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776U -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776U
KR19980018776U KR2019960032188U KR19960032188U KR19980018776U KR 19980018776 U KR19980018776 U KR 19980018776U KR 2019960032188 U KR2019960032188 U KR 2019960032188U KR 19960032188 U KR19960032188 U KR 19960032188U KR 19980018776 U KR19980018776 U KR 19980018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hanger rubber
vehicle body
bracket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동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776U/ko
Publication of KR19980018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776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배기관의 지지 브라켓에 설치된 행거 러버의 유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와 배기관에 각각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두 개의 브라켓 사이에 행거 러버를 설치하였으나, 배기관의 좌,우 진동에 따른 흡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행거 러버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행거 러버가 설치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체(100)의 브라켓(110)과 배기관의 브라켓(210)이 삽입되는 행거 러버(300)의 삽입공(31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므로써, 이에 삽입되는 브라켓(110),(210)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배기관의 상,하 진동은 물론 좌,우 진동시에도 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행거 러버(300)가 브라켓(110),(210)에서 이탈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며, 행거 러버(30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할 경우, 브라켓(110),(210)의 형상을 조절하여 행거 러버(300)를 설치하므로써 공간확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다실린더 엔진으로서, 각 실린더가 흡입, 압축, 팽창, 배기의 한 사이클을 피스톤의 4 행정, 즉, 크랭크축 2 회전으로 1 회의 폭발을 갖는 엔진이다.
이렇게 각 실린더가 점화연소되는데,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인 팽창행정을 위한 점화연소 순서를 4 실린더 엔진으로 예로들면, 제 1 실린더가 상사점에 있을때는 제 4 실린더가 마찬가지로 상사점에 있고, 제 2,3 실린더는 하사점에 있어 제 1 → 제 3 → 제 4 → 제 2 실린더 순서로 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순서로 점화연소된 실린더는 배기행정을 통해 고온고압의 배기가스를 배기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이하 배기라 칭함)를 끌어모으는 배기매니홀드(exhaust manifold)와 배기를 차량 뒤쪽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배기관(exhaust pipe) 및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배기사이렌서(소음기)로서 구성된다.
상기 배기매니홀드란 다기통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집합하여 배기관으로 유도하는 부품이며, 연소가스가 실린더내에 잔류하여 체적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배기저항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기 저항을 작게하는 데에는 각 브런치의 구부러져 있는 것을 느슨하게 펴거나 내면을 매끄럽게 하는 등의 방법(정적효과)과 배기 불어내기(브로우다운)에 의한 배기압력파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점화순서가 연속되는 실린더로부터의 집합부를 압력이 내려가는 후류쪽으로 하는 방법이 있으며, 상기 브로우다운에 의하여 배기관내에 유기되는 맥동의 유압파를 배기행정의 속이나 밸브오버랩에 동조시키는 방법(동적효과)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배기를 한 곳으로 집합시키는 싱글포트타입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배기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듀얼포트타입이 널리 쓰이고 있으며, 재질은 주철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박육화가 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할 수 있고, 브런치부 형상의 자유도를 살려 각 브런치의 길이를 같게 하거나 길게 하거나 하는 등에 따라 배기효율을 개선해서 배기온도의 출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용량의 감소에 의하여 배기온도의 상승을 빠르게 하고 촉매의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배기의 정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강관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배기관은 배기매니홀드에서 나온 배기를 차량뒷쪽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통로를 말하며 촉매나 소음기를 도중에 넣기 때문에 몇개로 분할되어서 구성된다. 즉, 듀얼포트타입 배기매니홀드를 사용하는 경우, Y 자 형상으로 해서 배기가스를 집합시키거나 H 자 형상으로 하여 듀얼매니홀드 배압의 밸런스를 잡게 하거나 한다. 또 배기계의 진동을 저감할 목적으로 배기관의 일부에 플렉시블튜브를 쓰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배기관은 내부에 고온의 배기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관내도 상단한 고온으로 된다. 그 때문에 배기관의 고온부에 차열판이나 글라스울 등의 단열재를 설치하여 다른 부품으로의 열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의 배기를 직접 밖으로 내보내면 폭음이 되므로 소음기를 통하여 음을 작게한다. 소음의 수단으로는 배기관 도중에 팽창실을 설치하여 내벽간의 음파반사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음을 감쇠하거나 배기의 통로에 음파와의 마찰에 의하여 음향에너지를 작게하는 흡음재를 넣는 방법이 있다.
또 배기관은 탄성체인 행거 러버를 통하여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데 설치위치는 차량 NVH TEST 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설치위치가 적절하지 못하거나, 행거 러버의 특성이 적절하지 않으면 차실내에 고임소리가 발생하거나 배기관에 공진을 일으켜서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수도 있다.
