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585B1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585B1
KR102156585B1 KR1020200055009A KR20200055009A KR102156585B1 KR 102156585 B1 KR102156585 B1 KR 102156585B1 KR 1020200055009 A KR1020200055009 A KR 1020200055009A KR 20200055009 A KR20200055009 A KR 20200055009A KR 102156585 B1 KR102156585 B1 KR 10215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roject
priority
worker
wor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우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Priority to KR102020005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 중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작업자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 동안 작업 수행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동안 작업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기간동안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최대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대상 작업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작업자에게 상기 최대 작업량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1 작업 단가보다 큰 제2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ORKER INFLOW INTO PROJECT BY ADJUSTING WORK UNIT PRICE BETWEEN CROWDSOURCING BASED PROJEC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DATA GENERA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 활동의 일부 과정에 일반 대중을 참여시키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즉, 기업은 하나의 프로젝트를 오픈하여 일반 대중, 즉 작업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완료된 작업 결과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하나의 프로젝트가 오픈 되면, 복수의 작업자 각각에게 복수의 작업이 배정된다. 각각의 작업자는 배정받은 복수의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결과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의 프로젝트가 오픈 되어 진행 중인 경우, 작업자는 복수의 프로젝트 참여가 가능하며,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 시간을 분배하여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작업 시간은 작업의 난이도 또는 작업 단가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프로젝트에 편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수행을 소홀히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거나 많은 작업자에 의해 동시에 일어난다면, 진행 중인 프로젝트 중에서 작업량이 미달되거나 작업 속도가 더딘 프로젝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해당 프로젝트의 마감 기한까지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5956호, 2014.08.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중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작업자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 동안 작업 수행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동안 작업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기간동안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최대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대상 작업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작업자에게 상기 최대 작업량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1 작업 단가보다 큰 제2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 중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 각각에 대해서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과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 중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프로젝트를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소정의 제2 값보다 큰 프로젝트를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3 작업 단가를 상기 제3 작업 단가보다 작은 제4 작업 단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작업 단가는 상기 제3 작업 단가와 상기 제4 작업 단가 간의 차이에 따른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여유 예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작업 단가는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잔여 일정 및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예측 작업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단가 대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동일한 기능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능요소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작업 툴은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며 작업자들이 상기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대상 작업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및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상기 대상 작업자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미만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미만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제1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 작업자가 아닌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가 수행한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제1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하여 상기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픈 되어 진행 중인 복수의 프로젝트 중, 작업 속도가 더디거나 작업량이 미달된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증가시켜, 작업자의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수행을 유도함으로써, 프로젝트의 마감 기한까지 작업 수행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행 중인 프로젝트 중 기한이 여유로운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낮추고, 그 결과 발생하는 여유 예산으로 기한이 촉박한 긴급한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조정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예산 없이도 긴급한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한이 촉박한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업자 중 작업 속도 및 작업 능력이 우수한 작업자만을 대상 작업자로 선정함으로써, 적절한 작업 단가를 제시할 수 있으며, 긴급한 프로젝트의 적극적인 작업 수행을 유도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마감 기한까지 기한이 촉박한 해당 프로젝트의 작업 수행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비율에 기초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오픈 되어 진행중인 복수의 프로젝트 각각의 목표 작업량 및 실제 작업량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작업자에게 최대 작업량 및 제2 작업 단가를 제시하여 프로젝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대상 작업자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작업자의 프로젝트 참여를 제시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조정을 통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조정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능요소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는 의뢰자(10), 서비스 제공 업체(20) 및 대중(30)으로 구성되어 수행된다.
의뢰자(10)는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를 의뢰하는 기업이나 개인을 의미한다.
의뢰자(10)는 인공지능 학습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을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의뢰한다. 프로젝트를 통해서 생성된 데이터는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 학습 등의 임의의 기계 학습의 학습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소스 데이터의 수집은 녹음된 음성 수집, 사진 수집 등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어노테이션은 텍스트, 사진, 비디오 등의 소스 데이터에 관련 주석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들 들어, 데이터 어노테이션은 주어진 지문에서 개체를 찾는 것, 유사한 문장을 찾는 것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프로젝트의 종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의뢰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젝트가 본 발명에서 취급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젝트를 의뢰받으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일반 대중(30)에게 배정하여 대중(30)으로부터 작업 결과를 제공받는다. 이후, 작업 결과를 기반으로 추출된 최종 산출물을 의뢰자(10)에게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이하, 플랫폼)을 통해 의뢰자(10) 및 대중(30)에게 크라우드소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자(10)로부터 프로젝트를 의뢰받으면, 플랫폼에 프로젝트를 오픈한다. 이후, 대중(30)으로부터 오픈된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결과를 제공받으면, 해당 프로젝트를 플랫폼 상에서 종료하고, 최종 산출물을 추출하여 의뢰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중(30)은 플랫폼에 오픈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일반 대중을 의미한다. 여기서, 대중(30)은 서비스 제공 업체(2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통해 플랫폼에 오픈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대중(30)은 작업자(32) 및 검수자(34)로 구성된다.
