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421B1 -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421B1
KR102171421B1 KR1020170185031A KR20170185031A KR102171421B1 KR 102171421 B1 KR102171421 B1 KR 102171421B1 KR 1020170185031 A KR1020170185031 A KR 1020170185031A KR 20170185031 A KR20170185031 A KR 20170185031A KR 102171421 B1 KR102171421 B1 KR 10217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olyamide
di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427A (ko
Inventor
이상화
서영득
염경태
홍상현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8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21B1/ko
Priority to US16/234,894 priority patent/US11565513B2/en
Priority to CN201811635926.2A priority patent/CN109988421B/zh
Publication of KR2019008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B29B7/007Methods for continuous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B7/726Measuring properties of mixture, e.g. temperature or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15 내지 49 중량%;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0 중량%; 올레핀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탄산칼슘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은 도금 밀착력, 내충격성, 내열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금 밀착력, 내충격성, 내열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 수지 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유리나 금속에 비하여 비중이 낮으며,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외장재 등에 유용하다. 특히, 최근 제품의 경량화, 박막화 추세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제품이 기존 유리 및 금속의 영역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또한, 금속과 같은 외관으로 심미감은 유지하면서, 폴리아미드 수지의 우수한 장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폴리아미드 수지에 도금 처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폴리아미드 수지 상에 도금 처리를 하는 것은 장식성, 내부식성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도금 후의 외관 특성과 도금막과 수지와의 밀착성(도금 밀착력, 도금성)이 중요한 특성이다.
이를 위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무기물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올레핀을 첨가하여 도금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적용할 수 있는 범위에 제약이 있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얼로이하여 도금성을 향상시키기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금 밀착력(도금성), 내충격성, 내열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31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 밀착력, 내충격성, 내열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15 내지 49 중량%;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0 중량%; 올레핀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탄산칼슘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142026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7131420261-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0 내지 80 몰%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0 내지 4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내지 15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무정형 폴리아미드 수지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비는 4 : 1 내지 10 : 1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그라프트 중합시킨 변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하이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디클로로 말레산 무수물, 불포화된 디카르복실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 무수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JIS C6481에 의거하여, 10 cm × 10 cm × 3.2 cm 크기의 사출성형 시편을 30 ㎛ 두께로 크롬 도금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50 m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도금층의 밀착 강도(adhesion strength)가 13 내지 30 N/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12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0 내지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최소한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금 밀착력, 내충격성, 내열성,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성형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B)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 (C)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D) 탄산칼슘;를 포함한다.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도금 밀착력,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142026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7131420261-pa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0 내지 80 몰%, 예를 들면 65 내지 75 몰%,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0 내지 40 몰%, 예를 들면 25 내지 35 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R1으로 페닐기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 60 내지 80 몰%, 예를 들면 65 내지 75 몰%, 및 R3로 페닐기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이소프탈산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 20 내지 40 몰%, 예를 들면 25 내지 35 몰%를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탄소수 6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를 포함하는 지방족 디아민 성분(1,6-헥산디아민(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HMDA), 1,6-헥산디아민, 1,7-헵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1,11-운데칸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등);을 공지된 중합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가 130 내지 150℃, 예를 들면 130 내지 14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아미드 수지는 진한 황산 용액(98%)에 0.5 g/dL의 농도로 녹인 후, 25℃에서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로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7 내지 1.0 dL/g, 예를 들면 0.8 내지 0.9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15 내지 49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48 중량%, 구체적으로 40 내지 4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내열성, 가공성,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9 중량%를 초과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유동성, 가공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B)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함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외관 특성, 유동성, 도금 밀착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통상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상기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갖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무정형 폴리아미드 