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588Y1 - 찜조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찜조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588Y1
KR200365588Y1 KR20-2004-0021089U KR20040021089U KR200365588Y1 KR 200365588 Y1 KR200365588 Y1 KR 200365588Y1 KR 20040021089 U KR20040021089 U KR 20040021089U KR 200365588 Y1 KR200365588 Y1 KR 200365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cooking vessel
food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인
Original Assignee
박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인 filed Critical 박종인
Priority to KR20-2004-0021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 및 채소 등을 찌거나 데칠 때 사용하기 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용기 본체 내부에 걸름보조용기를 내합하되 그 걸름보조용기의 저면으로는 미세한 망체가 형성되고 외주면으로 적정 크기의 무수한 구멍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단으로는 회동가능한 손잡이를 구성하되, 상기 걸름보조용기의 외주면과 조리용기 본체 내주면에 적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조리용기 본체 저면으로 유입된 물이 조리과정에서 수증기를 발생시켜 그 수증기가 걸름보조용기 저면의 망체와 외주면으로 천공되는 구멍으로 각각 유입되며 조리되도록 하여 조리물의 저면 및 측면에서 동일한 열량을 갖는 수증기의 잠열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찜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찜조리용 용기{A steamed dish cooking receptacle}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 및 채소 등을 찌거나 데칠 때 사용하기 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용기 본체 내부에 걸름보조용기를 내합하되 그 걸름보조용기의 저면으로는 미세한 망체가 형성되고 외주면으로 적정 크기의 무수한 구멍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단으로는 회동가능한 손잡이를 구성하되, 상기 걸름보조용기의 외주면과 조리용기 본체 내주면에 적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조리용기 본체 저면으로 유입된 물이 조리과정에서 수증기를 발생시켜 그 수증기가 걸름보조용기 저면의 망체와 외주면으로 천공되는 구멍으로 각각 유입되며 조리되도록 하여 조리물의 저면 및 측면에서 동일한 열량을 갖는 수증기의 잠열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찜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육류나 생선의 구이요리는 조리기구에 따라 굽는 방법에 차이가 있고, 또한 맛도 다양해짐은 주지된 바와 같으며, 육류나 생선의 조리방법으로 단순한 구조의 석쇠, 프라이팬, 불고기판 등을 이용하여 직화식으로 조리하는 방법과 제사를 지내기 위한 조리용으로 찌거나 삶는 등 간접화기에 의한 조리방법에 의해 조리되는 방법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육류나 생선 또는 채소류 등을 찌기 위한 조리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인바, 종래의 찜용 조리용기로 상용화되고 있는 것은 일반적인 조리용기 또는 조리솥 내부에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찜판을 안착시키되 상기 조리솥 저면으로 투여되는 물의 수면 보다 상방측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조리솥 상방으로 뚜껑 등을 덮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찜 조리용 용기의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찜 조리용 용기의 경우 찜판의 구멍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증기의 열에 의해서만 조리물이 조리될 뿐이고, 찜판의 외주면 측을 통해 유출되는 수증기는 뚜껑 저면에 먼저 접한 다음에 조리용기 또는 조리솥 상방 내부로 순환되어 조리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뚜껑 외부로 수증기가 유출되어 열손실이 상당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찜판 측면으로 유입되는 수증기는 조리물에 직접 가열되기 보다는 수증기의 특성상 상방으로 대류되어 뚜껑 저면으로 먼저 접한 후에 조리물측으로 재순환 가열하게 되고 일부의 수증기가 뚜껑 외부로 유출하게 되므로, 저면에서 간접 가열되는 열량과 뚜껑 저면에 닿은 후 조리물로 전달되는 열량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되어 찜조리물의 내부가 균형있게 조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생선이나 육류 등의 조리물을 찜 요리하거나 또는 채소류 등을 수증기 등을 이용하여 데치기 위한 조리용기를 제공하되, 조리용기 본체의 저면에 투여되는 물로부터의 수증기에 의해 공급되는 수증잠열이 조리물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며 조리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걸름보조용기가 용기본체에 내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걸름보조용기와 망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한 걸름보조용기와 망체간 압착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조리용기 110; 용기본체
111; 단턱 112; 본체
120; 뚜껑 130; 걸름보조용기
131; 거치환설부 132; 구멍
133; 손잡이 134; 손잡이고정구멍
135; 절곡압착부 136; 망체
137; 코팅층 138; 패킹
140; 이격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 내주로 단턱(111)을 갖는 용기본체(110) 및 뚜껑(120)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조리용기(100)에 있어서,
상단 외주연으로 돌출 환설되는 거치환설부(131)를 이루고, 상단으로 손잡이(133)를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고정구멍(134)이 다수 천공되고, 상기 거치환설부(131) 하방 측면 외주연으로 관통되는 구멍(132)이 무수히 천공되고, 최하단측으로 외향 절곡되는 절곡압착부(135)에 의해 망체(136) 외주연을 압착고정하는 걸름보조용기(130)가 상기 용기본체(110)내에 거치 내합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름보조용기(130) 외측면과 용기본체(110) 내측면으로 이격되는 이격부(14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조리용기의 용기본체와, 내합되는 걸름보조용기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걸름보조용기가 용기본체에 내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걸름보조용기와 망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한 걸름보조용기와 망체간 압착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100)는 