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596B1 - 트리거식 분출기 - Google Patents

트리거식 분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596B1
KR102170596B1 KR1020187032991A KR20187032991A KR102170596B1 KR 102170596 B1 KR102170596 B1 KR 102170596B1 KR 1020187032991 A KR1020187032991 A KR 1020187032991A KR 20187032991 A KR20187032991 A KR 20187032991A KR 102170596 B1 KR102170596 B1 KR 10217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liquid
hole
flow path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989A (ko
Inventor
코타로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94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5763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94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218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8013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30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05B11/0067Lift valves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the valve element (take preced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29Valves not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4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opened by pressure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05B11/30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트리거식 분출기(1, 100)를, 노즐 헤드(50) 내부에 구획 형성하고, 연통공(52f)을 거쳐서 유로(P2)에 연통하는 축압실(58)과, 대경 수압부(53c)와 대경 수압부(53c)와는 반대쪽을 향한 소경 수압부(53e)를 구비하며, 축압실(58) 내부에 배치되어 분출공(51c)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분출공(51c)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축압 플런저(53)와, 축압실(58)에 배치되고, 축압 플런저(53)를 폐쇄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54)를 구비하며, 축압실(58) 내부에서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가압 부재(5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축압 플런저(53)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축압실(58) 내부의 액체가 분출공(51c)에서 외부로 분출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트리거식 분출기
본 발명은,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액체 유로를 구비한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하여 용기 내부의 액체를 유로에 압송하는 펌프와, 유로의 출구에 이어지고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유로에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 헤드를 갖는 트리거식 분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를 소정의 압력까지 높여서 분출시키는 축압형 트리거식 분출기에 관한 것이다.
곰팡이 제거제, 세제, 다림질 풀, 가정용 왁스, 정발제, 방향제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는, 그 입구부에 장착되는 분출기로서,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에 의해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를 외부로 분출(분사)시키도록 한 트리거식 분출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리거식 분출기로서,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액체 유로를 구비한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하여 용기 내부의 액체를 유로에 압송하는 펌프와, 유로의 출구에 이어지고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유로에 압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 헤드를 갖는 동시에, 분출기 본체와 노즐 헤드 사이에 구획 형성된 축압실 내부에 대경 통형상부에 맞닿는 대경 수압부와 소경 통형상부에 맞닿는 소경 수압부를 갖는 축압 플런저와 축압 플런저를 분출공을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스프링)을 배치하도록 한 축압형 트리거식 분출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축압형 트리거식 분출기에 의하면, 축압실 내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될 때 대경 수압부와 소경 수압부의 단면적 차이에 의해 축압 플런저가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방되기 때문에,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476766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트리거식 분출기는, 노즐 헤드를 분출기 본체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서 분출기 본체와 노즐 헤드 사이에 축압실을 구획 형성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노즐 헤드를 분출기 본체에 조립하기 전까지는 축압실에 조립되는 축압 플런저나 가압 부재를 해당 축압실에 유지시켜 둘 수가 없으며, 따라서, 이들 부재를 모두 일관한 라인에서 분출기 본체에 조립할 필요가 있었고, 그 조립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리거식 분출기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축압형의 기본 구성을 가지면서, 노즐 헤드의 선단에 설치한 발포부에서 액체를 포말화하여 외부로 분출(분사)시키도록 한 것도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트리거식 분출기에서는, 노즐 헤드의 선단에 개폐식의 덮개체를 설치하고, 이 덮개체로 노즐 헤드의 분출공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서 해당 분출기를 분출 불능 상태로 하고, 불사용시에 액체가 잘못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노즐 헤드의 선단에 설치한 덮개체에서 분출공을 폐쇄하는 구성에서는, 분출공에서 분출된 액체가 덮개체에 부착하여 덮개체를 개폐 조작하는 손가락 등에 액체가 부착될 우려가 있고, 또한, 작은 덮개체는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이 때문에 트리거식 분출기를 분출 불능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축압 플런저와 가압 부재를 구비한 노즐 헤드의 분출기 본체로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트리거식 분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를 손가락 등에 부착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출 불능 상태로 전환 가능한 트리거식 분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출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액체 유로를 구비한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를 유로에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유로의 출구에 이어지고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에 