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605B1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605B1
KR102195605B1 KR1020200014271A KR20200014271A KR102195605B1 KR 102195605 B1 KR102195605 B1 KR 102195605B1 KR 1020200014271 A KR1020200014271 A KR 1020200014271A KR 20200014271 A KR20200014271 A KR 20200014271A KR 102195605 B1 KR102195605 B1 KR 10219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roject
cycle
burnout rat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우
김윤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to KR102020001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설정하는 단계, 이전 주기의 시작 전 상기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상기 잔여 작업량 및 상기 잔여 기간을 기반으로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전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작업된 실제 작업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이전 주기 동안 작업된 상기 실제 작업량과 산출된 상기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기반으로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및 상기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기반으로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상기 기준 작업 단가보다 작은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상기 기준 작업 단가보다 큰 값으로 보정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METHOD FOR ADJUSTING WORK UNIT PRICE BASED ON WORK RUNOUT RATE OF CROWDSOURCING BASED PROJEC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일반 대중을 참여시키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즉, 기업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일반 대중, 즉 작업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완료된 작업 결과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는 정해진 기간 동안 목표한 만큼의 데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프로젝트 오픈 전에, 프로젝트의 난이도, 기간 및 유형 등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적정하게 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난이도가 높은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낮게 산정하고, 난이도가 낮은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높게 산정해버리면, 작업자들은 난이도가 낮은 프로젝트에 몰리게 된다. 이로 인해 난이도가 낮은 프로젝트는 정해진 기간에 비해 빨리 종료되고, 난이도가 높은 프로젝트는 정해진 기간 내에 목표한 양의 데이터를 얻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젝트 운영 비용에 있어서 손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가 오픈되기 전에 최적화된 작업 단가를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적화된 작업 단가를 산정하기 위해선 오랜 기간 쌓아온 운영 노하우가 필요한데, 프로젝트의 유형이 점점 다양해질수록 운영 노하우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에는 운영자가 프로젝트의 난이도, 기간 및 유형 등을 고려하여 초기 작업 단가를 산정하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 시(프로젝트의 진행율이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른 경우)에 개입하여 작업 단가를 수동으로 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운영자가 지속적으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또한 초기 작업 단가 산정 및 작업 단가 조정이 전부 운영자의 개인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영자의 역량에 따라 작업 단가가 조정됨에 있어서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5956호, 2014.08.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은,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설정하는 단계, 이전 주기의 시작 전 상기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상기 잔여 작업량 및 상기 잔여 기간을 기반으로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전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작업된 실제 작업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이전 주기 동안 작업된 상기 실제 작업량과 산출된 상기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기반으로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및 상기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기반으로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상기 기준 작업 단가보다 작은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상기 기준 작업 단가보다 큰 값으로 보정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식에 따라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할 수 있다.
보정된 작업 단가 = 기준 작업 단가 * (1 -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 1))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기 전에,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과 최소 보정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상기 최대 보정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최대 보정 값을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로 대체하여 보정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상기 최소 보정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소 보정 값을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로 대체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최대 보정 값은 1.01 내지 1.99의 범위에서 결정되고, 상기 최소 보정 값은 0.01 내지 0.99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단가는 상기 기준 작업 단가를 기준으로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자동 보정되어, 해당 주기 동안 작업된 작업량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주기는 하나 이상의 일(day) 또는 하나 이상의 시간(hour)을 포함하는 단위 기간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최초 주기 동안 작업된 작업량에 대해서는 상기 기준 작업 단가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작업 단가는 프로젝트의 난이도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에 따라 작업 단가를 주기적으로 보정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될수록 작업 소진율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의 정해진 기간 내에 목표한 작업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가 오픈되고 종료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작업 단가가 자동 보정되기 때문에, 운영자에 의한 관리가 필요없으며 관리 리소스/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닌 자동으로 작업 단가가 보정되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작업 단가의 편차가 줄어들어 작업 단가에 대한 작업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작업량 및 실제 작업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소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소진율에 따라 보정되는 작업 단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 및 최소 보정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는 의뢰자(10), 서비스 제공 업체(20) 및 대중(30)으로 구성되어 수행된다.
