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070B1 - 자동차의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070B1
KR100323070B1 KR1019990045488A KR19990045488A KR100323070B1 KR 100323070 B1 KR100323070 B1 KR 100323070B1 KR 1019990045488 A KR1019990045488 A KR 1019990045488A KR 19990045488 A KR19990045488 A KR 19990045488A KR 100323070 B1 KR100323070 B1 KR 10032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ffle
space
exhaust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791A (ko
Inventor
이성일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4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0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1Gas flow channels or gas chambers being at least partly formed in the structural parts of the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2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ubes, e.g. length, dia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소음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 베플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구는 단순히 양쪽 베플을 지지할 뿐 소음의 저감이라는 측면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구(100)를 관통된 관형상으로 구성한 후 그 일단은 제1베플(210)을 관통하여 제1공간부(310)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2베플(220)을 관통하여 제3공간부(330)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소음기의 제3공간부(300)로 이동되었던 일부의 배기가스가 연결구(100)를 통해 제1공간부(310)로 다시 이동되면서 제1공간부(310)가 공명기의 작용을 하게 됨에 따라 연결구(100)가 베플 (210)(220)을 지지하던 역할은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배기소음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소음기{Muffler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기파이프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소음기의 내부구조를 개선하여 자동차의 배기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자동차의 엔진은 다실린더 엔진으로서 각 실린더가 흡입, 압축, 팽창배기의 한 사이클을 형성하는 피스톤의 4행정, 즉 클랭크축 2회전으로 1회의 폭발을 갖는 엔진이다.
이렇게 각 실린더가 점화연소되는데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인 팽창행정을 위한 점화연소 순서를 4실린더 엔진으로 예를 들면, 제1실린더가 상사점에 있을 때는 제4실린더가 마찬가지로 상사점에 있고, 제2,3실린더는 하사점에 있어 제1→제3→제4→제2실린더 순서가 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순서로 점화연소된 실린더는 배기행정을 통해 고온고압의 배기가스를 배기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이러한 배기장치는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끌어모으는 배기매니폴드와 배기를 차량 뒤쪽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배기파이프 및 배기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소음기)로 구성된다.
즉 배기매니폴드란 다기통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집합하여 배기파이프로 유도하는 부품이고, 배기파이프는 배기매니폴드에서 나온 배기를 차량 뒤쪽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통로를 말하며, 촉매나 소음기를 도중에 넣기 때문에 몇개로 분할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파이프는 듀얼포트타입 배기매니폴드로 사용할 경우 Y 자 형상으로 해서 배기가스를 집합시키거나 H 자 형상으로 하여 배압의 밸런스를 잡게 하며, 배기계의 진동을 저감할 목적으로 배기파이프의 일부에 플렉시블튜브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배기파이프의 내부에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파이프내에도 상단한 고온이 되므로 배기파이프의 고온부에 차열판이나 글라스울 등의 단열재를 설치하여 다른 부품으로의 열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의 배기가스를 직접 밖으로 내보내면 폭음이 되므로 소음기를 통하여 배기음을 작게 하는데, 그러한 소음의 수단으로는 배기파이프 도중에 팽창실을 설치하므로서 내벽간의 음파반사나 공명현상을 응용하여 음을 감쇠하거나 배기의 통로에 음파와의 마찰에 의하여 음향에너지를 작게하는 흡음재를 넣는 방법이 있다.
한편, 도 1 은 일반적인 배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배기장치중 소음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소음기(60)의 내부에는 제1베플(21)과 제2베플(22)이 설치되어 제1,2,3공간부(31)(32)(33)가 구획되어 있으며, 각 공간부 (31)(32)(33)에는 흡입파이프(41)와 연결파이프(42) 및 배출파이프(43)가 설치되어 흡입파이프(41)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가 연결파이프(42)를 거쳐 배출파이프(43)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배기소음이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공간부(32)의 상측에는 제1베플(21)의 내면과 제2베플(22)의 내면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구(1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연결구(10)에 의해 제1베플(21)과 제2베플(22)이 유동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연결구(10)가 단순히 제1베플(21)과 제2베플(22)을 지지해주는 역할만 할 뿐 소음기내부에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구가 베플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그대로 수행함과 동시에 소음기의 소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소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베플에 의해 제1,2,3공간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베플은 연결구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소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구를 속이 빈 관형상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연결구의 일단은 제1베플을 관통하여 제1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연결구의 타단은 제2베플을 관통하여 제3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음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2 개의 베플을 단순히 지지하고 있던 연결구가 관형상으로 구성되어 제1,3공간부를 서로 연결함에 따라 종래의 베플을 지지하는 역할을 그래도 수행함과 동시에 제3공간부로 이동되었던 일부의 배기가스가 제1공간부로 다시 이동되면서 공명효과에 의해 배기소음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배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소음기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 내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구 210 : 제1베플
220 : 제2베플 310 : 제1공간부
