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580B1 -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580B1
KR102156580B1 KR1020190150085A KR20190150085A KR102156580B1 KR 102156580 B1 KR102156580 B1 KR 102156580B1 KR 1020190150085 A KR1020190150085 A KR 1020190150085A KR 20190150085 A KR20190150085 A KR 20190150085A KR 102156580 B1 KR102156580 B1 KR 10215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roject
work progress
progress speed
unit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우
장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to KR102019015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580B1/ko
Priority to EP20891152.9A priority patent/EP4064150A4/en
Priority to PCT/KR2020/010390 priority patent/WO2021101018A1/ko
Priority to JP2020151533A priority patent/JP724446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580B1/ko
Priority to US17/749,576 priority patent/US2022027723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프로젝트 오픈 전, 기 설정된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 및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희망 작업 진행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주기 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소정 주기 마다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는 것은, 상기 소정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수행된 작업 건수를 상기 소정 주기로 나눈 값(a)과 상기 소정 주기를 상기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b)을 곱하여 획득된 값(a x b)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것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작업 단가를 증가시키고,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작업 단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METHOD FOR ADJUSTING WORK UNIT PRICE ACCORDING TO WORK PROGRESS SPEED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
본 발명은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일반 대중을 참여시키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즉, 기업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일반 대중, 즉 작업자와 검수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작업을 수행하게 하고, 검수자에게 검수를 수행하게 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는 정해진 기간 동안 목표한 만큼의 데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 진행 속도는 주로 작업자의 참여율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작업자의 참여율을 조절하여 작업 진행 속도를 최적화해야 한다.
작업자의 참여율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그 중에서 작업 단가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작업 단가가 높으면 작업자의 참여율이 높아지고, 작업 단가가 낮으면 작업자의 참여율이 낮아지게 된다.
현재에는 고정 단가로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필요 시에 운영자가 개입하여 작업 단가를 수동으로 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프로젝트가 시작되기 전에 작업 난이도를 미리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고정 단가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운영자가 모니터링하고, 참여율이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에 작업 단가를 수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하지만, 운영자가 지속적으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또한 적절한 작업 단가를 적절한 시점에 결정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만약, 운영자가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작업 단가를 조정하지 못하면, 프로젝트의 정해진 기간 동안 목표한 데이터를 얻는 것을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가 작업 단가를 필요 이상으로 높여서 조정하면, 정해진 기간보다 더 빨리 목표한 데이터를 얻게 될 수 있지만 정해진 예산을 초과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영자가 작업 단가를 필요 이상으로 낮춰서 조정하면, 정해진 기간 동안에 목표한 데이터를 얻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영자가 작업 진행 상황에 있어서 위험 상황을 늦게 발견하게 되면, 작업 단가를 조정한다고 해도 만회하지 못하고 목표 기간과 목표 데이터를 맞추는 데 실패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5956호, 2014.08.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은 프로젝트 오픈 전, 기 설정된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 및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희망 작업 진행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주기 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소정 주기 마다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는 것은, 상기 소정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수행된 작업 건수를 상기 소정 주기로 나눈 값(a)과 상기 소정 주기를 상기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b)을 곱하여 획득된 값(a x b)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것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작업 단가를 증가시키고,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작업 단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단위 증감 폭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 단가가 조정되는 증감 폭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한 이후, 상기 작업 단가의 증감 폭에 따른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증감 폭과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트의 제1 시점에, 상기 가중치는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작업 단가 조정 시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트의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상기 가중치는 상기 관계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작업 단가 조정 시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는 상기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를 상기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것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동일하면, 상기 작업 단가를 유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젝트 오픈 전, 상기 작업 단가의 시작 단가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단가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포함하는 상기 작업 단가의 변동 범위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주기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기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소정 주기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작업 단가를 자동으로 증감 조정하여 작업자의 참여율을 조절함으로써, 정해진 기간 내에 목표한 작업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여 최적화하고, 프로젝트 중후반에는 최적화된 작업 단가를 적용함으로써,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프로젝트 진행 중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작업 단가로 자동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정해진 기간 내에 최적의 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어, 운영자에 의한 관리가 필요없으며 관리 리소스/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오픈부터 종료까지의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주기마다 작업 단가가 자동 조정되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방식에 따라 작업 단가가 수동 조정되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는 의뢰자(10), 서비스 제공 업체(20) 및 대중(30)으로 구성되어 수행된다.