의뢰자(10)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를 의뢰하는 기업이나 개인을 의미한다.
의뢰자(10)는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의뢰한다. 소스 데이터의 수집은 녹음된 음성 수집, 사진 수집 등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어노테이션은 텍스트, 사진, 비디오 등의 소스 데이터에 관련 주석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들 들어, 데이터 어노테이션은 주어진 지문에서 개체를 찾는 것, 유사한 문장을 찾는 것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프로젝트의 종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의뢰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젝트가 본 발명에서 취급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젝트를 의뢰 받으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일반 대중(30)에게 배정하여 대중(30)으로부터 작업 결과를 제공받는다. 이후, 작업 결과를 기반으로 추출된 최종 산출물을 의뢰자(10)에게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이하, 플랫폼)을 통해 의뢰자(10) 및 대중(30)에게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프로젝트를 의뢰 받으면, 플랫폼에 프로젝트를 오픈한다. 이후, 대중(30)으로부터 오픈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결과를 제공받으면, 해당 프로젝트를 플랫폼 상에서 종료하고, 최종 산출물을 추출하여 의뢰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중(30)은 플랫폼에 오픈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반 대중을 의미한다. 여기서, 대중(30)은 서비스 제공 업체(2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플랫폼에 오픈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대중(30)은 작업자(32) 및 검수자(34)로 구성된다.
작업자(32)는 플랫폼에 오픈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를 결정한다. 이후, 작업자(32)는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플랫폼에 전송한다.
검수자(34)는 플랫폼에 오픈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를 결정한다. 이후, 검수자(34)는 작업자(32)가 수행한 작업 결과에 대한 검수를 수행한다. 검수자(34)는 검수 수행 결과로서, 검수 통과 또는 반려 처리를 할 수 있고, 반려 처리시 반려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의뢰자(10)는 서비스 제공 업체(20)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한다(S11).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된 프로젝트를 플랫폼 상에 오픈한다(S12). 이때,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 오픈 전에, 해당 프로젝트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난이도에 따라 어떤 등급 이상의 대중(30)에게 해당 프로젝트를 노출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의 작업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의 등급에 따라 해당 등급 이상의 작업자(32)에게 작업을 할당하여 작업 요청한다(S13).
이후, 작업자(32)는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4). 이때, 작업자(32)는 어떤 이유에 의해 작업 자체가 불가능한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작업 불가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작업자(32)로부터 작업 결과를 제공받고(S15), 해당 작업 결과에 대한 검수 작업을 검수자(34)에게 할당하여 검수 요청한다(S16).
이후, 검수자(34)는 할당된 검수를 수행하게 된다(S17). 이때, 검수자(34)는 작업이 제대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면 검수 완료를 결정하고, 검수 작업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면 반려 처리한다. 반려 처리 시, 검수자(34)는 어떤 이유로 작업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했는지에 대한 반려 사유를 입력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검수자(34)로부터 검수 결과를 제공받는다(S18).
검수 결과가 검수 완료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해당 작업 결과를 유효한 데이터로 사용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젝트 종료 시 최종 산출물을 추출하게 된다.
검수 결과가 반려 처리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내부적으로 검수를 다시 수행하거나, 작업자(32)에게 다시 작업을 배정하여 재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재작업시 검수자의 재검수가 필요하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 기간이 종료되거나 충분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를 종료하고(S19), 확보된 유효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하여 의뢰자(10)에게 제공한다(S20).
