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306B1 -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306B1
KR101096306B1 KR1020080113976A KR20080113976A KR101096306B1 KR 101096306 B1 KR101096306 B1 KR 101096306B1 KR 1020080113976 A KR1020080113976 A KR 1020080113976A KR 20080113976 A KR20080113976 A KR 20080113976A KR 101096306 B1 KR101096306 B1 KR 10109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capsule
cosmetic composition
iron oxide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063A (ko
Inventor
최선경
이찬기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1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3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캡슐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탄을 캡슐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80중량%로 함유하는 캡슐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40.0중량%로 포함함으로써 이산화티탄의 뭉침을 개선하여 퍼짐성이 좋고, 균일한 도포면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캡슐에 산화철을 캡슐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30.0중량%로 함유시킴으로써 백탁현상을 크게 개선시켜 내추럴한 메이크업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티탄, 산화철, 백탁현상, 메이크업 화장료, 마이크로캡슐

Description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good spreadability and natural look}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캡슐을 포함하여 피부 골낌 없이 퍼짐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도포면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산화티탄 캡슐에 산화철을 함유하여 백탁현상을 개선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이크업 화장료는 분체와 오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구성비,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페이스 파우더, 콤팩트, 파우더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등으로 구분된다. 이 메이크업 화장료의 분체 구성 중 자외선 차단 효과와 커버력을 위해 첨가하는 것이 바로 이산화티탄이다. 이산화티탄은 그 목적에 따라 자외선 차단용 이산화티탄과 커버력을 올리기 위한 목적의 착색용 일반 이산화티탄으로 나뉘어 진다. 자외선 차단용으로 사용되는 이산화티탄은 자외선 차단 능력을 가지기 위해 그 사이즈가 10~200nm의 사이즈를 갖는다. 반면 착색용 일반 이산화티탄은 200~350nm 이상의 사이즈를 가지며, 자외선 차단 능력은 거의 없으나 은폐력이 뛰어나 피부의 기미, 주근깨, 홍반 등의 색상적으로 고르지 못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들 이산화티탄은 전이 금속을 함유하여 전기적 전하를 가질 수 있어 쉽게 응집되기 때문에 원료끼리 쉽게 뭉친다. 이로 인해 제형 안에서 흰색 티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도포가 어려워 불규칙한 도포면을 가진다. 또한,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빛 반사율이 높아 제품을 피부에 도포 후 의도하지 않은 흰색이 강하게 올라오게 하여 이른 바 백탁현상을 유발시킨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퍼짐성이 좋아 균일하게 피부도포가 가능하면서도, 강하게 흰색이 올라오지 않아 자연스런 화장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연구한 결과, 이산화티탄을 구형으로 캡슐화시킨 입자를 함유한 메이크업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퍼짐성이 좋아 균일하게 도포될 뿐만 아니라 외관의 구형으로 인해 난반사를 일으켜 화사함을 주는 동시에 자연스런 화장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캡슐에 산화철을 함유할 경우, 기존 화장 후 하얗게 들떠 보이는 백탁현상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 캡슐을 사용하여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 효과를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을 포함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캡슐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8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상기 캡슐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4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캡슐에 산화철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응집이 강한 기존 이산화티탄 대신에 구형의 이산화티탄 캡슐을 사용함으로써 퍼짐성을 증가시켜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게 하며, 구형의 외관으로 인해 자연스런 화장효과가 가능하다. 또한 본 이산화티탄 캡슐에 산화철을 함유시킬 경우에는 백탁현상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을 사용하며, 또한 상기 캡슐에 산화철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을 사용함으로써 퍼짐성이 좋고 균일한 도포가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산화티탄을 캡슐화 시키기 위해서는 싸는 물질인 쉘 물질(Shell Material)을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킨 후, 분산시키고자 하는 코어(Core) 물질인 이산화티탄을 이에 첨가하고 화장료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혼합시켜가면서 분무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이산화티탄을 캡슐화시킨다. 