작업자(32)는 플랫폼에 오픈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를 결정한다. 이후, 작업자(32)는 소스 데이터의 수집 또는 데이터 어노테이션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플랫폼에 전송한다.
검수자(34)는 플랫폼에 오픈 된 복수의 프로젝트 중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를 결정한다. 이후, 검수자(34)는 작업자(32)가 수행한 작업 결과에 대한 검수를 수행한다. 검수자(34)는 검수 수행 결과로서, 검수 통과 처리 또는 반려 처리를 할 수 있고, 반려 처리시 반려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검수 통과의 경우 재작업과 이로 인한 재검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검수 통과는 검수 완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의뢰자(10)는 서비스 제공 업체(20)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의뢰한다(S11).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의뢰된 프로젝트를 플랫폼 상에 오픈한다(S12). 이때,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 오픈 전에, 해당 프로젝트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난이도에 따라 어떤 등급 이상의 대중(30)에게 해당 프로젝트를 노출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의 작업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의 등급에 따라 해당 등급 이상의 작업자(32)에게 작업을 할당하여 작업 요청한다(S13).
이후, 작업자(32)는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14). 이때, 작업자(32)는 어떤 이유에 의해 작업 자체가 불가능한 작업에 대해서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작업 불가 사유를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작업자(32)로부터 작업 결과를 제공받고(S15), 해당 작업 결과에 대한 검수 작업을 검수자(34)에게 할당하여 검수 요청한다(S16).
이후, 검수자(34)는 할당된 검수를 수행하게 된다(S17). 이때, 검수자(34)는 작업이 적합하게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면 검수 통과를 결정하고, 검수 작업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하면 반려 처리한다. 반려 처리 시, 검수자(34)는 어떤 이유로 작업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했는지에 대한 반려 사유를 입력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검수자(34)로부터 검수 결과를 제공받는다(S18).
검수 결과가 검수 통과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해당 작업 결과를 유효한 데이터로 사용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젝트 종료 시 최종 산출물을 추출하게 된다.
검수 결과가 반려 처리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내부적으로 검수를 다시 수행하거나, 작업자(32)에게 다시 작업을 배정하여 재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재작업시 검수자의 재검수가 필요하다.
이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프로젝트 기간이 종료되거나 충분한 유효 데이터를 확보하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를 종료하고(S19), 확보된 유효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하여 의뢰자(10)에게 제공한다(S20).
이때, 프로젝트 종료 전, 서비스 제공 업체(20)는 작업자(32) 및 검수자(34)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고, 평가에 따라 작업 비용 및 검수 비용을 산출하여 작업자(32) 및 검수자(34)에게 지급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단순히 의뢰자(10), 서비스 제공 업체(20), 작업자(32), 검수자(34)로 표현하였으나, 이들은 각 참여자에 의해서 운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데스크톱, 서버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크라우드소싱 서비스의 구성 및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진행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내용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단계들은 서비스 제공 업체(20)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 서버(이하,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 중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한다(S110).
구체적으로 오픈 되어 진행중인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해, 프로젝트의 긴급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산정하고, 산정된 우선순위를 기초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중 작업 일정이 촉박하여 긴급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는 작업 일정이 촉박하지 않아 긴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즉 진행 상황이 여유로운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이때,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는 상대적인 긴급도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각각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기준인 긴급도는 각각의 프로젝트의 마감 기한까지의 잔여일, 작업자 수 및 잔여 작업량 등에 기초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계속 중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을 포기하거나 프로젝트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프로젝트의 진행 중 예상치 못하게 발생한 사정에 의해서도 긴급도는 평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비율에 기초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S110 단계는 복수의 프로젝트 각각에 대해서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과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S111)와 복수의 프로젝트 중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프로젝트를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소정의 제2 값보다 큰 프로젝트를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의 각각에 대한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과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을 산출하고,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에 따라 프로젝트 각각에 대한 진행 상황을 판단한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진행이 늦어져,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이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에 크게 미달하는 프로젝트, 즉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제1 값보다 작은 프로젝트를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한다.