이때, 프로젝트 종료 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작업자(32) 및 검수자(34)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고, 평가에 따라 작업 비용 및 검수 비용을 산출하여 작업자(32) 및 검수자(34)에게 지급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단순히 의뢰자(10), 서비스 제공 업체(20), 작업자(32), 검수자(34)로 표현하였으나, 이들은 각 참여자에 의해서 운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서버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젝트는 오픈되고 종료될 때까지, 일정한 진행 속도를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난이도 또는 작업 단가 등에 의한 작업자의 참여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실시간으로 진행 속도가 변동되면서 진행된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는 수시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반영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기마다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작업 소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작업 소진율에 따라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작업량 및 실제 작업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소진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소진율에 따라 보정되는 작업 단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 및 최소 보정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은 서비스 제공 업체(20)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 서버(이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작업자(32)는 소정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자(32)의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 중복되는 일부 단계들은 도 3에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설정한다(S110).
이때, 기준 작업 단가는 주기마다 보정 단가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값이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난이도를 기반으로 적정하게 설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난이도가 높은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낮게 설정하거나, 난이도가 낮은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높게 설정해버리면, 기준값이 이미 잘못 설정된 상태에서 주기마다 진행 상황에 따라 작업 단가를 보정한다해도 작업자들의 작업 수준에 따라 공정하게 비용을 지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준 작업 단가는 이전에 수행된 유사 프로젝트의 이력을 통해서 또는 사전에 진행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프로젝트의 총 기간을 기반으로 주기를 설정한다.
이때, 주기는 하나 이상의 일(day) 또는 하나 이상의 시간(hour)을 포함하는 단위 기간에 상응하여 설정된다. 즉, 프로젝트의 총 기간이 10일 인 경우, 서버는 주기를 1일로 설정할 수 있고, 또는 10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는 이전 주기의 시작 전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한다(S120).
잔여 작업량은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 중에서 작업자들(32)에 의해 작업된 건수를 제외하고 남은 건수를 의미한다. 이때, 검수자(34)에 의해 반려되어 재작업이 필요한 건수는 잔여 작업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잔여 기간은 프로젝트의 총 기간 중에서 남아있는 하나 이상의 단위 기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총 기간이 10일이고 주기가 1일로 설정된 경우, 서버는 각 주기(제1 주기, 제2 주기,…,제10 주기)의 시작 시점에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1 주기의 시작 시점(프로젝트 오픈 시점)에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한다. 이때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은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 및 총 기간으로 적용된다.
서버는 제2 주기의 시작 시점에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한다. 이때의 잔여 작업량은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 중에서 제1 주기 동안 작업된 건수를 뺀 것이고, 잔여 기간은 총 기간 중에서 제1 주기에 상응하는 단위 기간을 뺀 것이다.
서버는 제3 주기의 시작 시점에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한다. 이때의 잔여 작업량은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 중에서 제1 주기 및 제2 주기 동안 작업된 건수를 뺀 것이고, 잔여 기간은 총 기간 중에서 제1 주기 및 제2 주기에 상응하는 단위 기간을 뺀 것이다.
제4 주기 및 제10 주기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 측정 방법도 상기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기반으로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산출하고(S130), 서버는 이전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작업된 실제 작업량을 측정한다(S140).
기준 작업량은 특정 주기의 시작 시점에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을 잔여 기간으로 나누어서 산출되는 것으로, 현재 시점까지의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고려했을 때 특정 주기 동안 작업자들(32)에 의해 작업되기를 희망하는 작업의 적정량을 의미한다. 즉, 기준 작업량은 각 주기가 시작되는 시점의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산출되기 때문에, 주기마다 변경되어 적용된다.
