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771B1 -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771B1
KR102155771B1 KR1020190093232A KR20190093232A KR102155771B1 KR 102155771 B1 KR102155771 B1 KR 102155771B1 KR 1020190093232 A KR1020190093232 A KR 1020190093232A KR 20190093232 A KR20190093232 A KR 20190093232A KR 102155771 B1 KR102155771 B1 KR 10215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camera
vehicl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길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자체에 충격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있어서 여러 위치에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충격 순서와 당시의 상황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저장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A camera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and video recording system using the camera}
본 발명은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자체에 충격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있어서 여러 위치에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충격 순서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가해차량과 피해차량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물론 책임소재가 명확하여 사고 당사자 간 합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가 더 많고 이에 따라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일도 자주 발생한다. 물론 사고 상황을 목격한 제3자의 진술이 있을 경우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목격자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목격자의 진술 역시 주관적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판단에 도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사고 시점의 속도, 가속도, 조향각도, 비상등 동작 상태, 각종 램프의 구동 상태 등을 기록하는 장치와, 주행 또는 주차시의 주변 영상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28629호(2009.12.16.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등을 통해 다수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영상 기록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블랙박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종래의 영상 기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 영상정보를 기록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저장수단은 전방카메라와 일체로 제작되기도 한다.
하지만 교통사고시 차량 간 충격이 반드시 차량 전방이나 후방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즉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차량의 측면 상황을 녹화하는 측면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도 출시되었다. 즉 차량 전방, 후방, 좌측면 및 우측면의 영상을 모두 확보하여 사고 발생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 기록 시스템은 충격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충격이 감지되었을 시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즉 주차 중에는 상시 녹화를 진행하지 않고, 충격감지센서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주변 상황의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 기록 시스템에서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전방카메라에 충격감지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는 영상 확보가 수월하지만, 비교적 약한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차량 실내에 설치된 전방카메라까지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녹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또한 종래의 영상 기록 시스템은 차량 측면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양쪽에서 동시 다발적인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어느 측면에서 충격이 먼저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측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자체에 충격감지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차량 외부에서 약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영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 다발적인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어느 위치에서 먼저 충격이 발생한 것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는,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카메라본체; 상기 카메라본체에 실장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영상기록부 측으로 출력하는 촬영부; 및 상기 카메라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격 정보를 상기 영상기록부 측으로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부의 영상 정보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충격 정보를 상기 영상기록부에서 수신하면, 상기 영상기록부의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되, 복수의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정보에 시차가 발생할 경우 먼저 충격이 발생한 카메라의 영상 정보부터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며 영상 정보와 충격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기록부는,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되, 각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정보에 시차가 발생할 경우 먼저 충격이 발생한 카메라의 영상 정보부터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은 좌측카메라, 우측카메라 및 후방카메라에 충격감지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차량 실내에 설치된 전방카메라까지 충격이 전달되지 못하여 영상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차량 외부에서 미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 위치와 가까운 좌측카메라, 우측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에서 충격을 감지한 후 신호를 내보낼 수 있어서 해당 상황의 영상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록시스템은 차량 측면에 설치된 카메라가 주차장 등에서의 인접차량의 문열림시 접촉사고 발생을 감지하여 그 영상을 저장하게 되므로 주차장 등에서의 주차 이후에 인접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의 경미한 사고 및 차량의 손상을 입증할 수가 있다.
더불어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아주 짧은 시차를 두고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좌측카메라와 우측카메라에 내장된 충격감지센서를 통해 충격이 먼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영상기록부는 충격이 먼저 발생한 지점의 영상이 먼저 녹화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녹화된 영상을 확인하면 먼저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육안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사고의 과실을 명확히 구분해 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의 구성들이 차량에 설치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영상 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차량 주행 중 동시 다발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차량 주행 중 동시 다발적인 충격이 발생하였을 시 영상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의 구성들이 차량에 설치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영상 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100)은 전방카메라(110), 후방카메라(120),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130,140) 및 영상기록부(150)를 포함한다.