압송된 액체를 분출공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 헤드를 갖는 트리거식 분출기로서, 상기 노즐 헤드 내부에 구획 형성되고, 연통공을 거쳐서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축압실과, 대경 수압부와 상기 대경 수압부와는 반대쪽을 향하는 소경 수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축압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출공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분출공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축압 플런저와, 상기 축압실에 배치되고, 상기 축압 플런저를 상기 폐쇄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축압실 내부에서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될 때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축압 플런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축압실 내부의 액체가 상기 분출공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출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분출공을 구비한 제 1 노즐체와, 상기 제 1 노즐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노즐체와의 사이에 상기 축압실을 구획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공을 구비하는 제 2 노즐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노즐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출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출공보다도 개구 단면적이 작은 소공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공에 장착되어 상기 분출공에서 분출되는 액체를 안개화하는 노즐 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출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즐체가, 상기 연통공을 둘러싸는 동시에 내주면에 상기 유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홈부를 구비한 내통벽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기 본체가, 상기 내통벽 내측에 상기 내통벽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상기 연통공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홈부가 설치된 기둥 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가 연통하는 분사 가능 위치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의 연통이 차단되는 분사 불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출기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분출공에서 분출된 액체를 포말화하는 발포부를 더 가지며,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연통공을 둘러싸는 동시에 내주면에 상기 유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홈부를 구비한 내통벽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기 본체가, 상기 내통벽 내측에 상기 내통벽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상기 연통공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홈부가 설치된 기둥 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가 연통하는 분사 가능 위치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의 연통이 차단되는 분사 불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노즐체에 제 2 노즐체를 고정하여 구획 형성되는 축압실에 축압 플런저와 가압 부재를 배치하여 노즐 헤드를 미리 유닛화할 수 있기 때문에, 축압 플런저와 가압 부재를 구비한 노즐 헤드를 분출기 본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압 플런저와 가압 부재를 구비한 노즐 헤드의 분출기 본체로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트리거식 분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헤드를 분사 가능 위치에서 분사 불능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손가락 등에 액체를 부착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트리거식 분출기를 분출 불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를 손가락 등에 부착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출 불능 상태로 전환 가능한 트리거식 분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트리거식 분출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트리거식 분출기의 노즐 헤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서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에서 노즐 헤드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노즐 헤드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트리거식 분출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트리거식 분출기의 노즐 헤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6에서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상태에서 노즐 헤드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노즐 헤드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트리거식 분출기(1)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 청구 범위, 및 요약서에서는, 장착 캡(12)에 대해서 쉬라우드(44)가 위치하는 쪽을 상방(도 1의 상측)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하방(도 1의 하측)이라고 한다. 또한, 펌프(30)의 피스톤(35)에 대해서 트리거(41)가 위치하는 쪽을 전방(도 1에서의 좌측)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도 1에서 우측)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트리거식 분출기(1)는, 액체를 내용액으로서 수용하는 용기(2)의 입구부(2a)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이 트리거식 분출기(1)를 용기(2)의 입구부(2a)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트리거식 분출기(1)는, 입구부(2a)에 장착되는 분출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분출기 본체(10)는, 예컨대, 합성 수지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출기 본체(10)의 하단 부분에는 연결통(11)이 설치되며, 연결통(11)에는 해당 연결통(11)에 대해서 상호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 캡(12)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 캡(12)은 입구부(2a)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통(11)을 입구부(2a)의 내주면에 결합시킨 상태로 장착 캡(12)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12a)를 입구부(2a)의 외주면에 설치한 수나사(2b)에 나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분출기 본체(10)를 입구부(2a)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부호 13은, 입구부(2a)와 연결통(11) 사이를 밀봉하는 패킹 등의 밀봉 부재이다.