320 : 제2공간부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의 내부를 예시한 측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된 제1베플과 제2베플에 의해 제1공간부와제2공간부와 제3공간부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제1베플과 제2베플은 연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소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구(100)를 관통된 관형상으로 구성한 후, 그 일단은 제1베플(210)을 통해 제1공간부(310)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2베플(220)을 통해 제3공간부(330)에 위치되도록 한 자동차의 소음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2)는 제2공간부이며, (41)은 흡입파이프이고, (42)는 연결파이프이며, (43)은 배출파이프이고, (50)은 베플(210)(220)과 파이프(41)(42) (43)에 형성된 구멍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음기 내부에 설치된 베플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연결구를 관통된 관형상으로 제작하여 양단이 양쪽 베플에 각각 관통되도록 함에 따라 연결구가 베플을 지지하는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연결구에 의해 제1공간부가 공명기의 역할을 수행하므로서 배기가스의 소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음기의 내부에는 제1베플(210)과 제2 베플 (220)이 각각 설치되어 제1공간부(310)와 제2공간부(32)와 제3공간부(330)가 구획되어 있으며, 제1공간부(310)에 흡입파이프(41)가 설치되고 제2공간부(32)에는 연결파이프(42)가 설치되는데, 이때 연결파이프(42)의 일단은 제1베플(210)을 관통하여 제1공간부(310)에 위치되고 연결파이프(42)의 타단은 제2베플(220)을 관통하여 제3공간부(330)에 위치되며, 배출파이프(43)의 일단은 제3공간부(330)에 위치되고 굽어진 중간부위는 제2베플(220)을 관통하여 제2공간부(32)에 위치되며 타단은 다시 제3공간부(330)를 지나 소음기의 외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플(210)(220)과 파이프(41)(42)(43)에는 각각 다수개의 구멍(50)이 형성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종래에 제1베플(21)의 내면과 제2베플(22)의 내면에 양단이 각각 용접되어 제1베플(21)과 제2베플(22)을 지지하고 있는 연결구(10)를 구성하되, 연결구(100)의 내부를 관통된 관형상으로 구성한 후, 그 일단은 제1베플(210)을 관통하여 제1공간부(310)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2베플 (220)을 관통하여 제3공간부(330)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흡입파이프(41)를 통해 소음기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제1공간부 (310)를 통해 연결파이프(42)를 통과하여 제3공간부(330)로 이동된 후, 배출파이프 (43)를 통과하면서 소음기 외부에서는 소음이 감소된 상태로 배기되는데, 이때 제3공간부(330)로 이동되었던 일부의 배기가스는 연결구(100)의 타단으로 유입되면서 연결구(100)를 따라 제1공간부(310)로 다시 이동되면서 연결구(100)가 바이패스 (bypass)작용을 하게 되어 결국 제1공간부(310)는 공명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소음은 더욱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100)는 일단이 제1베플(210)에 관통되어 있고 타단이 제2베플(220)을 관통하고 있어, 제1베플(210)과 제2베플(220)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주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이므로 베플의 지지역할과 동시에 소음의 감소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베플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인 연결구를 관통된 관으로 구성하고 양단을 양측 베플에 각각 관통되도록 함에 따라 베플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간부의 일부 배기가스가 연결구를 통과하여 타측 공간부에 유입되면서 타측 공간부가 공명기 역할을 수행하므로서 연결구가 베플을 지지하는 역할은 그대로 수행하면서 배기가스의 소음은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소음기 내부에 설치된 양쪽 베플의 간격을 지지하는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구(100)를 내부가 관통된 관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연결구(100)의 일단은 제1베플(210)을 통해 제1공간부(3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2베플 (220)을 통해 제3공간부(33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음기.
KR1019990045488A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소음기 KR10032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88A KR100323070B1 (ko)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88A KR100323070B1 (ko)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91A KR20010037791A (ko) 2001-05-15
KR100323070B1 true KR100323070B1 (ko) 2002-02-08

Family

ID=1961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488A KR100323070B1 (ko) 1999-10-20 1999-10-20 자동차의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49B1 (ko) * 2001-12-26 2007-09-2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528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소음기
KR19990028512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소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528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소음기
KR19990028512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791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36555A (ja) 往復動内燃機関
EP2193260B1 (en) Exhaust silence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577673C2 (ru) Резонатор для двухпоточной системы выпуск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системы
JP2005299419A (ja) エンジン用排気浄化機能付き排気マフラ
KR100323070B1 (ko) 자동차의 소음기
KR20010019246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9980018776U (ko)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100312346B1 (ko) 차량의 배기파이프 고정용 행거러버 보호구
US4081959A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thermal reactor to an engine proper
KR19980018834U (ko)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JP2002285916A (ja) 排気再循環装置
KR940000170B1 (ko) 배압콘덴서 및 배압콘덴서에 의한 배압 감소방법
JPS6050215A (ja)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排気管装置
KR19980018835U (ko) 자동차 배기관의 지지 브라켓에 설치된 행거 러버의 유동 방지구조
KR20044990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H036805Y2 (ko)
JPS5815615Y2 (ja) 自動二輪車用多気筒内燃機関の触媒式排気装置
KR100925929B1 (ko) 엔진 부밍 소음 저감타입 차량의 배기 장치
KR100311132B1 (ko) 내연기관의 레조네이터
RU2069773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327606B1 (ko) 배기 소음 감쇠를 위한 대형디젤 엔진용 머플러 장치
RU2075612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149118Y1 (ko) 방음을 위한 물 순환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배기장치의 주 소음기
RU836U1 (ru) Глушитель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80018429A (ko) 차량 소음기의 가변형 u 자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