전방카메라(110)는 일반적으로 차량(10) 실내에서 룸미러 인근에 설치되어 차량(10)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영상기록부(150)에 전송하는 카메라이다. 이러한 전방카메라(110)는 카메라본체F(111), 촬영부F(112) 및 충격감지센서F(113)를 포함한다. 카메라본체F(111)는 전방카메라(1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다른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며, 촬영부F(112)는 전방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영상기록부(15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충격감지센서F(113)는 카메라본체F(111)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정보를 영상기록부(15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전방카메라(110)는 공지된 차량용 블랙박스와 동일하며 그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후방카메라(120)는 일반적으로 차량(10) 실내에서 후면 윈도우 인근에 설치되며, 차량(10)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영상기록부(150)에 전송하는 카메라이다. 이러한 후방카메라(120)는 카메라본체B(121), 촬영부B(122), 충격감지센서B(123)를 포함한다.
카메라본체B(121)는 후방카메라(120)의 외관을 형성하고 다른 구성들을 보호하며, 촬영부B(122)는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영상기록부(15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충격감지센서B(123)는 카메라본체B(121)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 정보를 영상기록부(15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130,140)는 차량(10)의 측방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영상기록부(150)에 전송하는 카메라이다. 이러한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는 좌측카메라(130) 및 우측카메라(140)를 포함한다.
좌측카메라(130)는 차량(10)의 좌측 영상을 획득하고, 우측카메라(140)는 차량(10)의 우측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좌측카메라(130)는 카메라본체L(131), 촬영부L(132) 및 충격감지센서L(133)를 포함하고, 우측카메라(140)는 카메라본체R(141), 촬영부R(142) 및 충격감지센서R(143)을 포함한다. 즉 좌측카메라(130)와 우측카메라(140)는 설치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좌측카메라(130)의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우측카메라(140)는 동일 명칭의 좌측카메라(130) 구성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카메라본체L(131)는 좌측카메라(130)의 다른 구성들을 보호하며 차량(10)의 좌측 일정 위치에 설치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카메라본체L(131)는 사이드미러에 장착될 수도 있고, 차체에 끼우거나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촬영부L(132)는 카메라본체L(131)가 향하는 방향의 영상, 즉 차량(10)의 측방 영상을 촬영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를 영상기록부(150)에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충격감지센서L(133)는 카메라본체L(131)에 내장되어, 카메라본체L(13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격 정보를 영상기록부(150) 측으로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충격감지센서는 충격의 발생 및 충격의 세기까지 감지하는 것으로서 공지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130,140)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영상기록부(150)나 차량(10)의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영상 정보나 충격 정보 역시 케이블을 통해 영상기록부(15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기록부(150)는 전방카메라(110), 후방카메라(120),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130,14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화면 출력해주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영상기록부(150)는 영상기록본체(151), 디스플레이(152), 저장부(153) 및 제어부(154)를 포함한다.
영상기록본체(151)는 영상기록부(150)의 외형을 형성하고 다른 구성들을 보호해주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영상기록부(150)는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들(110,120,130,140)과 연결되어 영상 정보 또는 충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실시하기에 따라 영상기록부(150)의 기능 구성이 전방카메라(110)에 탑재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기록부(150)의 기능 구성이 별도의 내비게이션에 탑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기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기록부(150)가 별도의 기기로 제작되어 운전석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디스플레이(152)는 영상기록본체(15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저장부(153)에 저장된 영상 정보, 또는 카메라(110,120,130,140)에서 촬영된 실시간 영상 정보를 화면 출력해주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5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저장부(153)는 카메라(110,120,130,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나 충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되며, 영상기록본체(151)에 착탈 가능한 메모리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어부(154)는 카메라(110,120,130,140)에서 수신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152)를 통해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저장부(153)에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제어부(154)는 카메라(110,120,130,140)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정보에 따라 저장부(153)에 저장되는 영상 정보가 시차를 두고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154)의 자세한 기능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영상 기록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기록부(150)의 제어부(154)는 각 카메라(110,120,130,1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152)를 통해 실시간으로 화면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동시에 저장부(153)에 저장부(153)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즉 차량(10)이 주행중일 경우 모든 카메라(110,120,130,140)들은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정보를 영상기록부(150)로 전송한다.