분출기 본체(10)는, 연결통(11)에서 그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 형상 기립부(14)와, 이 기립부(14)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 연장 돌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기립부(14) 내부에는 연결통(11)까지 도달하는 기립 유로(P1)가 설치되며, 이 기립 유로(P1)에는 용기(2) 내부에 삽입되는 흡인용 튜브(16)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연장 돌출부(15)에는 기립 유로(P1)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 유로(P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립 유로(P1) 및 연장 돌출 유로(P2)에 의해 분출기 본체(10) 내부에 액체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15)의 전방단에는 판 형상벽(17)이 일체로 설치되며, 이 판 형상벽(17)에 연장 돌출 유로(P2)의 출구(18)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판 형상벽(17)에는, 출구(18)보다도 대경(大經)인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판 형상벽(17)에서 전방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고리 형상벽(19)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고리 형상벽(19)의 내측에는 고리 형상벽(19)과 동축으로 기둥 형상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 형상부(20)는 판 형상벽(17)이나 고리 형상벽(19)과 별도로 형성되며, 그 대경 기단부(20a)에서 고리 형상벽(19) 내측에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둥 형상부(20)는 판 형상벽(17)이나 고리 형상벽(19)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기둥 형상부(20)는 출구(18)와 함께 고리 형상벽(19)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한, 기둥 형상부(20)의 대경 기단부(20a)에는 복수의 관통공(20b)이 설치되며, 이들 관통공(20b)을 거쳐서 연장 돌출 유로(P2)의 출구(18)는 고리 형상벽(19)의 개구단측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기둥 형상부(20)의 외주면에는, 그 선단(전방측단)에서 후방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전방 홈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홈부(21)는, 기둥 형상부(20)의 전방 및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기붕 형상부(20)의 중심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합계 2 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방 홈부(21)는, 후술하는 제 2 노즐체(52)에 설치되는 연통공(52f)에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 형상부(20)의 외주면에 2 개의 전방 홈부(21)를 설치하고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전방 홈부(21)를 설치하면, 그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고리 형상벽(19)의 선단측(전방단측) 부분에서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외향 훅부(2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식 분출기(1)는 펌프(30)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30)는, 내통(31) 및 외통(32)을 구비하고 분출기 본체(10)에 부착되는 실린더(33)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33)에는 유출입공(34)이 설치되며, 실린더(33) 내부는 유출입공(34)을 거쳐서 기립 유로(P1) 및 연장 돌출 유로(P2)에 연통되어 있다.
내통(31) 및 외통(32)의 상호간에는, 실린더(33)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피스톤(35)이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35)의 내주면은 내통(3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맞닿고, 피스톤(35)의 외주부는 외통(32)의 내주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맞닿아 있다.
외통(32)에는, 후술하는 트리거(41)가 당겨서 조작됨에 따라 피스톤(35)이 스트로크단까지 이동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흡기공(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출기 본체(10)에는, 용기(2) 내부와 흡기공(36)을 연통시키는 통기공(37)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2) 내부의 액체를 분사할 때에는, 흡기공(36)과 통기공(37)을 통해서 외기가 용기(2) 내부로 취입되어, 용기(2) 내부의 액체와 외기가 치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35)의 내측 공간은, 내통(31)의 선단에 설치한 개공(38)을 거쳐서 용기(2)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기립 유로(P1)에는, 구 형상 체크 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체크 밸브(40)는, 용기(2) 내부에서 유출입공(34)으로 향해서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펌프(30)의 작동에 의해 유출입공(34)에서 토출된 액체의 기립 유로(P1)를 통한 용기(2) 측으로의 흐름을 저지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체크 밸브(40)는 구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탄성체에 의해 기립 유로(P1) 내주면에 외주 둘레부가 맞닿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분출기 본체(10)에는 트리거(조작 레버)(4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트리거(41)는, 그 일단측에서 추축(42)에 의해 분출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트리거(41)의 중간부에는 핀 부재(43)가 설치되며, 이 핀 부재(43)가 피스톤(35)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오목부(35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41)에는, 기단이 분출기 본체(10)에 고정 유지된 만곡 형상 판 스프링(S)의 선단이 록킹되어 있다. 이 판 스프링(S)에 의해, 트리거(41)는 펌프(30)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1에서 추축(42)을 중심으로 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트리거(41)를 펌프(30) 측으로 향해서 회동시키도록 당기는 조작을 행하면, 피스톤(35)에 의해 실린더(33) 내부의 액압이 높아져서, 체크 밸브(40)가 폐쇄된 상태로 되며, 실린더(33) 내부의 액체가 유출입공(34)에서 연장 돌출 유로(P2)에 압송된다. 한편, 트리거(41)의 조작을 해제하면, 판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트리거(41)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그 복귀 동작에 수반하여 체크 밸브(40)가 개방되어 용기(2) 내부의 액체가 튜브(16)와 기립 유로(P1)를 거쳐서 유출입공(34)에서 실린더(33) 내부로 흡인된다. 이와 같은 트리거(41)의 당기는 조작과 해제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펌프(30)를 구동하여, 용기(2) 내부의 액체를, 기립 유로(P1)를 통해서 흡인하는 동시에 연장 돌출 유로(P2)를 통해서 그 출구(18)까지 압송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41)는 분출기 본체(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피스톤(35)을 작동시키는 것이라면, 피스톤(35)과 동시에 직선 운동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분출기 본체(10)에는, 분출기 본체(10)와 펌프(30)의 대부분을 덮는 쉬라우드(44)가 장착되어 있다. 트리거(41)는 쉬라우드(44) 하방에서 돌출하며, 쉬라우드(44)와 간섭하지 않고 요동할 수 있다.
