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193B1 -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시공 실습 방법, 시공 실습 시스템, 및 메카니컬 시일 - Google Patents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시공 실습 방법, 시공 실습 시스템, 및 메카니컬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193B1
KR102162193B1 KR1020197012735A KR20197012735A KR102162193B1 KR 102162193 B1 KR102162193 B1 KR 102162193B1 KR 1020197012735 A KR1020197012735 A KR 1020197012735A KR 20197012735 A KR20197012735 A KR 20197012735A KR 102162193 B1 KR102162193 B1 KR 10216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iding surface
ring
sea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373A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발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발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발카
Publication of KR2019005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03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lip-ring pressed against a more or less radial face on one memb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을 지원하여, 시공 스킬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회전 가능한 축부 (4) 와, 축부에 고정되어 제 1 슬라이딩면부 (14-1) 를 구비하는 시일 링 (8) 과, 시일 링을 포위하는 제 1 케이싱부 (스터핑 박스 (10-1)) 와, 시일 링의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접촉하는 제 2 슬라이딩면부 (14-2) 를 구비하여 축부에 장착되는 시트 링 (12) 과, 제 1 케이싱부와 합체시켜, 상기 시트 링이 고정되는 제 2 케이싱부 (엔드 플레이트 (10-2)) 를 구비하고, 제 1 케이싱부에 합체시킨 제 2 케이싱부의 공간부 (시트 링 장착부 (132)) 에 시트 링이 고정됨과 함께 제 1 슬라이딩면부에 제 2 슬라이딩면부가 맞닿아, 시공 실습시, 수동 조작에 의한 축부의 회전에 의해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제 2 슬라이딩면부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시공 실습 방법, 시공 실습 시스템, 및 메카니컬 시일
본 발명은,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의 지원 기술, 및 메카니컬 시일에 관한 것이다.
펌프나 교반기 등, 각종 회전 기기에는 회전축에 유체의 누설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일 기구가 구비된다. 메카니컬 시일에는,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시일 링과, 회전축을 덮는 케이싱측에 고정되는 시트 링이 구비되고, 시일 링과 시트 링의 각 슬라이딩면부가 접촉하여 상대 회전을 한다. 유체의 어느 정도의 누설은 구조상 허용되지만, 시트 링, 시일 링 등의 슬라이딩면부의 마모가 진행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침입하면, 유체의 누설이 현저해져, 메카니컬 시일의 재생 처리나 교환이 필요하다.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둔 펌프 (200) 에서는 임펠러를 구비하는 펌프 본체 (202) 의 상부측에 시일 기구부 (204) 가 설치되고, 이 시일 기구부 (204) 의 상부측에 모터 (206) 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기구부 (204) 에 내장된 메카니컬 시일의 보수나 교환에는, 시일 기구부 (204) 의 케이싱 (208) 을 떼어 내고 내부 기구를 노출시켜, 메카니컬 시일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시일 시공의 실습에 관해, 시일 시공 등에 관련되는 기술자에 대해, 필요한 기능 (技能) 을 습득시키는 실습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실습 장치는, 시일 시공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에 관한 것은 아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15473호
회전 기기의 시일 기구나 메카니컬 시일에 대해, 기술자는, 제품의 해설서, 취급 설명서, 교육 기관의 좌학 (座學) 등에 의해 학습할 수 있지만, 메카니컬 시일의 재생 처리나 교환에 필요한 스킬에 도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 오랜 사용에 의해 시일 기구에 발생하는 현상을 적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대응을 취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기능에 능숙해지는 것은 좌학이나 간단한 강습에서는 불가능하고, 펌프 등, 가동 정지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현장 기술자에게 요구된다는 과제가 있다.
예를 들어, 탱커 등의 선박에 적재되는 밸러스트수의 급배수 펌프의 시일 기구에서는, 정기적으로 메인터넌스가 실시된다. 기항지에 정박 중이면,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자재나 기술자를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항상 필요한 스킬을 가진 기술자를 확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선박에서는, 항행 중의 해상에서의 시일 기구의 메인터넌스는 매우 합리적이고, 항행 중에, 시일 기구의 문제를 확인한 경우 등, 기항지에 도달하기 전에 메인터넌스하는 것도 유익하다. 항행 중에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면, 기항지에서 밸러스트수의 급배수를 지연시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선박의 항행에 종사하는 기술자가 메인터넌스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불가결하다는 과제가 있다.
메카니컬 시일은 펌프 등의 회전 기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카니컬 시일의 교환이나 재생 처리가 실시될 수 있었다고 해도, 동작 기구나 기능을 확인하여, 문제의 원인을 즉석에서 밝혀내는 것은 성가시다. 메카니컬 시일의 재생 처리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시일 기구의 구조나 기능을 알고,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등을 예측하는 기능, 그 체득이나 체험이 불가결하다.
도입 당초, 시일 기구나 메카니컬 시일의 신뢰성이 높아도, 메인터넌스에 의해 시일 기구나 메카니컬 시일의 기능이 손상되는 것은 최대한 회피할 필요가 있고, 메카니컬 시일의 적정한 시공 순서, 예상되는 이상 현상의 파악 등을 경험에 의해 장악시켜, 이것들을 근거로 한 시공 스킬을 향상시키는 것이 시일 기구나 메카니컬 시일의 기능을 유지하고, 그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불가결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을 지원하고, 시공 스킬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습 중 또는 장시간의 통상적인 사용에 의한 마모 상태 등의 확인의 용이화를 도모한 메카니컬 시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의 일측면에 의하면, 회전 가능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고정되어 제 1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시일 링과, 상기 시일 링을 포위하는 제 1 케이싱부와, 상기 시일 링의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접촉하는 제 2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시트 링과, 상기 제 1 케이싱부와 합체시켜, 상기 시트 링이 고정되는 제 2 케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합체시킨 상기 제 2 케이싱부의 공간부에 상기 시트 링이 고정됨과 함께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에 상기 제 2 슬라이딩면부가 맞닿아, 시공 실습시, 수동 조작에 의한 상기 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면부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축부와 삽입 발출 가능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 장착된 상기 핸들부로 상기 축부가 회전 가능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와 고정되는 축 지지부와, 상기 축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축부의 일단측에서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베어링부와, 상기 축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축부의 중간부에서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축부의 축 편차, 유격 중 어느 하나의 계측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2 케이싱부는, 상기 축부와 접촉하는 제 3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일 링은,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지지 링부를 구비하고, 그 지지 링부는 상기 시트 링측에 상기 시일 링을 압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시일 링의 상기 축부 상의 기준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일 링으로 통하는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케이싱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링으로 통하는 제 2 포트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 또는 상기 제 2 케이싱부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 중,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광 부재여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 또는 상기 축 지지부를 지지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대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의 일측면에 의하면, 축부에 제 1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시일 링을 고정시키는 공정과, 상기 시일 링을 포위하는 제 1 케이싱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시일 링의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접촉하는 제 2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시트 링을 축부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케이싱부의 공간부에 상기 시트 링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제 2 케이싱부를 합체시키는 공정과, 상기 축부에 핸들부에 의해 또는 그 핸들부의 장착없이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면부를 상대 회전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시일 링의 설치 전에, 상기 축부의 편심, 상기 축부의 유격, 상기 축부의 인접 부재의 각도 또는 동심도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계측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에 있어서, 추가로, 제 1 케이싱부에 시일 링 및 축부를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시일 링의 슬라이딩면부에 이물질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있는 제 1 포트 또는 상기 제 2 케이싱부에 있는 제 2 포트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가압 유체를 흘려 넣고, 상기 제 1 포트 또는 상기 제 2 포트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가압 유체의 유출 또는 압력을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시스템의 일측면에 의하면, 축부에 설치된 시트 링과 시일 링 사이의 가압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축부의 편차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축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리를 검출하는 센서, 축부에 가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센서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서 신호를 받고, 적어도 그 센서 신호를 화상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 출력을 적어도 화상 정보에 의해 제시하는 정보 제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일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시트 링 또는 시일 링을 포함하는 메카니컬 시일로서, 상기 시트 링 또는 상기 시일 링의 어느 일방의 적어도 슬라이딩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실기용의 시일 링 부재 또는 실기용의 시트 링 부재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마모성 재료를 사용하고, 실습시, 상기 슬라이딩면부의 표면 성상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일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시트 링 또는 시일 링을 포함하는 메카니컬 시일로서, 상기 시트 링 및 상기 시일 링의 어느 일방의 적어도 슬라이딩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마모에 의해 마모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층의 형태 변화로 상기 슬라이딩면부의 마모 정도가 표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또는 시공 실습 방법에 의하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펌프 등의 회전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메카니컬 시일을 회전 기기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실기 시공에서 필요시되는 시공 훈련을 실시할 수 있어,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일 기구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2) 메카니컬 시일에 있어서의 회전, 진동, 토크 등을 체감할 수 있고, 실습자에게 체감시킬 수 있다.