영상기록부(150)의 제어부(154)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152)를 통해 화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어부(154)는 화면을 4등분하여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 및 우측 영상이 모두 한 화면에 실시간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기록부(150)는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차량(10)의 ECU 등과 연계하여 차량(10)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화면 출력 방식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차량(10)이 주행 모드일 경우 제어부(154)는 화면을 삼등분하여 위쪽 영역에는 전방카메라(110)의 실시간 촬영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화면의 아래쪽 좌측 영역에는 좌측카메라(130)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며, 화면의 아래쪽 우측 영역에는 우측카메라(140)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조작 또는 방향지시등의 조작 여부가 확인될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영상만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스티어링 휠이 좌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거나 좌측 방향지시등이 점등된 것을 제어부(154)에서 확인하였다면, 좌측카메라(130)에서 전송한 영상이 화면 전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예시로 차량(10)이 후진 모드일 경우 제어부(154)는 후방카메라(120)에서 전송한 영상이 화면 하단에 출력되도록 하고, 화면 상단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좌측카메라(130)와 우측카메라(140)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이 주차되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152)를 통한 실시간 영상 출력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53)의 용량을 고려하여 주차시에는 전체 영상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영상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영상기록부(150)의 제어부(154)는 카메라(110,120,130,140)에 탑재된 움직임센서(미도시)를 통해 차량(10) 주변에서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기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의 촬영 영상이 저장부(153)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4)는 카메라(110,120,130,140)에 탑재된 충격감지센서(113,123,133,143)로부터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하였다는 충격 정보를 수신할 경우 일정 시간동안의 촬영 영상이 저장부(153)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카메라(110) 뿐만 아니라 좌측카메라(130), 우측카메라(140) 및 후방카메라(120)에도 충격감지센서(133,143,123)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미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영상 녹화가 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전방카메라(110)에만 충격감지센서F(113)가 내장되어 있었다. 하지만 전방카메라(110)는 차량(10) 실내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어서, 차량(10) 외부에서 미세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는 전방카메라(110)까지 충격이 전달되지 못하여 올바른 영상 녹화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차량(10) 외부에 설치되는 좌측카메라(130)와 우측카메라(140)에도 충격감지센서(133,143)가 탑재되어 있고, 더 나아가 후방카메라(120)에도 충격감지센서B(123)가 탑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10) 좌측 또는 우측에서 미세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전방카메라(110)에서는 충격을 감지하지 못하더라도, 충격 발생 위치와 매우 인접한 곳의 좌측카메라(130) 또는 우측카메라(140)에서는 충격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10) 후방에서 미세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는 후방카메라(120)에서 충격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54)는 좌측카메라(130), 우측카메라(140) 또는 후방카메라(120)로부터 충격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충격 정보를 전송한 카메라(120,130,140)의 영상만 저장하거나, 충격 감지에 따라 전체 카메라(110,120,130,140)의 영상을 일정 시간동안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4)가 복수 카메라(110,120,130,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저장할 때에는 저장부(153)에 미리 설정된 카메라별 폴더에 각각 저장하며, 저장할 시 촬영된 시간이나 충격이 감지된 시간 등을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였을 시 영상기록부(150)의 저장부(153)에 저장된 영상을 참고하면 사고 정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그러나 여러대의 차량(10)이 거의 동시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과실 여부를 따지는 것이 복잡해 진다. 즉 충격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과실 여부가 달라지게 되는데, 종래의 영상 기록 방식에서는 이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방카메라(110) 뿐만 아니라 좌측카메라(130), 우측카메라(140) 및 후방카메라(120)에도 충격감지센서(133,143,123)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쪽에서 먼저 충격이 발생하였는지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54)는 각 카메라(110,120,130,140)에서 전송해 오는 충격 정보의 시차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영상 저장 순서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명확한 과실 규명이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도3은 차량 주행 중 동시 다발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차량 주행 중 동시 다발적인 충격이 발생하였을 시 영상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의 상황을 설명하면 먼저 도3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100)이 탑재된 자기 차량(10)이 주행하는 도중 좌측 차량(20)과 충격이 먼저 발생하였고, 이후 도3의 (b)와 같이 우측 차량(30)과도 충격이 발생하였다. 도면에서는 충격이 먼저 일어난 순서대로 도시하였기 때문에 구분이 명확하지만, 좌측 차량(20)과의 충격 및 우측 차량(30)과의 충격 시차가 0.2초 이내로 매우 짧았다고 가정하자.
