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468A -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468A
KR20190030468A KR1020170117948A KR20170117948A KR20190030468A KR 20190030468 A KR20190030468 A KR 20190030468A KR 1020170117948 A KR1020170117948 A KR 1020170117948A KR 20170117948 A KR20170117948 A KR 20170117948A KR 20190030468 A KR20190030468 A KR 20190030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skin
shell
cook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888B1 (ko
Inventor
임덕재
Original Assignee
임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재 filed Critical 임덕재
Priority to KR102017011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8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외피와, 상기 용기외피의 내측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내피 및 상기 용기외피와 용기내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내피와 용기외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소정두께를 갖는 금속재의 접합판을 구비함으로써, 용기내피와 용기외피의 바닥부가 파손되거나 형상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조리용기의 바닥부가 금속재의 접합판에 의해 전류가 잘 통하도록 하여 인덕션과 같은 가열수단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duplex cooking pot for gas range with avoid overheating sensor}
본 발명은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되는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외피와 용기외피 내측에 용기내피가 구비되어 이중의 바닥부를 갖고, 용기내피와 용기외피 사이에 공기가 머물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용기내피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시에 음식물이 용기내피의 바닥에서 타거나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바닥부(바닥면)에 열을 가하면 바닥부의 열전도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부가 즉각적인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단일겹으로 이루어여 있다.
그러나 조리용기의 바닥부가 단일겹으로 이루어진 경우, 음식물의 조리용기 내 위치에 따라 가열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떤 부분은 타거나 어떤 부분은 덜 익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조리용기를 용기외피와 용기외피 내측에 용기내피를 구성하여 조리용기의 바닥부를 이중구조로 함으로써, 용기내피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여 조리시에 음식물이 용기내피의 바닥에서 타거나 눌러붙지 않도록 하는 제품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용기내피와 용기외피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옥, 세라믹, 황토 또는 숯을 충진한 조리용기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81008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옥, 세라믹, 황토를 충진한 경우에 상당히 무거워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특히 일반 숯을 충진한 경우에는 숯이 공기와 반응하여 산화되어 연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내측용기와 외측용기 사이의 공기가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내피와 용기외피 사이에 공기가 머물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용기외피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모든 가스레인지에는 과열방지센서가 의무적으로 장착되어, 용기내피에 숯 또는 황토와 같은 열 차단물질이 구비되는 종래 조리용기를 가열할 경우, 용기외피만 급격하게 온도 상승하여 과열됨으로써 과열방지센서가 작동되고 이로 인해 가스랜지의 작동이 멈춰 조리를 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10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55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내피와 용기외피의 바닥부 사이의 공간부에 옥, 세라믹, 황토 또는 숯과 같은 열 차단 물질이 충진되어 외부의 열에 의해 용기외피만이 과열될 뿐 용기내피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음식물의 조리에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낭비되고, 과열방지센서의 작동으로 인해 조리가 불가능한 종래 조리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내피와 용기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금속재의 접합판을 구비함으로써 용기내피와 용기외피의 바닥부가 파손되거나 형상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고, 용기외피에 전달되는 열을 용기내피로 빠르게 전달하여 조리에 필요한 열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접합판에는 공기가 머물 수 있는 통공을 다수 형성하여, 용기외피에 전달되는 열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용기내피에 빠르게 전달되어 용기내피의 음식물이 타거나 용기에 눌러붙지 않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는, 용기외피와, 상기 용기외피의 내측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내피 및 상기 용기외피와 용기내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이중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내피의 바닥부와 상기 용기외피의 바닥부 사이의 공간부에는 소정두께의 접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판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용기내피의 바닥부와 상기 용기외피의 바닥부에 압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조리용기는, 용기내피와 용기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소정 두께의 금속 접합판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조리용기의 내열성이 강해져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조리용기의 바닥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며, 조리용기의 바닥부 전체에 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재의 접합판을 공간부에 구비함으로써 용기외피에 전달되는 외부 열이 용기내피로 빠르게 전달되어 조리에 필요한 열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접합판에는 공기가 머물 수 있는 통공을 다수 형성하여, 용기외피에 전달되는 열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용기내피에 빠르게 전달되어 용기내피 내부의 음식물이 타거나 용기에 눌러붙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판을 전류가 도통하거나 자성을 갖는 금속재로 형성함으로써, 인덕션과 같은 가열도구에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의 단면도와 바닥 공간부에 구비되는 접합판의 모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에 구비되는 접합판의 또 다른 모식도 및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에 접합판이 결합하는 공정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에 구비되는 접합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의 횡단면도와 바닥 공간부에 구비되는 접합판의 모식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에 구비되는 접합판의 모식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에 접합판이 결합되는 공정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조리용기에 구비되는 접합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리를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소정크기의 용기내피(11)와, 상기 용기내피(11)의 외측에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중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의해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의 사이에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B)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외피(12)의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B)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12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는 상부가 상호 밀착되어 결합하거나 상기 용기내피(11)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용기외피(12)에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상호 밀착되면서 결합하여서 상기 공간부(B)가 폐쇄된다.