이때, 쉘 물질을 휘발성 용매와 섞는 단계에서 쉘 물질은 10~50중량%으로 사용하고, 휘발성 용매는 50~90중량%로 섞어서 사용한다. 쉘 물질이 10중량% 미만일 때에는 이산화티탄을 캡슐화하기 힘들며, 50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최종 산물인 이산화티탄 캡슐 내에 쉘 물질의 함량이 높아져 이산화티탄에 의한 화사함을 부여하기 힘들다. 또한, 이산화티탄은 최종 휘발성 용 매를 휘발시킨 후의 이산화티탄 캡슐 전체 중량의 20~8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쉘 물질은 (메타)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류,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류, 셀룰로오스 석시네이트류 및 이들의 혼합물들 혹은, 그 자신 혹은 서로의 혼합물로써 취해진 식물성 왁스들 혹은, 그 자신 혹은 서로의 혼합물로써 취해진 경화된 식물성 오일들, 혹은 글리세롤 및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의 모노- 및/또는 디- 및/또는 트리에스테르류, 혹은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류, 디에스테르류 및 트리에스테르류의 혼합물들 혹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캡슐화를 위한 쉘 물질은 이산화티탄을 싸기 위한 물질로, 서로 엉기기 쉬운 이산화티탄을 균일하게 용매 내에서 분산시켜, 결정화시킴으로써 제형 내에 이산화티탄을 균일하게 퍼져있도록 하고, 파우더의 퍼짐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휘발성 용매는 건조 분무 과정에서 휘발되어 최종 산물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쉘 물질을 용해시켜 균일한 캡슐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휘발성 물질로 아세톤을 사용하였으나, 사용하는 쉘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고, 휘발이 가능한 물질을 선택하면 되고, 정제수, 에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 여 1.0~40.0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캡슐에서 이산화티탄은 캡슐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8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화사함을 부여하기 힘들며, 캡슐화를 위해 넣어준 쉘 물질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제형 내에서 뭉침을 유발한다. 또한, 80중량% 초과의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경우, 이산화티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쉘 물질의 양이 적어서 쉽게 입자가 깨져버리고, 캡슐 내 이산화티탄이 뭉쳐 균일한 커버력을 나타내기 힘들 뿐 아니라, 퍼짐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의 입경은 200nm~3㎛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nm~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 때 퍼짐성이 좋고 화사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화장 효과가 가능하다. 캡슐의 입경이 200nm 미만일 경우에는 작은 입자 사이즈로 인해 뭉침이 유발되어 퍼짐성이 낮으며, 3㎛ 초과의 이산화티탄 캡슐을 사용할 경우에는 거친 사용감으로 인하여 도포가 불규칙적일 뿐 아니라, 큰 사이즈로 인해 오히려 자연스런 화장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캡슐에 포함되는 이산화티탄은 입경이 10~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10nm 미만의 것을 사용할 때에는 피부 내 침투 가능성으로 인해 피부 자극이 우려되며, 100nm 초과의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경우에는 큰 사이즈로 인해 캡슐 내 균일한 이산화티탄 캡슐화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백탁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에 산화철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산화철을 함유한 이산화티탄 캡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이산화티탄 캡슐과 유사하며, 코어(core) 물질 준비 단계에서 이산화티탄과 산화철을 아지믹서(Agi-Mixer)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거친다. 이 때 산화철은 황색 산화철(FeOOH), 적색 산화철(Fe2O3), 갈색 산화철(Fe2O3), 흑색 산화철(Fe3O4)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한가지 색 혹은 피부색과 같이 원하는 색상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산화철은 이산화티탄 캡슐 전체 중량 대하여 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이면 백탁현상이 줄어드는 효과가 미비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본 원료를 사용하여 색조화장료를 만들 경우, 피부색과 유사한 색상을 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백탁현상을 줄이는 효과와 자연스런 색상을 고려할 때 산화철의 함량은 캡슐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 파우더, 콤팩트, 파우더 파운데이션 또는 투웨이케익,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 및 비교예 1은 입경 20~35nm의 이산화티탄 65중량%를 함유한 캡슐을 포함한 것으로서 실시예 1은 입경이 500nm인 캡슐을 포함한 것이고, 비교예 1은 입경이 4㎛인 캡슐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2는 이산화티탄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TiO2 CR50을 사용한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이산화티탄을 캡슐화시키기 위한 쉘 물질로는 테레프탈릭 애씨드/아이소프탈릭 애씨드/클라이콜 코폴리머를 사용하였고, 휘발성 용매로는 아세톤을 사용하였다. 상기 쉘 물질을 휘발성 용매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이산화티탄을 분산시킨 후, 분무 건조단계를 거쳐서 이산화티탄을 캡슐화시켰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는 다음의 방법으로 각각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1의 1~10을 평량하여 헨슬믹서로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원료 11~14를 8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분무 혼합하고 헨슬믹서로 분쇄 및 혼합하여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 탈크 To 100 To 100 To 100
