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735B1 -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735B1
KR102158735B1 KR1020190017522A KR20190017522A KR102158735B1 KR 102158735 B1 KR102158735 B1 KR 102158735B1 KR 1020190017522 A KR1020190017522 A KR 1020190017522A KR 20190017522 A KR20190017522 A KR 20190017522A KR 102158735 B1 KR102158735 B1 KR 10215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edle
guide
external force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659A (ko
Inventor
라기술
Original Assignee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735B1/ko
Priority to US16/790,657 priority patent/US11320460B2/en
Priority to PL20157335.9T priority patent/PL3696555T3/pl
Priority to EP20157335.9A priority patent/EP3696555B1/en
Priority to CN202010092886.2A priority patent/CN111584379B/zh
Priority to JP2020023681A priority patent/JP2020134529A/ja
Publication of KR20200099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735B1/ko
Priority to JP2021163898A priority patent/JP725438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4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al parameters, e.g. resistance, deep-levels, CV, diffusions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6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 G01R1/07371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using an intermediate card or back card with apertures through which the probes p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는, 일단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니들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프로브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Probe device of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은 웨이퍼 상에 회로 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회로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를 각각배터리 팩은 각각의 셀을 모듈로 조립하여 그 모듈의 어셈블리 공정을 통해 제조되며, 제조 공정과 어셈블리 공정 사이에서는 각각의 셀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프로브 장치가 다수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프로브 장치는, 접촉되는 부분이 점 접촉됨에 따라 전류를 흘렸을 때 점 접촉 부분에서 과전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과전류 현상은 스파크를 유발시켜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서, 점 접촉이 아닌 전체 면이 균등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면 접촉의 프로브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 접촉의 프로브 장치의 경우 단자의 조립 시 기울어져 조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의 면 접촉의 프로브 장치는 외력에 따른 휘어지는 정도에 대한 보상이 없어, 팩 단자에 결합하기 위해 니들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니들이 휘어질 수 있고 니들의 휘어짐에 따라 단자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3445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상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기울어짐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는, 일단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니들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프로브유닛 및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가이드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는, 일단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니들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프로브유닛,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의 타단과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게 형성되는 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외력에 따라 상기 프로브유닛의 축이 상기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력에 대응하여 플레이트유닛을 기준으로 하는 프로브유닛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
둘째,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로 프로브 장치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의 제1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의 제2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의 제1실시예이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는, 프로브유닛 및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유닛은, 일단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니들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은 단자에 입력되는 팁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촉되는 면적이나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니들이 접촉되는 면적이나 방식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니들은 상기 홈에 결합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로브유닛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기울어지는 변형을 보상할 수 있다.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내부 공간에 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도 1에서와 같이 팩 단자대의 일부이거나 팩 단자대에 결합되는 부품일 수 있으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관계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니들이 상기 홈과 결합되지 않은, 즉 상기 니들이 상기 홈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의 일부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내부 공간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니들이 상기 홈에 결합되면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브유닛은,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가이드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니들이 외력에 의해 상기 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외력을 상기 가이드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이 상기 홈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의 일부와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됨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니들이 상기 홈에 결합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축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홈이 형성되는 상기 프로브유닛의 축은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축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유닛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이격된 공간이 기울어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채워질 때까지 상기 가이드부는 기울어지며 외력에 대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는,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는 단면이 사다리꼴로 이루어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위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의 제2실시예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는, 프로브유닛, 플레이트유닛 및 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유닛은, 일단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니들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니들은 단자에 입력되는 팁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촉되는 면적이나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니들이 접촉되는 면적이나 방식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니들은 상기 홈에 결합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부재 및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부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서 자유도 있게 회전할 수 있다.
