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462B1 -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462B1
KR102166462B1 KR1020180134324A KR20180134324A KR102166462B1 KR 102166462 B1 KR102166462 B1 KR 102166462B1 KR 1020180134324 A KR1020180134324 A KR 1020180134324A KR 20180134324 A KR20180134324 A KR 20180134324A KR 102166462 B1 KR102166462 B1 KR 10216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lid
cooker
electric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872A (ko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이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열 filed Critical 이정열
Priority to KR102018013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4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솥(1)과 가스레인지(5)를 겸용으로 조리 가능한 밥솥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전기솥(1)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상단 외면에 전기솥(1)내에 거치와 이동을 위한 지지대(11)가 형성되는 밥솥(10); 위 밥솥(10)의 상단에 탈·부착되어 내부를 개폐하고, 상단에 사용자로부터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21)가 부착되는 뚜껑(20); 위 밥솥(10)과 뚜껑(20)이 서로 맞물려 밀착되는 부위에 내부를 설정 압력으로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패킹(31)이 개재되는 기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강밥솥은 간접가열식인 전기솥과 직접가열식인 가스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리를 구현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밥솥과 뚜껑과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압력 조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음식물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Health cooker for both electric kettle and gas range that emits far infrared ray}
본 발명은 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따라 간접가열식인 전기솥과 직접가열식인 가스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리를 구현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향상하도록 개선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밥솥은 밥솥 뚜껑에 위치한 압력 배출구가 작고 밥솥 내부의 압력을 강제로 지탱하기 위해서 밥솥 뚜껑이 밥솥 몸체와 강하게 잠가진 상태에서 빠른 취사를 위하여 고온 고압에서 취사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전기밥솥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밥통뚜껑에 위치한 배출구를 통하여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밥맛을 최상으로 내기 위한 적정 취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영양분의 손실과 지어진 밥의 상태가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기밥솥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철재로 된 내솥을 사용하므로 내솥 전체에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뜸을 들이는 과정에서 곡류가 가지고 있는 맛을 제대로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9187호 (고안의 명칭: 열전도체를 내장하는 솥)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5146호 (고안의 명칭: 도자기 또는 돌 및 강화유리 솥의 외면에 열전도체를 부착시켜 적용된 전기솥과 간접열용 및 직화열용 솥)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솥의 저면에서부터 받는 열을 솥의 측면부위에서 심부로 고루 빨리 전도하므로 열의 효율이 좋고 흙, 석분, 게르마늄, 강화유리제에서 방사하는 원적외선이 음식물의 조리가 잘되고 풍미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전기솥의 내솥으로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가스레인지에 직화로 적용이 가능토록 하였다.
그러나 제안된 문헌들은 단순히 밥솥과 뚜껑으로만 구성하고 있으므로 가스레인지를 사용 시에 고온 고압의 압력으로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물론, 뚜껑을 비교적 높은 중량으로 구성할 경우 그에 비례하는 내부압력으로 조리가 가능하나, 반대로 일반 조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061호 (발명의 명칭: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를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내솥으로 도자기의 단점인 굽을 없앤 도자기를 사용하여 빠르게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자기의 특성인 고른 열전달과 내솥의 패킹구조에 의하여 내솥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고온 고압에 의한 폭발사고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맛과 영양이 보존된 최상의 밥을 짓도록 개선하였다.
