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834U -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834U
KR19980018834U KR2019960032246U KR19960032246U KR19980018834U KR 19980018834 U KR19980018834 U KR 19980018834U KR 2019960032246 U KR2019960032246 U KR 2019960032246U KR 19960032246 U KR19960032246 U KR 19960032246U KR 19980018834 U KR19980018834 U KR 199800188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exhaust
tail pipe
pipe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834U/ko
Publication of KR19980018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834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배기관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의 형상이 보통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데, 후방에서 상기 테일 파이프 쪽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소음기 및 배기관 전체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고, 더욱이 배기관이 휘어지면서 연료탱크에 충격을 주게되어 연료가 새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기관(100)의 후미 소음기(110)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120)를 구성함에 있어서, 테일 파이프(120)의 중간부위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키되, 절곡되는 부위에는 홈부(121)를 형성하므로써, 자동차 후미, 특히 소음기(110) 끝단인 테일 파이프(120)쪽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테일 파이프(120)가 홈부(121)에 의해 유도되어 휘어지면서 최초의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줌에 따라 소음기(110)나 배기관(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다실린더 엔진으로서, 각 실린더가 흡입, 압축, 팽창, 배기의 한 사이클을 피스톤의 4 행정, 즉, 크랭크축 2 회전으로 1 회의 폭발을 갖는 엔진이다.
이렇게 각 실린더가 점화연소되는데,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인 팽창행정을 위한 점화연소 순서를 4 실린더 엔진으로 예로들면, 제 1 실린더가 상사점에 있을때는 제 4 실린더가 마찬가지로 상사점에 있고, 제 2,3 실린더는 하사점에 있어 제 1 → 제 3 → 제 4 → 제 2 실린더 순서로 한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순서로 점화연소된 실린더는 배기행정을 통해 고온고압의 배기가스를 배기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이하 배기라 칭함)를 끌어모으는 배기매니홀드(exhaust manifold)와 배기를 차량 뒤쪽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배기관(exhaust pipe) 및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배기사이렌서(소음기)로서 구성된다.
상기 배기매니홀드란 다기통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집합하여 배기관으로 유도하는 부품이며, 연소가스가 실린더내에 잔류하여 체적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배기저항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기 저항을 작게하는 데에는 각 브런치의 구부러져 있는 것을 느슨하게 펴거나 내면을 매끄럽게 하는 등의 방법(정적효과)과 배기 불어내기(브로우다운)에 의한 배기압력파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점화순서가 연속되는 실린더로부터의 집합부를 압력이 내려가는 후류쪽으로 하는 방법이 있으며, 상기 브로우다운에 의하여 배기관내에 유기되는 맥동의 유압파를 배기행정의 속이나 밸브오버랩에 동조시키는 방법(동적효과)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배기를 한 곳으로 집합시키는 싱글포트타입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배기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듀얼포트타입이 널리 쓰이고 있으며, 재질은 주철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박육화가 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경량화를 할 수 있고, 브런치부 형상의 자유도를 살려 각 브런치의 길이를 같게 하거나 길게 하거나 하는 등에 따라 배기효율을 개선해서 배기온도의 출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열용량의 감소에 의하여 배기온도의 상승을 빠르게 하고 촉매의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배기의 정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강관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배기관은 배기매니홀드에서 나온 배기를 차량뒷쪽의 배출구로 유도하는 통로를 말하며 촉매나 소음기를 도중에 넣기 때문에 몇개로 분할되어서 구성된다. 즉, 듀얼포트타입 배기매니홀드를 사용하는 경우, Y 자 형상으로 해서 배기가스를 집합시키거나 H 자 형상으로 하여 듀얼매니홀드 배압의 밸런스를 잡게 하거나 한다. 또 배기계의 진동을 저감할 목적으로 배기관의 일부에 플렉시블튜브를 쓰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배기관은 내부에 고온의 배기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관내도 상단한 고온으로 된다. 그 때문에 배기파이프의 고온부에 차열판이나 글라스울 등의 단열재를 설치하여 다른 부품으로의 열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또 배기관은 탄성체(고무)를 통하여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데 설치위치나 탄성체의 특성이 적절하지 않으면 차실내에 고임소리가 발생하거나 배기관에 공진을 일으켜서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수도 있다.