일반적인 가스레인지 등의 화력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통상의 용기본체(110)에 내합되는 걸름보조용기(130)로 구성하여, 육류나 생선류 등을 쪄서 제사음식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평상시 찌는 방법에 의한 음식을 취식하고자 할 때, 또는 채소류 등을 데칠 때 사용하기 위한 조리용기(100)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내부에 각종 음식물이나 기타 소스 및 물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외측 상단으로 본체손잡이(112)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손잡이(112)는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 될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본체손잡이(112) 단부가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구성을 갖도록 하여 용기본체(110)로부터의 화기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10) 상단 내측으로 단턱(111)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단턱(111)의 경우, 뚜껑(120)이 안착되며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게 되는 본 고안의 구성인 걸름보조용기(130)의 외측으로 환설되는 거치환설부(131)가 거치될 수 있도록 그 단턱(111)의 폭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름보조용기(130)는 상술한 용기본체(110) 내부에 안착되며 조리물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본체(110)에 투입된 물 등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기 조리물의 저면과 측면 등으로 고르게 확산 분포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이 은은하면서도 고르게 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의 맛을 한층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같은 걸름보조용기(130)는 스텐레스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표면층에 각각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을 코팅처리하여 코팅층(137)을 형성함으로써, 수증기 등으로부터 발열되는 증기열에 의해 상기 코팅층(137)으로부터 원적외선 방사에 의해 조리물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물질 등을 분해하고 조리물 깊숙이 원적외선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을 시식하는 시식자의 신진대사 등이 원할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 물질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옥분말이나 숯분말 또는 게르마늄, 맥반석 등의 광물을 미세하게 분말하여 하여 상기 걸름보조용기(130)의 표면층에 코팅처리하거나 또는 상술한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2가지 이상 혼합하여서 되는 원적외선방사물질을 동일하게 상기 걸름보조용기(130)의 표면층에 코팅처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름보조용기(130) 하방은 개방되는 형상이며, 그 하단측은 내측방으로 절곡된 후 다시 외측방으로 2단절곡되어 절곡압착부(135)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절곡압착부(135) 외측으로 망체(136)의 주연부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압착하여 상호 고정하게 된다.
상기 망체(1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름보조용기(130) 하단측의 절곡압착부(135)에 의해 견고하게 압착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미세한 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게이지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체(136)의 표면층으로도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옥, 숯, 게르마늄, 맥반석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한 물질을 2가지 이상 혼합하여서 되는 코팅층(13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걸름보조용기(130)의 거치환설부(131) 하단으로 연설되는 외측면과 용기본체(110)의 내측면간으로 충분히 이격될 수 있도록 이격부(140)를 형성하여, 용기본체(110)에 투여된 물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기 망체(136)를 통하여 대류됨과 동시에 상기한 이격부(140)를 거쳐 상기 걸름보조용기(130) 측면의 구멍(132)을 통해 조리물로 그 열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걸름보조용기(130)의 상단측면으로 다수의 손잡이고정구멍(134)을 상호 대향되게 천공하고, 상기 손잡이고정구멍(134)측으로 대향되게 삽입 고정되기 위한 손잡이(133)를 고정 취부하여 용기본체(110)로부터 걸름보조용기(130)를 인출할 때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부호 138은 패킹을 도시한 것으로 걸름보조용기(130)의 거치환설부(131) 저면측으로 환설하여 상기 용기본체(112)의 단턱(111) 상면과 맞닿도록 함으로써, 수증기가 상기 걸름보조용기(130)의 거치환설부(131) 외주면으로 통하여 곧바로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수증잠열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이용하여, 조리물 등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통상의 조리용기(100)로 되는 용기본체(110) 내부에 적정량의 물을 투여한 후, 걸름보조용기(130)에 조리하고자 하는 육류나 생선 또는 채소류 등을 넣어 망체(136)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 후 뚜껑(120)을 덮은 다음, 통상의 가스레인지 등을 조작하여 화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같이 화기가 제공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100)의 용기본체(110)에 투여된 물이 끊는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수증기가 발생되어지면, 그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걸름보조용기(130)의 저면측에 고정되는 망체(136)를 통과하며 조리물에 수증잠열이 공급됨과 동시에, 걸름보조용기(130)와 용기본체(110)간 충분히 이격되는 이격부(140)를 통하여 망체(136)를 통과하지 않고 대류되는 수증기가 유도되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외주면으로 무수히 천공되는 구멍(132)을 통하여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유입되는 수증기는 걸름보조용기(130) 내부에 안착되고 있는 조리물을 수증잠열에 의해 간접 조리하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망체(136)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증기의 