실제 작업량은 특정 주기 동안 작업자들(32)에 의해 실제로 작업된 건수의 합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전 주기 동안 작업자(32)들에 의해 작업된 실제 작업량이 해당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보다 작으면, 다음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보다 큰 값으로 산출되고, 반대로 이전 주기 동안 작업자(32)들에 의해 작업된 실제 작업량이 해당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보다 크면, 다음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보다 작은 값으로 산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의 최초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 및 총 기간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프로젝트의 최초 주기의 시작 시점은 프로젝트의 오픈 시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을 1000건, 총 기간을 10일로 가정했을 때, 제1 주기(최초 주기)의 시작 시점에 산출되는 제1 주기(최초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1000/10=100건으로 산출되었다. 그리고 제1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에 측정되는 제1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은 80건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제1 주기 동안 작업자(32)들이 기준 작업량보다 적은 양의 작업을 수행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에 따라, 제2 주기의 시작 시점에 산출되는 제2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1000-80)/(10-1)=920/9=102.2건으로 산출되었고, 제2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에 측정되는 제2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은 120건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제2 주기 동안 작업자(32)들이 기준 작업량보다 많은 양의 작업을 수행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에 따라, 제3 주기의 시작 시점에 산출되는 제3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100-80-120)/(10-1-1)=800/8=100건으로 산출되었고, 제3 주기가 도래하는 시점에 측정되는 제3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은 135건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제3 주기 동안 작업자(32)들이 기준 작업량보다 많은 양의 작업을 수행한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4 주기 내지 제10 주기의 기준 작업량 및 실제 작업량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 및 측정된다. 또한, 도 4에서는 프로젝트의 총 작업량이 1000건, 총 기간이 10일, 주기가 1일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이전 주기 동안 작업된 실제 작업량과 산출된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기반으로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산출한다(150).
특정 주기의 작업 소진율은 해당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을 해당 주기의 기준 작업량으로 나누어서 산출된다. 따라서, 특정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보다 큰 값으로 산출되면, 작업자(32)들이 해당 주기 동안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기준 작업량을 초과 달성한 것을 의미하고, 특정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보다 작은 값으로 산출되면, 작업자(32)들이 해당 주기 동안 수행하도록 요구되는 기준 작업량을 미달성한 것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100건, 제1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은 80건으로, 제1 주기의 작업 소진율은 80/100=0.8로 산출된다. 즉, 제1 주기는 기준 작업량을 미달성한 것을 의미한다.
제2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102.2건, 제2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은 120건으로, 제2 주기의 작업 소진율은 120/102.2=1.2로 산출된다. 즉, 제2 주기는 기준 작업량을 초과 달성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2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제1 주기의 실제 작업량이 반영되어 갱신된 값이다.
제3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100건, 제3 주기 동안의 실제 작업량은 135건으로, 제3 주기의 작업 소진율은 135/100=1.4로 산출된다. 즉, 제3 주기는 기준 작업량을 초과 달성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3 주기의 기준 작업량은 제1 주기와 제2 주기의 실제 작업량이 반영되어 갱신된 값이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4 주기 내지 제10 주기의 작업 소진율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 및 측정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및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기반으로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한다(S160).
구체적으로,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보다 큰 경우, 서버는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기준 작업 단가보다 작은 값으로 보정한다. 이는 이전 주기에서 기준 작업량을 초과 달성했기 때문에 작업 단가를 낮춤으로써, 현재 주기에 작업자(32)들의 참여율을 감소시켜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적정하게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작은 경우, 서버는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기준 작업 단가보다 큰 값으로 보정한다. 이는 이전 주기에서 기준 작업량을 미달성했기 때문에 작업 단가를 높임으로써, 현재 주기에 작업자(32)들의 참여율을 증가시켜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적정하게 개선하기 위함이다.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는 다음의 수식에 따라 보정된다.
[수식]
보정된 작업 단가 = 기준 작업 단가 * (1 -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 1))
또한,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는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에 따라 기준 작업 단가를 기준으로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자동 보정되어, 해당 주기 동안 작업된 작업량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고려하여 다음 주기의 작업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프로젝트의 진행이 목표 시점보다 빠르게 종료될 경우 불필요한 작업 비용을 지출한 결과일 수 있고, 작업 비용을 적절하게 증가시키지 않을 경우 프로젝트의 진행이 목표 시점보다 느리게 종료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단가의 보정은 매 주기마다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에 따라 작업 단가를 보정하여, 다음 주기에 보정 단가를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준 작업 단가가 100원이고, 제1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0.8인 경우, 보정 단가는 상기 수식에 따라 100 * (1-(0.8-1)) = 120원으로 산출되고, 제2 주기 동안 작업되는 작업량에 대해서는 120원의 보정 단가가 적용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기준 작업 단가가 100원이고, 제2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2인 경우, 보정 단가는 상기 수식에 따라 100 * (1-(1.2-1)) = 83원으로 산출되고, 제3 주기 동안 작업되는 작업량에 대해서는 83원의 보정 단가가 적용되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기준 작업 단가가 100원이고, 제3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4인 경우, 보정 단가는 상기 수식에 따라 100 * (1-(1.4-1)) = 65원으로 산출되고, 제4 주기 동안 작업되는 작업량에 대해서는 65원의 보정 단가가 적용되게 된다.