상기 배기공(12a)은 용기의 가열로 인해 부피팽창으로 인한 폭발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공(12a)의 반경을 아주 미세하게 형성하여 조리용기의 세척과정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공(12a) 또는 공간부(B)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공(12a)을 통해 공간부(B)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미세금속망 또는 공기는 관통시키고 물을 차단하는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내피(11)의 바닥부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B)에는 소정두께의 접합판(20)이 구비된다.
상기 접합판(20)은 상기 공간부(B) 내부에서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의 바닥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류 또는 자력이 도통할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0.2 ~ 2 mm 정도의 두께와 20 ~ 150 mm의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판(20)의 재질, 두께, 크기 및/또는 장착위치는 상술한 범위 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용기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적당한 크기와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20)은 상기 공간부(B) 내부에서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와 상기 용기외피(12)의 바닥부 사이에 구비되고, 유압 프레스 등의 압착수단(P)에 의해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접합판(2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공간부(B) 내부에서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압착되어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접합판(20)에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어 프레스 압력에 의해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 하면과 용기외피(12)의 바닥부 상면이 상기 통공(21)의 내부로 눌려지면서 끼워져 압착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접합판(20)은 프레스 압착에 의해 통공(21)의 주연부가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찍히면서 박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20)은 초음파 접착, 금속접착제 등 다양한 고정 방법에 의해 조리용기의 공간부(B)에서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판(20)은 금속재로 형성되어 용기외피(12)에 공급되는 외부 열을 용기내피(11)에 빠르고 골고루 전달하는 효과가 있으며, 내부에 공기가 머물 수 있는 통공(21)이 다수 형성되어, 용기외피(12)에 가해지는 외부의 높은 열이 통공(21) 내부의 공기에 의해 음식물이 타지 않으면서 조리되기 위한 적당한 온도로 설정되어 용기내피(11)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는 전체적으로 조리용기의 내열성이 강해져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조리용기의 바닥부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며, 조리용기의 바닥부 전체에 외부 열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금속재의 접합판을 공간부에 구비함으로써 용기외피(12)에 전달되는 외부 열이 용기내피(11)로 빠르게 전달되어 조리에 필요한 열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공(21)의 주연부에는 상기 접합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에 결합하는 제1결합구(22) 및/또는 상기 접합판(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외피(12)의 바닥부에 결합하는 제2결합구(23)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21)은 반경이 서로 다른 나이테 형상 또는 방사형으로 상기 접합판(20)의 내부에 나열되며, 상기 제1결합구(22)와 제2결합구(23)는 접합판(20)의 내부에서 최외각에 위치하는 통공(21)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통공(21)으로 가면서 번갈아 형성된다.
일예로, 접합판(20)의 내부에서 최외각(테두리부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통공(21)에는 상기 제1결합구(22)가 형성되고, 최외각에 위치하는 통공(21)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인접하는 그 다음 통공(21)에는 제2결합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구(22) 및/또는 제2결합구(23)는 상기 통공(21)에 상기 통공(21)보다 큰 직경을 가진 프레스 펀치를 밀어 넣어서 플랜지를 만드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 사이의 공간부(B)에서 유압 프레스 등의 압착수단 가공에 의해 상기 제1결합구(22) 또는/및 제2결합구(23)가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박혀 결합하거나 상기 통공(21)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압착되어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22) 및/또는 제2결합구(23)의 상단부는 테이퍼지거나 톱니(22a,22b)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구(22) 및/또는 제2결합구(23)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에 더 쉽게 박히거나 압착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22) 및/또는 제2결합구(23)에는 상하방향의 유동홈(22b,23b)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구(22) 및/또는 제2결합구(23)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용기내피(11)의 바닥부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에서 벌어지면서 압착되는 경우, 상기 유동홈(22b,23b)에 의해 쉽게 벌어질 뿐 아니라 더 큰 반경으로 벌어져 압착면적을 넓혀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22) 및/또는 제2결합부(23)의 주위에는 링 형상의 요철(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부(22) 및/또는 제2결합부(23)의 강성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열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22) 및 제2결합구(23)는 통공(21)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접합판(20)의 상하면에 상부가 뾰족한 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스의 가압에 의해 뿔 형상의 제1결합구(22) 및 제2결합구(23)가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박힘으로써 상기 접합판이 공간부(B) 내부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합판(20)은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 중앙의 공간부(B)에 구비되어 유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20∼60초 동안 서서히 압착하여 고정되며, 조리용기의 국부적인 고열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조리용기의 바닥부 전체에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외피(12)에 공급되는 외부 열이 용기내피(11)에 빠르고 조리에 맞는 적당한 온도로 전달됨으로써, 용기외피(12)의 과열에 따라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센서가 작동되어 조리시간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종래 이중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전기가 통하거나 자석이 달라붙는 재질의 접합판을 사용함으로써, 인덕션과 같은 가열도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용기내피 12 : 용기외피