여기서 목표 작업량은 프로젝트의 전체 작업 건수를 전체 일정으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전체 작업 건수가 1,000건이고, 전체 일정이 10일이고, 단위 기간은 1일인 경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은 100건으로 계산된다.
S112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 또는 제2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기준은 제1 값과 제2 값에 의한다. 즉,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제1 값 보다 작은 프로젝트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제2 값 보다 큰 프로젝트는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된다.
한편,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기준인 제1 값과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기준인 제2 값은 서로 다른 값으로, 제1 값이 제2 값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오픈 되어 진행중인 복수의 프로젝트 중에서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프로젝트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은 적정하다고 보고 어떠한 우선순위도 부여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오픈 되어 진행 중인 복수의 프로젝트의 각각의 목표 작업량 및 실제 작업량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젝트A와 프로젝트D는 4월 21일에 오픈 되어 진행중이고, 프로젝트B는 4월 23일 그리고 프로젝트C는 4월 22일에 오픈 되어 각각 진행중이다. 4월 26일을 기준으로 진행 중인 프로젝트 중에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고자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1일을 단위 기간으로 하였을 때,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은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A의 일일 목표 작업량은 100건이고, 일일 실제 작업량은 4월 26일까지 프로젝트 A의 작업자가 수행한 총 작업 건수의 일평균인 90건이다. 따라서, 프로젝트 A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은 0.9의 값을 갖는다.
프로젝트 B의 일일 목표 작업량은 70건이고, 일일 실제 작업량은 4월 26일까지 프로젝트 B의 전체 작업자가 수행한 총 작업 건수의 일평균인 80건이다. 따라서 프로젝트 B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은 1.14의 값을 갖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C의 일일 목표 작업량은 120건이고, 일일 실제 작업량은 136건이므로, 프로젝트 C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은 1.13의 값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D의 일일 목표 작업량은 50건이고, 일일 실제 작업량은 51건으로, 프로젝트 D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은 1.02의 값을 갖는다.
이때, 제1 값이 0.95, 제2 값이 1.10으로 설정된 경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는 제1 값인 0.95보다 작은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값을 갖는 프로젝트 A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는 제2 값인 1.10보다 큰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값을 갖는 프로젝트 B 및 프로젝트 C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프로젝트는 프로젝트의 오픈 시점 및 마감일과 상관없이, 현재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에 따라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또는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시간은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값이 1.0보다 작은 프로젝트가 발생하는 때 또는 오픈 되어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마감 기한까지 남은 일수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 기준 일수 미만에 해당하는 때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이 1.02의 값을 갖는 프로젝트 D는 제1 우선순위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D의 경우에도 목표 작업량보다 실제 작업량이 더 큰 값을 가지지만, 그 비율이 제2 값보다 작기 때문에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되지 않는다. 제1 값과 제2 값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해당하지 않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단가 조정을 하지 않고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1 값과 제2 값은 동일한 값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픈 되어 진행 중인 복수의 프로젝트는 모두 제1 프로젝트 또는 제2 프로젝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된다.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제1 값(제2 값과 동일한 값)과 완벽하게 동일한 프로젝트가 발생할 확률은 극히 적다. 즉, 이 경우 제1 프로젝트 및 제2 프로젝트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프로젝트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실시간으로 프로젝트의 각각에 대한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과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을 산출하고,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을 제1 값 및 제2 값과 비교하여, S110 단계에서 결정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프로젝트가 제1 우선순위를 부여받았다가 우선순위가 없어지거나 또는 제2 우선순위를 부여받는 것이다. 그 역도 가능하다. 즉 실시간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가 결정되면,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한다(S120).
