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075B1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075B1
KR102160075B1 KR1020140048174A KR20140048174A KR102160075B1 KR 102160075 B1 KR102160075 B1 KR 102160075B1 KR 1020140048174 A KR1020140048174 A KR 1020140048174A KR 20140048174 A KR20140048174 A KR 20140048174A KR 102160075 B1 KR102160075 B1 KR 102160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protrusion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930A (ko
Inventor
이태창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3327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6007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075B1/ko
Priority to EP15782991.2A priority patent/EP3136456B1/en
Priority to US15/306,386 priority patent/US9978919B2/en
Priority to CN201580032393.7A priority patent/CN106463598B/zh
Priority to PCT/KR2015/003936 priority patent/WO2015163657A1/ko
Publication of KR2015012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930A/ko
Priority to US15/978,486 priority patent/US1020507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발광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 베이스, 리플렉터 및 캐비티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장치의 강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향상된 강도를 갖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발생하는 광을 발하는 무기 반도체 소자로서, 최근, 디스플레이, 자동차 램프, 일반 조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응답 속도가 빨라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같은 발광 장치는 종래의 광원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광 효율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그 구조가 결정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는 베이스(21)와 리플렉터(23), 및 리플렉터(23)에 둘러싸인 캐비티(25)를 포함하는 바디부(20), 바디부(20)에 의해 고정되며, 바디부(20)의 캐비티(25) 및 바디부(20)의 하면에 그 일부가 노출된 제1 리드(11) 및 제2 리드(13), 및 리드(11, 13)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배치되며 리드들(11, 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3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장치의 제1 리드(11) 및 제2 리드(1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 리드들(11, 13)이 이격된 공간(C-C'선 주변 영역)에는 베이스(21)가 채워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발광 장치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체 베이스(21)의 면적에서 캐비티(25)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형성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23)의 측면방향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캐비티(25)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발광 장치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적용한다. 또한, 와이어(31)를 연결하는 구조적인 특징 및 열 방출 효율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들(11, 13)이 차지하는 면적 역시 크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에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에 외부의 충격이나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제1 리드(11)와 제2 리드(13) 사이의 이격 공간(C-C'선 주변 영역)의 베이스(21)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제1 리드(11)와 제2 리드(13) 사이 영역의 베이스(21)가 파손되는 경우, 와이어(31)의 단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서, 발광 장치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런데 발광 효율과 열 방출 효율을 고려할 때, 캐비티(25)의 면적을 줄이거나 리드들(11, 13)의 이격 너비를 증가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발광 장치의 발광 강도를 동등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의 충격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강도가 높은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향상된 강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종래의 발광 장치와 동등한 수준의 발광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발광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제1 및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에 둘러싸여 상부가 개구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발광 장치에 따르면, 리드들의 이격 영역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의 강도가 증가되어,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 제1 리드는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리드는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상기 상부 제1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사이의 대향 측면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오목부의 이격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의 이격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 각각은,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모따기부 및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돌출부의 아래 영역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아래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제1 리드 또는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리드 및 하부 제2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의 일 측면의 폭(W2)과 상기 모따기부의 모따기 정도(R)의 비율 R/W2는 0.052초과 0.25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제1 리드 및 하부 제2 리드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 및 상부 제2 리드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의 일 측면의 폭(W2)과, 상기 일 측면에 평행하는 단면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의 폭(W1)의 비율 W1/W2는 0.8 이상 0.92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리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상부 제1 리드는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리드는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상기 상부 제1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사이의 대향 측면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 각각은,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모따기부 및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의 아래 영역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아래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제1 리드 또는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부 제1 리드 및 하부 제2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들이 대향하는 측면에 돌출부와 