분출기 본체(10)의 연장 돌출부(15) 전단에는, 연장 돌출 유로(P2)의 출구(18)에 이어진 노즐 헤드(50)가 장착되어 있다. 노즐 헤드(50)는, 제 1 노즐체(51), 제 2 노즐체(52), 축압 플런저(53), 가압 부재(54) 및 노즐 팁(55)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펌프(30)에 의해 기립 유로(P1) 및 연장 돌출 유로(P2)를 통해서 출구(18)까지 압송되어 온 액체를 외부로 분출(분사)시킨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노즐체(51)는 대략 사각통 형상 외각벽(51a)을 구비하고 있다. 외각벽(51a)의 내측에는 상기 외각벽(51a)의 내측 공간을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구획하는 격벽(51b)이 일체로 설치되며, 이 격벽(51b)의 축심에는 액체의 분출공(51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격벽(51b)에는, 해당 격벽(51b)에서 후방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대경 원통부(51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격벽(51b)에는, 해당 격벽(51b)에서 전방측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동시에 분출공(51c)에 연통하는 돌출통(56)이 일체로 설되어 있으며, 이 돌출통(56)의 내측에 노즐 팁(55)이 결합 고정되어 있다. 노즐 팁(55)은, 그 선단측에 분출공(51c) 보다도 개구 단면적이 작은 소공(小孔)(55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소공(55a)은 돌출통(56)의 내측에 배치된 스핀 엘리먼트(57)의 선단면에 설치된 스핀 홈(57a)과 스핀 엘리먼트(57)의 측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통로를 거쳐서 분출공(51c)에 연통하고 있다. 분출공(51c)에서 분출된 액체는 스핀 홈(57a)을 거쳐서 노즐 팁(55)의 소공(55a)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 해당 노즐 팁(55)에 의해서 안개화되어 외부로 분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통(56) 즉 분출공(51c)에 노즐 팁(55)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분출공(51c)에 노즐 팁(55)을 장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격벽(51b)에 돌출통(56)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 2 노즐체(52)는, 노즐 헤드(50)를 분출기 본체(10)에 장착할 때, 기둥 형상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판 형상 기부(52a)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52a)에는, 후방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원통 형상 내통벽(52b)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내통벽(52b)은 기둥 형상부(20)의 외측에 배치되고, 그 내주면에서 기둥 형상부(20)의 외주면에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기부(52a)의 외주 둘레에는 전방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소경 원통부(52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소경 원통부(52c)의 전방측에는 소경 원통부(52c) 보다도 대경인 원통 형상 밀봉통부(52d)가 일체로 설치되며, 이 밀봉통부(52d)는, 제 1 노즐체(51)의 대경 원통부(51d) 외측에 액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제 1 노즐체(51)와 제 2 노즐체(52) 사이에 축압실(58)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 원통부(52c)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외각벽(51a)에 대응한 대략 사각통 형상 고정통부(52e)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통부(52e)는 외각벽(51a)의 내측에 언더컷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노즐체(51)와 제 2 노즐체(52)는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고정된 제 1 노즐체(51)와 제 2 노즐체(52) 사이에 축압실(58)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제 2 노즐체(52)의 기부(52a)에는 복수의 연통공(52f)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연통공(52f)은 내통벽(52b)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해당 내통벽(52b)의 내측을 거쳐서 축압실(58)을 연장 돌출 유로(P2)의 출구(18)에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내통벽(52b)의 내주면에는, 그 후방단에서 전방단으로 향해서 전방 홈부(21)에 중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동시에 연장 돌출 유로(P2)의 출구(18)에 연통하는 후방 홈부(59)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홈부(59)는, 내통벽(52b)의 후방 및 측방으로 개방되며, 내통벽(52b)의 중심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합계 2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통벽(52b)의 내주면에, 전방 홈부(21)에 맞춰서 2 개의 후방 홈부(59)를 설치하고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후방 홈부(59)가 설치되어 있기만 하면, 그 개수는 전방 홈부(21)에 맞춘 개수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노즐 헤드(50)는, 제 2 노즐체(52)의 내통벽(52b)이 분출기 본체(10)에 설치된 기둥 형상부(20)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소경 원통부(52c)가 고리 형상벽(19)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분출기 본체(10)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노즐 헤드(50)는, 제 2 노즐체(52)의 고정통부(52e)에 설치된 록킹 플랜지(52g)가 고리 형상벽(19)에 설치된 외향 훅부(22)에 결합된 외향 훅부(22)에 결합됨으로써, 분출기 본체(10)로부터 뽑힘이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즐 헤드(50)는, 제 2 노즐체(52)에서 분출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노즐 헤드(50)의 분출기 본체(10)에 대한 회동 범위는, 고정통부(52e)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스토퍼편(52h)을 외향 훅부(22)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서 대략 90 도의 범위로 규정되어 있다.