여기서 밥솥과 뚜껑에 맞물리는 부위의 패킹이 중심부를 향해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어 하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하단부는 수직되는 방향을 향하여 밴딩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본체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끝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얇은 판 형상의 실링 편이 외측 면 전주에 걸쳐 형성되고 있다. 즉, 밥솥과 뚜껑 사이로 토출되는 증기가 실링 편에 가로막혀 밀폐되고, 실링 편은 토출 압력에 따라 밥솥과 뚜껑과 밀착하려는 벌림 힘이 작용되는 ㅅ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밥솥과 뚜껑이 세로로 수평하게 맞물리는 경우 뚜껑이 밥솥을 폐쇄하는 과정에서는 실링 편이 외측으로 벌어져 밀폐성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올바른 상태의 실링 편으로 폐쇄한 상태더라도 실링 편이 내부압력에 따라 밥솥과 뚜껑 사이에 작용하는 벌림 힘에 의해 개방이 어렵고 순간적인 증기의 배출로 화상과 같이 신체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
물론, 밥솥과 뚜껑이 서로 경사지게 맞물리는 경우 실링 편이 올바른 상태로 폐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압력에 따라 뚜껑이 밥솥으로부터 상승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내부압력이 소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결과적으로 고온 고압의 압력으로 조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9187호 (고안의 명칭: 열전도체를 내장하는 솥)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5146호 (고안의 명칭: 도자기 또는 돌 및 강화유리 솥의 외면에 열전도체를 부착시켜 적용된 전기솥과 간접열용 및 직화열용 솥)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9061호 (발명의 명칭: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간접가열식인 전기솥과 직접가열식인 가스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리를 구현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밥솥과 뚜껑과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압력 조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음식물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은 전기솥과 가스레인지를 겸용으로 조리 가능한 밥솥에 있어서: 적어도 전기솥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상단 외면에 전기솥 내에 거치와 이동을 위한 지지대가 형성되는 밥솥; 위 밥솥의 상단에 탈·부착되어 내부를 개폐하고, 상단에 사용자로부터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가 부착되는 뚜껑; 위 밥솥과 뚜껑이 서로 맞물려 밀착되는 부위에 내부를 설정 압력으로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패킹이 개재되는 기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위 밥솥과 뚜껑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고령토, 보석분말, 게르마늄이 혼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기밀수단은 밥솥과 뚜껑이 서로 맞물리는 부위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밀착 면과, 위 밀착 면의 상측과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끼움 면과, 위 끼움 면상에 연질의 패킹과 패킹 홈이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밀착 면은 연마재와 연삭숫돌로 연마하거나, 금속으로 도금하여 표면 거칠기를 6S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건강밥솥은 뚜껑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조리에 따라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중량체는 뚜껑에 부착 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정 압력에 대응하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며, 위 공간으로 물을 주입하고 배출하는 주입구와 마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중량체는 수용된 물의 표면이 외부로 투영되는 투명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배열되는 눈금과, 위 눈금마다 밥솥의 수용된 음식물이 끓는 온도와 증기압을 표시하는 알림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간접가열식인 전기솥과 직접가열식인 가스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에 따라 다양한 조리를 구현할 수가 있다.
둘째, 밥솥과 뚜껑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향상할 수가 있다.
셋째, 밥솥과 뚜껑과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압력 조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음식물에 대응할 수가 있다.
넷째, 음식물에 따라 내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량이 가변되는 중량체를 구성하여 보다 정밀하고 탁월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중량체의 외면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조리법에 대응하는 가열온도를 표시해줌으로써 조리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밥솥의 적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밥솥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밥솥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밥솥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건강밥솥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도 1처럼 전기솥(1)과 가스레인지(5)를 겸용으로 조리 가능한 밥솥과 관련되며, 밥솥(10)과 뚜껑(20) 및 기밀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이다.
본 발명의 건강밥솥은 간접가열식인 전기솥과 직접가열식인 가스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리를 구현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밥솥과 뚜껑과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압력 조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음식물에 대응할 수 있게 개선한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밥솥(10)은 도 1 및 도 2처럼 적어도 전기솥(1)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상단 외면에 전기솥(1)내에 거치와 이동을 위한 지지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밥솥(10)은 도 3처럼 적어도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고령토, 보석분말, 게르마늄이 혼합 구성된다. 즉, 황토 60~70 중량%, 고령토 10~30 중량%, 보석분말 3~10 중량%, 게르마늄 3~10 중량%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밥솥(10)은 용기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고온에서 소성 처리될 수 있고, 소성된 처리된 블록을 용기형태로 절삭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11)는 밥솥(10)과 동일한 물질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단열성이 우수한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밥솥(10)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부착될 수가 있다.
참고로 황토와 고령토 및 보석분말 그리고 게르마늄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음식물의 독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항균, 탈취, 악취제거 기능을 발현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향상할 수가 있다.
뚜껑(20)은 도 1 및 도 2처럼 밥솥(10)의 상단에 탈·부착되어 내부를 개폐하며 밥솥(10)의 내부를 설정 압력을 가지도록 중량을 부가한다. 이러한 뚜껑(20)은 상단에 사용자로부터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21)가 부착된다. 여기서 뚜껑(20)은 유리 또는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밥솥(10)과 동일한 중량비로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고령토, 보석분말, 게르마늄으로 혼합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뚜껑(20)이 원적외선 방출 물질로 구성할 경우 도 3과 같이 밥솥(10)과 마찬가지로 원판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고온에서 소성 처리될 수 있고, 소성된 처리된 블록을 원판형태로 절삭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21)는 뚜껑(20)과 동일한 원적외선 방출물질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단열성이 우수한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밥솥(10)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부착될 수가 있다.