오목부 및/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리드들 사이 영역의 강도가 증가된 발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의 수평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서도 발광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발광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발광 강도를 가지면서 향상된 강도를 갖는 발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저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강도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각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상부"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저면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장치는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 바디부(300), 및 발광 다이오드(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 장치는, 와이어(31) 및 몰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발광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발광 장치의 하부 영역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의 이격 공간은 베이스(310)에 의해 채워질 수 있으며, 베이스(310)의 하면과 제1 및 제2 리드(100, 200)의 하면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발광 장치의 하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제1 리드(100)는 상부 제1 리드(110) 및 하부 제1 리드(1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리드(200)는 상부 제2 리드(210) 및 하부 제2 리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제1 리드(110, 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제2 리드(210, 220)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드(100) 및 제2 리드(200)는 도전성 및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제1 리드(110)와 상부 제2 리드(210) 간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하부 제1 리드(120)와 하부 제2 리드(220) 간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다. 나아가, 상부 제1 리드(110)와 상부 제2 리드(210) 간의 이격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에 더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리드(100, 2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리드(100)는 상부 제1 리드(110) 및 하부 제1 리드(120)를 포함한다. 상부 제1 리드(110)는 하부 제1 리드(120) 상에 위치하며, 상부 제1 리드(110)의 면적은 하부 제1 리드(120) 보다 크고, 하부 제1 리드(120)는 상부 제1 리드(110)가 차지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드(100)를 위에서 보면, 상면에는 상부 제1 리드(110)만 노출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제1 리드(110, 120))의 면적 차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드(100)의 측면에는 단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130)에 베이스(310)가 채워짐으로써, 제1 리드(100)와 바디부(300)가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리드(200) 역시 상부 제2 리드(210) 및 하부 제2 리드(220)를 포함한다. 상부 제2 리드(210)는 하부 제2 리드(220) 상에 위치하며, 상부 제2 리드(210)의 면적은 하부 제2 리드(220) 보다 크고, 하부 제2 리드(220)는 상부 제2 리드(210)가 차지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리드(200)를 위에서 보면, 상면에는 상부 제2 리드(210)만 노출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제2 리드(210, 220)의 면적 차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드(200)의 측면에는 단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부(230)에 베이스(310)가 채워짐으로써, 제2 리드(200)와 바디부(300)가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제1 리드(110)는 상부 제2 리드(210)와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며, 상부 제2 리드(210)의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11) 및 상부 제2 리드(2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힙된 제1 오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 제2 리드(210) 역시 상부 제1 리드(110)와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211) 및 제2 오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가 형성된 영역에는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오목부(213)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211)가 형성된 영역에는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오목부(113)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2,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11)와 제2 오목부(213)는 서로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제2 돌출부(211)와 제1 오목부(113) 또한 서로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1)와 제1 오목부(113)는 각각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211)와 제2 오목부(213)는 각각 제2 리드(200)와 제1 리드(100)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향하는 측면에서, 제1 돌출부(111)와 제1 오목부(113) 사이 영역의 측면은, 제2 리드(200)의 제2 돌출부(211)와 제2 오목부(213) 사이 영역의 측면과 서로 직선을 이루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 이격 영역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제1 리드(110)와 상부 제2 리드(210) 간의 이격 영역은 직선이 아닌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장치는, 오목부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리드들을 갖고, 상기 오목부와 돌출부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대응하여 형성되는 형상의 리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 사이 영역의 끝단에서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리드들 사이의 영역에 꺾이는 부분이 존재하여 크랙의 전파(propagation)가 차단될 수 있다. 즉, 리드들의 대향 측면 끝단들에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오목부들과 돌출부들에 의해, 크랙의 발생 및 전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장치의 강도가 향상되어, 발광 장치의 신뢰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특히, 리드들의 대향 측면에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발광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리드들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발광 장치의 다른 구성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발광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제1 리드(110) 및 상부 제2 리드(120)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 외의 다른 측면들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미세 돌출부(14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돌출부들(140, 240) 사이의 공간에는 베이스(310)가 채워질 수 있다. 상부 제1 및 상부 제2 리드(110, 120)에 미세 돌출부(140, 240)들이 더 형성됨으로써, 베이스(310)로부터 리드들(100, 200)이 이탈하거나 이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하부 제1 리드(120) 및 하부 제2 리드(220)는 각각 상부 제1 리드(110) 및 상부 제2 리드(210) 아래에 위치한다.
