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146A -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146A
KR19990035146A KR1019970056883A KR19970056883A KR19990035146A KR 19990035146 A KR19990035146 A KR 19990035146A KR 1019970056883 A KR1019970056883 A KR 1019970056883A KR 19970056883 A KR19970056883 A KR 19970056883A KR 19990035146 A KR19990035146 A KR 1999003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pipe
gas pipe
exhaust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146A/ko
Publication of KR1999003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46A/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가스 파이프(50)의 국부에 주름관(60)을 각각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완충작용을 이루게 함으로써, 머플러 및 촉매 컨버터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파이프의 연결 부위가 충격으로 인해 균열 또는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방출하는 배기가스 파이프의 기존 진동도 흡수하기 때문에 차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파이프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 매니폴드와 각각의 머플러와 연결되는 배기 파이프의 국부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배기 파이프의 연결 부위가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가스 파이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10)로 부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강관으로, 그 중간마다 촉매 컨버터(20)와 각각의 머플러(30, 40) 등이 장착되는데, 상기 촉매 컨버터(20)는 배기가스 중에 유해한 CO, HC, NOX를 무해한 CO2, H2O, N2로 산화 또는 환원시키고, 머플러(30, 40)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춤과 동시에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종래 배기 파이프(50)는 차체 저부의 형상에 따라 굴곡을 형성하고 있지만, 고온 고압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미세한 충격에도 균열이나 파손을 일으키는 굽힘 응력에 대해서는 취약하다. 즉, 차체의 저면에 설치된 배기 파이프(50)가 요철이 심한 비포장 도로를 통과할 때, 요철부와 배기 파이프(50)간에 충돌이 발생하면 촉매 컨버터(20)와 각각의 머플러(30, 40)를 연결하는 배기 파이프(50)의 연결 부위는 충격으로 인해 균열 또는 파손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거나 배기가스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가스 파이프의 국부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차체의 저면에 설치된 배기가스 파이프가 요철이 심한 비포장 도로를 통과 할 때, 요철부와 배기가스 파이프간에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주름관이 자체적으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머플러 및 촉매 컨버터를 연결하는 배기가스 파이프의 연결 부위가 충격으로 인해 균열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 매니폴드와 촉매 컨버터 및 각각의 머플러간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가스 파이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파이프의 국부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완충작용을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 매니폴드 20 : 촉매 컨버터
30, 40 : 머플러 50 : 배기가스 파이프
60 : 주름관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의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기 매니폴드(10)와 촉매 컨버터(20) 및 각각의 머플러(30, 40)간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강관의 배기가스 파이프(50)를 형성한 구성이다.
그리고 매니폴드(10)와 촉매 컨버터(20) 및 각각의 머플러(30, 40)간을 연결하는 배기가스 파이프(50)의 국부에 주름관(60)을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완충작용을 이루게 한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의 저면에 설치된 배기가스 파이프(50)가 요철이 심한 비포장 도로를 통과 할 때, 요철부와 배기가스 파이프(50)간에 충돌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충돌은 배기가스 파이프(50)에 굽힙 응력으로 변환되어 배기 매니폴드(10)와 촉매 컨버터(20) 및 각각의 머플러(30, 40)간을 연결하는 배기가스 파이프(50)의 연결 부위에 충격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 파이프(50)의 결합력은 진동으로 인해 점차 감소되어 배기가스 파이프(50)의 연결 부위는 균열 또는 파손되려 한다.
그러나 배기가스 파이프(50)의 국부에 형성된 각각의 주름관(60)은 자체적으로 완충작용을 하도록 배기가스 파이프(50)를 유도함으로써, 요철부와 배기가스 파이프(50)간에 충돌로 인해 배기가스 파이프(50)로 전달되는 굽힙 응력을 소멸시킴과 동시에 배기 매니폴드(10)와 촉매 컨버터(20) 및 각각의 머플러(30, 40)간을 연결하는 배기가스 파이프(50)의 연결 부위로 전달되는 충격도 차단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 파이프(50)의 연결 부위는 주름관(60)에 의해 균열 또는 파손이 방지되고, 이 때문에 소음과 배기 가스의 유출도 예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배기 파이프의 국부에 주름관을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완충작용을 이루게 함으로써, 머플러 및 촉매 컨버터를 연결하는 배기 파이프의 연결 부위가 충격으로 인해 균열 또는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의 주름관은 고온 고압의 배기 가스를 방출하는 배기가스파이프의 기존 진동도 흡수하기 때문에 차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파이프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기 매니폴드(10)와 촉매 컨버터(20) 및 각각의 머플러(30, 40)간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가스 파이프(5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파이프(50)의 국부에 주름관(60)을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KR1019970056883A 1997-10-31 1997-10-31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KR19990035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883A KR19990035146A (ko) 1997-10-31 1997-10-31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883A KR19990035146A (ko) 1997-10-31 1997-10-31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46A true KR19990035146A (ko) 1999-05-15

Family

ID=6604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883A KR19990035146A (ko) 1997-10-31 1997-10-31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872A (ko) 2018-11-05 2020-05-14 이정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872A (ko) 2018-11-05 2020-05-14 이정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전기솥 및 가스레인지 겸용 건강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5146A (ko)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파이프 구조
KR100312346B1 (ko) 차량의 배기파이프 고정용 행거러버 보호구
KR20040037922A (ko) 머플러의 충격파 소음 감쇄장치
KR100534923B1 (ko) 자동차의 배기계구조
KR19990005664U (ko) 사일런서와 배기 파이프의 결합구조
KR100418675B1 (ko) 자동차의 배기 마운팅
KR20020055506A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KR19980062517U (ko) 자동차용 사일렌서 행거 브라켓의 행거러버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KR100537959B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KR100362406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기구
KR19980064316U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배기 장치의 프론트 배기 파이프
KR19980018776U (ko)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200246460Y1 (ko) 자동차 소음기 외통
KR0137764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200187160Y1 (ko) 서브머플러의 설치구조
KR0158744B1 (ko) 차량용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고정구조
KR19990030897U (ko) 소음 저감 필터가 구비된 배기 파이프
KR19990027514U (ko) 배기장치의 벨로우즈 파이프 구조
KR20020095583A (ko) 배기파이프의 연결구조
KR19990026486U (ko) 자동차의 촉매컨버터
KR19980062853A (ko) 자동차 배기계의 소음기
KR19980054514U (ko) 자동차용 소음기 고정 구조
KR19980037720U (ko) 배기계의 진동 저감구조
KR20030016564A (ko) 차량용 메인 레저네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