(3) 실기에서는 이상이나 고장 등, 상정되는 예측할 수 없는 사태를 모의할 수 있고, 세정, 부착, 동작 확인, 분리 등을 반복할 수 있어, 시공 기술자의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강제적으로 이상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이상한 부재를 사용하는 등, 실기에서는 실시하기 어려운 시공도 가능하여, 체험 학습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축 편차, 진동, 이상음, 변형 등을 수치화하여, 수치 정보로서 제시할 수 있다.
(2) 실습자는 정보 제시 수단의 제시 정보와 감각을 비교할 수 있어, 효과적인 실시 훈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카니컬 시일에 의하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회전 조작 후, 메카니컬 시일에 발생한 마모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마모의 발생이나 그 대책을 학습할 수 있다.
(2) 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메카니컬 시일의 마모를 표시재의 변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의 A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의 메카니컬 시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축부에 장착된 핸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축 지지부를 구비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의 A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B 는 캐스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의 A 는 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의 A 는 시일 링부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B 는 스프링 장착부와 상이한 위치에서 절단한 지지 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시트 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의 A 는 제 1 케이싱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A 의 VIIB-VIIB 선 단면도, C 는 A 의 VIIC-VIIC 선 단면도이다.
도 8 의 A 는 제 2 케이싱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A 의 VIIIB-VIIIB 선 단면도, C 는 A 의 VIIIC-VIIIC 선 단면도이다.
도 9 의 A 는 실시예 2 에 관련된 마킹선 표시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마킹선이 쳐진 축부를 나타내는 도면, C 는 마킹선으로부터 시일 링부의 지지 링부단의 측정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의 A 및 B 는 시일 링부의 고정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의 A 는 제 1 및 제 2 케이싱부의 장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제 1 및 제 2 케이싱부의 간격 확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C 는 볼트의 임시 고정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의 A 는 볼트의 체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볼트의 체결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메카니컬 시일부의 동작 확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이물질 혼입의 확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의 A 는 실시예 3 에 관련된 축부의 횡편차 계측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계측 위치 및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의 A 는 제 2 케이싱부의 직각도의 계측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계측 위치 및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의 A 는 제 2 케이싱부의 동심도의 계측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계측 위치 및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의 A 는 축부의 유격의 확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B 는 확인 위치 및 치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실시예 4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부의 누설 확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실시예 5 에 관련된 단부 (段部) 를 구비한 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실시예 6 에 관련된 제 1 및 제 2 케이싱부에 투명 부재를 사용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실시예 7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은 실시예 8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실시예 9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일반적인 시일 기구를 구비하는 펌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메카니컬 시일부>
도 1 의 A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의 메카니컬 시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2) 는, 이하, 간단히 실습 장치 (2) 라고 칭한다. 이 실습 장치 (2) 에는 축부 (4) 와 함께 메카니컬 시일부 (6) 가 구비된다. 축부 (4) 는 펌프 등의 회전 기기의 회전축에 상당한다.
메카니컬 시일부 (6) 는 실습 장치 (2) 의 장치 본체부를 구성하고, 축부 (4) 에 대한 축봉 (軸封) 기구부의 일례이다. 이 메카니컬 시일부 (6) 에는 시일 링 (8), 케이싱 (10) 및 시트 링 (12) 이 구비된다.
시일 링 (8) 은 제 1 슬라이딩면부 (14-1) 를 구비하고, 고정환으로서 축부 (4) 의 기준 위치에 고정된다. 슬라이딩면부 (14-1) 의 슬라이딩면은 축부 (4) 의 축 중심 (O) 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시일 링 (8) 은, 케이싱 (10) 의 제 1 케이싱부로서 스터핑 박스 (Stuffing Box) (10-1) 측에서 피복된다.
시일 링 (8) 의 슬라이딩면부 (14-1) 측에는 가동환인 시트 링 (12) 이 구비된다. 이 시트 링 (12) 은 슬라이딩면부 (14-1) 와 접촉시키는 제 2 슬라이딩면부 (14-2) 를 구비하고, 축부 (4) 에 장착된다. 이 시트 링 (12) 의 관통공 (16) 의 내경은, 축부 (4) 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슬라이딩면부 (14-2) 는, 슬라이딩면부 (14-1) 와 동일하게 축부 (4) 의 축 중심 (O) 과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딩면부 (14-1) 와 평행하다.
시트 링 (12) 은 스터핑 박스 (10-1) 와 합체하는 제 2 케이싱부로서 엔드 플레이트 (10-2) 에 고정된다. 시트 링 (12) 에는 폭 방향으로 2 개의 O 링 (18) 이 부착되어, 시트 링 (12) 과 엔드 플레이트 (10-2) 를 봉지한다. 스터핑 박스 (10-1) 에는 엔드 플레이트 (10-2) 가 복수의 볼트 (20) 로 고정되고, 합체시킨 스터핑 박스 (10-1, 10-2) 로 1 개의 케이싱 (10) 이 구성된다. 엔드 플레이트 (10-2) 에는 축부 (4) 의 둘레면과 접촉하는 제 3 슬라이딩면부 (14-3) 를 구비하는 봉지 부재로서 부시 (21) 가 일체로 구비된다. 요컨대, 스터핑 박스 (10-1) 및 엔드 플레이트 (10-2) 의 합체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 (10-2) 측에 시트 링 (12) 이 구속되어, 슬라이딩면부 (14-1, 14-2, 14-3) 로 봉지된 공간부 (22) 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터핑 박스 (10-1) 에는 플랜지 (24) 가 구비되고, 이 플랜지 (24) 가 기반 부재 (26) 에 복수의 볼트 (28) 로 고정된다. 이로써, 메카니컬 시일부 (6) 가 기반 부재 (26) 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 장착부>
축부 (4) 의 종단부에는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장착부 (30) 가 구비되고, 이 핸들 장착부 (30) 에 핸들부 (32) 가 삽입 발출 가능하다. 핸들 장착부 (30) 에는, 축부 (4) 보다 가늘게 형성된 각기둥부 (34) 가 구비되고, 각기둥부 (34) 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 (36) 가 축부 (4) 와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는 크랭크 (38) 에 구비된다. 크랭크 (38) 에는 축부 (4) 와 평행하게 조작부 (40) 가 구비된다.
시공 실습시, 축부 (4) 에 핸들부 (32) 를 장착하고, 이 조작부 (40) 에 축부 (4) 의 둘레 가장자리 방향의 토크를 축부 (4) 에 부여하면, 축부 (4) 를 수동 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시공 실습>
이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에는, 이미 서술한 메카니컬 시일부 (6) 를 사용함으로써,
A) 시일 링 (8) 의 부착 준비 공정
B) 시일 링 (8) 의 위치 결정 공정
C) 시트 링 (12) 의 부착 공정
D) 케이싱 (10) 의 고정 공정
E) 축부 (4) 의 회전 공정
이 포함된다.