하부 제1 리드(120)는, 하부 제2 리드(220)와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제1 모따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제2 리드(220) 역시 하부 제1 리드(120)와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제2 모따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따기부(121)와 제2 모따기부(221)는 각각 하부 제1 리드(120)와 하부 제2 리드(220)가 서로 대향하는 측면들의 양 끝단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제1 리드(120)와 하부 제2 리드(220) 간의 이격 거리는 대향 측면의 중심 부분에서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모따기부(121)와 제2 모따기부(221)에 의해, 하부 제1 리드(120)와 하부 제2 리드(220)의 모서리 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 돌출부(111) 및 제2 돌출부(211) 아래에는 하부 리드들(120, 22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리드들(100, 120)의 이격 영역 양 끝단을 채우는 부분의 베이스(310)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 모따기부(121) 및 제2 모따기부(221)의 모따기 정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발광 장치의 강도와 리드에 의한 열 방출 효율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모따기되지 않은 대향측면으로부터 모따기되어 꺾여지는 부분에 형성된 꼭짓점 부분까지의 거리를 모따기 정도(R)로 정의된다. 이때, 모따기 정도(R)는 발광 장치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따기 정도(R)를 나타내는 선분에 평행한 발광 장치의 일 측면의 폭을 W2라고 정의할 때, 모따기 정도 R과 W2 간의 비율인 R/W2는 0.052 초과 0.25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장치의 일 측면 폭 W2가 5mm인 발광 장치의 경우, 모따기 정도(R)은 0.26mm 초과 1.25m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모따기 정도(R)는 하부 제1 리드(120) 및 하부 제2 리드(22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측면의 모든 모서리에 동일한 모따기 정도(R)를 갖는 모따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서로 다른 모따기 정도(R)를 갖는 모따기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리드들의 이격 영역에 파손이 발생하는 메커니즘들 중 하나는, 리드들의 이격 영역의 양 끝단에서 크랙이 발생하여 발생된 크랙이 리드들의 사이 영역을 따라 전파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리드들이 대향하는 측면에 모따기부들이 형성됨으로써, 리드들의 이격 영역의 양 끝단의 베이스(31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장치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리드(100) 및 제2 리드(200) 중 적어도 하나는 그것을 상하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15, 215)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들(115, 215)에는 베이스(310)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310)와 리드들(100, 200)이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5, 215)의 측면은 경사를 가질 수도 있고, 또한 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홀(115, 215)의 상부 개구의 면적과 하부 개구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300)는 베이스(310), 리플렉터(320) 및 캐비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10)는 제1 및 제2 리드(100, 200)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특히,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의 이격 공간을 채운다. 제1 리드(100)의 제2 리드(200)의 상면 및 하면은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310)의 상면과 리드들(100, 200)의 상면은 대체로 동일 평면에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310)의 하면과 리드들(100, 200)의 하면은 대체로 동일 평면에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베이스(210)의 측면에는 미세 돌출부들(140, 240)이 노출될 수도 있다. 베이스(310)는 리드들(100, 200)과 함께 발광 장치의 기판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베이스(310)는 세라믹 또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아미드, 또는 에폭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310)는 TiO2와 같은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320)는 베이스(310) 및 리드들(100, 200)로 구성된 발광 장치의 하부 영역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플렉터(320)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캐비티(300)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300)의 하면에는 제1 및 제2 리드(100, 200)의 일부 및 베이스(3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리플렉터(320)는 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반사 기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내부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리플렉터(320)의 수평 방향 두께는 발광 장치의 강도 및 발광 장치의 광도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플렉터(320)의 수평 방향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발광 장치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나, 상기 두께가 두꺼워져 캐비티(300)의 면적이 작아질수록 발광 장치의 발광 강도가 감소할 수도 있다.
