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008Y1 -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008Y1
KR200381008Y1 KR20-2005-0002508U KR20050002508U KR200381008Y1 KR 200381008 Y1 KR200381008 Y1 KR 200381008Y1 KR 20050002508 U KR20050002508 U KR 20050002508U KR 200381008 Y1 KR200381008 Y1 KR 200381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ndothelial
far
spac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웅
윤종철
Original Assignee
최병웅
윤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웅, 윤종철 filed Critical 최병웅
Priority to KR20-2005-0002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11)을 형성시킨 용기 형태의 내피용기(110)와, 상기 내피용기(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용기(110) 외부면에 2중으로 중첩되게 결합시키되 바닥면에는 환형의 가열공간(121)을 형성시키며 내피용기(110)의 수납공간(111) 외부 모서리 부위에 공기유동공간(131)을 형성시킨 외피용기(120)와, 상기 내피용기(110) 및 외피용기(120)가 2중으로 중첩되어 형성된 용기(100)의 개구된 상부를 안착되어 수납공간(111)을 개폐시키되 상부 중앙에 결합된 손잡이를 통하여 수납공간(111) 내부로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150)과, 상기 외피용기(120)의 가열공간(121)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출물질(130)과, 상기 외피용기(120) 및 내피용기(110)의 측방 외주면에 관통시킨 체결공(101)에 결합시켜 수납공간(111)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만 수증기를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력배출수단(140)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Unit infrared ray emission for cooking an instrument}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욱 상세하게는 바닥부가 순동에 의하여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바닥부 내부에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내장시켜 음식물이 타거나 눌러 붙지 않으면서 원적외선의 방출에 의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섭취자의 건강증진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한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요리와는 구별된다.
요리는 만드는 것, 완성된 것, 만드는 방법의 기획, 그리고 그것을 업으로 하는 것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는데 반하여 조리는 다듬과 썰고 장만하여 불을 써서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리의 목적은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소화가 잘 되게 만들어 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조리법 중 식품을 익히는 방법으로는 끓이기, 볶기, 굽기, 삶기, 튀기기, 지지기, 조리기, 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렇게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용기로서는 금속 및 자기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하는 압력솥 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압력솥은 가열되는 열에 의해 압력솥 내부에 수증기를 높은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단시간 내에 식품을 조리하는 방법으로 식품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압력솥은 단시간 높은 열을 집중시켜 열을 제공하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압력솥에 가열온도 조절의 조작 실수나 일정하지 않게 가열온도를 제공할 경우 식품 향이 발산되어 고유의 향을 잃어버리거나 눋기에 의한 풍미의 발생이 억제되고 영양소 등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력솥의 바닥부는 단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열의 전도율이 빨라 열의 컨트롤이 어려워 다양한 식품에 맞추어 최적의 온도로 가열 열을 달리하여야 할 때 온도조절이 쉽지 않아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압력솥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력솥의 뚜껑에 별도로 장착된 증기배출장치는 수동으로 걔폐되어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으로서 일정 압력이상으로 압력솥 내부에 과부하 압력이 발생될 때 사용자가 증기배출장치를 통하여 수증기를 배출시키지 않으면 폭발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내피용기와 외피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2중 구조의 동 재질의 조리용기 바닥부에 일정크기의 가열공간을 형성시켜 여기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옥(玉) 재질의 알갱이를 다수개 충진시켜 인체 고유의 기 파장과 같은 원적외선 파장을 발산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세균을 죽이고 음식물의 성질을 약 알칼리성으로 변환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방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측면 