기밀수단(30)은 밥솥(10)의 내부압력에 관계없이 상시 밀폐시키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체크밸브(25)와 같이 설정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밀수단(30)은 도 1 및 도 2처럼 밥솥(10)과 뚜껑(20)이 서로 맞물려 밀착되는 부위에 내부를 설정 압력으로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패킹(31)이 개재된다.
여기서 기밀수단(30)은 도 3 및 도 4처럼 밥솥(10)과 뚜껑(20)이 서로 맞물리는 부위에 밀착 면(32)과 끼움 면(33)(34) 및 패킹(31)과 패킹 홈(35)이 구성된다. 밀착 면(32)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30 내지 45°로 하향 경사져 밥솥(10)으로 뚜껑(20)이 정 위치로 안내하며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끼움 면(33)(34)은 밀착 면(32)의 상측과 하측으로 수직하게 각각 연장되어 밥솥(10)과 뚜껑(20)과의 억지끼움을 유발하여 내부압력으로부터 유동을 차단하며,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킹(31)은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고 상측 끼움 면(33)과 하측 끼움 면(34) 중 어느 하나에 개재된다. 그리고 패킹 홈(35)은 패킹(31)이 위치하는 나머지 측 끼움 면(33)(34)에 형성된다. 여기서 밥솥(10)의 패킹(31)과 패킹 홈(35)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밥솥(10)의 상측 끼움 면(33)에 패킹(31)이 개재되면, 하측 끼움 면(34)으로 패킹 홈(35)이 형성되고, 반대로 뚜껑(20)의 상측 끼움 면(33)으로 패킹 홈(35)이 형성되면, 하측 끼움 면(34)에는 패킹(31)이 개재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밥솥(10)으로 뚜껑(20)을 부착시키면, 밀착 면(32)이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끼움 면(33)(34)이 서로 맞물리며 패킹(31)과 패킹 홈(35)이 상호 결착하게 된다.
이러한 기밀수단(30)은 포화 증기가 1Kg/㎠ 이하의 압력만을 허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밥솥(10)의 음식물이 120℃에서 끓는점을 가진다. 즉, 음식물이 120℃ 이상에서는 증기압력이 패킹(31)과 밀착 면(32) 및 끼움 면(33)(34)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과한 압력으로 폭발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한 음식물의 맛과 형태를 보존되게 한다.
이때, 밀착 면(32)은 연마재와 연삭숫돌로 연마하거나, 금속으로 도금하여 표면 거칠기를 6S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즉, 밥솥(10) 또는 뚜껑(20)은 수지나 금속과 달리 원적외선 방출 물질이 혼합되어 소성된 것이므로 표면이 비교적 거칠어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밀착 면(32)을 연마하거나 인체에 무해한 합금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을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하여 공극을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강밥솥은 도 6과 같이 뚜껑(2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조리에 따라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중량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40)는 뚜껑(20)에 부착 가능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정 압력에 대응하는 물을 수용하는 공간(41)이 마련되며, 공간(41)으로 물을 주입하고 배출하는 주입구(42)와 마개(43)가 구성된다. 여기서 중량체(40)는 손잡이(21)를 회피하도록 요입되는 회피 홈이 형성된다.
즉,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밀수단(30)은 1Kg/㎠ 이상의 압력이 작용되면, 밥솥(10)으로부터 뚜껑(20)이 이격되면서 증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밥솥(10)과 뚜껑(20)간의 긴밀한 부착이 상실하게 되어 음식물의 조리온도를 120℃로 유지할 수가 없다.
중량체(40)는 도 7처럼 공간(41)으로 물이 설정 용량으로 주입되어 뚜껑(20)을 가압하는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중량체(40)는 증기가 설정 압력에서 뚜껑(20)을 들어 외부로 배출되는 즉시 뚜껑(20)을 다시 눌러 밥솥(10)과 긴밀한 부착을 유도한다. 더불어 음식물의 끓는 온도를 120℃ 이상으로 조리할 경우 물을 더 주입하여 뚜껑(20)의 중량을 상승시키면 된다.
여기서 중량체(40)는 도 8처럼 수용된 물의 표면이 외부로 투영되는 투명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하게 배열되는 눈금과, 위 눈금마다 밥솥의 수용된 음식물이 끓는 온도와 증기압을 표시하는 알림수단(45)이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조리양식에 따라 설정된 온도 또는 증기압에 맞춰 공간(41)으로 물을 주입한 다음, 뚜껑(20)의 상단에 올려둔 뒤에 조리를 개시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간접가열식인 전기솥과 직접가열식인 가스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에 따라 다양한 조리를 구현할 수가 있고, 밥솥과 뚜껑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전반적으로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향상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밥솥과 뚜껑과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압력 조리가 가능하여 다양한 음식물에 대응할 수가 있다.