발광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발광 장치의 발광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리플렉터(320)의 수평 방향 두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장치 중앙을 관통하며, 발광 장치의 일 측면에 평행하는 선분을 따라 자른 단면에서, 전체 폭을 W2로 정의하고, 캐비티(330) 상부의 폭을 W1로 정의한다. 이때, W1/W2는 0.8 이상 0.92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W1이 5mm인 발광 장치의 경우, 캐비티(330)의 폭 W2는 4.0mm 이상 4.6mm 미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발광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발광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발광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리플렉터(320)는 제1 리드(100) 및 제2 리드(200)의 돌출부들(111, 211) 및 오목부들(113, 213)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티(330)의 하면에는, 상부 제1 리드(110)와 상부 제2 리드(210)의 이격 영역 중 직선 형태를 갖는 부분만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의 이격 영역의 양 끝단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플렉터(320)는 세라믹 또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아미드, 또는 에폭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리플렉터(320)는 TiO2와 같은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320)와 베이스(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플렉터(320)와 베이스(3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1회의 몰딩 공정 등을 거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30)는 제1 리드(100)와 제2 리드(200)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3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30)는 수평형, 수직형 또는 플립칩형 등의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 전기적 연결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30)는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30)는 제2 리드(200) 상에 배치되어 그 하면을 통해 제2 리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리드(100)와는 와이어(3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장치가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30)와 관련된 공지의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발광 장치는, 캐비티(300)를 채우며, 발광 다이오드(30)를 봉지하는 몰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40)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험예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강도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본 실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강도 개선 효과 및 발광 강도 저하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들이다. 본 실험예에 이용되는 발광 장치들은 5×5 mm2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각 발광 장치에 포한된 발광 다이오드는 (주)서울바이오시스사의 650×1300㎛2의 크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되었다.
(제1 실험예)
제1 실험예는 리플렉터의 수평 방향의 두께에 따른 발광 강도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샘플 1 내지 3에 있어서, W2는 5mm이고, W1은 각각 4.6mm, 4.2mm 및 4.0mm이다. 아래 표 1은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강도, 발광 장치의 광속(luminous flux), 및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강도와 발광 장치의 광속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k-factor를 나타낸다. 이때, k-factor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38330916-pat00001
발광 장치의 광속
( lm )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강도
( mW )
k- factor
샘플 1
( W1 =4.6 mm )
164.67 0.459 0.358
샘플 2
( W1 =4.2 mm )
165.65 0.464 0.357
샘플 3
( W1 =4.0 mm )
164.48 0.460 0.357
상기 실험예에 따르면, 리플렉터의 수평 방향 두께를 증가시켜 캐비티의 폭이 4.6mm에서 4.0mm로 감소되어도 k-factor는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캐비티의 폭을 발광 장치의 일 측면에 비해 0.8 수준까지 줄여 발광 장치의 강도를 증가시키더라도, 발광 장치의 발광 강도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험예)
제2 실험예는 제1 리드와 제2 리드에 돌출부 및 오목부의 존재 여부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강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강도테스트 결과는 자동 하중측정 장치(push-pull gauge system)를 이용하여 도출되었다. 하중을 가하는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포인트 및 B포인트이다. 아래 표 2는 캐비티의 폭과 돌출부 및 오목부의 존재 여부에 따른 강도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다.

W1=4.6 W1=4.2 W1=4.0
A 포인트 B 포인트 A 포인트 B 포인트 A 포인트 B 포인트
돌출부 및 오목부
부존재 (kg)
0.977 0.584 1.369 0.848 1.742 1.038
돌출부 및 오목부
존재 (kg)
1.043 0.616 1.465 0.898 1.868 1.100
강도 증가율(%) 106.8% 105.5% 107.0% 105.9% 107.2% 106.0%
제2 실험예에 따르면, 리드에 돌출부 및 오목부가 존재하는 경우, 리드들의 이격 영역의 중앙 부분이나 외곽 부분 모두에서 강도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의 수평 방향 두께를 증가시킨 구성과, 돌출부 및 오목부 구성을 동시에 포함하는 발광 장치의 경우 강도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 실험예)
제3 실험예는 제1 리드와 제2 리드의 모따기부의 모따기 정도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강도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강도테스트 결과는 자동 하중측정 장치(push-pull gauge system)를 이용하여 도출되었다. 하중을 가하는 부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포인트 및 B포인트이다. 아래 표 3 및 표 4는 캐비티의 폭과 모따기 부의 모따기 정도에 따른 강도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다.