의뢰자(10)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를 의뢰하는 기업이나 개인을 의미한다.
의뢰자(10)는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의뢰한다. 소스 데이터의 수집은 녹음된 음성 수집, 사진 수집 등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어노테이션은 텍스트, 사진, 비디오 등의 소스 데이터에 관련 주석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들 들어, 데이터 어노테이션은 주어진 지문에서 개체를 찾는 것, 유사한 문장을 찾는 것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프로젝트의 종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의뢰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젝트가 본 발명에서 취급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젝트를 의뢰 받으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일반 대중(30)에게 배정하여 대중(30)으로부터 작업 결과를 제공받는다. 이후, 작업 결과를 기반으로 추출된 최종 산출물을 의뢰자(10)에게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이하, 플랫폼)을 통해 의뢰자(10) 및 대중(30)에게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프로젝트를 의뢰 받으면, 플랫폼에 프로젝트를 오픈한다. 이후, 대중(30)으로부터 오픈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결과를 제공받으면, 해당 프로젝트를 플랫폼 상에서 종료하고, 최종 산출물을 추출하여 의뢰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중(30)은 플랫폼에 오픈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반 대중을 의미한다. 여기서, 대중(30)은 서비스 제공 업체(2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플랫폼에 오픈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대중(30)은 작업자(32) 및 검수자(34)로 구성된다.
작업자(32)는 플랫폼에 오픈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를 결정한다. 이후, 작업자(32)는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플랫폼에 전송한다.
검수자(34)는 플랫폼에 오픈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를 결정한다. 이후, 검수자(34)는 작업자(32)가 수행한 작업 결과에 대한 검수를 수행한다. 검수자(34)는 검수 수행 결과로서, 작업 통과 또는 반려를 할 수 있고, 작업 반려 시 반려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의뢰자(10)는 서비스 제공 업체(20)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한다(S11).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된 프로젝트를 플랫폼 상에 오픈한다(S12). 이때,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 오픈 전에, 해당 프로젝트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난이도에 따라 어떤 등급 이상의 대중(30)에게 해당 프로젝트를 노출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의 작업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의 등급에 따라 해당 등급 이상의 작업자(32)에게 작업을 배정한다(S13).
이후, 작업자(32)는 배정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4). 이때, 작업자(32)는 어떤 이유에 의해 작업 자체가 불가능한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작업 불가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작업자(32)로부터 작업 결과를 제공받고(S15), 해당 작업 결과에 대한 검수 작업을 검수자(34)에게 배정한다(S16).
이후, 검수자(34)는 배정된 검수를 수행하게 된다(S17). 이때, 검수자(34)는 작업이 제대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면 검수 통과를 결정하고, 검수 작업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면 반려를 결정한다. 반려 결정 시, 검수자(34)는 어떤 이유로 작업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했는지에 대한 반려 사유를 입력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검수자(34)로부터 검수 결과를 제공받는다(S18).
검수 결과가 통과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해당 작업 결과를 유효한 데이터로 사용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젝트 종료 시 최종 산출물을 추출하게 된다.
검수 결과가 반려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내부적으로 검수를 다시 수행하거나, 작업자(32)에게 다시 작업을 배정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 기간이 종료되거나 충분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를 종료하고(S19), 확보된 유효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하여 의뢰자(10)에게 제공한다(S20).
이때, 프로젝트 종료 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작업자(32) 및 검수자(34)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고, 평가에 따라 작업 비용 및 검수 비용을 산출하여 작업자(32) 및 검수자(34)에게 지급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단순히 의뢰자(10), 서비스 제공 업체(20), 작업자(32), 검수자(34)로 표현하였으나, 이들은 각 참여자에 의해서 운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서버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오픈부터 종료까지의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은 서비스 제공 업체(20)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 서버(이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업자(32)나 검수자(34)는 소정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자(32) 또는 검수자(34)의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에 기 설정된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와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희망 작업 진행 속도를 설정한다(S110).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프로젝트를 의뢰받을 때, 의뢰자가 원하는 프로젝트 총 기간(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과 해당 기간 내에 획득하길 원하는 데이터의 총 수량(프로젝트의 작업 규모)을 제공받아 서버 내에 저장한다.