이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고, 상기 후보 작업자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대한 최대 작업량을 산출함으로써,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 및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를 적정한 가격으로 조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경험이 없는 작업자가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을 수행한다면,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이는 오히려 전체 작업 일정의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S120 단계에서는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업자 중 공통으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작업을 한 경험이 있는 작업자를 후술하는 작업 단가의 조정 대상이 되는 후보 작업자로 추출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S120 단계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S121)와,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S122)와,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S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한 작업자가 50명인 경우, 50명의 작업자 중에서도 우수한 작업자만이 후보 작업자로 추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된 50명의 작업자의 작업 수행 기간 대비 작업 결과 건수를 산출하고 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추출된 50명의 작업자 중 상기 작업 수행 기간 대비 작업 결과 건수가 높은, 즉 작업 속도가 우수한 일부 작업자를 후보 작업자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작업자의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가 아닌, S121 단계에서 추출된 작업자의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검수 완료된 작업 건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과를 기초로 후보 작업자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작업 속도 및 작업 정확성이 우수한 작업자를 후보 작업자로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S120 단계 이후 상기 후보 작업자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 동안 작업 수행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동안 작업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기간동안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최대 작업량을 산출하고(S130),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대상 작업자를 선정한다(S140).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는 후보 작업자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 동안 작업 수행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후보 작업자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대한 단위 기간동안 최대 작업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마감 기한일까지 상기 후보 작업자의 최대 작업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S120 단계에서 추출된 후보 작업자 중 한 명인 작업자1의 일일 평균 작업시간이 1시간, 상기 작업자1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일일 작업 수행 시간이 10분, 상기 작업자1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일일 작업량이 2개라고 가정하자. 이때 작업자1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한 개 당 평균 작업 소요 시간은 5분으로 산출된다. 또한, 작업자1의 일일 평균 작업시간은 1시간이므로, 작업자1은 하루에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최대 12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작업자1을 후보 작업자로 추출한 시점에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마감 기한까지 3일이 남아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작업자1은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최대 36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1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대한 최대 작업량은 36개이다.
이와 같이 후보 작업자 각각에 대한 최대 작업량을 산출한 후, S140 단계에서는 후보 작업자의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후술하는 제1 프로젝트의 변경된 단가의 적용을 받는 대상 작업자를 선정한다.
여기서, S140 단계에서 선정되는 대상 작업자는 S120 단계에서 추출된 후보 작업자 중 최종적으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유도되는 즉,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조정의 효과를 받는 작업자를 의미한다.
만약 S120 단계에서 너무 많은 후보 작업자가 추출된 경우, 상기 추출된 후보 작업자가 모두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유입된다면, 오히려 제2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다시 결정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조정은 대상 작업자의 최대 작업량을 합산한 총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대상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변화량이 적어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작업자의 유입을 유도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 즉, 단가 조정의 효력이 미비할 수 있다.
무엇보다,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추출된 후보 작업자 중에서도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을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자만을 대상 작업자로 선정함으로써, 기한이 촉박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한편, S140 단계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및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상기 대상 작업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작업자를 엄선함으로써, 적정한 가격으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를 조정하고, 기한이 촉박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속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한 S121 단계 내지 S123 단계에 의해 작업 속도가 우수한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후보 작업자 중에서도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및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대상 작업자를 엄선하여 선정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살펴보면, S140 단계에서 선정된 대상 작업자에게 S130 단계에서 산출된 최대 작업량을 제시하고(S150),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1 작업 단가보다 큰 제2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한다(S160).
구체적으로, 대상 작업자로 선정된 각각의 작업자에게 S130 단계에서 산출된 작업자 각각의 최대 작업량을 제시하고, 상기 작업자가 자신에게 제시된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면 제1 작업 단가보다 큰 제2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작업자에게 제시되는 최대 작업량은 S130 단계에서 산출된 값에 따라서 작업자마다 상이할 수 있으나, 제2 작업 단가는 대상 작업자 모두 동일한 값이 제시된다.
또한, 대상 작업자에게 제시되는 최대 작업량은 상기 제2 작업 단가와 함께 제시될 수 있다. 기존의 제1 작업 단가보다 큰 제2 작업 단가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의 작업 수행의 동기를 부여하고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의 적극적인 유입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작업자에게 최대 작업량 및 제2 작업 단가를 제시하여 프로젝트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대상 작업자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작업자의 프로젝트 참여를 제시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젝트A가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되고 프로젝트B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된 경우, 대상 작업자에게는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관하여 50개의 최대 작업량과 작업 당 70원의 제2 작업 단가를 제시하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젝트A에만 참여한, 대상 작업자에 해당하지 않은 일반 작업자에게는 프로젝트A에 관한 최대 작업량이 제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 단가 역시 제1 작업 단가인 50원이 제시된다.
즉,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변경된 작업 단가인 제2 작업 단가는 S140단계에서 선정된 대상 작업자에게만 제시된다.