플레이트유닛은,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팩 단자대의 일부이거나 팩 단자대에 결합되는 부품일 수 있으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플레이트부재 및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는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가이드부재에 대향되게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플레이트유닛에 대하여 축이 일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니들이 상기 홈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부재가 상기 니들이 상기 홈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의 타단과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외력에 따라 상기 프로브유닛의 축이 상기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니들이 홈에 결합될 때,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탄성유닛은 수축 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유닛과 상기 가이드부재와의 연동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니들이 상기 홈에 결합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의 축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의 축이 상기 플레이트유닛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좌측의 탄성유닛은 수축되고 우측의 탄성유닛은 이완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서 자유도 있게 회전할 수 있어 상기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의 축이 상기 플레이트유닛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좌측의 탄성유닛은 이완되고 우측의 탄성유닛은 수축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서 자유도 있게 회전할 수 있어 상기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팩 단자대
100: 프로브유닛
120: 홈
140: 가이드부
160: 탄성부
200: 플레이트유닛
220: 내부 공간
300: 프로브유닛
320: 홈
340: 가이드부
342: 가이드부재
344: 수용 공간
400: 플레이트유닛
420: 플레이트부재
440: 스프링부재
500: 탄성유닛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단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니들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프로브유닛;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의 타단과 상기 플레이트유닛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니들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게 형성되는 탄성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 공간;
    을 포함하는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외력에 따라 상기 프로브유닛의 축이 상기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유닛은,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는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KR1020190017522A 2019-02-15 2019-02-15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KR10215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522A KR102158735B1 (ko) 2019-02-15 2019-02-15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US16/790,657 US11320460B2 (en) 2019-02-15 2020-02-13 Probe device of floating structure
PL20157335.9T PL3696555T3 (pl) 2019-02-15 2020-02-14 Urządzenie sondy o konstrukcji pływającej
EP20157335.9A EP3696555B1 (en) 2019-02-15 2020-02-14 Probe device of floating structure
CN202010092886.2A CN111584379B (zh) 2019-02-15 2020-02-14 浮式结构的探针装置
JP2020023681A JP2020134529A (ja) 2019-02-15 2020-02-14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プローブ装置
JP2021163898A JP7254381B2 (ja) 2019-02-15 2021-10-05 フローティング構造のプロー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522A KR102158735B1 (ko) 2019-02-15 2019-02-15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659A KR20200099659A (ko) 2020-08-25
KR102158735B1 true KR102158735B1 (ko) 2020-09-22

Family

ID=6959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522A KR102158735B1 (ko) 2019-02-15 2019-02-15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0460B2 (ko)
EP (1) EP3696555B1 (ko)
JP (2) JP2020134529A (ko)
KR (1) KR102158735B1 (ko)
CN (1) CN111584379B (ko)
PL (1) PL3696555T3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705A (ja) 2001-02-02 2002-08-14 Nec Yamagata Ltd コンタクト機構および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JP2005017276A (ja) 2003-06-26 200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半導体素子検査装置(InspectingApparatusforsemiconductordevice)
JP2010014544A (ja) * 2008-07-03 2010-01-21 Masashi Okuma 外ばね方式のプローブピンの製造方法
JP2011138637A (ja) 2009-12-25 2011-07-14 Smk Corp レセプタクルと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嵌合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2014032111A (ja) * 2012-08-03 2014-02-20 Nidec-Read Corp 検査治具
JP2016125841A (ja) 2014-12-26 2016-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プローブ
JP2017090435A (ja) 2015-11-05 2017-05-25 日置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ビング機構、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基板検査装置
JP2017102073A (ja) 2015-12-04 2017-06-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137Y2 (ja) 1978-04-11 1983-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器の試験装置
EP0331163A1 (de) * 1988-03-04 1989-09-06 Manfred Prokopp Kontaktiervorrichtung für Prüfvorrichtungen zum Prüfen von Leiterplatten oder dgl.