수지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1012,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진한 황산 용액(98%)에 0.5 g/dL의 농도로 녹인 후, 25℃에서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로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5 내지 2.0 dL/g, 예를 들면 0.7 내지 1.5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외관 특성, 도금 밀착력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전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30 중량%, 예를 들면 3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유동성,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금 밀착력, 내열성, 사출 가공성, 상용성(무기물 분산)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B)의 중량비(A:B)는 4 : 1 내지 10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외관 특성, 성형 가공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C) 올레핀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와 함께 적용되어,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도금 시, 도금막과 성형품 사이의 도금 밀착력(도금성)을 향상시키고,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올레핀계 단량체로 중합된 공중합체 또는 올레핀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탄소수 1 내지 19의 알킬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옥텐,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실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그라프트 중합시킨 변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하이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디클로로 말레산 무수물, 불포화된 디카르복실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 무수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로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maleic anhydride modified ethylene-octene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도금 밀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1 내지 20 중량%, 예를 들면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탄산칼슘
본 발명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도금 공정 시 촉매의 앵커링(anchoring)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구상 또는 입자상을 갖는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산칼슘은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D50, 분포율이 50%가 되는 지점의 입경)가 0.05 내지 6 ㎛, 예를 들면 1 내지 4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탄산칼슘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전체 100 중량% 중 30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도금 밀착력, 기계적 물성(강성 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착색제,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350℃, 예를 들면 250 내지 30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JIS C6481에 의거하여, 10 cm × 10 cm × 3.2 cm 크기의 사출성형 시편을 30 ㎛ 두께로 크롬 도금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50 m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도금층의 밀착 강도(adhesion strength)가 13 내지 30 N/cm, 예를 들면 15 내지 25 N/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12 kgf·cm/cm, 예를 들면 5.5 내지 1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0 내지 150℃, 예를 들면 115 내지 135℃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성형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일 뿐,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형태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품은 기재층(10); 및 상기 기재층(10)의 최소한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20)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10)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기재층(10)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도금층(20)은 통상적인 도금 플라스틱 제품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기재층(10)을 에칭(etching)하고, 에칭된 부분에 앵커(anchor)를 형성한 후, 도금, 예를 들면 무전해 도금 및 전기 도금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도금은 무전해 도금 및 전기 도금 외에, 통상적인 습식 도금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CVD, 용사 코팅 등의 건식 도금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금 공정은 통상의 ABS, PC/ABS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재층에 사용하는 도금 공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기재층은 기존 에칭액을 사용하면, 불량률이 증가하여, 전용 에칭액을 사용하여야 하고,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기재층 전용 도금 라인을 설치해야 해서 비용 부담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기재층은 이러한 문제 없이, 기존 도금 라인 및 에칭액 등을 사용하여 도금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도금층(20)은 크롬, 니켈, 구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층(20)의 두께는 0.1 내지 1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기재층 및 도금층의 도금 밀착성이 우수하며, 기재층의 외관 특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전기전자 및 사무자동화 기기 등의 금속성 외관의 내외장재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6T/6I(제조사: Solvay社, 제품명: A8002, 6T:6I(몰비)=70:30, 유리전이온도(Tg): 130℃, 고유점도[η]: 0.88 dL/g)를 사용하였다.
(B1) 유리전이온도가 50℃인 폴리아미드 수지(폴리아미드 66, 제조사: Rhodia社, 제품명: Stabamide 23AE1K, 고유점도[η]: 1.03 dL/g)를 사용하였다.
(B2) 유리전이온도가 55℃인 폴리아미드 수지(폴리아미드 612, 제조사: Shandong Dongchen New Technology社, 제품명: PA612, 고유점도[η]: 1.06 dL/g)를 사용하였다.
(B3) 유리전이온도가 48℃인 폴리아미드 수지(폴리아미드 1012, 제조사: Shandong Dongchen New Technology社, 제품명: PA1012, 고유점도[η]: 0.94 dL/g)를 사용하였다.
(B4) 유리전이온도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무정형(Amorphous) 폴리아미드 수지, 제조사: Arkema社, 제품명: G120, 고유점도[η]: 0.85 dL/g)를 사용하였다.
(C) 올레핀계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제조사: Dupont社, 제품명: Fusabond N493D)를 사용하였다.
(D) 탄산칼슘(CaCO3, 제조사: Omya社, 제품명: 2HB, 평균 입자 크기(D50): 4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30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 내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성형기(성형 온도 320℃, 금형 온도: 130℃)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도금층 밀착 강도(단위: N/cm): JIS C6481에 의거하여, 10 cm × 10 cm × 3.2 cm 크기의 사출성형 시편을 약 30 ㎛ 두께로 크롬 도금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크롬 도금층의 중심 부분을 절개하여 인장 시험기의 치구에 물린 후, 도금층 표면의 90°방향으로 50 mm/min의 박리 속도로 인장하며 기재층과 도금층의 밀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2)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거하여, 두께 1/8" 아이조드(IZOD) 시편에 노치(Notch)를 만들어 측정하였다.
(3) 열변형 온도(HDT, 단위: ℃):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4) 유동성 평가: 성형 온도 330℃, 금형 온도 130℃, 사출압 1,500 kgf/cm2 및 사출속도 120 mm/s의 조건에서 두께 0.5 mm인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 후, 측정한 시편의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단위: mm)를 측정하였다.