한편 제2 작업 단가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조정을 통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가 조정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3 작업 단가를 상기 제3 작업 단가보다 작은 제4 작업 단가로 변경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작업 단가는 상기 제3 작업 단가와 상기 제4 작업 단가 간의 차이에 따른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여유 예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기존의 제1 작업 단가를 제2 작업단가로 조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은 별도의 추가 예산의 투입 없이,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낮춤으로써 발생하는 여유 예산으로부터 추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제3 작업 단가를 제4 작업 단가로 낮추면서 생기는 여유 예산을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에 추가함으로써,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제1 작업 단가를 제2 작업 단가로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프로젝트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된 경우, 제2 작업 단가는 복수의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각각 낮춤으로써 발생하는 여유 예산으로부터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조정의 기초가 되는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4 작업 단가는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잔여 일정 및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예측 작업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기간을 1일이라 하였을 때,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임의의 프로젝트B의 작업 단가가 10원(제3 작업단가), 잔여 작업량이 700개, 잔여 일정이 5일,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이 35개라고 가정하면, 상기 잔여 작업량 700개를 잔여 일정인 5일 동안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일 125개의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인 35개에 기초하였을 때, 상기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업자들의 일일 125개 작업 수행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작업 단가를 4원으로 산정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상기 프로젝트B의 작업 단가를 4원(제4 작업 단가)으로 변경한다면, 프로젝트B에서 생기는 여유 예산은 4,200원에 해당하게 된다. 이 4,200원은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에 추가되며, 이를 기초로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제2 작업 단가는 제1 작업 단가에 대상 작업자의 최대 작업량을 합산한 총 최대 작업량으로 상기 추가된 4,200원을 나눈 값이 더해져 결정된다. 즉, 제1 작업 단가가 50원이고, 대상 작업자의 총 최대 작업량이 70개인 경우에, 상기 제1 작업 단가인 50원에 4,200원을 70으로 나눈 60원이 더해진 110원이 제2 작업 단가로 결정된다.
전술한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능요소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작업 단가 대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은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한 시점까지의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된 프로젝트의 작업 결과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작업 단가 대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동일한 기능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이때, 기능요소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작업 툴은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며 작업자들이 상기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된 제1 프로젝트가 기능요소 a, 기능요소 b 및 기능요소 c를 포함하는 경우, 기능요소 a, 기능요소 b 및 기능요소 c를 모두 포함하고, 이미 작업을 완료하여 종료한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및 작업 단가에 기초하여 제1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대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S160 단계와 관련하여, 대상 작업자의 작업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지급되는 작업 단가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미만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미만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제2 작업 단가가 아닌) 상기 제1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대상 작업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최대 작업량 50개에 못 미치는 20개의 작업을 수행한 경우, 상기 대상 작업자의 20개의 작업에 대해서는 70원의 제2 작업 단가가 아닌 본래의 50원의 제1 작업 단가가 지급되게 된다.
따라서, 최대 작업량 및 제2 작업 단가를 제시 받고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 작업자는 제시된 최대 작업량만큼의 작업 수행을 완료하기 위해 작업 시간을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최대한 할당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대상 작업자가 아닌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작업자가 수행한 작업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제2 작업 단가가 아닌) 상기 제1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작업자에 선정되지 않은 일반 작업자의 경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 단가는 기존의 제1 작업 단가로 지급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도 12의 내용은 도 1 내지 도 11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장치(200)(이하, 장치)는 통신모듈(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210)은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작업을 복수의 작업자(32)에게 송신하여 작업 수행을 요청하고, 복수의 작업자(32)로부터 작업 결과를 수신한다. 통신모듈(210)은 복수의 작업자(32)로부터 수신된 작업 결과를 복수의 검수자(34)에게 송신하여 검수를 요청하고, 복수의 검수자(34)로부터 검수 결과를 수신한다. 이때 반려된 검수 결과에 대하여는 상응하는 재작업을 작업자(32)에게 송신하여 재작업 수행을 요청하고, 상기 작업자(32)로부터 재작업 결과를 수신한다.