그리고 엔진의 배기를 직접 밖으로 내보내면 폭음이 되므로 소음기를 통하여 음을 작게한다. 소음의 수단으로는 배기관 도중에 팽창실을 설치하여 내벽간의 음파반사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음을 감쇠하거나 배기의 통로에 음파와의 마찰에 의하여 음향에너지를 작게하는 흡음재를 넣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기관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10)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소음기(11)의 테일 파이프(12)의 형상이 보통 직선형으로 되어 있는데, 후방에서 상기 테일 파이프(12) 쪽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소음기(11) 및 배기관(10) 전체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고, 더욱이 배기관(10)이 휘어지면서 연료탱크(도면중 미도시)에 충격을 주게되어 연료가 새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기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의 형상이 절곡되게 하여 후방에 충격이 가해질경우, 테일 파이프의 절곡부가 휘어지면서 소음기나 배기관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관의 후미 소음기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테일 파이프의 중간부위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키되, 절곡되는 부위에는 홈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소음기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후방에서 상기 테일 파이프 쪽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테일 파이프가 휘어지면서 그 충격이 소음기나 배기관 전체에 영향을 주게되는 것을 최대한 완화시켜줄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기관 110 : 소음기
120 : 테일 파이프 121 : 홈부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기관(100)의 후미 소음기(110)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120)를 구성함에 있어서, 테일 파이프(120)의 중간부위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키되, 절곡되는 부위에는 홈부(121)를 형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배기관(100)의 후미 소음기(110)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120)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후미, 특히 소음기(110) 끝단인 테일 파이프(120)쪽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테일 파이프(120)의 일단이 휘어지면서 최초의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줌에 따라 소음기(110)나 배기관(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적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의 충격으로 인하여 배기관(100) 전체가 영향을 받게되어 연료 탱크에 까지 충격을 전달시켜 연료가 새거나 새어나온 연료에 의해 화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테일 파이프(120)의 절곡되는 부위에는 접힘을 유도할 수 있는 홈부(121)를 형성하여 테일 파이프(120)에 충격이 전달될 때, 상기 홈부(121)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음기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후방에서 상기 테일 파이프 쪽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테일 파이프가 휘어지도록 하여 소음기나 배기관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켜 주고, 아울러 배기관 전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연료 탱크가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소음기(muffler)의 테일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를 변경하여, 자동차 후미, 특히 소음기 쪽에 충격을 받을 경우,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가 접히도록 하므로써, 후방의 충격으로 인해 배기관(exhaust pipe) 전체가 밀려 들어가면서 연료 탱크(fuel tank)에 충격을 주어 화재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소음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배기관(100)의 후미 소음기(110)에 형성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120)를 구성함에 있어서, 테일 파이프(120)의 중간부위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키되, 절곡되는 부위에는 홈부(121)를 형성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KR2019960032246U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KR199800188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46U KR19980018834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46U KR19980018834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34U true KR19980018834U (ko) 1998-07-06

Family

ID=5397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246U KR19980018834U (ko) 1996-09-30 1996-09-30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8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367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367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842B2 (en) Catalyst assembly with a fixed catalyst carrier body
US4332307A (en) Exhaust muffler
KR20070104359A (ko) 특히 차폐 부품인, 구조 컴포넌트
KR19980018834U (ko) 자동차 소음기의 테일 파이프 구조
KR100925928B1 (ko) 가변 복합 소음기를 갖춘 차량의 배기 장치
KR19980018776U (ko) 자동차의 차체와 배기관을 연결해주는 행거 러버
KR100312346B1 (ko) 차량의 배기파이프 고정용 행거러버 보호구
KR20010019246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00323070B1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9980018835U (ko) 자동차 배기관의 지지 브라켓에 설치된 행거 러버의 유동 방지구조
KR102234338B1 (ko)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US3340954A (en) Muffler with elastomeric sound absorbing linings and by-pass valve
KR100323069B1 (ko) 자동차의 전방 소음기 구조
SU1671919A1 (ru) Выпускной коллектор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JPS5815615Y2 (ja) 自動二輪車用多気筒内燃機関の触媒式排気装置
US9027335B2 (en) Apparatus and catalyst can for exhaust gas of vehicle
RU836U1 (ru) Глушитель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069773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920006508Y1 (ko) 자동차용 배기관 장착구조
Kamat et al. Semi Active Muffler
KR101491292B1 (ko) 차량의 배기가스 촉매캔 및 배기장치
Weltens et al. Influence of catalytic converters on acoustics of exhaust systems for European cars
JPS6012884Y2 (ja) 内燃機関の排気消音器
KR100528212B1 (ko) 히트 프로텍터 체결부의 구조
RU2075612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