JPH03185847A (ja) * 1989-12-15 1991-08-1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プローブカード
JP2000150594A (ja) 1998-11-05 2000-05-30 Hitachi Ltd 接続装置および押さえ部材付配線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検査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6422886B1 (en) * 2000-10-27 2002-07-23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mating connectors
JP3587301B2 (ja) 2001-06-20 2004-11-1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981042B2 (ja) * 2003-06-09 2007-09-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ソケット及び電気特性測定装置並びに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押し当て方法
PL1580562T3 (pl) * 2004-03-24 2008-02-29 Technoprobe Spa Sonda kontaktowa do głowicy testującej
US7161369B2 (en) 2004-10-29 2007-01-0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obble fixture probe for probing test access point structures
US7268567B2 (en) * 2005-02-04 2007-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obe assembly with multi-directional freedom of motion and mounting assembly therefor
DE102007015284A1 (de) * 2007-03-29 2008-10-02 Qimonda Ag Testvorrichtung für Halbleiterbauelemente
KR101334458B1 (ko) 2007-07-20 2013-11-29 주식회사 미코 프로브 구조물과 형성 방법
JP2009115664A (ja) * 2007-11-07 2009-05-28 Yunikon Kk 電子部品とプローブカードの接触におけるセルフアライメント機構
US7507110B1 (en) 2008-03-25 2009-03-2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robe connector
US8269516B1 (en) 2009-04-03 2012-09-18 Xilinx, Inc. High-speed contactor interconnect with circuitry
KR100919394B1 (ko) * 2009-05-19 2009-09-29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용 소켓장치
JP5488874B2 (ja) * 2009-07-16 2014-05-14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集積回路基板用検査装置
JP5197754B2 (ja) 2009-11-13 2013-05-15 テスト ツーリング ソリューションズ グループ ピイ ティ イー リミテッド プローブピン
JP5597108B2 (ja) * 2010-11-29 2014-10-01 株式会社精研 接触検査用治具
JP2013024684A (ja) 2011-07-20 2013-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検査治具および検査装置
JP5280511B2 (ja) * 2011-09-05 2013-09-04 株式会社島野製作所 接触端子
JP6040532B2 (ja) * 2012-01-26 2016-12-07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プローブ及び接続治具
KR20180052210A (ko) 2016-11-10 2018-05-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난용 선박
KR102371540B1 (ko) * 2016-11-11 2022-03-08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CN110088632B (zh) * 2016-12-22 2021-07-3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探测器构造
JP2018194411A (ja) 2017-05-17 2018-12-06 株式会社ヨコオ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検査用治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705A (ja) 2001-02-02 2002-08-14 Nec Yamagata Ltd コンタクト機構および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JP2005017276A (ja) 2003-06-26 2005-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半導体素子検査装置(InspectingApparatusforsemiconductordevice)
JP2010014544A (ja) * 2008-07-03 2010-01-21 Masashi Okuma 外ばね方式のプローブピンの製造方法
JP2011138637A (ja) 2009-12-25 2011-07-14 Smk Corp レセプタクルと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嵌合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2014032111A (ja) * 2012-08-03 2014-02-20 Nidec-Read Corp 検査治具
JP2016125841A (ja) 2014-12-26 2016-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プローブ
JP2017090435A (ja) 2015-11-05 2017-05-25 日置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ビング機構、プローブユニットおよび基板検査装置
JP2017102073A (ja) 2015-12-04 2017-06-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20460B2 (en) 2022-05-03
EP3696555B1 (en) 2022-05-11
US20200264211A1 (en) 2020-08-20
EP3696555A2 (en) 2020-08-19
JP2022000660A (ja) 2022-01-04
CN111584379A (zh) 2020-08-25
JP2020134529A (ja) 2020-08-31
PL3696555T3 (pl) 2022-07-25
JP7254381B2 (ja) 2023-04-10
EP3696555A3 (en) 2020-09-09
CN111584379B (zh) 2023-10-03
KR20200099659A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107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CA2853710C (en) Connecting member
KR100567166B1 (ko) 커넥터
US9310395B2 (en) Probe member for pogo pin
KR101738337B1 (ko) 커넥터
KR101813006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콘택터
WO2017056879A1 (ja) コンタクタ
US1077082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KR102025933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CN105308465A (zh) 电接触装置
KR20170127996A (ko) 기판 커넥터
US8159249B2 (en) Inspection unit
KR101882171B1 (ko) 평판 접이식 연결 핀
KR101911626B1 (ko) 카메라모듈 테스트용 자동 소켓
KR102158735B1 (ko) 플로팅 구조의 프로브 장치
KR101299071B1 (ko) 동축 프로브
US20090075495A1 (en) Socket of semiconductor module
KR101482875B1 (ko) 커넥터
US9429592B2 (en) Connector
US11394138B2 (en) Terminal block and wire routing unit
US11081824B2 (en) Contact element and contact system
CN116659713A (zh) 力检测装置
KR20190065643A (ko) 전선연결단자
KR101508345B1 (ko) 스프링단자를 구비한 정션박스
KR101587774B1 (ko) Ito 필름 검사를 위한 포고 핀 및 포고 핀 가이드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