W1=4.6 W1=4.2 W1=4.0
A 포인트 강도 증가율
(%)
A 포인트 강도 증가율
(%)
A 포인트 강도 증가율
(%)
R = 0.26mm 0.744 100% 1.088 100% 1.252 100%
R = 0.66mm 0.977 131.3% 1.369 125.8% 1.742 139.1%
R = 1.06mm 1.051 141.3% 1.558 143.2% 1.823 145.6%
W1=4.6 W1=4.2 W1=4.0
B 포인트 강도 증가율
(%)
B 포인트 강도 증가율
(%)
B 포인트 강도 증가율
(%)
R = 0.26mm 0.388 100.0% 0.600 100.0% 0.780 100.0%
R = 0.66mm 0.546 140.7% 0.765 127.5% 0.878 112.6%
R = 1.06mm 0.584 150.5% 0.848 141.3% 1.038 133.1%
제3 실험예에 따르면, 리드가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경우, 리드들의 이격 영역의 중앙 부분이나 외곽 부분 모두에서 강도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실험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2)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제1 및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에 둘러싸여 상부가 개구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 제1 리드 및 하부 제2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리드는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리드는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발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상기 상부 제1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발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사이의 대향 측면은 직선 형태를 갖는, 발광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오목부의 이격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의 이격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 아래에 위치하는, 발광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 각각은,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모따기부 및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아래 영역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아래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제1 리드 또는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위치하지 않는, 발광 장치.
  10.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의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며, 상기 제1 및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위치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에 둘러싸여 상부가 개구된 캐비티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제1 리드는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리드는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상기 상부 제1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 각각은 모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모따기부 및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발광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발광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사이의 대향 측면은 직선 형태를 갖는, 발광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오목부의 이격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의 이격 영역은 상기 리플렉터 아래에 위치하는, 발광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아래 영역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아래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제1 리드 또는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위치하지 않는, 발광 장치.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일 측면의 폭(W2)과 상기 모따기부의 모따기 정도(R)의 비율 R/W2는 0.052초과 0.25이하인, 발광 장치.
  1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리드 및 하부 제2 리드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 및 상부 제2 리드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발광 장치.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일 측면의 폭(W2)과, 상기 일 측면에 평행하는 단면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티의 폭(W1)의 비율 W1/W2는 0.8 이상 0.92 미만인, 발광 장치.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20.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 제1 리드 및 하부 제2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리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리드는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리드는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리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리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리드.
  24.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상기 상부 제1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리드.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사이의 대향 측면은 직선 형태를 갖는, 리드.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 각각은,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모따기부 및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리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아래 영역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아래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제1 리드 또는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위치하지 않는, 리드.
  28.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리드 및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는 하부 제1 리드, 및 상기 하부 제1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1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드는 하부 제2 리드, 및 상기 하부 제2 리드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는,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의 형태와 다르고,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의 이격 영역은 적어도 한번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제1 리드는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리드는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돌출부 및 제2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1 리드와 상기 상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각각 상기 상부 제2 리드와 상기 상부 제1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양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 각각은, 상기 하부 제1 리드와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대향하는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제1 모따기부 및 제2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리드.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리드.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 리드.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오목부 사이의 대향 측면은 직선 형태를 갖는, 리드.
  32.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아래 영역과 상기 제2 돌출부의 아래 영역에는 상기 하부 제1 리드 또는 상기 하부 제2 리드가 위치하지 않는, 리드.