외주연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유동공간을 형성시켜 조리용기에 가열되는 열이 골고루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넘침이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내부에 압력이 셋팅된 압력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압력배출수단을 통하여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 하도록 함으로서 조리용기의 폭발에 대한 위험성을 방지하고 조리용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가열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출 물질을 옥 이외에 게르마늄, 세라믹, 숯 등을 선택적으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음식 성질 및 음식물 섭취자의 체질에 따라 다양한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용기 형태의 내피용기와, 상기 내피용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용기 외부면에 2중으로 중첩되게 결합시키되 바닥면에는 환형의 가열공간을 형성시키며 내피용기의 수납공간 외부 모서리 부위에 공기유동공간을 형성시킨 외피용기와, 상기 내피용기 및 외피용기가 2중으로 중첩되어 형성된 용기의 개구된 상부를 안착되어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되 상부 중앙에 결합된 손잡이를 통하여 수납공간 내부로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과, 상기 외피용기의 가열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출물질과, 상기 외피용기 및 내피용기의 측방 외주면에 관통시킨 체결공에 결합시켜 수납공간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만 수증기를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력배출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배출공을 형성시키되 내주연 일측에는 단턱을 형성시키고 타측 내주연의 단부는 지름을 좁게 형성시키도록 하며 외주연 타측에는 숫나사 형성시켜 조리용기의 체결공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내입되어 배출공의 타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및 개방하는 볼밸브와, 상기 몸체의 배출공 내부의 단턱에 걸려 볼밸브를 셋팅된 만큼의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옥을 주원료로 하되 그 밖에 게르마늄, 세라믹 및 숯으로도 대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의 압력배출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11)을 형성시킨 용기 형태의 내피용기(110)와, 상기 내피용기(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용기(110) 외부면에 2중으로 중첩되게 결합시키되 바닥면에는 환형의 가열공간(121)을 형성시키며 내피용기(110)의 수납공간(111) 외부 모서리 부위에 공기유동공간(131)을 형성시킨 외피용기(120)와, 상기 내피용기(110) 및 외피용기(120)가 2중으로 중첩되어 형성된 용기(100)의 개구된 상부를 안착되어 수납공간(111)을 개폐시키되 상부 중앙에 결합된 손잡이(151)를 통하여 수납공간(111) 내부로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150)과, 상기 외피용기(120)의 가열공간(121)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출물질(130)과, 상기 외피용기(120) 및 내피용기(110)의 측방 외주면에 관통시킨 체결공(101)에 결합시켜 수납공간(111)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만 수증기를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력배출수단(140)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조리용기(100)는 2중으로 일체화된 내피용기(110) 및 외피용기(120)바닥부의 가열공간(121) 내부에 원적외선 방출물질(130)인 옥(玉)의 분말 또는 알갱이를 충진시켜 외부에서 외피용기(120)의 바닥부에 가한 열이 옥을 통하여 내피용기(11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옥에서 발산하는 원적외선 파동이 음식물에 퍼지도록 함으로서 음식물을 성질을 약알칼리성으로 변환시키면서 세균을 죽이도록 하고 음식물을 섭취하는 섭취자로 하여금 공명공진(共振共鳴) 작용을 하도록 하여 세포조직의 부활, 혈액순환, 혈액의 약 칼리화, 체내의 유해 노폐물 배설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때, 원적외선 방출물질(130)은 옥 이외에 세라믹, 향토 또는 숯을 충진할 수 도 있다.
이렇게, 각종 원적외선 방출물질(130)을 가열공간(121)에 충진한 조리용기(1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열이 외피용기(120)의 바닥면을 통해서 가열공간(121) 내부의 원적외선 방출물질(130) 측으로 열을 전달 시켜 이를 내피용기(110)로 전달시켜 열의 확산과정을 서서히 진행 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눌러 붙거나 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내피용기(110)의 바닥면 모서리 외부와 외피용기(120)의 바닥면 모서리 내부 사이에 공기유동공간(131)을 부여하여 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내피용기(110)의 내주연의 열전도률을 감소시켜 원적외선 방출물질(130)인 옥에 의해 가열공간(121) 측으로 부터 제공되는 열의 온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피용기(110)의 내주연 및 바닥면이 고른 온도분포로 가열토록 하여 내피용기(110) 내부에 채워진 조리음식 전체면에 골고루 서열로 제공됨으로서 음식물이 끓음에 의해 넘침이나 눌러 붙는 현상을 최소화된다.