20 : 접합판 21 : 통공
22 : 제1결합부 23 : 제2결합부
22a,23a : 톱니 22b,23b : 유동홈

Claims (6)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내피(11); 상기 용기내피(11)가 내부에 수용되는 용기외피(12); 및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B);를 포함하는 이중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B)에는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소정두께의 접합판(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판(2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와 용기외피(12)의 바닥부에 압착되어 결합하며,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어 프레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 하면과 용기외피(12)의 바닥부 상면이 상기 통공(21)으로 밀려들어가 끼이면서 압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21)에는 상기 접합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내피(11)의 바닥부에 결합하는 제1결합구(22) 또는 상기 접합판(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외피(12)의 바닥부에 결합하는 제2결합구(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22) 또는 제2결합구(23)의 상단부는 테이퍼 또는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22) 또는 제2결합구(23)에는 상하방향의 유동홈(22b,23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판(20)은,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내피(11)에 결합하는 제1결합구(22); 및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외피(12)에 결합하는 제2결합구(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구(22)와 제2결합구(23)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기 용기내피(11)와 용기외피(12)에 박히면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20170117948A 2017-09-14 2017-09-14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237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48A KR102378888B1 (ko) 2017-09-14 2017-09-14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48A KR102378888B1 (ko) 2017-09-14 2017-09-14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68A true KR20190030468A (ko) 2019-03-22
KR102378888B1 KR102378888B1 (ko) 2022-03-24

Family

ID=6594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48A KR102378888B1 (ko) 2017-09-14 2017-09-14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88B1 (ko) * 2019-05-02 2020-07-14 나혜영 이중 조리용기
KR20210068224A (ko) 2019-11-29 2021-06-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조리 용기
KR20210112711A (ko) * 2020-03-06 2021-09-15 변승호 이중 가열용기
KR102505488B1 (ko) * 2021-11-12 2023-03-03 영성금속(주) 이중 조리용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0742A1 (fr) * 1995-06-21 1997-01-09 Seb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cipient de cuisson a double paroi par frappe a chaud et recipient fabrique selon ce procede
JP2002283064A (ja) * 2001-03-28 2002-10-02 Zojirushi Corp クラッド材
KR200381008Y1 (ko) 2005-01-27 2005-04-08 최병웅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CN100534367C (zh) * 2006-01-27 2009-09-02 胡志明 具有复底的炊具及其制作方法
KR100935597B1 (ko) 2009-02-27 2010-01-07 정광순 이중조리기구와 그 제조방법
KR20120091528A (ko) * 2011-02-09 2012-08-20 주식회사 셰프라인 인덕션 히팅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4091A (ko) * 2011-11-14 2013-05-24 주식회사 해피콜 3중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0742A1 (fr) * 1995-06-21 1997-01-09 Seb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cipient de cuisson a double paroi par frappe a chaud et recipient fabrique selon ce procede
JP2002283064A (ja) * 2001-03-28 2002-10-02 Zojirushi Corp クラッド材
KR200381008Y1 (ko) 2005-01-27 2005-04-08 최병웅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CN100534367C (zh) * 2006-01-27 2009-09-02 胡志明 具有复底的炊具及其制作方法
KR100935597B1 (ko) 2009-02-27 2010-01-07 정광순 이중조리기구와 그 제조방법
KR20120091528A (ko) * 2011-02-09 2012-08-20 주식회사 셰프라인 인덕션 히팅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4091A (ko) * 2011-11-14 2013-05-24 주식회사 해피콜 3중 조리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88B1 (ko) * 2019-05-02 2020-07-14 나혜영 이중 조리용기
KR20210068224A (ko) 2019-11-29 2021-06-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조리 용기
KR20210112711A (ko) * 2020-03-06 2021-09-15 변승호 이중 가열용기
KR102505488B1 (ko) * 2021-11-12 2023-03-03 영성금속(주) 이중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888B1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468A (ko)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US6320166B1 (en) Double layered cooking apparatus
KR102363147B1 (ko) 요리 기구
CN101795610A (zh) 感应炊具
KR101691204B1 (ko) 이중가열 조리기구
KR102057486B1 (ko) 기밀이 유지되는 이중 조리용기
KR20170083941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CN105795887B (zh) 锅体及具有其的炊具
KR102175889B1 (ko) 평탄 바닥구조를 갖는 조리용기의 제작 방법
KR10195478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WO2017036145A1 (zh) 可控制油烟的炒锅及其生产方法
CN201870433U (zh) 高能效电压力煲
CN208404097U (zh) 一种锅具
CN108013774A (zh) 电热器具发热盘
JP2004000379A (ja) 加熱用アルミニウム容器
CN201855148U (zh) 高能效电饭煲
CN109549443A (zh) 一种无油烟锅具及其制备方法
CN206507765U (zh) 内锅
CN106287913A (zh) 降温构件及油汀取暖器
CN208211892U (zh) 一种无油烟锅具
CN101849765A (zh) 电饭煲
CN205031006U (zh) 一种具有加热环套结构的电饭煲
CN214258943U (zh) 夹层锅体及炊具
CN209610783U (zh) 一种分体式高效燃烧桶
CN207334813U (zh) 一种绝缘隔热电陶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