노즐 헤드(50)가 한쪽 회동 방향의 스트로크단 위치 즉 분사 가능 위치로 되면,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벽(52b)에 설치된 후방 홈부(59)와 기둥 형상부(20)에 설치된 전방 홈부(21)가 연통되어, 후방 홈부(59)와 전방 홈부(21)를 거쳐서 연장 돌출 유로(P2)가 연통공(52f) 즉 축압실(58)에 연통된 상태로 된다. 즉, 노즐 헤드(50)를 분사 가능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식 분출기(1)를, 액체를 분출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노즐 헤드(50)가 다른쪽 회전 방향의 스트로크단 위치 즉 분사 불능 위치로 되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홈부(59)와 전방 홈부(21)의 연통이 차단되어, 연장 돌출 유로(P2)는 연통공(52f) 즉 축압실(58)에 대해서 연통이 차단된 상태로 된다. 즉, 노즐 헤드(50)를 분사 불능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식 분출기(1)를, 액체를 분출할 수 없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압 플런저(53)는 축압실(58)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축압 플런저(53), 소경 원통부(52c)의 내주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맞닿는 안내통부(53a)와, 안내통부(53a)의 전방단에 연결되는 원판 형상 본체부(53b)와, 본체부(53b)에서 전방으로 향해서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대경 원통부(51d)의 내주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맞닿는 대경 수압부(53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대경 수압부(53c)의 직경 방향 내측에는, 외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복수의 각부(53d)에 의해서 대경 수압부(53c)로 연결된 대략 원판 형상 밸브체부(53e)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체부(53e)가 대경 수압부(53c)와는 반대쪽을 향한 소경 수압부를 구성하고 있다.
축압 플런저(53)는 축압실(58) 내부에서, 밸브체부(53e)가 분출공(51c)에 맞닿아서 해당 분출공(51c)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전방측 스트로크단 위치)와, 폐쇄 위치에서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분출공(51c)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후방측 스트로크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가압 부재(54)는 축압실(58) 내부에 배치되어, 축압 플런저(53)를 폐쇄 위치 즉 전방측으로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압 부재(54)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이 기부(52a)와 일체로 설치된 봉 형상부(66)에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이 밸브체부(53e)에 맞닿아서 축압 플런저(53)에 폐쇄 방향으로 향해서 가압력(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54)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축압 플런저(53)에 폐쇄 위치로 향해서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노즐 헤드(50)가 분출 가능 위치로 될 때 트리거(41)가 조작되어 펌프(30)에 의해 용기(2) 내부의 액체가 기립 유로(P1) 및 연장 돌출 유로(P2)에 압송되면, 출구(18)에서 유출된 액체가 연통공(52f)에서 축압실(58) 내부에 도입된다. 축압실(58)에 액체가 도입되면, 축압 플런저(53)의 대경 수압부(53c)와 소경 수압부인 밸브체부(53e)가 해당 액체의 압력을 받아, 대경 수압부(53c)와 소경 수압부(밸브체부)(53e)의 단면적의 차이에 따라서 후방으로 향하는 힘(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축압 플런저(53)에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축압실(58) 내부에서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면, 대경 수압부(53c)의 단면적과 소경 수압부인 밸브체부(53e)의 단면적의 차이에 따라서 축압 플런저(53)에 발생하는 후방으로 향하는 힘이 가압 부재(54)의 가압력을 상회하여, 축압 플런저(53)는 가압 부재(5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향해서 이동하여 분출공(51c)이 개방된다. 즉, 축압실(58)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축압 플런저(53)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분출공(51c)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서, 소정치의 압력까지 높아지면 액체가 분출공(51c)에서 분출되는 동시에, 분출공(51c)에서 분출된 액체가 노즐 팁(55)에 의해 안개화되어 외부로 분출된다.