2. 세리사이트 10.0 10.0 10.0
3. 실리카 3.0 3.0 3.0
4. 바륨설페이트 5.0 5.0 5.0
5. 이산화티탄 - - 5.0
6. 이산화티탄 캡슐 (500nm) 7.7 - -
7. 이산화티탄 캡슐 (4㎛) - 7.7 -
8. 적색 산화철 (Fe2O3) 0.8 0.8 0.8
9. 황색 산화철 (FeOOH) 2.0 2.0 2.0
10. 흑색 산화철 (Fe3O4) 0.2 0.2 0.2
11. 스쿠알렌 3.0 3.0 3.0
12. 메도폼시드 오일 3.0 3.0 3.0
13. 방부제 0.2 0.2 0.2
14. 향료 0.3 0.3 0.3
[시험예 1] 사용감 및 화장의 자연스러움, 안식각 평가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파우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화장의 자연스러움에 대하여 25~35세 여성으로 이루어진 전문패널 35명이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이때 가장 좋지 않은 평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좋은 평가 점수를 10로 하는 점수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안식각은 Seishin Multi Tester MT-1000기기를 사용하여 진동 강도를 10으로 하고, 파우더가 떨어지는 시간인 Feeder를 60초로 하여, 측정하였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감
(거침, 촉감, 관능퍼짐성)
7.5 6.8 5.3
화장의 자연스러움(백탁현상) 5.8 4.5 4.2
안식각 51 57 65
평가 등급 : 1~10, 1: 매우 나쁨, 5: 보통, 10: 매우 좋음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중의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산화티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각 평가 품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사용감과 균일한 도포의 평가 항목의 경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비교예 2보다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기존 이산화티탄의 경우, 쌀알모양 불리는 입상반(granule)형상을 하는 반면,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은 구형을 가지기 때문에 거친 느낌 없이 쉽게 퍼져 응집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실시예 1이 비교예 1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확보하였는데, 이는 비교예 1의 경우, 캡슐의 크기가 커지면서 큰 사이즈에서 오는 입자감 때문에 거칠게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백탁현상의 경우에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경우가 더 좋게 평가되었는데, 이는 기존 사용되고 있는 이산화티탄은 입자간 응집이 심한 반면, 새롭게 적용한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은 이산화티탄 중간중간을 쉘 물질이 가로막아 균일한 이산화티탄의 분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구형의 결정성으로 인해 입자간 닿는 표면을 작게 하여 응집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안식각은 파우더를 자유낙하시켜, 퇴적시킬 때 흘러내리지 않고, 퇴적될 수 있는 최대의 경사각으로, 안식각이 작으면, 파우더의 흐름성이 좋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2에 비해 이산화티탄을 캡슐화시킨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안식각이 작게 측정되었다. 이는 구형으로 캡슐화 시킨 이산화티탄이 기존의 이산화티탄의 형태인 입상반(granule)형상보다 파우더입자간의 닿는 면적이 작아 마찰력을 작게 받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서도 안식각이 작아 흐름성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이산화티탄 캡슐은 동일 질량으로 넣었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실시예 1이 비교예1에 비해 많은 수의 이산화티탄 캡슐을 포함하였고, 결과적으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수적으로 구상의 함량이 높아 흐름성이 더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예 2] 실시예 2 및 3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산화철을 더 함유시킬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캡슐에 산화철을 각각 0.5중량%, 2.0%중량 함유한 실시예 2 및 3을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캡슐화된 이산화티탄-산화철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코어(Core) 물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이산화티탄과 산화철을 아지믹서(Agi-Mixer)로 10분가량 혼합하는 단계를 더 거쳤다.
실시예 2 및 3의 제조는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1~9를 평량하여 헨슬믹서로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원료 10~13를 8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분무 혼합하고 헨슬믹서로 분쇄 및 혼합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이산화티탄 캡슐은 상기 참고예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500nm 크기를 사용하였다.