이렇게, 조리용기(100)는 원적외선 방출물질(130)인 옥을 내장함과 동시에 공기유동공간(131)을 형성시킴으로서 옥에 의해 서열됨으로서 음식물을 골고루 익게 해주며 영양파괴를 최소화시키고 마치 뚝배기 그릇과 같이 가열된 열을 장시간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조리용기(100)의 내주연까지 동일한 열온도로 서열되면서 서냉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최상의 맛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조리용기(100)의 내피용기(110) 바닥면 및 내주연에는 엑스카리브코팅을 적용하여 세척에도 흠이 나지 않고 음식물이 눌러 붙는 현상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100)를 압력솥이나 압력후라이팬 등에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압력솥 방식의 조리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압력배출수단(140)에 의해 조리용기(100)의 내부에 발생되어 있는 압축압력이 셋팅 및 어느 압력 이상일때만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조리용기(100)의 폭발의 위험성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압력배출수단(140)은 내부에 배출공(141c)을 형성시키되 내주연 일측에는 단턱(141b)을 형성시키고 타측 내주연의 단부는 지름을 좁게 형성시키도록 하며 외주연 타측에는 숫나사(141a) 형성시켜 조리용기(100)의 체결공(1010)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내부에 내입되어 배출공(141c)의 타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및 개방하는 볼밸브(142)와, 상기 몸체(141)의 배출공(141c) 내부의 단턱(141b)에 걸려 볼밸브(142)를 셋팅된 만큼의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143)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압력배출수단(140)은 내피용기(110)의 내부에 압축압력이 어느 압력 이상일때에나 조리에 필요한 압력 이상일 때에는 그 압력이 내피용기(110)에 관통된 압력배출수단(140)에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 배출공(141c) 단부를 밀폐하고 있는 볼밸브(142)를 배출공(141c) 내부로 밀어 스프링(143)을 압축시키면서 배출공(141c) 단부를 개방시켜 개방된 배출공(141c)을 통하여 외부로 압축압력 즉,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조리용기(100)의 취급 부주위에도 안전하게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리용기(100)의 폭발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는 내피용기와 외피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2중 구조의 동 재질의 조리용기 바닥부에 일정크기의 가열공간을 형성시켜 여기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옥재질의 알갱이를 다수개 충진시켜 인체 고유의 기 파장과 같은 원적외선 파장을 발산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세균을 죽이고 음식물의 성질을 약 알칼리성으로 변환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용기의 측면 외주연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유동공간을 형성시켜 조리용기에 가열되는 열이 골고루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넘침이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조리용기의 내부에 압력이 셋팅된 압력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압력배출수단을 통하여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 하도록 함으로서 조리용기의 폭발에 대한 위험성을 방지하고 조리용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조리용기의 가열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출 물질을 옥 이외에 게르마늄, 세라믹, 숯 등을 선택적으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음식성질 및 음식물 섭취자의 체질에 따라 다양한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원적외선 조리용기의 압력배출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리용기 101 : 체결공
110 : 내피용기 111 : 수납공간
120 : 외피용기 121 : 가열공간
130 : 원적외선 방출물질 131 : 공기유동공간
140 : 압력배출수단 141 : 몸체
141a : 숫나사 141b : 단턱
141c : 배출공 142 : 볼밸브
143 : 스프링 150 : 뚜껑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11)을 형성시킨 용기 형태의 내피용기(110)와,
    상기 내피용기(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피용기(110) 외부면에 2중으로 중첩되게 결합시키되 바닥면에는 환형의 가열공간(121)을 형성시키며 내피용기(110)의 수납공간(111) 외부 모서리 부위에 공기유동공간(131)을 형성시킨 외피용기(120)와,
    상기 내피용기(110) 및 외피용기(120)가 2중으로 중첩되어 형성된 용기(100)의 개구된 상부를 안착되어 수납공간(111)을 개폐시키되 상부 중앙에 결합된 손잡이(151)를 통하여 수납공간(111) 내부로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뚜껑(150)과,
    상기 외피용기(120)의 가열공간(121) 내부에 충진되는 원적외선 방출물질(130)과,