A) 시일 링 (8) 의 부착 준비 공정
축부 (4) 에 스터핑 박스 (10-1) 를 부착한 후, 스터핑 박스 (10-1) 를 기준으로 하여 축부 (4) 상에 시일 링 (8) 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선을 친다.
B) 시일 링 (8) 의 위치 결정 공정
축부 (4) 에 시일 링 (8) 을 장착하여 이미 서술한 기준 위치에 시일 링 (8) 을 위치 결정한다.
C) 시트 링 (12) 의 부착 공정
시트 링 (12) 의 부착에 있어서, 엔드 플레이트 (10-2) 에 시트 링 (12) 을 합체시켜 준비한다. 엔드 플레이트 (10-2) 와 합체시킨 시트 링 (12) 을 엔드 플레이트 (10-2) 와 함께 축부 (4) 에 장착한다.
D) 케이싱 (10) 의 고정 공정
스터핑 박스 (10-1) 에 엔드 플레이트 (10-2) 를 볼트 (20) 에 의해 고정시켜, 스터핑 박스 (10-1) 및 엔드 플레이트 (10-2) 를 합체시키고, 하나의 케이싱 (10) 에 조립한다.
E) 축부 (4) 의 회전 공정
축부 (4) 를 회전시켜, 축부 (4) 와 일체화되어 있는 시일 링 (8) 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시일 링 (8) 과 시트 링 (12) 을 슬라이딩면부 (14-1, 14-2) 에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축부 (4) 에 핸들부 (32) 를 장착하여, 핸들부 (32) 에 의해 축부 (4) 를 회전시켜, 축부 (4) 와 일체화되어 있는 시일 링 (8) 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시일 링 (8) 과 시트 링 (12) 을 슬라이딩면부 (14-1, 14-2) 사이에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1) 펌프 등의 회전 기기에 설치되는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조립, 분해, 청소, 위치 조정 등의 조작이나,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슬라이딩면부 (14-1, 14-2) 의 상대 회전에 의한 슬라이딩 등을 체감시켜, 메카니컬 시일 시공의 스킬을 높일 수 있다.
(2) 축부 (4) 는 핸들부 (32) 의 장착 전, 수동 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토크감, 슬라이딩감이나 회전감을 축부 (4) 의 조작에 의해 실습자에게 감득시킬 수 있다.
(3) 축부 (4) 에 핸들부 (32) 를 장착하면, 핸들부 (32) 의 장착 전 및 장착 후의 상태를 비교하는 등, 실기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체감이 얻어져, 유익한 시공 실습을 실시할 수 있다.
(4) 이 실습 장치 (2) 에서는 실기와 달리, 반복하여 조립, 분해, 청소, 위치 조정 등을 실습할 수 있어, 실기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조작 기능을 실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의 축 지지부를 나타내고 있다.
메카니컬 시일부 (6) 에 있는 스터핑 박스 (10-1) 의 하측에는 축 지지부 (42) 가 구비된다. 이 축 지지부 (42) 에는 복수의 지주부 (44) 를 구비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기반 부재 (26-1, 26-2) 가 구비된다. 기반 부재 (26-1) 의 상면에는 제 1 베어링부 (46-1), 기반 부재 (26-2) 의 하면에는 제 2 베어링부 (46-2) 가 복수의 고정 나사 (48)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각 베어링부 (46-1, 46-2) 에는 축부 (4) 를 삽입 통과시켜, 베어링부 (46-1) 는 축부 (4) 의 단부측을 지지하고, 베어링부 (46-2) 는 축부 (4) 의 중간부를 지지한다.
각 베어링부 (46-1, 46-2) 에는 축부 (4) 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50) 가 구비되고, 축부 (4) 를 고정시키기 위해, 베어링부 (46-1, 46-2) 측에 고정 나사 (52), 가이드부 (50) 에 고정 나사 (54) 가 구비된다. 각 베어링부 (46-1, 46-2) 와 축부 (4)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있지만, 고정 나사 (52, 54) 의 체결로 각 베어링부 (46-1, 46-2) 에 축부 (4) 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축 지지부 (42) 에 의하면, 고정 나사 (52, 54) 를 헐겁게 하여 베어링부 (46-1, 46-2) 와 축부 (4) 사이에 유격을 형성하면, 축부 (4) 는, 그 축 중심 (O) 을 임의로 축 중심 (Om) 으로 변이시킬 수 있어, 축부 (4) 에 강제적으로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축부 (4) 의 축 편차나 유격은 다이얼 게이지 등의 계측 기기를 스터핑 박스 (10-1) 에 고정시켜 계측 가능하다. 또, 스터핑 박스 (10-1) 의 수평도나 축부 (4) 와의 이루는 각도는 동일하게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1) 기반 부재 (26-1, 26-2) 에 부착된 베어링부 (46-1, 46-2) 에 지지되는 축부 (4) 와 베어링부 (46-1, 46-2) 의 상대 위치 관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축부 (4) 의 편차를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거나, 또는 원하는 편차를 설정할 수 있다. 이 편차를 실습자에게 체감시키고, 그 편차량을 계측 기기로 계측할 수 있다.
(2) 기반 부재 (26-1, 26-2) 는 복수의 지주부 (44) 로 지지되어, 축부 (4) 나 베어링부 (46-1, 46-2) 를 지주부 (44) 사이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3) 강제적으로 축부 (4) 에 발생시키거나 또는 설정한 축부 (4) 의 경사나 편차를 지주부 (44) 의 사이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하여, 접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 나사 (52, 54) 를 조작하여 원하는 편차를 설정할 수 있고, 그 편차를 해소시키는 조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3 내지 도 8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실습 장치 (2) 및 그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습 장치 (2) 는, 실기의 회전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메카니컬 시일, 시일 기구를 모의하고 있지만, 공지된 실기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 1 에 관련된 실습 장치 (2) 에서는,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지지부 (42) 및 메카니컬 시일부 (6) 가 가대부 (56) 에 설치된다. 이 가대부 (56) 에는 착좌부 (58) 및 천판부 (60) 가 구비되고, 천판부 (60) 가 복수의 지주부 (62) 에 의해 착좌부 (58) 에 지지되어 있다. 지주부 (62) 에는 예를 들어, 앵글재 등을 사용하면 된다. 천판부 (60) 에는 축 지지부 (42) 의 기반 부재 (26-1) 가 복수의 볼트 (64) 에 의해 고정되어, 수평으로 유지된다. 착좌부 (58) 는, 실습실의 바닥면 (66) 에 앵커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가대부 (56) 에는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캐스터 (68) 를 구비하면, 실습 장치 (2) 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실습실 외로 반송할 수 있다.
<축부 (4)>
도 4 의 A 및 B 는 축부 (4) 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축부 (4) 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핸들 장착부 (30), 메카니컬 시일 장착부 (70) 및 회전 지지부 (72) 가 구비된다. 핸들 장착부 (30) 는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부 (32) 의 끼워 맞춤부 (36) 와 걸어 맞추기 위해서 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 장착부 (30) 에는 다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공 (74) 이 형성되어 있다. 메카니컬 시일 장착부 (70) 및 회전 지지부 (72) 는 원기둥상이며, 메카니컬 시일 장착부 (70) 는 회전 지지부 (72) 보다 직경이 크다. 회전 지지부 (72) 는 축 지지부 (42) 의 베어링부 (46-1, 46-2) 에 고정된다.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시일 링 (8)>
시일 링 (8) 에는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부 (14-1) 를 구비하는 시일 링 본체부 (8-1), 중간 링부 (8-2) 및 지지 링부 (8-3) 가 구비된다.
시일 링 본체부 (8-1) 는 컵상이며, 관통공 (76), 축 패킹 설치부 (78), 복수의 창부 (80) 가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관통공 (76) 에는 축부 (4) 를 관통시키고, 축 패킹 설치부 (78) 에는 축 패킹 (82-1, 82-2) 을 합체시켜 설치됨과 함께, 중간 링부 (8-2) 의 일부가 삽입된다.