성분명 (중량%) 실시예 2 실시예 3
1. 탈크 To 100 To 100
2. 세리사이트 10 10
3. 실리카 3 3
4. 바륨설페이트 5 5
5. 이산화티탄 캡슐 (산화철 0.5% 함유) 7.7 -
6. 이산화티탄 캡슐 (산화철 2.0% 함유) 7.7
7. 적색 산화철 (Fe2O3) 0.8 0.8
8. 황색 산화철 (FeOOH) 2.0 2.0
9. 흑색 산화철 (Fe3O4) 0.2 0.2
10. 스쿠알렌 3 3
11. 메도폼시드 오일 3 3
12. 방부제 0.2 0.2
13. 향료 0.3 0.3
[시험예 2] 화장의 자연스러움, 커버력 평가 테스트
상기 실시예 1~3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화장의 자연스러움 및 커버력에 대하여 25~35세 여성으로 이루어진 전문패널 35명이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이 때 가장 좋지 않은 평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좋은 평가 점수를 10로 하는 점수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화장의 자연스러움(백탁현상) 5.8 6.5 7.0
커버력(잡티 은폐능력) 7.3 7.4 7.6
평가 등급 : 1~10, 1: 매우 나쁨, 5:보통, 10: 매우 좋음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 캡슐에 산화철을 넣은 실시예 2 및 3의 경우, 메이크업 화장료의 백탁도가 개선되어 화장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산화티탄만을 함유한 캡슐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는 380~770nm 가시광석 영역의 빛을 반사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백탁현상을 크게 유발하는 반면, 산화철을 함유한 이산화티탄-산화철 함유 캡슐을 이용하는 실시예 2 및 3의 경우는, 이산화티탄에 의해 반사된 빛이 입자 내 산화철에 일부분 흡수되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반사 빛의 양을 줄였기 때문에 백탁현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산화티탄-산화철 함유 캡슐 내 산화철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빛 반사량 감소가 크게 되어 실시예 3이 실시예 2에 비하여 백탁현상 감소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화철의 함량에 따른 피부 커버력에 있어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산화철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커버력도 높아져서 피부 결점을 보정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이산화티탄 및 산화철을 함유한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티탄은 입경이 10~100nm이고, 캡슐은 입경이 200nm 이상 1㎛ 미만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캡슐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8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4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철은 캡슐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우더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또는 메이크업베이스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13976A 2008-11-17 2008-11-17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9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76A KR101096306B1 (ko) 2008-11-17 2008-11-17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76A KR101096306B1 (ko) 2008-11-17 2008-11-17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63A KR20100055063A (ko) 2010-05-26
KR101096306B1 true KR101096306B1 (ko) 2011-12-20

Family

ID=4227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76A KR101096306B1 (ko) 2008-11-17 2008-11-17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565A (ko) 2013-12-04 2015-06-15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465B1 (ko) * 2013-11-19 2020-11-09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카 복합입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7352B1 (ko) 2015-06-30 2021-08-0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565A (ko) 2013-12-04 2015-06-15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63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0472B (en) Cosmetic composition
KR100717490B1 (ko) 티탄실리카 복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AU623662B2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ing composition or cosmetic
JP6938381B2 (ja) タルク微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H10504520A (ja) 複合uvサンブロック組成物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EP3243501A1 (en) Cosmetics with excellent ultraviolet screening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96306B1 (ko) 퍼짐성이 좋고 자연스런 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878447B2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
JP2010510239A (ja) 二酸化チタンおよび透明酸化鉄を含有する紫外線防御化粧料
EP2684557B1 (en) Foundation cosmet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2915037A (zh) 一种防水眼影湿粉及其制备方法
KR20120049589A (ko) 표면이 개질된 화장료용 안료 및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48004B1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S62187770A (ja) 紫外線遮へい顔料
JPH04139109A (ja) 化粧料
CN115400035A (zh) 珠光眼影及其制备方法
JPS6157653A (ja) 二酸化チタン被覆シリカビ−ズ、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KR102211786B1 (ko) 흡수성 및 흡유성이 향상된 화장품용 조성물
KR101905021B1 (ko) 화장료용 색소 또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다중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JP3908889B2 (ja) 粉末化粧料
EP3470050A1 (en) Use of calcined kaolin as a mattifying agent
KR101199140B1 (ko) 곡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0538B1 (ko) 자외선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갖는 안티폴루션 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1286B1 (ko) 블루라이트 및 자외선 차단, 내수성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선케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