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764Y1 -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 Google Patents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64Y1
KR0137764Y1 KR2019960034296U KR19960034296U KR0137764Y1 KR 0137764 Y1 KR0137764 Y1 KR 0137764Y1 KR 2019960034296 U KR2019960034296 U KR 2019960034296U KR 19960034296 U KR19960034296 U KR 19960034296U KR 0137764 Y1 KR0137764 Y1 KR 0137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partition wall
inlet pipe
plat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023U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4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76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7Apparatus used as intake or exhaust silen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엔진의 배기 다기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매입관(11)과, 상기한 유입관(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입관을 1차적으로 지지하는 전단측 막음판(15)과,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통체(12)와,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의 반대편에서 통체(12)와 연결되어 있는 후단측 막음판(16)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되는 배출관(14)과, 상기한 통체(12)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인 4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며 서로간의 공간을 연결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간막이벽(13)과, 상기한 간막이벽(13)상에 설치되어 상기한 유입관(11)을 2차적으로 보조지지하기 위한 전단측 보조 지지판(17)과, 상기한 간막이벽(13)상에 설치되어 상기한배출관(14)을 2차적으로 보조 지지하기 위한 후단측 막음판(16)으로 이루어지며, 전단측 막음판 및 후단측 막음판과 함께 보조 지지판을 이용하여 유입관과 배출관을 각각 지지시켜 줌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이 고안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단측 막음판 및 후단측 막음판과 함께 보조 지지판을 이용하여 유입관과 배출관을 각각 지지시켜 줌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기(muffler)는 배기 다기관과 연결되어 차량의 뒤쪽 하부면에 설치되며, 배기 다기관을 통해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개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배기소음을 저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6-4884호(공고일자:서기 1996년 6월 17일)의 차량용 소음기와, 동 공고번호 제96-4889호(공고일자:서기 1996년 6월 17일)의 자동차의 마후라와, 동 공고번호 제96-6014호(공고일자:서기 1996년 7월 20일)의 자동차의 소음기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소음기와 자동차의 마후라와 자동차의 소음기 등은 현재 차량에 실적용되고 있는 기술이 아니며, 현재 차량에 실적용되고 있는 자동차 소음기는, 강판을 원통형으로 만든 뒤에 간막이벽을 이용하여 그 내부를 몇 개의 공간으로 구분함으로써 간막이벽을 통과한 음파의 간섭과 압력변동의 감소 및 배기온도의 저하등이 일어나게 하여 배기가스가 점차적으로 소음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현재 차량에 실적용되고 있는 자동차 소음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자동차 소음기의 구성은, 엔진의 배기다기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유입관(11)과, 상기한 유입관(11)에 연결되어 있는 전단측 막음판(15)과,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통체(12)와,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의 반대편에서 통체(12)와 연결되어 있는 후단측 막음판(16)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7)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14)과, 상기한 통체(12)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인 4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며 서로간의 공간을 연결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간막이벽(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구성을 갖는 종래의 자동차 소음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엔진의 배기 다기관으로부터 배기개스가 배출되어 유입관(11)을 통하여 통체(12)의 내부로 흘러들어오면, 상기한 배기개스는 간막이벽(13)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이용하여 간막이벽(13)에 의해서 나뉘어진 4개의 공간을 돌아거쳐 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기개스가 방열 및 소음되어지고, 이와 같이 방열 및 소음된 배기개스는 배출관(14)을 통하여 차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 소음기는, 유입관(11)이 전단측 막음판(15)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고 또한 배출관(14)도 후단측 막음판(16)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에 매우 약하여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단측 막음판 및 후단측 막음판과 함께 보조 지지판을 이용하여 유입관과 배출관을 각각 지지시켜 줌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입관 12 : 통체
13 : 간막이벽 14 : 배출관
15 : 전단측 막음판 16 : 후단측 막음판
17 : 전자측 보조 지지판 18 : 후단측 보조 지지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엔진의 배기 다기관에 연결되어 배기개스를 유동하는 유입관과, 상기한 유입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입관을 1차적으로 지지하는 전단측 막음판과,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통체와,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의 반대편에서 통체와 연결되어 있는 후단측 막음판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되는 배출관과, 상기한 통체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인 4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며 서로간의 공간을 연결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간막이벽과, 상기한 간막이벽상에 설치되어 상시한 유입관을 2차적으로 보조지지하기 위한 전단측 보조 지지판과, 상기한 간막이벽상에 설치되어 상기한 배출간을 2차적으로 보조 지지하기 위한 후단측 막음판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의 사시도이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차 소음기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의 구성은, 엔진의 배기 다기관에 연결되어 있는 유입관(11)과, 상기한 유입관(11)에 연결되어 있는 전단측 막음판(15)과,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통체(12)와,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의 반대편에서 통체(12)와 연결되어 있는 후단측 막음판(16)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14)과, 상기한 통체(12)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인 4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며 서로간의 공간을 연결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간막이벽(13)과,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과 함께 상기한 유입관(11)을 보조 지지하기 위한 전단측 보조지지판(17)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과 함께 상기한 배출관(14)을 보조 지지하기 위한 후단측 보조 지지판(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과 전단 측 보조 지지판(17)과 간막이벽(13)과 통체(1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과 후단측 보조 지지판(18)과 간막이벽(13)과 통체(1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는 배기개스가 돌아 거쳐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공(19)이 간막이벽(13)상에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엔진의 배기 다기관으로부터 배기개스가 배출되어 유입관(11)을 통하여 통체(12)의 내부로 흘러들어오면, 상기한 배기개스는 간막이벽(13)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이용하여 간막이벽(13)에 의해서 나뉘어진 공간을 돌아나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기개스가 방열 및 소음된다.