(5) 표면 조도(단위: GU):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10 cm × 10 cm × 3.2 cm 크기의 사출성형 시편에 대하여, 광택계(제조사: BYK社, 장치명: micro-gloss)를 사용하여 반사각 75°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 (중량%) 47 47 47 47 42 42
(B1) (중량%) 5 - - - 10 -
(B2) (중량%) - 5 - - - -
(B3) (중량%) - - 5 - - -
(B4) (중량%) - - - 5 - 10
(C) (중량%) 8 8 8 8 8 8
(D) (중량%) 40 40 40 40 40 40
도금층 밀착 강도 21 22 18 20 22 16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6 6 6 6 6.8 6.5
열변형 온도 120 121 130 120 121 115
스파이럴 플로우 길이 30 32 31 32 36 35
표면 조도 101 102 101 101 101 101
비교예
1 2 3 4
(A) (중량%) 50 5 57 32
(B1) (중량%) 2 47 10 5
(B2) (중량%) - - - -
(B3) (중량%) - - - -
(B4) (중량%) - - - -
(C) (중량%) 8 8 8 8
(D) (중량%) 40 40 25 55
도금층 밀착 강도 8 2 10 11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5 10 7 3
열변형온도(℃) 128 85 125 135
스파이럴 길이 (mm) 20 45 30 14
표면 조도 (GU) 85 74 98 54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도금 밀착력, 내충격성, 내열성, 외관 특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도금 밀착력이 크게 저하되고, 표면 조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외관 특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가 과량 적용된 비교예 2의 경우, 내열성, 표면 조도 및 도금 밀착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가 과량 적용되고, 탄산칼슘이 소량 적용된 비교예 3의 경우, 도금 밀착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탄산칼슘이 과량 적용된 비교예 4의 경우,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15 내지 49 중량%;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 1 내지 30 중량%;
    올레핀계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 및
    탄산칼슘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이며,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 무정형 폴리아미드 수지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JIS C6481에 의거하여, 10 cm × 10 cm × 3.2 cm 크기의 사출성형 시편을 30 ㎛ 두께로 크롬 도금한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50 m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도금층의 밀착 강도(adhesion strength)가 16 내지 30 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102587559-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20102587559-pat00006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0 내지 80 몰%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0 내지 40 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10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및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20℃인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비는 4 : 1 내지 1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을 그라프트 중합시킨 변성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α,β-불포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하이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디클로로 말레산 무수물, 불포화된 디카르복실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 무수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4 내지 12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13.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최소한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은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9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70185031A 2017-12-31 2017-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7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5031A KR102171421B1 (ko) 2017-12-31 2017-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16/234,894 US11565513B2 (en) 2017-12-31 2018-12-28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CN201811635926.2A CN109988421B (zh) 2017-12-31 2018-12-29 聚酰胺树脂组合物及包括该聚酰胺树脂组合物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5031A KR102171421B1 (ko) 2017-12-31 2017-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27A KR20190082427A (ko) 2019-07-10
KR102171421B1 true KR102171421B1 (ko) 2020-10-29

Family

ID=6705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5031A KR102171421B1 (ko) 2017-12-31 2017-12-31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65513B2 (ko)
KR (1) KR102171421B1 (ko)
CN (1) CN1099884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418B1 (ko) 2017-10-30 2019-01-1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11577496B2 (en) 2017-12-31 2023-02-14 Lotte Chemical Corporatio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10141117A (ko) * 2020-05-15 2021-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4403A (en) 1966-03-14 1969-12-16 Eastman Kodak Co Preparation of polyamide-carboxylated polyolefin melt blends
US3877965A (en) 1970-09-28 1975-04-15 Rohm & Haas Conductive nylon substrat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JPH0618953B2 (ja) 1984-09-05 1994-03-1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4552626A (en) * 1984-11-19 1985-11-12 Michael Landney, Jr. Metal plating of polyamide thermoplastics
CA2002368A1 (en) 1988-11-08 1990-05-08 Mikio Hashimoto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US5324766A (en) * 1989-07-07 1994-06-28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plated layer and use thereof
US5292805A (en) 1992-05-29 1994-03-08 Amoco Corporation Filled polyphthalamide blend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and composite and filled articles therefrom
NL9101540A (nl) 1991-09-12 1993-04-01 Dsm Nv Brandwerende kunststofsamenstelling op basis van een polyamide, een polyolefine en magnesiumhydroxide.
CA2152447C (en) 1994-06-29 2006-06-06 Charles L. Myers Filled polyphthalamide blends having improved plating characteristics and plated articles therefrom
AU7309096A (en) 1995-10-27 1997-05-15 Elf Atochem S.A. Mixture of polyolefin and polyamide alloy, and fabrication process
JPH09316325A (ja) 1996-05-24 1997-12-09 Du Pont Kk 剛性および靭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6617381B1 (en) * 1997-03-07 2003-09-09 Toray Industries, In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forming from the same
JP2003112920A (ja) 2001-10-02 2003-04-18 Shiraishi Kogyo Kaisha Ltd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処理炭酸カルシウム及びポリマー組成物
CH695687A5 (de) * 2002-09-06 2006-07-31 Ems Chemie Ag Polyamid-Formmassen mit ultrafeinen Füllstoffen und daraus herstellbare Lichtreflektier-Bauteile.