KR1020140048174A 2014-04-22 2014-04-22 발광 장치 KR102160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74A KR102160075B1 (ko) 2014-04-22 2014-04-22 발광 장치
EP15782991.2A EP3136456B1 (en) 2014-04-22 2015-04-20 Light emitting device
US15/306,386 US9978919B2 (en) 2014-04-22 2015-04-20 Light emitting device
CN201580032393.7A CN106463598B (zh) 2014-04-22 2015-04-20 发光装置
PCT/KR2015/003936 WO2015163657A1 (ko) 2014-04-22 2015-04-20 발광 장치
US15/978,486 US10205076B2 (en) 2014-04-22 2018-05-14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74A KR102160075B1 (ko) 2014-04-22 2014-04-22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930A KR20150121930A (ko) 2015-10-30
KR102160075B1 true KR102160075B1 (ko) 2020-09-25

Family

ID=5433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174A KR102160075B1 (ko) 2014-04-22 2014-04-22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78919B2 (ko)
EP (1) EP3136456B1 (ko)
KR (1) KR102160075B1 (ko)
CN (1) CN106463598B (ko)
WO (1) WO2015163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091B1 (ko) * 2016-02-12 2023-08-02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JP7048879B2 (ja) * 2017-10-12 2022-04-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CN112566398B (zh) * 2021-01-11 2021-12-21 深圳市双煜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防风沙防水的电气箱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6733A1 (en) * 2012-03-30 2013-10-03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Metallic frame structure and led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443A (ja) * 1999-08-19 2001-02-27 Rohm Co Ltd 発光ダイオ−ドランプ
TW200822384A (en) 2006-11-03 2008-05-16 Coretronic Corp LED package structure
WO2008081794A1 (ja) 2006-12-28 2008-07-10 Nichia Corporation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98233B1 (ko) * 2007-12-03 2010-12-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슬림형 led 패키지
KR101078028B1 (ko) * 2009-06-10 2011-10-31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패키지용 리드 프레임
CN103392242B (zh) * 2011-02-28 2017-02-22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发光装置
KR101886715B1 (ko) * 2011-09-22 2018-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69246B1 (ko) * 2012-01-13 2018-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JP6291713B2 (ja) * 2013-03-14 2018-03-1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実装用基体及びそれを備える発光装置、並びにリードフレーム
US9450158B2 (en) * 2013-05-28 2016-09-20 Nitto Denko Corporatio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and lead frame for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encapsulation type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unit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each obtainable by using the epoxy resin composition
JP6221403B2 (ja) * 2013-06-26 2017-11-0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1933187B1 (ko) * 2013-06-27 2018-12-3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6733A1 (en) * 2012-03-30 2013-10-03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Metallic frame structure and led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7496A1 (en) 2017-02-16
US10205076B2 (en) 2019-02-12
EP3136456B1 (en) 2020-01-01
KR20150121930A (ko) 2015-10-30
WO2015163657A1 (ko) 2015-10-29
EP3136456A4 (en) 2017-09-20
US9978919B2 (en) 2018-05-22
CN106463598A (zh) 2017-02-22
US20180261744A1 (en) 2018-09-13
EP3136456A1 (en) 2017-03-01
CN106463598B (zh)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036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616003B (zh) 發光裝置用封裝及用其之發光裝置
KR20110132045A (ko) 발광 소자
EP2348550B1 (en) Package structure and LED package structure
KR20120070213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TW201314965A (zh) 發光裝置
JP5848114B2 (ja) 発光装置
US20130153952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package array for light emitting device
US9159893B2 (en)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lead having terminal part and exposed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226110A1 (en)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JP2014049764A (ja) 側面型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60075B1 (ko) 발광 장치
KR101818466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CN109390451B (zh) 发光器件封装件
US20150076541A1 (en) Light-emitting device
JP2008147575A (ja) 発光ダイオード
TW201515277A (zh) 發光二極體封裝結構
KR102070980B1 (ko) 발광 소자
US20100148201A1 (en) Led package
JP6295777B2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を収容するための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
JP6735545B2 (ja) 発光装置
KR20130101494A (ko) 발광 디바이스
KR102120761B1 (ko) 수직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CN117581362A (zh) 引线框架片和光电子半导体器件
KR20090032864A (ko) 렌즈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