이후, 서버는 해당 프로젝트의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를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으로 희망 작업 진행 속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가 6,000개이고, 목표 작업 완료 기간이 5일인 경우, 특정 프로젝트의 희망 작업 진행 속도는 6,000개/120시간 = 50개/시간으로 설정되며, 이는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한 복수의 작업자(32)들에 의해 시간 당 50개의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진행 속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서버는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에, 작업 단가의 변동 범위를 미리 설정한다.
즉, 서버는 프로젝트 예산, 최저 임금 등을 고려하여, 작업 단가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설정한다. 이로써, 이후에 소정 주기마다 작업 단가가 자동 조정될때, 기 설정된 변동 범위 내에서 조정되게 된다. 후술하는 작업 단가 조정과 관련해서, 작업 단가가 최소값보다 낮게 조정되어야 할 경우 또는 작업 단가가 최대값보다 높게 조정되어야 할 경우에도 기 설정된 변동 범위로 인해서 작업 단가는 최소값과 최대값 내로 제한되게 된다.
또한, 서버는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에,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조정을 위한 단위 증감 폭을 미리 설정한다.
즉, 서버는 현재 주기에서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비교를 통해, 작업 단가가 이전 주기의 작업 단가에서 증감 조정될 때, 100원 단위씩 조정될지, 1000원 단위씩 조정될 지에 대해서 미리 설정해야 한다. 단위 증감 폭은 기 설정된 작업 단가의 변동 범위 내에서 작업 단가가 조정될 수 있도록 적절한 규모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서버는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에,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의 시작 단가를 미리 설정한다.
시작 단가는 이전에 진행되었던 프로젝트 중에서 오픈 예정인 특정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참고하여 설정될 수 있다. 시작 단가는 작업 단가의 최소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최대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시작 단가가 최소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프로젝트 초반에는 작업 단가가 주기마다 증가되어 조정될 수 있고, 또는 시작 단가가 최대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프로젝트 초반에는 작업 단가가 주기마다 감소되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에,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체크하기 위한 주기를 미리 설정한다.
즉, 서버는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두시간)을 주기로 설정하여, 프로젝트 진행 동안 해당 시간 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한다.
이후, 프로젝트가 오픈된 후에, 서버는 소정 주기 마다 프로젝트의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한다(S12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프로젝트가 오픈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정 주기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한다.
즉, 프로젝트가 오픈되고 소정 시간 동안 작업자들(32)이 충분히 유입된 후에, 제1 주기에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기 시작하여 단가를 조정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속도 측정 주기보다 긴 시간 또는 짧은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은 소정 명수의 작업자들이 참여한 시간 또는 소정 개수의 작업이 완료된 시간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프로젝트 초반부터 작업자들(32)이 충분히 유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게 되면,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관련하여 대표성이 반영될 수 없어 극단적으로 편향되게 되고 작업 단가의 증감이 급격하게 일어날 수 있다. 반면, 이렇게 프로젝트 초반에 작업자들(32)이 충분히 유입된 후 소정 주기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게 되면, 프로젝트의 적정 단가를 찾는 시간이 단축되어 목표 작업 완료 기간 내에 최소 비용으로 프로젝트를 마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서버는 측정된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기 설정된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통해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한다(S130).
아래 수학식 1을 참조하면, 희망 작업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는 것은, 소정 주기 동안 작업자들(32)에 의해 수행된 작업 건수를 소정 주기로 나눈 값과 소정 주기를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을 곱하여 획득된 값(k)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서버는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실제로 수행된 작업 수에 기반하여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한다.
Figure 112019119670930-pat00001
서버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리면 작업 단가를 증가시켜 작업자들(32)의 참여율을 높이고,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빠르면 작업 단가를 감소시켜 작업자들(32)의 참여율을 낮춘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릴 경우, 목표 작업 완료 기간 내에 프로젝트가 완료될 수 없어 작업자들(32)의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다. 반면,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빠를 경우, 기간에 대한 염려는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적정한 수치로 작업 단가를 낮추는 것이다.