한편, 노즐 헤드(50)를 분출 가능 위치에서 90 도 회동되어 분출 불능 위치로 하면, 연장 돌출 유로(P2)의 출구(18)와 연통공(52f)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헤드(50)를 분출 가능 위치에서 분출 불능 위치로 회동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생각외로 트리거(41)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액체가 잘못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사용시에는, 분출공(51c)을 덮개체 등으로 폐쇄하는 경우와 같이, 액체가 부착할 우려가 있는 부재를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트리거식 분출기(1)를, 액체를 분출할 수 없을 때에, 손가락 등에 액체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노즐 헤드(50)는 제 1 노즐체(51)와 제 2 노즐체(52)를, 이들 사이에 축압 플런저(53)와 가압 부재(54)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조립하는 동시에 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노즐체(51)와 제 2 노즐체(52)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축압실(58) 내부에 축압 플런저(53)와 가압 부재(54)가 배치된 1 개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노즐 헤드(50)를, 그 선단에 노즐 팁(55)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해당 노즐 팁(55)을 포함하여 1 개의 유닛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분출기 본체(10)에 대한 펌프(30)의 조립 등을 행하는 조립 공정과는 다른 공정에서, 노즐 헤드(50)를 미리 유닛화(모듈화)하여 둘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닛화된 노즐 헤드(50)는, 제 2 노즐체(52)의 내통벽(52b)을 분출기 본체(10)에 설치한 기둥 형상부(20)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소경 원통부(52c)를 고리 형상벽(19)에 결합시키도록 분출기 본체(10)로 향해서 압입하여, 록킹 플랜지(52g)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축압 플런저(53)나 가압 부재(54)의 탈락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분출기 본체(1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트리거식 분출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트리거식 분출기의 노즐 헤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의 (a)는 도 6에서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상태에서 노즐 헤드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노즐 헤드를 단체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전술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인 트리거식 분출기(100)에서는, 노즐 헤드(50)에 발포부(70)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발포부(70)는, 분출공(51c)에 설치되어 분출공(51c)에서 분출된 액체를 포말화하여 외부로 분출시키는 것이며, 돌출통(56)의 개구단에 장착되는 노즐 팁(55), 노즐 팁(55)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핀 엘리먼트(57) 및 격벽(51b)의 외측을 덮도록 제 1 노즐체(51)에 고정되는 커버 통(71)을 가지고 있다.
커버 통(71)은, 돌출통(56)과 동축으로 해당 돌출통(56)보다도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통(56)의 선단으로 향해서 개구하는 4 개의 (도 6 중에서는 3 개만 도시되어 있음) 외기 도입공(71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버 통(71)의 내주면에는, 해당 커버 통(71)의 돌출통(56)으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웃한 외기 도입공(71a) 사이에 위치하여 내향으로 돌출하여 돌출통(56)의 선단에 맞닿는 4 개의 돌기(71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 팁(55)의 소공(55a)에서 안개화된 액체가 고압으로 분출되면, 커버 통(71) 내측에 음압이 발생하고, 커버 통(71) 외측에서 외기 도입공(71a)을 통하여 커버 통(71) 내측으로 공기가 도입된다. 그리고, 도입된 공기가 안개화된 고압의 액체에 혼합됨으로써, 해당 액체가 발포된다. 이와 같이, 분출공(51c)에서 안개 모양으로 분출된 액체는, 발포부(70)에 의해서 포말화되어 외부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노즐 헤드(50)에 발포부(70)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트리거식 분출기(100)에 있어서도, 해당 노즐 헤드(50)를, 제 1 노즐체(51)와 제 2 노즐체(52)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축압실(58) 내부에 축압 플런저(53)와 가압 부재(54)를 배치하는 동시에 선단에 발포부(70)를 구비한 1 개의 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에 따른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펌프(30)를 구성하는 실린더(33)를 분출기 본체(10)와는 별도로 형성하고 있지만, 분출기 본체(10)에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펌프(30)의 구성 자체도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즐(50)을 분출기 본체(10)에 대해서 분출 가능 위치와 분출 불능 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하였지만, 노즐 헤드(50)를 분출기 본체(10)에 대해서 고정하고, 트리거식 분출기(1)를 분출 불능 상태로 전환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통(71)에 설치된 외기 도입공(71a)의 개수는 4 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리거식 분출기
2 : 용기
2a : 입구부
2b : 수나사
10 : 분출기 본체
11 : 연결통
12 : 장착 캡
12a : 암나사
13 : 밀봉 부재
14 : 기립부
15 : 연장 돌출부
16 : 튜브
17 : 판 형상벽
18 : 출구
19 : 고리 형상벽
20 : 기둥 형상부
20a : 대경 기단부
20b : 관통공
21 : 전방 홈부
22 : 외향 훅부
30 : 펌프
31 : 내통
32 : 외통
33 : 실린더
34 : 유출입공
35 : 피스톤
35a : 오목부
36 : 흡기공
37 : 통기공
38 : 개공
40 : 체크 밸브
41 : 트리거
42 : 추축
43 : 핀 부재
44 : 쉬라우드
50 : 노즐 헤드
51 : 제 1 노즐체
51a : 외각벽
51b : 격벽
51c : 분출공
51d : 대경 원통부
52 : 제 2 노즐체
52a : 기부
52b : 내통벽
52c : 소경 원통부
52d : 밀봉통부
52e : 고정통부
52f : 연통공
52g : 록킹 플랜지
52h : 스토퍼편
53 : 축압 플런저
53a : 안내통부
53b : 본체부
53c : 대경 수압부
53d : 각부
53e : 밸브체부(소경 수압부)
54 : 가압 부재
55 : 노즐 팁
55a : 소공
56 : 돌출통
57 : 스핀 엘리먼트
57a : 스핀 홈
58 : 축압실
59 : 후방 홈부
60 : 봉형상부
70 : 발포부
71 : 커버 통
71a : 외기 도입공
100 : 트리거식 분출기
P1 : 기립 유로
P2 : 연장 돌출 유로
S : 판 스프링

Claims (6)