수증잠열과 걸름보조용기(130)의 구멍(132)을 통해 유입되는 수증기의 수증잠열의 열량은 종래와 같이 뚜껑(120)의 저면에 먼저 닿은 후 외부와의 열교환에 의해 일정정도의 열량이 외부로 유출된 후 조리물에 열량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곧바로 조리물에 접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수증기에 포함되는 수증잠열의 열량이 손실되지 않는 상태에서 조리물의 저면과 측면 및 상면 등에 고르게 분포 확산되며 쪄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걸름보조용기(130) 및 망체(136) 각각의 표면층으로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물질등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혼합하여서 되는 코팅층(13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수증잠열에 의해 제공되는 고온의 영향으로 상기 코팅층(137)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됨으로써 조리물 자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독소물질 등을 분해 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시식자의 신체내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성분의 제거 및 신진대사 활동 등을 촉진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육류나 생선 등을 쪄서 조리할 때 걸름보조용기내에 상기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물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용기본체에 수용된 물의 비등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의 잠열에 의해 조리물을 간접 가열하며 찌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수증기가 걸름보조용기의 저면과 측면으로 동일한 열량을 갖는 수증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조리물 전체에 균일한 열량에 의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 각각의 특유의 맛을 음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걸름보조용기와 그 하단으로 고정되는 망체의 각 표면층을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코팅처리하여, 수증기의 잠열이 공급될 때 그 고온에 의해 상기 코팅층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에 함유되어 있는 독소물질의 분해효과는 물론, 조리물 시식자의 신체내 신진대사 촉진 및 각종 유해요소 등을 분해 촉진 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경우 채소류 등을 데치고자 할 때 수증기의 잠열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채소류에 직접 끊는물이 닫지 않도록 함으로써, 채소류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유익한 비타민 등의 물질을 파괴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상단 내주로 단턱(111)을 갖는 용기본체(110) 및 뚜껑(120)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조리용기(100)에 있어서,
    상단 외주연으로 돌출 환설되며 저면으로 패킹(138)이 환설되는 거치환설부(131)를 이루고, 상단으로 손잡이(133)를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고정구멍(134)이 다수 천공되고, 상기 거치환설부(131) 하방 측면 외주연으로 관통되는 구멍(132)이 무수히 천공되고, 최하단측으로 외향 절곡되는 절곡압착부(135)에 의해 망체(136) 외주연을 압착고정하는 걸름보조용기(130)가 상기 용기본체(110)내에 거치 내합되되, 상기 걸름보조용기(130) 외측면과 용기본체(110) 내측면으로 이격되는 이격부(140)를 형성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찜조리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보조망용기(130) 표면층과, 상기 망체(136) 표면층으로 각각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코팅처리되어 코팅층(137)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찜조리용 용기.
KR20-2004-0021089U 2004-07-23 2004-07-23 찜조리용 용기 KR200365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89U KR200365588Y1 (ko) 2004-07-23 2004-07-23 찜조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089U KR200365588Y1 (ko) 2004-07-23 2004-07-23 찜조리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588Y1 true KR200365588Y1 (ko) 2004-10-22

Family

ID=4943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089U KR200365588Y1 (ko) 2004-07-23 2004-07-23 찜조리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5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8090B (zh) 适于微波的烹饪设备
US20110183035A1 (en) Cook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pressure double boiler
US20130019856A1 (en) Device, packaging unit and system for steaming items to be cooked
JP2019037758A (ja) 折り畳み可能な発熱器と焼き板が備えられる焼き装置
KR102142110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조리기구
US3038402A (en) Cooking device
KR200381008Y1 (ko)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365588Y1 (ko) 찜조리용 용기
US6525299B2 (en) Electric garlic cooker
KR100826854B1 (ko) 구이물에 수분이 공급되게 하는 오븐용 구이판
KR200433838Y1 (ko) 다기능 쿠커
KR102136334B1 (ko) 다중 구조의 복합 베이스를 구비하는 요리기구
KR200164512Y1 (ko) 훈제 구이기
KR20120114207A (ko) 영양분과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3중석쇠
KR200318145Y1 (ko)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KR102457253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훈증에 의한 간접 가열 조리기구
TWM557076U (zh) 兼具蒸、煮、烤之鍋具結構
KR200366194Y1 (ko) 조리기구의 바닥구조
TWM548502U (zh) 具蒸煮功能之火鍋
KR200398833Y1 (ko) 숯이 포함된 황토구이판
JP2008284187A (ja) 電動調理器
KR101894504B1 (ko) 라면 조리 용기
KR20070061492A (ko)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다용도 요리기구
KR20090085723A (ko) 육류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