즉, 도 1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20)을 차체(도면중 미도시)의 저면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기관(20)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관(20)을 차체에 직접 취부하지 않고 차체와 배기관(20)에 각각 브라켓(11),(21)을 설치하고 상기 두 개의 브라켓(11),(21) 사이에는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행거 러버(30)를 설치하여 배기관(20)의 상,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주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배기관(20)이 좌,우로 진동하게 되면 행거 러버(30)가 브라켓(11),(21)을 타고 유동을 하게 되거나, 심한 유동에 의해 행거 러버(30)가 브라켓(11),(21)에서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행거 러버(30)에 브라켓(11),(21)이 삽이되는 삽입공(31)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 2 개의 브라켓(11),(21)이 서로 평행이 되지 않으면 행거 러버(30)의 설치가 힘들어지므로 설치위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체에 연결된 브라켓과 배기관에 연결된 브라켓을 연결해 주는 행거 러버에 있어서, 브라켓이 삽입되는 행거 러버의 삽입공 형상을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한 후, 상기 브라켓을 삽입하므로써, 배기관의 상,하는 물론 좌,우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으며, 행거 러버의 설치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차체의 브라켓과 배기관의 브라켓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삽입되는 행거 러버의 삽입공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라 배기관을 차체의 저면에 설치시, 차체의 브라켓과 배기관의 브라켓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행거 러버의 삽입공에 삽입됨에 따라, 배기관의 상,하 진동은 물론 좌, 우 진동 또한 용이하게 흡수하여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로의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배기관의 진동에 의해 행거 러버가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행거 러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a)는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b)는 종래의 행거 러버를 도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체 110,210 : 브라켓
300 : 행거 러버 310 : 삽입공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배기관(도면중 미도시)의 진동이 차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차체(100)의 브라켓(110)과 배기관의 브라켓(210)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3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0),(210)이 삽입되는 행거 러버(300)의 삽입공(31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배기관을 차체(100)에 설치시, 차체(100)의 브라켓(110)과 배기관의 브라켓(210)이 행거 러버(300)에 서로 교차되도록 삽입되므로, 배기관의 상,하 진동은 물론 좌,우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행거 러버(300)가 브라켓(110),(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행거 러버(300)가 설치되는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배기관을 차체(100)의 저면에 설치시, 배기관과 차체(100)를 직접 연결하게 되면,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100)에 전달되기 때문에, 차체(100)에 연결된 브라켓(110)과 배기관에 연결된 브라켓(210)을 행거 러버(300)로 연결시켜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100)에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주고 있으나, 종래의 구성은 행거 러버(3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1)의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 이에 삽입되는 브라켓(11),(21) 또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므로, 행거 러버(30)가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배기관(20)의 상,하 진동에 비해 좌,우 진동시 그 완충효과가 적었고, 심한 진동시에는 브라켓(11),(21)에서 행거 러버(30)가 이탈되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행거 러버(30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10)의 형상을 평행이 아닌 서로 수직으로 형성하므로써, 이에 삽입되는 브라켓(110),(210)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배기관의 상,하 진동은 물론 좌,우 진동시에도 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며, 행거 러버(300)가 브라켓(110),(210)에서 이탈되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행거 러버(30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할 경우, 브라켓(110),(210)의 형상을 조절하여 행거 러버(300)를 설치하므로써, 공간확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기관을 차체에 설치시,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에 연결된 브라켓과 배기관에 연결된 브라켓이 서로 교차되도록 행거 러버에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배기관이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을 하여도 용이하게 흡수하여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로의 전달을 최소로 할 수 있고, 브라켓에서 행거 러버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행거 러버를 설치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된 브라켓과 배기관에 연결된 브라켓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상기 행거 러버의 형상을 변형시켜, 배기관의 상,하 및 좌,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의 진동을 개선하고, 행거 러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행거 러버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배기관의 진동이 차체(1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차체(100)의 브라켓(110)과 배기관의 브라켓(210)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3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0),(210)이 삽입되는 행거 러버(300)의 삽입공(31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2019960032188U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199800187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188U KR19980018776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188U KR19980018776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76U true KR19980018776U (ko) 1998-07-06

Family

ID=5397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188U KR19980018776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77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407B1 (ko) * 2000-10-19 2002-11-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러버
KR101719548B1 (ko) * 2015-10-12 2017-03-24 지이엔 주식회사 밴드 클램프용 하우징 제조방법
KR20200067011A (ko) * 2018-12-03 2020-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407B1 (ko) * 2000-10-19 2002-11-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러버
KR101719548B1 (ko) * 2015-10-12 2017-03-24 지이엔 주식회사 밴드 클램프용 하우징 제조방법
KR20200067011A (ko) * 2018-12-03 2020-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계용 탄성지지구
US11028762B2 (en) 2018-12-03 2021-06-08 Hyundai Motor Company Elastic support for an exhaus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9776A (en) Catalytic converter mounting structure for engines
US8136627B2 (en) Exhaust sile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80018776U (ko)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100925928B1 (ko) 가변 복합 소음기를 갖춘 차량의 배기 장치
KR20010019246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9980018835U (ko) 자동차 배기관의 지지 브라켓에 설치된 행거 러버의 유동 방지구조
KR100312346B1 (ko) 차량의 배기파이프 고정용 행거러버 보호구
KR19980018834U (ko)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KR100323070B1 (ko) 자동차의 소음기
KR20130008321A (ko) 다중 공명기 삽입 건설장비용 소음기
CN219638920U (zh) 一种单缸发动机一体式净化消声器
CN215057661U (zh) 一种解决热膨胀失效的工程机械排气消声器
CN210509332U (zh) 一种汽车消声器
US4081959A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thermal reactor to an engine proper
JPS636406Y2 (ko)
KR100528212B1 (ko) 히트 프로텍터 체결부의 구조
KR19990027514U (ko) 배기장치의 벨로우즈 파이프 구조
KR100306403B1 (ko) 자동차의 배기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설치구조
KR100311131B1 (ko) 자동차용 배기관의 레조네이터
JPS636407Y2 (ko)
RU2078220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S6246806Y2 (ko)
KR101251798B1 (ko) 레조네이터
KR200153738Y1 (ko) 엔진의 에어 덕트 구조
JPH10238341A (ja) 排気管の仕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