  1.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액체 유로를 구비한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를 유로에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유로의 출구에 이어지고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에 압송된 액체를 분출공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 헤드를 갖는 트리거식 분출기로서,
    상기 노즐 헤드 내부에 구획 형성되고, 연통공을 거쳐서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축압실과,
    대경 수압부와 상기 대경 수압부와는 반대쪽을 향하는 소경 수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축압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출공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분출공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축압 플런저와,
    상기 축압실에 배치되고, 상기 축압 플런저를 상기 폐쇄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축압실 내부에서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될 때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축압 플런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축압실 내부의 액체가 상기 분출공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분출공을 구비한 제 1 노즐체와,
    상기 제 1 노즐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노즐체와의 사이에 상기 축압실을 구획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공을 구비하는 제 2 노즐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노즐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노즐체가, 상기 연통공을 둘러싸는 동시에 내주면에 상기 유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홈부를 구비한 내통벽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기 본체가, 상기 내통벽 내측에 상기 내통벽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상기 연통공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홈부가 설치된 기둥 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가 연통하는 분사 가능 위치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의 연통이 차단되는 분사 불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출기.
  2.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액체 유로를 구비한 분출기 본체와, 트리거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액체를 유로에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유로의 출구에 이어지고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에 압송된 액체를 분출공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 헤드를 갖는 트리거식 분출기로서,
    상기 노즐 헤드 내부에 구획 형성되고, 연통공을 거쳐서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축압실과,
    대경 수압부와 상기 대경 수압부와는 반대쪽을 향하는 소경 수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축압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출공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분출공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축압 플런저와,
    상기 축압실에 배치되고, 상기 축압 플런저를 상기 폐쇄 위치로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축압실 내부에서의 액체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될 때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축압 플런저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축압실 내부의 액체가 상기 분출공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출공에 설치되어 상기 분출공에서 분출된 액체를 포말화하는 발포부를 더 가지며,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연통공을 둘러싸는 동시에 내주면에 상기 유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홈부를 구비한 내통벽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기 본체가, 상기 내통벽 내측에 상기 내통벽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상기 연통공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홈부가 설치된 기둥 형상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가 연통하는 분사 가능 위치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의 연통이 차단되는 분사 불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분출공을 구비한 제 1 노즐체와,
    상기 제 1 노즐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노즐체와의 사이에 상기 축압실을 구획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연통공을 구비하는 제 2 노즐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노즐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트리거식 분출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출공보다도 개구 단면적이 작은 소공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공에 장착되어 상기 분출공에서 분출되는 액체를 안개화하는 노즐 팁을 더 구비하는,
    트리거식 분출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출공보다도 개구 단면적이 작은 소공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공에 장착되어 상기 분출공에서 분출되는 액체를 안개화하는 노즐 팁을 더 구비하는,
    트리거식 분출기.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즐체가, 상기 연통공을 둘러싸는 동시에 내주면에 상기 유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홈부를 구비한 내통벽을 구비하며,
    상기 분출기 본체가, 상기 내통벽 내측에 상기 내통벽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우면서 액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외주면에 상기 연통공에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홈부가 설치된 기둥 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가 연통하는 분사 가능 위치와 상기 후방 홈부와 상기 전방 홈부의 연통이 차단되는 분사 불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분출기 본체에 대해서 회동이 자유로운,
    트리거식 분출기.