이때, 최초 주기인 제1 주기 동안 작업되는 작업량에 대해서는 기준 작업 단가, 예를 들어 100원이 적용된다.
또한, 서버는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기 전에,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의 크기에 따라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보정한다.
즉, 서버는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과 최소 보정 값을 설정하여,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최대 보정 값보다 큰 경우, 최대 보정 값을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로 대체하여 보정한다. 반대로,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최소 보정 값보다 작은 경우, 최소 보정 값을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로 대체하여 보정한다.
이때, 최대 보정 값은 1.01 내지 1.99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고, 최소 보정 값은 0.01 내지 0.99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7a을 참조하면, 기준 작업 단가가 1000원으로 설정되고,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이 1.5로 설정된 경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8로 산출되어도 최대 보정 값인 1.5로 대체하여 적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정 단가도 1000 * (1-(1.5-1)) = 500원으로 산출되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기준 작업 단가가 1000원으로 설정되고, 작업 소진율의 최소 보정 값이 0.5로 설정된 경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0.1로 산출되어도 최소 보정 값인 0.5로 대체하여 적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정 단가도 1000 * (1-(0.5-1)) = 1500원으로 산출되게 된다.
만약,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과 최소 보정 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주기마다 보정되는 단가의 편차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작업자들에게 혼란을 주게 되고, 작업 단가가 크게 설정된 주기에만 프로젝트에 진입하는 의도하지 않은 현상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인 1.5로 보정하지 않고 산출된 1.8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보정 단가는 200원으로 산출되게 된다. 이는 기준 작업 단가에 비해 상당히 많이 낮아진 금액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이전 주기에 비해 많이 낮아진 금액을 다음 주기에 적용하게 되면 다음 주기에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32)들은 불만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작업 소진율의 최소 보정 값인 0.5로 보정하지 않고 산출된 0.1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보정 단가는 1950원으로 산출되게 된다. 이는 기준 작업 단가에 비해 상당히 많이 높아진 금액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이전 주기에 비해 높아진 금액을 다음 주기에 적용하게 되면 다음 주기에 작업자들이 몰리게 되어 의뢰자(10)가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과 최소 보정 값을 설정함으로써, 보정 단가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보정되도록 하여 프로젝트 운영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작업자들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도 8의 내용은 도 1 내지 도 7 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장치(200)(이하, 작업 단가 보정 장치)는 통신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작업을 복수의 작업자(32)에게 송신하여 작업 수행을 요청하고, 복수의 작업자(32)로부터 작업 결과를 수신한다.