US8198355B2 (en) 2006-06-15 2012-06-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anocomposite compositions of polyamides and sepiolite-type clays
CN101568420B (zh) 2006-12-28 2014-06-25 大成普拉斯株式会社 金属和树脂的复合体及其制造方法
US20090142585A1 (en) 2007-11-08 2009-06-04 Toshikazu Kobayashi Nanocomposite compositions of polyamides, sepiolite-type clays and copper species and articles thereof
CN101861358A (zh) 2007-11-19 2010-10-13 纳幕尔杜邦公司 聚酰胺组合物制备具有改善的粘附性的模塑制品的用途、由聚酰胺组合物模塑的制品以及粘附此类材料的方法
US20090143520A1 (en) 2007-11-30 2009-06-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rtially aromatic polyamide compositions for metal plated articles
US8476354B2 (en) 2008-12-23 2013-07-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sink marks and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reinforced polyamide compositions
KR20100123178A (ko) 2009-05-14 2010-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120027983A1 (en) 2010-07-27 2012-02-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composite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field of the invention
US9447575B2 (en) 2010-11-01 2016-09-20 Toyobo Co., Lt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expanded polyamide resin molding, and automotive resin molding
JP5724104B2 (ja) 2010-11-30 2015-05-27 株式会社白石中央研究所 樹脂組成物
JP2012140619A (ja) 2010-12-28 2012-07-26 Cheil Industries Inc 表面光沢度及び反射率が優れた反射板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US8691911B2 (en) 2011-01-31 2014-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lt-blended thermoplastic composition
US20120196961A1 (en) 2011-01-31 2012-08-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plastic composition with hydroxy amino acid heat stabilizer
KR20130072513A (ko) 2011-12-22 2013-07-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 성형성 및 백색도가 우수한 변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US9845389B2 (en) 2011-12-23 2017-12-19 Ems-Patent Ag Polyamide molding material, the use thereof, and molded parts produced therefrom
JP5902017B2 (ja) 2012-03-28 2016-04-13 株式会社白石中央研究所 表面処理炭酸カルシウム及びそれを含むポリマー組成物
DK2703436T3 (en) 2012-08-28 2017-05-08 Ems Patent Ag Polyamide casting and its use
US9932444B2 (en) 2012-11-12 2018-04-03 Mitsui Chemicals, Inc. Semiaromatic polyamide, semi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EP2746341B2 (de) 2012-12-21 2018-11-14 Ems-Patent Ag Schmutzabweisende Artikel und ihre Verwendung
CN103044905B (zh) 2012-12-28 2015-04-22 大河宝利材料科技(苏州)有限公司 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4173057A (ja) 2013-03-12 2014-09-22 Unitika Ltd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成形体
JP2015071668A (ja) 2013-10-02 2015-04-16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101685771B1 (ko) 2013-12-10 2016-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할로겐계 난연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제조방법
EP2886605B2 (de) * 2013-12-20 2021-09-01 Ems-Chemie Ag Kunststoff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EP2927272B1 (de) 2014-03-31 2017-08-16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en dieser Polyamid-Formmassen
KR101771781B1 (ko) 2014-09-23 2017-08-2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3000837B1 (en) 2014-09-23 2017-06-07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olyamide ester resi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PL3006506T3 (pl) * 2014-10-08 2017-06-30 Ems-Patent Ag Poliamidy o podwyższonej plastyczności
EP3020746B1 (de) 2014-11-11 2020-08-26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sowie verwendungszwecke
KR101823204B1 (ko) 2015-08-24 2018-03-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92338B1 (ko) 2015-08-28 2017-11-0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70099297A (ko) 2016-02-23 2017-08-31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6951075B2 (ja) 2016-03-16 2021-10-2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CN106046781B (zh) 2016-07-12 2019-01-04 江门市德众泰工程塑胶科技有限公司 用于电镀处理的芳香族聚酰胺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40418B1 (ko) * 2017-10-30 2019-01-1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11577496B2 (en) 2017-12-31 2023-02-14 Lotte Chemical Corporatio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198388B1 (ko) 2018-05-31 2021-01-05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27A (ko) 2019-07-10
CN109988421B (zh) 2022-05-06
US11565513B2 (en) 2023-01-31
US20190203046A1 (en) 2019-07-04
CN109988421A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054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EP3342827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EP2367884B1 (en) Low sink marks and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reinforced polyamide compositions
KR102171421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4965216B2 (ja) 4−メチル−1−ペンテン系重合体離型フィルム
US20070293633A1 (en) Liquid crystalline polymer cp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9404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9838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2454322A1 (en) Semi aromatic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processes for their manfacture and articles thereof
KR101025965B1 (ko)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도장 성형품
US11577496B2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893709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409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20220410534A1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layered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2252000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913263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2000080270A (ja) 半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N103562310A (zh) 嵌入成型体
KR102187001B1 (ko) 폴리프탈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30132512A (ko) 전자파 실드 부재 및 그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