KR1020187032991A 2016-05-31 2017-04-10 트리거식 분출기 KR102170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9482A JP6576300B2 (ja) 2016-05-31 2016-05-31 トリガー式噴出器
JP2016109481A JP6612181B2 (ja) 2016-05-31 2016-05-31 トリガー式噴出器
JPJP-P-2016-109481 2016-05-31
JPJP-P-2016-109482 2016-05-31
PCT/JP2017/014723 WO2017208630A1 (ja) 2016-05-31 2017-04-10 トリガー式噴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989A KR20180134989A (ko) 2018-12-19
KR102170596B1 true KR102170596B1 (ko) 2020-10-27

Family

ID=6047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991A KR102170596B1 (ko) 2016-05-31 2017-04-10 트리거식 분출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18281B2 (ko)
EP (1) EP3466546B1 (ko)
KR (1) KR102170596B1 (ko)
CN (1) CN109153029B (ko)
WO (1) WO2017208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5097A (zh) * 2018-08-08 2018-11-20 肇庆欧迪斯实业有限公司 带伸缩杆的杀虫喷嘴和杀虫工具
JP6701413B1 (ja) * 2019-05-23 2020-05-27 古沢 正弘 トリガー式噴霧器
IT202100027218A1 (it) * 2021-10-22 2023-04-22 Guala Dispensing Spa Testa di erogazione a grilletto con camera pistone ridot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144A (ja) * 2007-05-31 2008-12-11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6837D1 (en) * 1979-08-16 1984-04-12 Canyon Corp Foam dispenser
US4953791A (en) * 1987-04-24 1990-09-04 Atsushi Tada Manually operated trigger type dispenser,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a spinner for use in the dispenser
US4944431A (en) * 1988-09-23 1990-07-31 Blake William S Trigger sprayer with multi-function piston
US5335858A (en) * 1993-04-14 1994-08-09 Dunning Walter B Pump sprayer having leak preventing seals and closures
US5590834A (en) * 1994-07-22 1997-01-07 Contico International, Inc. One-piece trigger sprayer housing
JP3110665B2 (ja) * 1995-12-15 2000-11-20 花王株式会社 スプレイヤー
US6036112A (en) * 1998-04-17 2000-03-14 Continental Sprayers International, Inc. Foaming nozzle for trigger sprayer
WO2003011475A1 (fr) * 2001-07-31 2003-02-13 Canyon Co., Ltd. Distributeur a pompe et pulverisateur comprenant ce dernier
JP4767666B2 (ja) 2005-11-22 2011-09-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7289870A (ja) * 2006-04-25 2007-11-08 Canyon Corp トリガー式の泡噴出ディスペンサ
JP5025279B2 (ja) * 2007-02-14 2012-09-12 花王株式会社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GB0901907D0 (en) * 2009-02-05 2009-03-11 Leafgreen Ltd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JP5214703B2 (ja) 2010-10-22 2013-06-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噴出器
JP5630831B2 (ja) 2011-05-31 2014-11-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噴霧器
JP6066408B2 (ja) * 2013-01-31 2017-01-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5984188B2 (ja) * 2013-01-31 2016-09-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258128B2 (ja) * 2014-05-30 2018-0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486146B2 (ja) * 2015-02-27 2019-03-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634243B2 (ja) * 2015-08-31 2020-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144A (ja) * 2007-05-31 2008-12-11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6546B1 (en) 2021-11-10
KR20180134989A (ko) 2018-12-19
US20190176177A1 (en) 2019-06-13
CN109153029B (zh) 2021-07-16
EP3466546A4 (en) 2020-01-22
CN109153029A (zh) 2019-01-04
US10518281B2 (en) 2019-12-31
WO2017208630A1 (ja) 2017-12-07
EP3466546A1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97B1 (ko) 트리거식 액체 분출기
EP2915589B1 (en) Spray head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me
KR102170596B1 (ko) 트리거식 분출기
JP7398608B2 (ja) バイアルとフィルタを備えた投与マウスピースとを有する、製品をパッケージ化および投与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625812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US20100219207A1 (en) Lever spray pump
US20210187530A1 (en) Spray pump
JP201615992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576300B2 (ja) トリガー式噴出器
JP612130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6297216A (ja) 噴射装置、および噴出器
JP6612181B2 (ja) トリガー式噴出器
JP2018083636A (ja) 噴出器
JP6604876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2021084070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6667963B2 (ja) トリガー式噴出器
JP5840439B2 (ja) エア混合式噴出器
US11219911B2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to-pasty products and module-forming closure device therefor
JP7118561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EP3845104A1 (en) Stationary outlet stem pump
JP2015047553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0620498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