중간 링부 (8-2) 는 컴프레션 링이라고 칭해져, 시일 링 본체부 (8-1) 와 지지 링부 (8-3) 사이에 설치된다. 이 중간 링부 (8-2) 에는 관통공 (84) 에 축부 (4) 를 관통시켜, 측벽측에 복수의 가이드 핀 나사공 (86), 드라이브 핀 나사공 (88) 및 스프링 삽입부 (90) 가 구비된다. 각 가이드 핀 (92) 은 가이드 핀 나사공 (86) 에 부착되고, 시일 링 본체부 (8-1) 의 각 창부 (80) 로부터 노출시킨다. 각 드라이브 핀 나사공 (88) 에는 지지 링부 (8-3) 와 장착되는 고정 수단인 드라이브 핀 (94) 이 부착된다. 각 스프링 삽입부 (90) 에는 스프링 (96) 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지지 링부 (8-3) 는 중간 링부 (8-2) 를 사이에 두고 시일 링 본체부 (8-1) 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며, 축부 (4) 의 기준 위치에 고정된다. 이 시일 링 본체부 (8-1) 에는, 관통공 (98) 에 축부 (4) 를 관통시켜, 측벽측에 복수의 드라이브 핀 장착부 (100) 및 스프링 삽입부 (102) 가 구비된다. 드라이브 핀 장착부 (100) 에는 드라이브 핀 (94) 이 장착되고, 이 드라이브 핀 장착부 (100) 로부터 돌출하는 나사부 (103) 가 중간 링부 (8-2) 의 드라이브 핀 나사공 (88) 에 부착된다. 각 스프링 삽입부 (102) 에는 스프링 (96) 의 타단부가 삽입되고, 각 스프링 (96) 은 드라이브 핀 (94) 의 체결에 따라, 2 개의 스프링 삽입부 (90, 102) 내에 압축 상태에서 유지된다. 각 스프링 (96) 의 복원력과 드라이브 핀 (94) 의 체결 정도에 의해 지지 링부 (8-3) 와 시일 링 본체부 (8-1) 의 축 방향의 폭이 조정된다.
지지 링부 (8-3) 에는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트 볼트 나사공 (104) 이 구비되고, 이 세트 볼트 나사공 (104) 에 세트 볼트 (106) 가 부착된다. 이 세트 볼트 (106) 는, 지지 링부 (8-3) 를 축부 (4) 의 기준 위치로 설정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링부 (8-3) 의 고정 수단이다. 지지 링부 (8-3) 에 연결된 시일 링 본체부 (8-1) 는 이 세트 볼트 (106) 에 의해 지지 링부 (8-3) 와 함께 축부 (4) 의 기준 위치에 고정된다. 이 세트 볼트 (106) 의 부착 위치는 드라이브 핀 장착부 (100) 및 스프링 삽입부 (102) 와 상이한 각도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메카니컬 시일부 (6)>
도 6 은, 축부 (4) 에 시일 링 (8) 과 함께 설치된 시트 링 (12)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시트 링 (12) 의 관통공 (16) 의 내경은 축부 (4) 의 외경보다 크고, 이 관통공 (16) 과 축부 (4) 사이에는 간극 (108) 이 설정되어 있다. 이 시트 링 (12) 의 시일 링 측면부에는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가 구비되고, 이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의 단면이 슬라이딩면부 (14-2) 이다.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의 외경 및 폭은, 시일 링 (8) 의 슬라이딩면부 (14-1) 보다 작고, 이로써 슬라이딩면부 (14-2) 와 슬라이딩면부 (14-1) 의 접촉 면적은 슬라이딩면부 (14-2) 에 의존한다. 이 시트 링 (12) 에는 폭 방향으로 2 개의 O 링 설치부 (112) 를 형성하여 O 링 (18) 이 설치되고, 이 O 링 (18) 에 의해 시트 링 (12) 이 엔드 플레이트 (10-2) 내에 밀착 상태가 된다.
<스터핑 박스 (10-1)>
도 7 의 A 는 스터핑 박스 (10-1) 의 평면 형상, 도 7 의 B 는 A 의 VIIB-VIIB 선 단면, 도 7 의 C 는 A 의 VIIC-VIIC 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스터핑 박스 (10-1) 는 중앙에 관통공 (114) 을 구비하고, 끼워 맞춤 돌기부 (116), 플랜지 (24) 측에 걸어 맞춤 돌기부 (118), 측벽 (120) 측에 제 1 포트 (122-1) 가 구비된다. 관통공 (114) 에는 축부 (4) 와 함께 시일 링 (8) 이 설치된다. 끼워 맞춤 돌기부 (116) 는 엔드 플레이트 (10-2) 에 합체시킨다. 걸어 맞춤 돌기부 (118) 는 기반 부재 (26) (도 1) 측에 걸어 맞춘다. 포트 (122-1) 는 관통공 (114) 으로 통하고, 이 관통공 (114) 내의 시일 링 (8) 의 주위 및 시트 링 (12) 의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의 주위 공간부로 통한다. 플랜지 (24) 에는 볼트 (28) 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볼트 관통공 (124) 이 구비된다. 측벽 (120) 의 정상부에는 도 7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공 (126) 이 구비되고, 각 나사공 (126) 에는 엔드 플레이트 (10-2) 를 관통시킨 볼트 (20) 가 부착된다.
<엔드 플레이트 (10-2)>
도 8 의 A 는 엔드 플레이트 (10-2) 의 평면 형상, 도 8 의 B 는 A 의 VIIIB-VIIIB 선 단면, 도 8 의 C 는 A 의 VIIIC -VIIIC 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 (10-2) 는 외주면을 동 직경으로 한 통상체로, 관통공 (128), 볼트 관통공 (129), 공간부 (130, 131), 시트 링 장착부 (132), 끼워 맞춤 오목부 (134) 가 구비된다. 관통공 (128) 은 부시 (21) 의 슬라이딩면부 (14-3) 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시 (21) 는, 엔드 플레이트 (10-2) 의 부재와 동일 또는 상이한 부재여도 되고, 예를 들어, 카본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 관통공 (129) 은 볼트 (20) 의 장착에 사용된다. 시트 링 장착부 (132) 는 시트 링 (12) 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부의 일례이다.
엔드 플레이트 (10-2) 에는 복수의 제 2 포트 (122-2, 122-3) 가 구비된다. 포트 (122-2) 는 공간부 (131) 및 시트 링 장착부 (132) 로 통하고, 포트 (122-3) 는 공간부 (130) 로 통하고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 (134) 에는 스터핑 박스 (10-1) 의 끼워 맞춤 돌기부 (116) 가 끼워 맞춰지고, 이 끼워 맞춤에 의해, 스터핑 박스 (10-1) 및 엔드 플레이트 (10-2) 가 합체한다.
<실시예 1 의 효과>
실시예 1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실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함께, 핸들부 (32) 나 축 지지부 (42) 를 구비하여 실습 장치 (2) 로서 구성되고, 가대부 (56) 에 설치되어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에 제공할 수 있다.