서버는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단위 증감 폭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 단가가 조정되는 증감 폭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본적으로 작업 단가는 단위 증감 폭만큼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즉, 이전 작업 단가가 1000원이고 단위 증감 폭이 100원으로 설정된 경우, 작업 단가는 1100원으로 증가되거나 900원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가 큰 경우에, 서버는 단위 증감 폭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 단가를 조정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가 제1 범주 내인 경우 제1 가중치를 적용하고,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가 제2 범주 내인 경우 제1 가중치보다 큰 제2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이가 10개/시간인 경우 제1 가중치는 1.2이고, 상기 차이가 20개/시간인 경우 제2 가중치는 1.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가중치의 값이 사전 결정되고 기록된 가중치 테이블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의 제1 주기가 도래하는 제1 시점에 가중치는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작업 단가 조정 시에 적용된다.
일 실시예로, 가중치는 초기값으로 1이 설정되어 초반 몇번의 소정 주기에서는 작업 단가의 증감 폭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에 서버는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가중치 테이블 상의 사전 결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한다.
이렇게 제1 시점 이후로 몇 번의 주기 동안 작업 단가가 자동 조정되는데, 이때 서버는 각 주기마다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한 이후, 증감 폭에 따른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증감 폭과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관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서버는 프로젝트의 제2 시점에 작업 단가의 조정을 위한 가중치를 상기 관계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최적값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를 완전하게 상쇄시킬 수 있는 가중치로 추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도 4에서는 제2 시점을 제3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는 관계 데이터를 학습하여 어느 정도의 가중치를 적용하면 다음 주기에서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가 얼만큼 줄어드는지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서버는 제2 시점에서 측정된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가중치를 최적값으로 설정하여 작업 단가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계 데이터의 통계에 기반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가중치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는 가중치 모델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최적값은 어디까지나 추정된 값이므로 예상과 다를 수 있고, 최적값으로 적용하였음에도 여전히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실제 작업 진행 속도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제2 시점 이후에도 각각의 주기마다 가중치의 최적값을 예상하여 작업 단가 조정 시 적용할 수 있다.
이후, 몇 번의 소정 주기 동안 최적값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 단가를 조정하게 되면, 특정 시점에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가 동일하게 된다. 이때의 작업 단가를 적정 단가라고 하며, 남아있는 주기 동안 적정 단가를 유지하여 적용하면 프로젝트 예산은 최소화하면서 목표 작업 완료 기간을 지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린 것으로 측정된 제1 주기와 제2 주기에서는 작업 단가가 증가된다. 이때, 서버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작업 단가의 증가 폭에 초기값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제3 주기와 제4 주기에서는 가중치 모델에 의해서 작업 단가의 증가 폭에 최적값으로 설정된 가중치가 적용된다.
이후, 제5 주기에서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동일한 것으로 측정된다. 이때의 작업 단가가 해당 프로젝트의 적정 단가로서, 서버는 제5 주기 이후부터 프로젝트 종료때까지 적정 단가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주기마다 작업 단가가 자동 조정되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방식에 따라 작업 단가가 수동 조정되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시작 단가가 작업 단가의 적정 단가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서버는 제1 시점부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작업 단가를 증가하여 자동 조정한다. 이후,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빠르게 된 제2 시점부터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작업 단가를 감소하여 자동 조정한다. 이 때 상술한 가중치 모델이 사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시점 대비 제2 시점에서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가중치가 작아지게 된다. 이후, 서버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가 동일해지는 시점의 작업 단가를 적정 단가로 하여,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적정 단가로 유지한다.
도 5(b)는 시작 단가가 작업 단가의 적정 단가보다 높이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서버는 제1 시점부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작업 단가를 감소하여 자동 조정한다. 이후,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리게 된 제2 시점부터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작업 단가를 증가하여 자동 조정한다. 이 때 상술한 가중치 모델이 사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1 시점 대비 제2 시점에서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가중치가 작아지게 된다. 이후, 서버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가 동일해지는 시점의 작업 단가를 적정 단가로 하여,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적정 단가로 유지한다.
작업 난이도를 사전에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적정 단가는 미리 알 수 없다. 서버는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동일하게 되는 시점의 작업 단가를 적정 단가로 사후에 인식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시작 단가가 작업 단가의 적정 단가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작업 진행 속도가 느린 것을 확인한 운영자가 작업 단가를 수동 조정하게 되고, 운영자는 적정 단가를 미리 알 수 없어 작업 단가를 급격하게 조정하기 때문에, 조정된 작업 단가가 적정 단가보다 높게 설정된다. 운영자는 빨라진 작업 진행 속도에 만족하게 되고, 작업 진행 속도에 대한 통제 없이, 프로젝트는 예산을 초과하여 예상보다 빨리 종료된다.