메모리(220)에는 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주기마다 기준 작업량과 실제 작업량을 기반으로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작업 소진율과 기준 작업 단가를 기반으로 작업 단가를 보정하여 현재 주기의 작업량에 대해 적용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작업 단가 보정 장치(200)는 상술한 서버의 구성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의뢰자
20 : 서비스 제공 업체
30 : 대중
32 : 작업자
34 : 검수자
200 : 작업 단가 보정 장치
210 : 통신모듈
220 : 메모리
230 : 프로세서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설정하는 단계;
    이전 주기의 시작 전 상기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및 잔여 기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상기 잔여 작업량 및 상기 잔여 기간을 기반으로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전 주기 동안 작업자들에 의해 작업된 실제 작업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이전 주기 동안 작업된 상기 실제 작업량과 산출된 상기 이전 주기의 기준 작업량을 기반으로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및 상기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단가를 기반으로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상기 기준 작업 단가보다 작은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1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상기 기준 작업 단가보다 큰 값으로 보정하고,
    상기 작업 단가는 상기 기준 작업 단가를 기준으로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자동 보정되고, 보정된 작업 단가는 해당 주기 동안 작업된 작업량 전체에 대해서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기준 작업량은 주기마다 갱신되는 잔여 작업량을 주기마다 갱신되는 잔여 기간으로 나누어서 주기마다 산출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식에 따라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는,
    보정된 작업 단가 = 기준 작업 단가 * (1 -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 - 1))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주기의 작업 단가를 보정하기 전에,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의 최대 보정 값과 최소 보정 값이 설정된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상기 최대 보정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최대 보정 값을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로 대체하여 보정하고,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이 상기 최소 보정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소 보정 값을 상기 이전 주기의 작업 소진율로 대체하여 보정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보정 값은 1.01 내지 1.99의 범위에서 결정되고,
    상기 최소 보정 값은 0.01 내지 0.99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는 하나 이상의 일(day) 또는 하나 이상의 시간(hour)을 포함하는 단위 기간에 상응하여 설정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최초 주기 동안 작업된 작업량에 대해서는 상기 기준 작업 단가가 적용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작업 단가는 프로젝트의 난이도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10.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14271A 2020-02-06 2020-02-06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KR10219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71A KR102195605B1 (ko) 2020-02-06 2020-02-06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271A KR102195605B1 (ko) 2020-02-06 2020-02-06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605B1 true KR102195605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271A KR102195605B1 (ko) 2020-02-06 2020-02-06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445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피씨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방법
KR20220104447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피씨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랜드마크 인식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5452A (ja) * 2006-09-05 2008-03-21 Aidma Inc 個人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8156406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オービック 売上データ作成装置、売上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売上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5452A (ja) * 2006-09-05 2008-03-21 Aidma Inc 個人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8156406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オービック 売上データ作成装置、売上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売上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445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피씨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방법
KR20220104447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피씨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랜드마크 인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2712B (zh) 风险的确定方法、装置、服务器和文本审理系统
KR102164844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단위 난이도를 활용한 작업자 평가 방법
KR102232859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능요소 및 난이도에 기반한 작업자 풀 자동 생성 방법
KR10223286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능요소 단위 작업 분배 방법
KR102195629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에서의 작업 능력 지수에 기반한 작업자 선정 방법
KR102183836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예상 소요시간에 기반한 자동 견적 산출 방법
KR102205811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능요소별 작업시간을 활용한 최소 작업시간 설정 방법
KR102155748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시간 대비 검수 시간을 이용한 검수 단가 자동 업데이트 방법
KR102195605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소진율을 기반으로 한 작업 단가 보정 방법
KR102155839B1 (ko) 작업불가 사유 기반의 작업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232890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예상 검수시간에 기반한 작업 배정여부 결정 방법
US8326771B2 (en) Predicative recruitment reporting and management
KR10215658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 및 검수자의 증감 운영 방법
KR10215578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작업자 풀의 자동 갱신 방법
KR102156585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KR10216485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긴급도를 고려한 프로젝트 참여 제한 방법
KR10219560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의 선택적인 셀프 체크를 통한 신뢰도 향상 방법
KR10215574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반려된 오브젝트 수에 기반하여 최소 재작업 및 재검수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
KR102244705B1 (ko)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유사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역전 조정을 통한 작업자 유입 조절 방법
KR102155854B1 (ko) 다양한 문장 수집을 위한 키워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9595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난이도에 따른 최대 작업 제한 건수 갱신 방법
KR10215658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및 검수의 순차적인 배정 방법
KR102195608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오브젝트 반려율을 활용한 자동 반려 방법
KR102155846B1 (ko) 이전 작업의 반려율을 활용한 샘플링 검수 방법 및 장치
KR102156580B1 (ko)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진행 속도에 따른 작업 단가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