(2) 핸들부 (32) 나 축 지지부 (42) 를 사용하면, 실기를 초월하여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체험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 2 에서는 실습 장치 (2) 를 사용하여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공정을 설명한다. 이 시공 실습 공정에서는, 펌프 (예를 들어, 도 25 에 나타내는 세로로 둔 펌프 (200)) 등의 회전 기기에 설치되는 메카니컬 시일을 상정하고, 실습 장치 (2) 를 사용하여 분리, 부착 등 실시자에게 체득시켜, 메카니컬 시일 시공의 스킬을 향상시킨다. 이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공정에는, a) 이상 확인 공정, b) 세정 공정, c) 부착 공정, d) 동작 확인 공정, e) 분리 공정, f) 에러 모드 공정 등이 포함된다.
a) 이상 확인 공정
실습 장치 (2) 또는 실기로부터 취득한 구성 부품에 대해, 실습자에게 이상예와 대처 방법을 확인시킨다. 여기서, 이상예는 녹, 부식, 침식, 흠집, 타흔 등이 생긴 부재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스터핑 박스 (10-1) 에 생긴 흠집을 확인한다. 녹, 부식, 침식, 흠집, 타흔 등의 정도를 확인하여, 수복 가능성과 교환의 필요성을 체득시킨다.
b) 세정 공정
축부 (4), 스터핑 박스 (10-1), 엔드 플레이트 (10-2), 메카니컬 시일부 (6) 등, 각 부재의 세정을 실시한다. 경도의 이상에 대해, 대처 방법을 확인한다. 축부 (4), 스터핑 박스 (10-1), 엔드 플레이트 (10-2) 에 대해, 홈이나 단부의 세정에는 섬유가 빠지지 않는 천이나 샌드 페이퍼, 스펀지를 사용한다. 필요한 세정제나 연마제를 확인한다. 미세한 흠집이나, 작은 녹 등은 샌드 페이퍼나 스펀지 연마제 등을 사용하여 닦으면 된다. 세정 전후의 변화나 세정의 정도를 확인한다.
시일 링 (8) 에서는, 슬라이딩면부 (14-1) 에 있는 미세한 흠집이나 작은 패임을 확인하여,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육안이나 감촉 등도 확인 요소이다. 사용 불가능한 상태를 확인하여, 교환을 재촉한다. 사용 가능하면, 섬유가 빠지지 않는 천을 사용하여 세정을 실시한다. 또, 시트 링 (12) 의 슬라이딩면부 (14-2) 에서는 이상을 확인한 후, 세정으로 기능 회복이 가능하면, 섬유가 빠지지 않는 천을 사용하여 세정을 실시한다.
c) 부착 공정
이 부착 공정에서는, 부착 부품의 체크, 부착 순서나 유의 사항의 확인, 각 부의 장착 정밀도를 확인한다. 이 체크 항목에는, 메카니컬 시일의 형식, 시일부품의 수량, 시일 사이즈, 시일 링 (8) 및 시트 링 (12) 의 외관 이상의 유무 등이 포함된다. 외관 이상으로는, 흠집, 결손, 함몰 등이다. 부착의 주의 사항을 확인한다. 이 주의 사항으로서, 시일면인 슬라이딩면부 (14-1, 14-2) 와 다른 부재를 접촉시키지 않는, 바닥 상으로의 설치 방지 등을 확인한다. 부착시에, 슬라이딩면부 (14-1, 14-2) 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은 당연하고, 곤포재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딩면부 (14-1, 14-2) 의 방호를 도모한다.
이 부착 공정에는, c-1) 마킹 공정, c-2) 측정 공정, c-3) 시일 링 (8) 의 고정 공정, c-4) 케이싱 (10) 의 장착 공정, c-5) 볼트 (20) 의 체결 공정이 포함된다.
c-1) 마킹 공정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반 부재 (26) 에 설치한 스터핑 박스 (10-1), 장착된 축부 (4) 에 대해 직선 자 (135) 를 대고, 직선 자 (135) 의 기준면을 따라 축부 (4) 에 마킹선 (136) 을 기록한다. 이 마킹선 (136) 의 표시에는 필기 용구 (138) 를 사용하면 된다. 이로써,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 의 메카니컬 시일 장착부 (70) 에 마킹선 (136) 이 표시된다.
c-2) 측정 공정
도 9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링 (8) 의 고정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마킹선 (136) 과 시일 링 (8) 의 단부 (端部) 의 거리를 노기스 등의 계측기 (140) 에 의해 측정한다.
c-3) 시일 링 (8) 의 고정 공정
이 시일 링 (8) 의 고정에는,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링 본체부 (8-1) 의 설치 전에, 마킹선 (136) 측에 축 패킹 (82-1, 82-2) 을 설치한 후, 시일 링 본체부 (8-1) 를 고정시킨다.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링부 (8-3) 에 부착한 세트 볼트 (106) 를 체결 공구 (142) 로서, 예를 들어, 렌치를 사용하여 단단히 조인다. 이로써, 축부 (4) 의 기준 위치에 시일 링 (8) 이 고정되고, 슬라이딩면부 (14-1) 가 축부 (4) 상에 설정된다.
c-4) 케이싱 (10) 의 장착 공정
도 1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 에는 시일 링 (8) 을 포위하는 스터핑 박스 (10-1) 가 설치된 후, 시트 링 (12) 을 장착한 엔드 플레이트 (10-2) 가 장착된다. 이 결과, 도 1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핑 박스 (10-1) 의 상측에는 엔드 플레이트 (10-2) 가 설치되고, 스터핑 박스 (10-1) 와 엔드 플레이트 (10-2) 사이에는 간격 (144) 이 생긴다. 이 간격 (144) 이 생겼는지를 확인한다. 이 간격 (144) 은, 시일 링 (8) 측에 있는 스프링 (96) 의 복원력의 작용에 의해 생기고 있는 것을 확인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 (10-2) 측의 볼트 관통공 (129) 에 볼트 (20) 를 삽입하여 손으로 조임으로써 임시 고정하고, 스터핑 박스 (10-1, 10-2) 를 걸어 맞춘다.
c-5) 볼트 (20) 의 체결 공정
도 1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 (20) 의 체결 공정에서는, 각 볼트 (20) 에 체결 공구 (146) 를 사용하여 복수 회의 체결을 실시한다. 볼트 (20) 를 손으로 조였을 때의 간격 (144) 이 수 밀리 정도로부터 밀착 상태 근방까지 좁혀져, 스터핑 박스 (10-1) 및 엔드 플레이트 (10-2) 가 합체한다. 이 경우, 끼워 맞춤 오목부 (134) 와 끼워 맞춤 돌기부 (116)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스터핑 박스 (10-1) 및 엔드 플레이트 (10-2) 가 합체한다.
볼트 (20) 의 체결은, 도 1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각 조임으로 간격 (144) 이 각 부 균등해지도록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10 회 정도의 체결을 실시한다. 체결 순서는, 도 1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방향의 볼트 (20) 를 양호한 순서로 실시하면 되는데, 간격 (144) 을 균등화하는 미세 조정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체결 순서를 변경해도 된다. 어떻게 해도, 각 볼트 (20) 사이에서 편조임 상태가 되지 않도록 체결을 실시하는 것을 체득시킨다.
d) 동작 확인 공정
동작 확인 공정에서는,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조립 완료 후,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장착부 (30) 에 핸들부 (32) 를 장착하고, 실습자가 핸들부 (32) 를 잡아, 3 ∼ 4 회전의 회전 조작을 실시한다. 실습자에게 핸들부 (32) 로부터 전해지는 토크감이나 진동을 감득시켜, 이상 토크가 발생한 경우에는 부품 교환을 실시하여, 다시 부착을 실시한다.
e) 분리 공정
이 분리 공정에서는, 장착 공정과 반대의 순서에 의해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부착 공정으로부터 동작 확인 공정을 실시한다.
f) 에러 모드 공정
이 에러 모드 공정에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링 (8) 의 슬라이딩면부 (14-1) 의 상면에 파우더상의 이물질 (148) 이나 물을 부착시킨 후, 이미 서술한 조립 공정과 동일하게 메카니컬 시일부 (6) 를 조립한다. 이 이물질 (148) 이 들어간 상태에서, 이미 서술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부 (32) 를 조작하여, 축부 (4) 를 회전시킨다. 요컨대, 슬라이딩면부 (14-1, 14-2) 사이에 이물질 (148) 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시킨 후, 슬라이딩면부 (14-1, 14-2) 에 어떠한 영향이 발생하는지를 확인시킨다.
<실시예 2 의 효과>
이 실시예 2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실기에서 발생한 이상을 실습 장치 (2) 로 실현할 수 있다.
