1) 입자의 크기가 5~10㎚이고 BET 표면적(surface area)이 260±30 ㎡/g이고, 탄소 함량(carbon content)이 2.0~3.0 중량%인 Aerosol R812, 150g과 200메쉬(mesh) 표준체로 분급된 Tinosorb S 분말, 850g을 5L실린더 볼밀(Ball Mill)에 투입하고 지르코니아볼 Ø5mm 300g을 투입한 후 35rpm으로 1시간 처리하였다.
2) 상기 1)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10메쉬(mesh) 표준체로 걸러서 지르코니아 볼을 제거하였다.
3) 상기 2)에서 얻어진 Tinosorb S/Silica 혼합물을 로터(Rotor) 직경이 12㎝, Max 9600rpm인 해머밀(Hammer Mill)로 1회 처리하였다.
4) 상기 3)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공기압 6kg/cm2인 조건에서 기류충격식 에어제트밀로 1회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제조된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 분말의 입자크기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들 및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입자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유성성분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유성성분2를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수성성분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4) 상기 (3)에 상기 (1)을 교반 하에 온도(70-75℃)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서히 투입한 후에 상기(2)를 투입하였다.
(5) 상기 (4)에 수성성분 2를 천천히 투입한 후, 냉각하여 크림 제형의 수중유형(O/W) 에멀젼을 얻었다.
[비교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들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유성성분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유성성분2를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수성성분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4) 상기 (3)에 상기 (1)을 교반 하에 온도(70-75℃)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서히 투입한 후에 상기 (2)를 투입하였다.
(5) 상기 (4)에 수성성분2를 천천히 투입한 후, 냉각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얻었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4 비교예1
#1 #2
유성성분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6.5 7.5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0 2.0
C12-15 알킬벤조에이트 7.0 7.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상품명: Tinosorb S) - 6.0
메도우폼시드오일 0.5 0.5
방부제 0.3 0.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유성성분2 실리카 1.0 -
이산화티탄/스테아릭애씨드/알루미나 5.15 5.15
Tinosorb S/S Silica 복합입자(실시예 2 소재) 7.06 -
사이클로메치콘 3.0 3.0
디메치콘 0.5 0.5
페닐트리메치콘 2.0 2.0
수성성분1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5.0 5.0
부틸렌글리콜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치마버섯다당체액 2.0 2.0
방부제 0.5 0.5
트레할로스 0.5 0.5
나토검 0.02 0.02
수성성분2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 20 1.0 1.0
[실시예 5]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따른 성분들 및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입자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수성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유성성분1을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켰다.
(3) 유성성분 2를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4) 상기 (2)에 상기 (3)을 실온상태에서 교반 하에 천천히 투입하였다.
(5) 상기 (4)에 교반 하에 실온상태에서 상기 (1)을 서서히 투입하여 유중 수형 에멀젼을 얻었다.
[비교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따른 성분들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수성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유성성분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유성성분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4) 상기 (2)에 상기 (1)을 교반 하에 천천히 투입하였다.
(5) 상기(4)에 교반 하에 실온상태에서 상기 (1)을 서서히 투입하여 밀크제형의 유중수형(W/O) 에멀젼을 얻었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5 비교예2
수성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10.0 10.0
방부제 0.4 0.4
유성성분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0 2.0
옥틸살리실레이트 4.0 4.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상품명: Tinosorb S) - 6.0
유성성분2 피이지-10디메치콘 1.0 1.0
Tinosorb S/S Silica 복합입자(실시예2 소재) 7.06 -
이산화티탄/스테아릭애씨드/알루미나 1.0 1.0
페닐트리메티콘 2.0 2.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5.0 25.0
[시험예 1] 자외선 차단력 시험
Tinosorb S를 용매에 녹여 사용한 경우의 비교예 1과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로 사용한 실시예 4의 자외선 차단 지수를 in-vivo 테스트를 통하여 비교,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차단력 시험 결과
SPF PFA(PA)
실시예 4 60.5 10(+++)
비교예 1 56.8 8(+++)
상기의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로 사용한 경우가 SPF및 PFA값이 Tinosorb S를 용매에 녹여 사용한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Tinosorb S를 용매에 녹여 사용하지 않고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의 형태로도 사용하여도 자외선 차단력의 감소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안정도 확인시험
Tinosorb S를 용매에 녹여 사용한 경우의 비교예 2와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로 사용한 실시예 5에서의 Tinosorb S가 석출이 되는지의 안정도를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안정도 확인시험 결과(4주 후)
항온조 온도 실시예5 비교예2
45℃ O O
37℃ O O
실온 O O
5℃ O X
영하20℃ O X
O: 안정, X: 석출
상기의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로 사용한 경우인 실시예 5에서는 모든 온도에서 Tinosorb S가 석출되는 현상은 없었으며, Tinosorb S를 용매에 녹여 사용한 비교예 2에서는 5℃, 영하 20℃에서 Tinosorb S의 석출이 관찰되었다. Tinosorb S를 용매에 녹여 사용하는 경우는 석출의 문제가 있지만, 녹이지 않고 분체 그대로 사용하는 Tinosorb S/Silica 복합입자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 석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8)