더불어 음식물에 따라 내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중량이 가변되는 중량체를 구성하여 보다 정밀하고 탁월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중량체의 외면에 수용되는 물에 수위에 따라 조리법에 대응하는 가열온도를 표시해줌으로써 조리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가 있다.
1: 전기솥 2: 가스레인지
10: 밥솥 11: 지지대
20: 뚜껑 21: 손잡이
30: 기밀수단 31: 패킹
32: 밀착 면 33, 34: 끼움 면
35: 패킹 홈 40: 중량체
41: 공간 42: 주입구
43: 마개

Claims (3)

  1. 전기솥(1)과 가스레인지(5)를 겸용으로 조리 가능한 밥솥에 있어서:
    적어도 전기솥(1)에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상단 외면에 전기솥(1)내에 거치와 이동을 위한 지지대(11)가 형성되는 밥솥(10);
    위 밥솥(10)의 상단에 탈·부착되어 내부를 개폐하고, 상단에 사용자로부터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21)가 부착되는 뚜껑(20);
    위 밥솥(10)과 뚜껑(20)이 서로 맞물려 밀착되는 부위에 내부를 설정 압력으로 밀폐시키는 하나 이상의 패킹(31)이 개재되는 기밀수단(30);
    뚜껑(20)의 상단에 음식물에 따라 밥솥의 내부압력을 조절하도록 물을 수용하는 공간(41)이 마련되는 중량체(40);를 포함하며,
    위 밥솥(10)과 뚜껑(20)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고령토, 보석분말, 게르마늄이 혼합 구성되고,
    위 기밀수단(30)은 밥솥(10)과 뚜껑(20)이 서로 맞물리는 부위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밀착 면(32)과, 위 밀착 면(32)의 상측과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끼움 면(33)(34)과, 위 끼움 면(33)(34)상에 연질의 패킹(31)과 패킹 홈(35)이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2. 삭제
  3. 삭제
KR1020180134324A 2018-11-05 2018-11-05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KR10216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24A KR102166462B1 (ko) 2018-11-05 2018-11-05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324A KR102166462B1 (ko) 2018-11-05 2018-11-05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872A KR20200051872A (ko) 2020-05-14
KR102166462B1 true KR102166462B1 (ko) 2020-10-16

Family

ID=7073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324A KR102166462B1 (ko) 2018-11-05 2018-11-05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810A (ko) 2020-06-22 2021-12-29 류현미 조리기구
KR102314214B1 (ko) 2020-10-19 2021-10-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압력밥솥 겸용의 전기밥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836Y1 (ko) * 2002-04-03 2002-07-1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인더스트리 압력솥의 압력조절장치
KR200387420Y1 (ko) * 2005-04-01 2005-06-17 최석규 압력 가마솥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187Y1 (ko) 1996-02-09 1999-03-20 황만철 열전도체를 내장하는 솥
KR19990035146A (ko) 1997-10-31 1999-05-15 양재신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KR200185689Y1 (ko) * 1998-03-06 2000-07-01 김용진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19990035146U (ko) * 1999-06-02 1999-09-06 황만철 도자기또는돌및강화유리솥의외부면에열전도체를부착시켜적용된전기솥과간접열용및직화열용솥
KR100679061B1 (ko) 2006-04-11 2007-02-06 (주)복돼지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836Y1 (ko) * 2002-04-03 2002-07-13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 인더스트리 압력솥의 압력조절장치
KR200387420Y1 (ko) * 2005-04-01 2005-06-17 최석규 압력 가마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872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462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KR101631556B1 (ko)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101428024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CN104083069B (zh) 可控的以炭火为热源的多功能组合炉
KR100834805B1 (ko) 가마솥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KR200381008Y1 (ko)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KR100679061B1 (ko)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TW201315425A (zh) 利用自動壓力蒸煲機的烹調方法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CN209136192U (zh) 一种高压锅
CN107087981A (zh) 一种家用电火锅锅具
KR20040028471A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용구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20130018203A (ko) 휴대용 쿠커
JP2010268929A (ja) 炊飯調理具
KR101102075B1 (ko) 계육탕(鷄肉湯) 조리를 위한 항아리 저온조리기
CN207855541U (zh) 高效蒸笼型焖烧壶
CN216166840U (zh) 一种远红外一体式养生锅
KR200356371Y1 (ko) 돌솥용 뚜껑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KR102194389B1 (ko)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한 금속의 주방용품
CN209678177U (zh) 一种多功能组合锅
KR100774361B1 (ko) 조리용 옥돌 구이판
KR200346319Y1 (ko) 다용도 조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