(2) 이상 확인, 세정, 부착, 동작 확인, 분리 등의 일련의 공정을 단일의 실습 장치 (2) 또는 복수의 실습 장치 (2) 를 사용하여 실습할 수 있고, 또한 각 항목은 필요에 따라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고, 실기에서는 불가능한 이상 상태를 유발시켜, 에러 모드 공정으로서 실현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시공 실습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미 서술한 부착 공정에는 메카니컬 시일 장착부의 정밀도 체크로서, g) 축부 (4) 의 횡편차 계측 공정, h) 스터핑 박스 (10-1) 의 직각도의 계측 공정, i) 스터핑 박스 (10-1) 의 동심도의 계측 공정, j) 축부 (4) 의 축 방향 유격의 확인 공정 등이 포함된다.
g) 축부 (4) 의 횡편차 계측 공정
이 축부 (4) 의 횡편차 계측 공정에서는, 도 1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편차 계측 수단의 일례로서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 아암 (152) 에 의해 스터핑 박스 (10-1) 에 지지시키고, 다이얼 게이지 (150) 의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로부터 노출된 축부 (4) 의 벽면에 접촉시켜 유지한다. 축부 (4) 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직경 d1 의 편심 상태를 나타내는 축부 (4) 의 횡편차나 편심도를 다이얼 게이지 (150) 로 계측할 수 있다. 그 계측값으로부터 축부 (4) 의 편심의 유무, 횡편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부 (4) 의 회전 직경을 d1 로 하면, 횡편차의 허용 범위는,
Figure 112019045127553-pct00001
로 하면 된다.
이 횡편차 계측에서는, 도 1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핑 박스 (10-1) 에 지지 아암 (152) 대신에 지지 부재 (156) 에 의해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시키고, 그 접촉자 (154) 를 축부 (4) 의 벽면에 접촉시켜도 된다.
h) 스터핑 박스 (10-1) 의 직각도의 계측 공정
이 스터핑 박스 (10-1) 의 직각도의 계측 공정에서는,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각도 계측 수단의 일례로서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 아암 (152) 에 의해 축부 (4) 에 지지시키고, 다이얼 게이지 (150) 의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상면에 접촉시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축부 (4) 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직경 d1 의 편심 상태를 나타내는 축부 (4) 의 횡편차나 편심도를 다이얼 게이지 (150) 로 계측할 수 있다. 그 계측값으로부터 축부 (4) 의 편심의 유무, 횡편차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직각도는 미리 허용 범위를 설정하고, 그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이 직각도 계측에서는, 도 1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아암 (152) 대신에 지지 부재 (156) 에 의해 축부 (4) 에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시키고, 그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상면에 접촉시켜도 된다.
i) 스터핑 박스 (10-1) 의 동심도의 계측 공정
이 스터핑 박스 (10-1) 의 동심도의 계측 공정에서는, 도 1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 아암 (152) 에 의해 축부 (4) 에 지지시키고,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내벽면에 접촉시켜 축부 (4) 를 회전시킨다. 축부 (4) 의 회전과 함께, 다이얼 게이지 (150) 의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내벽면에 슬라이딩시켜 계측한다. 동일하게, 다이얼 게이지 (150) 의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외벽면에 슬라이딩시켜 계측한다. 각 계측값을 동일 위치에 의해 관계시켜 비교하면, 스터핑 박스 (10-1) 의 동심도를 계측할 수 있다.
이 동심도의 계측에서는, 도 1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156-1) 에 의해 다이얼 게이지 (150-1) 를 유지하고, 동일하게, 지지 부재 (156-2) 에 의해 다이얼 게이지 (150-2) 를 유지하여, 각 다이얼 게이지 (150-1, 150-2) 로 스터핑 박스 (10-1) 의 내외면의 동심도를 계측해도 된다. 이 경우, 동심도의 허용 범위는 식 (1) 을 참조하면 된다.
j) 축부 (4) 의 축 방향 유격의 확인 공정
이 축부 (4) 의 축 방향 유격의 확인 공정에서는, 도 1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 아암 (152) 에 의해 축부 (4) 의 예를 들어, 핸들 장착부 (30) 에 지지시키고, 다이얼 게이지 (150) 의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상면에 접촉시켜, 축부 (4) 를 회전시킨다. 축부 (4) 의 축 방향의 유격을 다이얼 게이지 (150) 로 계측할 수 있다. 축 방향의 유격은 예를 들어, 0.5 [㎜] 이하이면 된다.
이 경우, 도 1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 의 벽면에 지지 부재 (156) 에 의해 다이얼 게이지 (150) 를 지지시키고, 접촉자 (154) 를 스터핑 박스 (10-1) 의 상면에 접촉시켜 축부 (4) 를 회전시킴으로써, 화살표 m 으로 나타내는 유격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의 효과>
실시예 3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실기에서는 계측하기 어려운 부위를 실습 장치 (2) 로 실현할 수 있어, 축 편차 등의 매우 중요한 사항을 계측값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2) 이들 계측 공정에서는, 다이얼 게이지 등의 설치 지점이나 접촉자의 접촉 방법 등을 신속하고 또한 적확하게 실습할 수 있어, 실습자의 스킬 업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9 는, 실시예 4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누설 확인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케이싱 (10) 에 포트 (122-1) 로부터 가압 유체원을 접속하고, 가압 유체 (158) 를 흘려 넣고, 포트 (122-2, 122-3) 에 유체 누설을 검출하는 계측 기기 (160-1, 160-2) 를 접속하면, 메카니컬 시일부 (6) 로부터 가압 유체 (158) 의 유출 또는 압력을 검출하고, 구체적으로는 그 누설이나 누설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트 (122-2, 122-3) 의 어느 일방을 막고, 개방측으로부터 가압 유체 (158) 를 흘려 넣고, 포트 (122) 에 계측 기기 (160) 를 접속하여, 그 누설이나 누설량을 계측해도 된다.
실시예 5
도 20 은, 실시예 5 에 관련된 축부 (4) 및 스터핑 박스 (10-1) 를 나타내고 있다. 축부 (4) 에는 단부 (162) 를 구비한 대직경부 (164) 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스터핑 박스 (10-1) 에는 단부 (162) 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부 (166) 를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축부 (4) 에 대한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기준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이미 서술한 마킹선 (136) 과 동일한 기능을 단부 (162) 또는 대직경부 (164) 에서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21 은, 실시예 6 에 관련된 케이싱 (10) 을 구비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실시예에서는 케이싱 (10) 에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재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금속 재료에서는 케이싱 (10) 은 불투명하여,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이 실시예 6 에서는, 케이싱 (10) 이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투명 합성 수지나 유리 등의 투광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투광 부재로 형성하면, 케이싱 (10) 의 내부를 동작 중에 확인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싱 (10) 의 전부를 투광 재료로 형성하고 있는데, 스터핑 박스 (10-1) 및 엔드 플레이트 (10-2) 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 중, 그 일부를 투광 부재로 형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투광 부재로 형성된 창부로부터 케이싱 (10) 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22 는, 실시예 7 에 관련된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공 실습 시스템 (170) 에는, 메카니컬 시일부 (6), 정보 처리부 (172), 정보 제시부 (174) 가 포함된다.
메카니컬 시일부 (6) 에는 센서부 (176) 가 구비되고, 이 센서부 (176) 에는 복수의 센서로서 센서 (176-1, 176-2, 176-3, 176-4···) 가 포함된다.
센서 (176-1) 는 예를 들어, 시일 링 (8) 과 시트 링 (12) 의 슬라이딩면부 (14-1, 14-2) 사이의 가압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이다. 센서 (176-2) 는 예를 들어, 축부 (4) 의 편차를 검출하는 축 편차 센서이다. 센서 (176-3) 는 예를 들어, 축부 (4) 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리를 검출하는 진동 센서 또는 마이크로폰이다. 센서 (176-4) 는 예를 들어, 축부 (4) 에 가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이다.