메모리(220)에는 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200)는 상술한 서버의 구성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의뢰자
20 : 서비스 제공 업체
30 : 대중
32 : 작업자
34 : 검수자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 중 하나 이상의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하나 이상의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작업자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단위 기간 동안 작업 수행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 기간동안 작업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기간동안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최대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대상 작업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작업자에게 상기 최대 작업량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이상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1 작업 단가보다 큰 제2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 중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 각각에 대해서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과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로젝트 중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소정의 제1 값보다 작은 프로젝트를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하고,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대비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의 비율이 소정의 제2 값보다 큰 프로젝트를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사전 결정된 제3 작업 단가를 상기 제3 작업 단가보다 작은 제4 작업 단가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작업 단가는 상기 제3 작업 단가와 상기 제4 작업 단가 간의 차이에 따른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여유 예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작업 단가는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잔여 작업량, 잔여 일정 및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예측 작업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단가 대비 기간별 예측 작업량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동일한 기능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대비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기능요소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 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작업 툴은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며 작업자들이 상기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툴인,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상기 제2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공통으로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작업 수행한 기간 대비 상기 추출된 작업자가 입력한 작업 결과의 건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작업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대상 작업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단위 기간별 목표 작업량, 상기 단위 기간별 실제 작업량 및 상기 최대 작업량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작업자 중에서 상기 대상 작업자를 선정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작업자가 상기 최대 작업량 미만의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대상 작업자가 수행한 상기 최대 작업량 미만의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제1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작업자가 아닌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가 수행한 작업에 대해서 상기 제1 우선순위 프로젝트의 상기 제1 작업 단가를 지급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10.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55009A 2020-05-08 2020-05-08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KR10215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09A KR102156585B1 (ko) 2020-05-08 2020-05-08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09A KR102156585B1 (ko) 2020-05-08 2020-05-08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585B1 true KR102156585B1 (ko) 2020-09-17

Family

ID=7270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009A KR102156585B1 (ko) 2020-05-08 2020-05-08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375B1 (ko) * 2022-10-12 2023-09-26 하종현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상에 롤을 오픈하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서버 및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70A (ja) * 2004-01-19 2005-07-28 Toyota Motor Corp 作業担当者選択装置とその方法と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8065452A (ja) * 2006-09-05 2008-03-21 Aidma Inc 個人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
JP4700302B2 (ja) * 2004-07-22 2011-06-15 株式会社ジャステック ソフトウェア開発生産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70A (ja) * 2004-01-19 2005-07-28 Toyota Motor Corp 作業担当者選択装置とその方法と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4700302B2 (ja) * 2004-07-22 2011-06-15 株式会社ジャステック ソフトウェア開発生産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065452A (ja) * 2006-09-05 2008-03-21 Aidma Inc 個人作業実績管理システム
KR20140095956A (ko) 2013-01-25 2014-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크라우드 소싱기반 영상 지식 콘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375B1 (ko) * 2022-10-12 2023-09-26 하종현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상에 롤을 오픈하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서버 및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844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단위 난이도를 활용한 작업자 평가 방법
KR102155790B1 (ko) 평균 반려율을 이용한 작업자 능숙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15658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성실 작업자 선별 및 검수 우선순위 부여 방법
KR10223286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능요소 단위 작업 분배 방법
KR102244697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 성향을 고려한 프로젝트 큐레이션 방법
KR102195629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에서의 작업 능력 지수에 기반한 작업자 선정 방법
KR102205811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능요소별 작업시간을 활용한 최소 작업시간 설정 방법
KR102183836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예상 소요시간에 기반한 자동 견적 산출 방법
KR102156585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 간 작업 단가 조정을 통한 작업자의 프로젝트 유입 조절 방법
KR102155748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시간 대비 검수 시간을 이용한 검수 단가 자동 업데이트 방법
KR102155839B1 (ko) 작업불가 사유 기반의 작업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155749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기준 작업 시간을 이용한 적정 단가 및 적정 작업량 결정 방법
KR102244705B1 (ko)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유사 프로젝트의 작업 단가 역전 조정을 통한 작업자 유입 조절 방법
KR10219563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가용 작업자 선별을 통한 최대 작업 결과 수량 산출 방법
KR102164852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긴급도를 고려한 프로젝트 참여 제한 방법
KR10215658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 및 검수자의 증감 운영 방법
KR10215588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검수 결과에 기초한 작업자별 최대 작업 제한 건수 적용 방법
KR102183812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검증용 작업 결과를 이용한 검수자별 시급제 기반 검수 비용 지급 방법
KR102195608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오브젝트 반려율을 활용한 자동 반려 방법
KR102155747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반려된 오브젝트 수에 기반하여 최소 재작업 및 재검수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
KR10215658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및 검수의 순차적인 배정 방법
KR10219560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자의 선택적인 셀프 체크를 통한 신뢰도 향상 방법
KR102195956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작업 난이도에 따른 최대 작업 제한 건수 갱신 방법
KR102183837B1 (ko)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검증용 작업을 이용한 작업자별 시급제 기반 작업 비용 지급 방법
KR102232890B1 (ko)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생성을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예상 검수시간에 기반한 작업 배정여부 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