  1. 실리카 복합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자외선 차단제 및 발열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코어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이며,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쉘 입자이고,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이고,
    상기 코어 입자와 쉘 입자가 서로 기계적으로 복합화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0.1 내지 7.0중량%의 탄소를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복합입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0중량%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인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트리아진, 트라아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노소브 S(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인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비표면적이 50 내지 300㎡/g인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알킬실란, 할로겐알킬실란, 알킬실라잔, 알콕시알킬실란 및 알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되어 알킬기가 표면에 분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 발열성 실리카는 입자크기의 비율이 1:10 내지 1:100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 1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입자크기가 0.1 내지 200㎛인 자외선 차단제 및 입자크기가 5 내지 100nm인 발열성 실리카를 혼합하여 정렬된 혼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체를 분쇄함으로써 복합화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코어 입자이고 상기 발열성 실리카가 쉘 입자인 코어/쉘 형태의 복합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는 메카노 퓨전법에 의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탄소 함량이 0.1 내지 7.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트리아진, 트라아존, 신나메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노소브 S(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비표면적이 50 내지 300㎡/g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실리카는 알킬실란, 할로겐알킬실란, 알킬실라잔, 알콕시알킬실란 및 알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되어 알킬기가 표면에 분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 발열성 실리카는 입자크기의 비율이 1:10 내지 1:100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삭제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는 크러싱 타입, 쉬어링 타입, 임팩트 타입, 서라운딩 미디엄 타입 및 열충격, 폭발력 또는 유체이동을 이용하는 넌메커니컬 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40377A 2013-11-19 2013-11-19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377A KR102175465B1 (ko) 2013-11-19 2013-11-19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377A KR102175465B1 (ko) 2013-11-19 2013-11-19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33A KR20150058633A (ko) 2015-05-29
KR102175465B1 true KR102175465B1 (ko) 2020-11-09

Family

ID=5339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377A KR102175465B1 (ko) 2013-11-19 2013-11-19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864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45B1 (ko) * 2001-09-14 2006-09-1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카 코팅된 혼합 결정 산화물 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그것을 사용한 화장품 재료
US20120156268A1 (en) 2009-06-19 2012-06-21 U.S. Cosmetic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uv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945B1 (ko) * 2005-06-30 2007-08-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다층으로 캡슐화된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졸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6658A (ko) *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기공 내 유기계자외선 차단제와 금속산화물을 함께 담지한유무기 복합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96306B1 (ko) * 2008-11-17 2011-12-20 (주)아모레퍼시픽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94141B1 (ko) * 2008-11-28 2011-12-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및 이의 용도
KR20120021926A (ko) * 2010-08-23 2012-03-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리콘 파우더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795A (ko) 2010-11-30 2012-06-08 (주)아모레퍼시픽 나노 기공을 갖는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945B1 (ko) * 2001-09-14 2006-09-14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카 코팅된 혼합 결정 산화물 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그것을 사용한 화장품 재료
US20120156268A1 (en) 2009-06-19 2012-06-21 U.S. Cosmetic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uv protection
JP2012530711A (ja) 2009-06-19 2012-12-06 ユー.エス. コスメ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高められた紫外線防御のための化粧用組成物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Lu et al, Mechanical Engineering, Materials and Energy, 2011, Vols.148-149, pp.1011-1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633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318B2 (en) Dispersion
TW486369B (en) Ultraviolet shielding fine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smetics
JP653532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TWI452015B (zh) Zinc oxide particles,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cosmetic, an exoergic filler, heat-dissipating resin composition, heat radiation grease and exoergic coating compositions
US8691251B2 (en) Core-shell particles with a high content of glycerol, their production and use
ES2736274T3 (es) Partículas de óxido de zinc en forma de cilindro hexagonal,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para las mismas, y material cosmético, relleno disipador de calor, composición de resina disipadora de calor, grasa disipadora de calor y composición de revestimiento disipadora de calor que contienen la misma mezcla
JP5967087B2 (ja) 丸み状酸化亜鉛粒子の製造方法
BR112019016318A2 (pt) Carbonato de cálcio funcionalizado para aumentar a proteção solar
CA2864393A1 (en) Spherical zinc oxide particle consisting of integrated plate-like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osmetic, and thermal conductive filler
JP5427997B2 (ja) 乳化分散組成物、この製造方法及び両親媒性粒子水性分散体
KR102175465B1 (ko)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81239A (zh) 具有紫外线屏蔽效果和皮脂固化能力的化妆品用组合物及化妆品
JP6919650B2 (ja) 液状分散体及びその用途
JPH09249542A (ja) 紫外線遮蔽剤及び紫外線遮蔽効果を有する皮膚外用剤
JP6733312B2 (ja) 液状分散体及びその用途
JP2004168913A (ja) 紫外線吸収性複合粉体
GB2315064A (en) Dispersion of ultra-violet intercepting agent
JP6433802B2 (ja) 油中水乳化型紫外線防御用化粧料
JP4741905B2 (ja) 紫外線遮蔽用の複合粒子を配合した化粧料
KR101199200B1 (ko) 자외선 흡수제 포접 점토광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JP2020186180A (ja) 複合粉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
KR20210075074A (ko) 이산화티탄 분산액
CN113677759B (zh) 生物降解性树脂颗粒和含有其的外用剂
JP2014214146A (ja) 紫外線遮蔽剤
KR101638014B1 (ko) 아보벤존/실리카 복합입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