정보 처리부 (172) 에는, 데이터 수집부 (178), 제어부 (180), 메모리부 (182) 가 포함된다. 데이터 수집부 (178) 는 제어부 (180) 에 의해 제어되고, 센서부 (176) 의 각 센서 (176-1, 176-2, 176-3, 176-4···) 의 센서 출력을 제어부 (180) 에 도입한다.
제어부 (180) 는 처리부의 일례인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프로세서등을 구비하여 센서부 (176) 로부터의 센서 신호의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적어도 그 센서 신호를 화상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 기능을 구비한다.
메모리부 (182) 는, ROM (Read-Only Memory), RAM (Random-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다. ROM 에는 OS (Operating System) 나 실습 제어 프로그램, 시공 실습 방법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RAM 은 정보 처리 에어리어를 구성한다.
정보 제시부 (174) 는, 제어부 (180) 에 의해 제어되고, 센서부 (176) 의 각 센서 (176-1, 176-2, 176-3, 176-4···) 의 각 검출 결과, 연산 처리 결과, 판정 결과 등의 각종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센서부 (176), 정보 처리부 (172) 및 데이터 수집부 (178) 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의 수수를 실시해도 되고, 실습자가 조작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해도 된다. 또, 정보 처리부 (172) 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실습 결과나 평가를 실습자의 휴대 단말에 송신하여 제시해도 된다.
<실시예 7 의 효과>
실시예 7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실습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2) 처리 결과나 실시 결과를 화상 정보로서 제시할 수 있다.
(3) 평가 결과의 추이를 정보 처리로 추적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공 실습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23 의 A 는, 실시예 8 에 관련된 시일 링 (8) 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일 링 (8) 의 슬라이딩면부 (14-1)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의 일례로서, 시일 링 본체부 (8-1) 에 실제의 시일 링 본체부의 경도보다 낮은 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면부층 (184) 을 설치해도 된다.
도 23 의 B 는, 실시예 8 에 관련된 시트 링 (12) 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트 링 (12) 의 슬라이딩면부 (14-2)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의 일례로서,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에 실제의 시트 링의 경도보다 낮은 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면부층 (186) 을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8 의 효과>
이 실시예 8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슬라이딩면부층 (184, 186) 이 실기와 상이하게, 마모의 진행도가 현저해져, 실습자는 마모 상태의 확인과 함께, 슬라이딩면부 (14-1, 14-2) 의 표면 성상의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이와 같은 표면 성상의 변화에 따른 대응에 대해, 실습시에 실기와 동일한 시공 연수를 실시할 수 있어, 시공자의 스킬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9
도 24 의 A 는 실시예 9 에 관련된 시트 링 (12) 의 슬라이딩면부 (14-2) 측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의 구성 부재에 마모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재로서 표시층 (188) 이 매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표시층 (188) 은 환상임과 함께, 단면이 사다리꼴 상이다. 요컨대, 사다리꼴상의 단변측을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0) 의 단면측에 설정하고, 마모에 의해 장변측에 마모 상태가 진행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도 2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전 또는 사용 중의 표시층 (188) 의 노출폭을 W1 이라고 하면, 마모의 진행에 따라, 예를 들어, 마모 (M) 상태에서는, 표시층 (188) 의 노출폭 W1 은 Wx 로 확대된다. 이 확대 비율은 실습자가 용이하게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 9 에서는, 시트 링 (12) 에 대해 개시하고 있지만, 동일한 구성을 시일 링 (8) 의 슬라이딩면부 (14-1) 의 구성 부재에 적용해도 된다.
<실시예 9 의 효과>
이 실시예 9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1) 요철, 흠집, 마모 등의 표면 성상을 시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이와 같은 표시층 (188) 에 나타나는 노출폭 W 의 크기나 변화로부터 마모 상태나, 사용 시간 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2) 표시층 (188) 의 노출폭 W 의 크기에 따라 시트 링 (12) 이나 시일 링 (8) 의 교환 시기의 도래를 확인할 수 있어, 메카니컬 시일부 (6) 의 신뢰성이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나 실시예로서 도시된 메카니컬 시일부 (6) 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카니컬 시일부 (6) 에는 밸런스형이나 언밸런스형 등 여러 종류의 형태가 존재하고 있고, 본 발명의 실습 장치는 이들 형태에 적용할 수 있어, 실습자의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실시예 9 는, 실습 장치 (2) 의 실시예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실습 장치 (2) 를 초월하여, 널리 메카니컬 시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의 실습 장치 (2)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 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펌프나 교반기 등의 회전 기기에 사용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등에 적용하여, 시공 실습자 등, 메카니컬 시일에 관련되는 부재의 부착, 분리, 교환, 청소, 메인터넌스 등의 시공 기술을 습득시킬 수 있어,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일 기구의 실현에 기여하는 것이다.
2 :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4 : 축부
6 : 메카니컬 시일부
8 : 시일 링
10 : 케이싱
10-1 : 제 1 케이싱부
10-2 : 제 2 케이싱부
12 : 시트 링
14-1 : 제 1 슬라이딩면부
14-2 : 제 2 슬라이딩면부
14-3 : 제 3 슬라이딩면부
16 : 관통공
18 : O 링
20 : 볼트
22 : 공간부
24 : 플랜지
26, 26-1, 26-2 : 기반 부재
28 : 볼트
30 : 핸들 장착부
32 : 핸들부
34 : 각기둥부
36 : 끼워 맞춤부
38 : 크랭크
40 : 조작부
42 : 축 지지부
44 : 지주부
46-1 : 제 1 베어링부
46-2 : 제 2 베어링부
48 : 고정 나사
50 : 가이드부
52 : 고정 나사
54 : 고정 나사
56 : 가대부
58 : 착좌부
60 : 천판부
62 : 지주부
64 : 볼트
66 : 바닥면
68 : 캐스터
70 : 메카니컬 시일 장착부
72 : 회전 지지부
74 : 지지공
76 : 관통공
78 : 축 패킹 설치부
80 : 창부
82-1, 82-2 : 축 패킹
84 : 관통공
86 : 가이드 핀 나사공
88 : 드라이브 핀 나사공
90 : 스프링 삽입부
92 : 가이드 핀
94 : 드라이브 핀
96 : 스프링
98 : 관통공
100 : 드라이브 핀 장착부
102 : 스프링 삽입부
103 : 나사부
104 : 세트 볼트 나사공
106 : 세트 볼트
108 : 간극
110 : 직경이 작은 환상부
112 : O 링 설치부
114 : 관통공
116 : 끼워 맞춤 돌기부
118 : 걸어 맞춤 돌기부
120 : 측벽
122-1 : 제 1 포트
122-2 : 제 2 포트
122-3 : 제 2 포트
124 : 볼트 관통공
126 : 나사공
128 : 관통공
129 : 볼트 관통공
130, 131 : 공간부
132 : 시트 링 장착부
134 : 끼워 맞춤 오목부
135 : 직선 자
136 : 마킹선
138 : 필기 용구
140 : 계측기
142, 146 : 체결 공구
144 : 간격
148 : 이물질
150, 150-1, 150-2 : 다이얼 게이지
152 : 지지 아암
154 : 접촉자
156, 156-1, 156-2 : 지지 부재
158 : 가압 유체
160-1, 160-2 : 계측 기기
162 : 단부
164 : 대직경부
170 : 시공 실습 시스템
172 : 정보 처리부
174 : 정보 제시부
176 : 센서부
176-1, 176-2, 176-3, 176-4 : 센서
178 : 데이터 수집부
180 : 제어부
182 : 메모리부
184, 186 : 슬라이딩면부층
188 : 표시층
200 : 세로로 둔 펌프
202 : 펌프 본체
204 : 시일 기구부
206 : 모터
208 : 케이싱

Claims (16)

  1. 회전 가능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고정되어 제 1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시일 링과,
    상기 시일 링을 포위하는 제 1 케이싱부와,
    상기 시일 링의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접촉하는 제 2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부에 장착되는 시트 링과,
    상기 제 1 케이싱부와 합체시켜, 상기 시트 링이 고정되는 제 2 케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합체시킨 상기 제 2 케이싱부의 공간부에 상기 시트 링이 고정됨과 함께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에 상기 제 2 슬라이딩면부가 맞닿아, 시공 실습시, 수동 조작에 의한 상기 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면부의 상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축부와 삽입 발출 가능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 장착된 상기 핸들부로 상기 축부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와 고정되는 축 지지부와,
    상기 축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축부의 일단측에서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베어링부와,
    상기 축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축부의 중간부에서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축부의 축 편차, 유격 중 어느 하나의 계측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2 케이싱부는, 상기 축부와 접촉하는 제 3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링은, 상기 축부에 고정되는 지지 링부를 구비하고, 그 지지 링부는 상기 시트 링측에 상기 시일 링을 압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시일 링의 상기 축부 상의 기준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일 링으로 통하는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케이싱부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 링으로 통하는 제 2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 또는 상기 제 2 케이싱부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 중,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 또는 상기 축 지지부를 지지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9. 축부에 제 1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시일 링을 고정시키는 공정과,
    상기 시일 링을 포위하는 제 1 케이싱부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시일 링의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접촉하는 제 2 슬라이딩면부를 구비하는 시트 링을 축부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케이싱부의 공간부에 상기 시트 링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제 2 케이싱부를 합체시키는 공정과,
    상기 축부에 핸들부에 의해 또는 그 핸들부의 장착없이 상기 제 1 슬라이딩면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면부를 상대 회전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시일 링의 설치 전에, 상기 축부의 편심, 상기 축부의 유격, 상기 축부의 인접 부재의 각도 또는 동심도의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계측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 1 케이싱부에 시일 링 및 축부를 설치하고, 적어도 상기 시일 링의 슬라이딩면부에 이물질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케이싱부에 있는 제 1 포트 또는 상기 제 2 케이싱부에 있는 제 2 포트의 어느 일방으로부터 가압 유체를 흘려 넣고, 상기 제 1 포트 또는 상기 제 2 포트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가압 유체의 유출 또는 압력을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방법.