    상기 외피용기(120) 및 내피용기(110)의 측방 외주면에 관통시킨 체결공(101)에 결합시켜 수납공간(111)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일 때만 수증기를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력배출수단(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수단(140)은,
    내부에 배출공(141c)을 형성시키되 내주연 일측에는 단턱(141b)을 형성시키고 타측 내주연의 단부는 지름을 좁게 형성시키도록 하며 외주연 타측에는 숫나사(141a) 형성시켜 조리용기(100)의 체결공(101)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내부에 내입되어 배출공(141c)의 타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및 개방하는 볼밸브(142)와,
    상기 몸체(141)의 배출공(141c) 내부의 단턱(141b)에 걸려 볼밸브(142)를 셋팅된 만큼의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14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130)은 옥을 주원료로 하되 그 밖에 게르마늄, 세라믹 및 숯으로도 대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KR20-2005-0002508U 2005-01-27 2005-01-27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KR200381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508U KR200381008Y1 (ko) 2005-01-27 2005-01-27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508U KR200381008Y1 (ko) 2005-01-27 2005-01-27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008Y1 true KR200381008Y1 (ko) 2005-04-08

Family

ID=4368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508U KR200381008Y1 (ko) 2005-01-27 2005-01-27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00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41B1 (ko) 2012-09-11 2013-07-10 장상윤 공기수용체 구비된 조리기구
KR101334557B1 (ko) 2012-03-13 2013-11-28 문인철 조리용기
EP2765124A2 (en) 2013-02-06 2014-08-13 Elix Corp. Heat-emitting composition absorbing microwaves and emitting heat, transfer paper comprising same, far-infrared-emitting ceramic ware compri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30468A (ko) 2017-09-14 2019-03-22 임덕재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20200007762A (ko) 2019-12-10 2020-01-22 주식회사 옥샘코리아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비된 다중 바닥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57B1 (ko) 2012-03-13 2013-11-28 문인철 조리용기
KR101284941B1 (ko) 2012-09-11 2013-07-10 장상윤 공기수용체 구비된 조리기구
EP2765124A2 (en) 2013-02-06 2014-08-13 Elix Corp. Heat-emitting composition absorbing microwaves and emitting heat, transfer paper comprising same, far-infrared-emitting ceramic ware compri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30468A (ko) 2017-09-14 2019-03-22 임덕재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20200007762A (ko) 2019-12-10 2020-01-22 주식회사 옥샘코리아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구비된 다중 바닥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976B1 (en) Poultry steamer
KR200381008Y1 (ko)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KR102142110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조리기구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KR200381998Y1 (ko) 구이용 팬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KR200421760Y1 (ko) 원적외선 방사 및 압력 배출형 조리용기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100529374B1 (ko) 육류의 가열 및 조리 용기
KR200365588Y1 (ko) 찜조리용 용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JP3645545B2 (ja) ゆで容器
KR100580564B1 (ko) 구이장치
KR102537581B1 (ko) 중탕조리기
KR200356371Y1 (ko) 돌솥용 뚜껑
KR200206888Y1 (ko) 황토 숯불 구이기
KR101202937B1 (ko) 차단판이 구비된 바비큐구이기
JP6748752B1 (ja) 輻射鍋
KR200298129Y1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 용구
KR20110066316A (ko) 마늘 전용구이기
KR200266708Y1 (ko) 고기구이판
KR200222818Y1 (ko) 바베큐 용기
KR20030084569A (ko) 계란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