도 6(b)는 시작 단가가 작업 단가의 적정 단가보다 높이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운영자는 적정 단가를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시작 단가가 적정 단가보다 높게 설정된지 알 수 없다. 운영자는 빠른 작업 진행 속도에 만족하게 되고, 작업 진행 속도에 대한 통제 없이, 프로젝트는 예산을 초과하여 예상보다 빨리 종료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도 7의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장치(100)(이하, '작업 단가 조정 장치'라 한다)는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작업을 복수의 작업자(32)에게 송신하고, 복수의 작업자(32)로부터 작업 결과를 수신한다.
메모리(120)에는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소정 주기마다 각 작업자(32)에 의해 수행된 작업을 기반으로 현재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현재 작업 진행 속도와 희망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작업 단가를 자동으로 증감 조정하여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작업 단가 조정 장치(100)는 상술한 서버의 구성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의뢰자
20 : 서비스 제공 업체
30 : 대중
32 : 작업자
34 : 검수자
100 : 작업 단가 조정 장치
110 : 통신모듈
120 : 메모리
130 : 프로세서

Claims (11)

  1.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방법으로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 오픈 전, 기 설정된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 및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을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희망 작업 진행 속도를 설정하는 단계;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주기 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소정 주기 마다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비교하는 것은, 상기 소정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수행된 작업 건수를 상기 소정 주기로 나눈 값(a)과 상기 소정 주기를 상기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b)을 곱하여 획득된 값(a x b)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것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느리면 상기 작업 단가를 증가시키고,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보다 빠르면 상기 작업 단가를 감소시키고,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단위 증감 폭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 단가가 조정되는 증감 폭을 결정하고,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한 이후, 상기 증감 폭에 따른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 단가의 증감 폭과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의 관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의 제1 시점에, 상기 가중치는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작업 단가 조정 시에 적용되고,
    상기 프로젝트의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상기 가중치는 상기 관계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값으로 설정되어 상기 작업 단가 조정 시에 적용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는 상기 프로젝트의 작업 규모를 상기 프로젝트의 목표 작업 완료 기간으로 나눈 값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단가를 자동 조정하는 것은, 상기 실제 작업 진행 속도가 상기 희망 작업 진행 속도와 동일하면, 상기 작업 단가를 유지시키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프로젝트 오픈 전, 상기 작업 단가의 시작 단가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단가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포함하는 상기 작업 단가의 변동 범위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주기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젝트 오픈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소정 주기마다 실제 작업 진행 속도를 측정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11.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 항, 제6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50085A 2019-11-21 2019-11-21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KR10215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85A KR102156580B1 (ko) 2019-11-21 2019-11-21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EP20891152.9A EP4064150A4 (en) 2019-11-21 2020-08-06 METHOD OF ADJUSTING A PART PRICE DEPENDING ON THE WORK PROGRESS SPEED OF PROJECTS BASED ON CROWDSOURCING
PCT/KR2020/010390 WO2021101018A1 (ko) 2019-11-21 2020-08-06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JP2020151533A JP7244466B2 (ja) 2019-11-21 2020-09-09 クラウドソーシング基盤プロジェクトの作業進行速度による作業単価調整方法
US17/749,576 US20220277238A1 (en) 2019-11-21 2022-05-20 Method of adjusting work unit price according to work progress speed of crowdsourcing-based pro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85A KR102156580B1 (ko) 2019-11-21 2019-11-21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580B1 true KR102156580B1 (ko) 2020-09-16

Family

ID=7266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085A KR102156580B1 (ko) 2019-11-21 2019-11-21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77238A1 (ko)
EP (1) EP4064150A4 (ko)
JP (1) JP7244466B2 (ko)
KR (1) KR102156580B1 (ko)
WO (1) WO202110101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5452A (ja) * 2006-09-05 2008-03-21 Aidma Inc 個人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382A (ja) 2001-07-05 2003-01-24 Sanae Miura ジョブ仲介システム及びジョブ仲介方法
US10055698B2 (en) * 2008-02-11 2018-08-21 Clearshift Corporation Online work management system with job division support