이때, 상기한 배기개스는 상기한 간막이벽(13)에 설치된 통공(19)을 통하여, 전단측 막음판(15)과, 전단측 보조 지지판(17)과 간막이벽(13)과 통체(1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과 후단측 보조 지지판(18)과 간막이벽(13)과 통체(1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도 거쳐서 돌아 나가기 때문에, 전단측 보조 지지판(17) 및 후단측 보조지지판(18)의 설치로 인하여 방열 및 소음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전단측 보조 지지판(17)과 후단측 보조 지지판(18)은 전단측 막음판(15) 및 후단측 막음판(16)과 함께 유입관(11) 및 배출관(14)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유입관 및 배출관(14)의 접합부위가 손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해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전단측 막음판 및 후단측 막음판과 함께 보조 지지판을 이용하여 유입관과 배출관을 각각 지지시켜 줌으로써 진동 및 충격에 오래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 소음기 분야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엔진의 배기 다기관에 연결되어 배기개스를 유동하는 유입관(11)과, 상기한 유입관(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입관을 1차적으로 지지하는 전단측 막음판(15)과,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의 통체(12)와, 상기한 전단측 막음판(15)의 반대편에서 통체(12)와 연결되어 있는 후단측 막음판(16)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되는 배출관(14)과, 상기한 통체(12)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대칭적인 4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며 서로간의 공간을 연결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간막이벽(13)과, 상기한 간막이벽(13)상에 설치되어 상기한 유입관(11)을 2차적으로 보조지지하기 위한 전단측 보조 지지판(17)과, 상기한 간막이벽(13)상에 설치되어 상기한 배출관(14)을 2차적으로 보조 지지하기 위한 후단측 보조 지지판(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17)과 간막이벽(13)과 통체(1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한 후단측 막음판(16)과 후단측 보조 지지판(18)과 간막이벽(13)과 통체(12)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는, 배기개스가 거쳐서 돌아나가도록 하기 위한 통공(19)이 간막이벽(13)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2019960034296U 1996-10-18 1996-10-18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0137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296U KR0137764Y1 (ko) 1996-10-18 1996-10-18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296U KR0137764Y1 (ko) 1996-10-18 1996-10-18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23U KR19980021023U (ko) 1998-07-15
KR0137764Y1 true KR0137764Y1 (ko) 1999-03-20

Family

ID=1946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296U KR0137764Y1 (ko) 1996-10-18 1996-10-18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7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23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5398B1 (en) Muffler assembly for engine
CN112049710A (zh) 排气消声装置
US20100300799A1 (en) Exhaust sile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7762590B (zh) 消声器的结构
KR0137764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200210094Y1 (ko) 자동차용 후부 머플러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JP3657456B2 (ja) 排気マフラー
JPS6345539Y2 (ko)
JPS6316820Y2 (ko)
CN221053828U (zh) 一种汽车消声器总成
JPS595824A (ja) 自動二輪車の排気消音装置
JPH0625631Y2 (ja) エンジンの排気サイレンサ
JPH1181976A (ja) 自動車用排気マフラ
KR100311131B1 (ko) 자동차용 배기관의 레조네이터
JPS591052Y2 (ja) 排気消音器の騒音低減装置
JP2004137951A (ja) 共鳴型消音器
KR100501118B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190012415A (ko) 자동차용 서브머플러의 구조
KR20040033667A (ko) 자동차용 소음기
JPH0720331Y2 (ja) 消音器
JPS5943457Y2 (ja) 消音器
JP2001098922A (ja) 車両排気系の脈動吸収装置
KR19990030897U (ko) 소음 저감 필터가 구비된 배기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