  13. 축부에 설치된 시트 링과 시일 링 사이의 가압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축부의 편차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축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리를 검출하는 센서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서 신호를 받아, 적어도 그 센서 신호를 화상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 기능을 구비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 출력을 적어도 화상 정보에 의해 제시하는 정보 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시스템.
  14. 적어도 시트 링을 포함하는 메카니컬 시일로서,
    상기 시트 링의 적어도 슬라이딩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실기용의 시트 링 부재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마모성 재료를 사용하고, 실습시, 상기 슬라이딩면부의 표면 성상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
  15. 적어도 시일 링을 포함하는 메카니컬 시일로서,
    상기 시일 링의 적어도 슬라이딩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실기용의 시일 링 부재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마모성 재료를 사용하고, 실습시, 상기 슬라이딩면부의 표면 성상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
  16. 적어도 시트 링 또는 시일 링을 포함하는 메카니컬 시일로서,
    상기 시트 링 및 상기 시일 링의 어느 일방의 적어도 슬라이딩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마모에 의해 마모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층의 단면이 사다리꼴상이고, 이 사다리꼴상의 상기 표시층의 단변이 단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층의 형태 변화로 상기 슬라이딩면부의 마모 정도가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시일.
KR1020197012735A 2016-11-22 2016-11-22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시공 실습 방법, 시공 실습 시스템, 및 메카니컬 시일 KR102162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04947 WO2018096568A1 (ja) 2016-11-22 2016-11-22 メカニカルシールの施工実習装置、施工実習方法、施工実習システム、およびメカニカルシ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373A KR20190057373A (ko) 2019-05-28
KR102162193B1 true KR102162193B1 (ko) 2020-10-06

Family

ID=6219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735A KR102162193B1 (ko) 2016-11-22 2016-11-22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시공 실습 방법, 시공 실습 시스템, 및 메카니컬 시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653395B2 (ko)
KR (1) KR102162193B1 (ko)
CN (1) CN109983263B (ko)
PH (1) PH12019550086A1 (ko)
TW (1) TWI725232B (ko)
WO (1) WO2018096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9118A (zh) * 2019-07-12 2019-11-15 国核工程有限公司 湿法绕组泵模型及湿法绕组泵预安装模拟方法
CN110517572A (zh) * 2019-07-12 2019-11-29 国核工程有限公司 屏蔽泵模型及屏蔽泵预安装模拟方法
TWI817249B (zh) * 2021-11-12 2023-10-01 智崴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 伸縮式致動器、致動系統和移動模擬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5473A (ja) * 2014-05-10 2015-12-03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ボルト締め付け実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286A (ja) * 1984-01-09 1985-08-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メカニカルシ−ル訓練装置
JPH10103529A (ja) * 1996-09-30 1998-04-21 Aisin Seiki Co Ltd メカニカルシール
JP3782690B2 (ja) * 2001-08-31 2006-06-07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EP2222988B1 (en) * 2007-11-20 2016-09-14 Flowserve Management Company Upset resistant mechanical seal
CN102606518A (zh) * 2012-03-27 2012-07-25 上海阿波罗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核电站的厂用水泵的机封装置
US8984929B2 (en) * 2012-12-19 2015-03-24 Praxair Technology, Inc. Pressure indicating device
JP6056458B2 (ja) * 2012-12-25 2017-01-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トルク検出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装置
CN205047499U (zh) * 2015-10-17 2016-02-24 四川重诚密封件有限公司 强制循环冷却高温机械密封
CN105317732A (zh) * 2015-10-19 2016-02-10 陕西科技大学 一种氨进料装置的密封装置
CN205298040U (zh) * 2016-01-22 2016-06-08 河南神马尼龙化工有限责任公司 用于离心泵的机封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5473A (ja) * 2014-05-10 2015-12-03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ボルト締め付け実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96568A1 (ja) 2019-10-17
CN109983263B (zh) 2021-02-09
CN109983263A (zh) 2019-07-05
KR20190057373A (ko) 2019-05-28
JP6653395B2 (ja) 2020-02-26
WO2018096568A1 (ja) 2018-05-31
PH12019550086A1 (en) 2020-03-09
TW201820292A (zh) 2018-06-01
TWI725232B (zh)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193B1 (ko) 메카니컬 시일의 시공 실습 장치, 시공 실습 방법, 시공 실습 시스템, 및 메카니컬 시일
US200602218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JPH05504843A (ja) 回転機械の診断装置
US201702415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nd predicting sprocket tooth wear
JP6206745B2 (ja) 車両用キャニスター検査装置
KR101710576B1 (ko) 바형 레일이 구비된 초음파 탐상장치
CN213942330U (zh) 一种轴瓦磨损监测仪及转鼓真空过滤机
KR102059930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JPWO2018104981A1 (ja) 振動計組立体、回転機械、振動計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外し方法
KR20120073460A (ko) 피검체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6839761A (zh) 冶炼炉倾动指示装置
CN211902388U (zh) 一种用于检测管道内壁的检测装置
JP7303279B2 (ja) ポンプ装置の診断方法、ポンプ装置の診断評価装置
CN214150773U (zh) 一种转速标定装置
CN114324043B (zh) 一种系泊腿万向节装置的滑动轴承磨损估测系统及方法
KR200209035Y1 (ko) 재질별 음속값 자동보정기능을 가진 배관 내부 측정장치
CN212620916U (zh) 一种新型的气体质量流量检测装置
CN100473958C (zh) 使用纯机械激励信号装置对技术设备进行监视和诊断
Catlin Improved maintenance of machinery through “baseline” vibration measurements
US78059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turbine valve seats
CN105890568B (zh) 钻孔斜向线应变测量仪
SU1106943A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колец трени торцового уплотнени
KR20070087438A (ko) 아네로이드형 압력계의 외부영점 조정장치
Vladimir et al. Preventive Maintenance of Mining Equipment Based on Identification of Its Actual Technical State
Anastasopoulos et al. Fusion of ndt data from modern inspectio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