JP2010092099A (ja) * 2008-10-03 2010-04-22 Ricoh Co Ltd 文書レビュー支援装置、文書レビュー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A2797540C (en) * 2010-04-26 2019-11-05 Locationar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data verification
JP5638579B2 (ja) 2012-08-09 2014-12-10 株式会社東芝 評価値算出装置、評価値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11948A1 (en) * 2013-01-18 2014-07-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Task assignment in crowdsourcing
JP2014157477A (ja) * 2013-02-15 2014-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スト管理装置、コスト管理方法およびコスト管理プログラム
US20140278657A1 (en) * 2013-03-15 2014-09-18 Microsoft Corporation Hiring, routing, fusing and paying for crowdsourcing contributions
US20140372163A1 (en) * 2013-06-17 2014-12-18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compensation for tasks
JP2015095203A (ja) 2013-11-14 2015-05-1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作業状況可視化システム
US20160071048A1 (en) * 2014-09-08 2016-03-10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rowdsourcing of tasks
TW201616410A (zh) * 2014-10-31 2016-05-01 萬國商業機器公司 運作獎勵計畫的的電腦實施方法
US10157400B1 (en) * 2015-02-26 2018-12-18 Randolph Georgi Interoperable reward currenc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445671B2 (en) * 2015-08-27 2019-10-15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Crowdsourcing a task
US10755296B2 (en) * 2015-10-12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rewards and metrics for completion of microtasks
US20170228749A1 (en) * 2016-02-04 2017-08-10 Larvol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Dynamic Price Adjustment
JP7024279B2 (ja) 2017-09-22 2022-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
KR101887415B1 (ko) * 2017-11-21 2018-08-10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데이터 라벨링 작업 검수방법 및 프로그램
JP7211735B2 (ja) * 2018-08-29 2023-01-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寄与度決定方法、寄与度決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99997B1 (ko) * 2019-04-11 2019-07-15 김영수 휴먼 에러 방지를 위한 식자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9054B1 (ko) 2019-05-22 2020-07-29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라우드 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5452A (ja) * 2006-09-05 2008-03-21 Aidma Inc 個人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4150A1 (en) 2022-09-28
JP7244466B2 (ja) 2023-03-22
WO2021101018A1 (ko) 2021-05-27
US20220277238A1 (en) 2022-09-01
EP4064150A4 (en) 2022-10-05
JP2021082254A (ja)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790B1 (ko) 평균 반려율을 이용한 작업자 능숙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164844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단위 난이도를 활용한 작업자 평가 방법
KR10215658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성실 작업자 선별 및 검수 우선순위 부여 방법
US11966778B2 (en) Cloud application scaler
US8930293B2 (en) Prediction apparatus, predi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195629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에서의 작업 능력 지수에 기반한 작업자 선정 방법
KR102244697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 성향을 고려한 프로젝트 큐레이션 방법
KR102195605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KR102155748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시간 대비 검수 시간을 이용한 검수 단가 자동 업데이트 방법
KR102183836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예상 소요시간에 기반한 자동 견적 산출 방법
KR102205811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능요소별 작업시간을 활용한 최소 작업시간 설정 방법
KR102156580B1 (ko)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KR102155839B1 (ko) 작업불가 사유 기반의 작업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232890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예상 검수시간에 기반한 작업 배정여부 결정 방법
KR10215658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 및 검수자의 증감 운영 방법
KR10219595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난이도에 따른 최대 작업 제한 건수 갱신 방법
KR102156585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KR102244705B1 (ko)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유사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역전 조정을 통한 작업자 유입 조절 방법
KR102155846B1 (ko) 이전 작업의 반려율을 활용한 샘플링 검수 방법 및 장치
KR10215588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검수 결과에 기초한 작업자별 최대 작업 제한 건수 적용 방법
KR10216485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긴급도를 고려한 프로젝트 참여 제한 방법
KR10219563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가용 작업자 선별을 통한 최대 작업 결과 수량 산출 방법
KR10215658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및 검수의 순차적인 배정 방법
KR10215574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반려된 오브젝트 수에 기반하여 최소 재작업 및 재검수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
KR10215578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작업자 풀의 자동 갱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