도3의 (a)와 같이 좌측 차량(20)과 자기 차량(10)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좌측카메라(130)의 충격감지센서L(133)에서 먼저 충격이 감지된 후, 영상기록부(150)의 제어부(154)에서 좌측카메라(130)의 충격 정보를 획득<S405>하게 된다.
물론 좌측의 충격이 차체를 통해 전달되어 전방카메라(110)나 우측카메라(140)에서도 감지될 수는 있다. 하지만 충격이 발생한 위치의 좌측카메라(130)에서 가장 먼저 충격을 감지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제어부(154)는 내장된 전자시계(미도시)를 통해 좌측카메라(130)와 우측카메라(140)로부터 충격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먼저 충격이 이루어진 좌측카메라(130) 측에서 충격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좌측에서 충격이 발생하고 그 충격이 차체를 통해 우측까지 전달되는 동안 충격은 감쇄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좌측카메라(130)에서 감지된 충격의 세기가 우측카메라(140)에서 감지된 충격의 세기보다 클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154)는 시차를 두고 들어오는 신호는 물론 충격의 세기까지 분석하여 양쪽 카메라(130,140)에서 모두 충격이 감지되었다 하더라도, 실제 충격이 발생한 카메라(130,140)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즉 양쪽 카메라의 충격의 감지시점의 차이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충격의 세기를 비교하여 어느 쪽에서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시간차를 두고 도3의 (b)와 같이 우측 차량(30)과의 충격이 이루어지면, 우측카메라(140)의 충격감지센서R(143)에서 충격을 감지한 후 영상기록부(150)의 제어부(154)에서 충격 정보를 수신<S410>하고, 충격이 발생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번째 충격에 의해서도 우측카메라(140) 뿐만 아니라 차체를 통해 전달된 충격이 좌측카메라(130)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54)에서 시간적 차이 그리고 충격의 세기 차이 분석을 통해 두 번째 충격이 실제 어느 위치에서 발생한 것인지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제어부(154)는 좌측카메라(130)의 충격 정보 수신 시점과 우측카메라(140)의 충격 정보 수신 시점에 시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154)에서 좌측과 우측의 충격 발생 시점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면, 제어부(154)는 좌측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이 우측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저장되도록 처리<S415>한다. 여기서 좌측 영상을 먼저 저장하도록 한다는 것은 추후 영상 재생시 충격 발생 순서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딜레이를 준다는 의미이다.
즉, 서로 다른 영상 저장 폴더에 각각의 카메라(110,120,130,140)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고, 추후 재생을 시키면, 저장된 시간에 동기화 되어 전체 카메라(110,120,130,140)의 영상 정보가 동시에 출력된다. 하지만 이 영상을 그대로 확인한다면 0.2초 정도의 시차를 두고 좌우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충격 순서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54)가 먼저 충격이 발생한 쪽의 영상이 먼저 저장되도록 한다고 하였다. 즉 충격 정보 수신 시차가 0.2초 정도로 아주 짧을 경우, 좌측카메라(130)의 영상이 먼저 저장되도록 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좌측카메라(130)의 영상에 매칭시키는 시각 정보를 의도적으로 0.5초 정도 빨라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뒤늦게 충격이 감지된 우측카메라(140)의 영상에 매칭되는 시각 정보를 의도적으로 0.5초 정도 딜레이시킬 수도 있다.
결국 좌측카메라(130)의 영상과 우측카메라(140)의 영상은 실제 충격이 발생한 시차가 0.2초이지만 영상이 저장되는 시점의 차이는 0.5초 이상 되며, 이를 동기화 시켜 재생시키면 0.5초 이상의 딜레이에 따라 어느쪽에서 충격이 먼저 발생한 것인지 충분히 육안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도3 및 도4의 예시에서는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동시다발적인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전후방 추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기록부(150)의 제어부(154)는 전방카메라(110)의 충격감지센서F(113)와 후방카메라(120)의 충격감지센서B(123)에서 전송해 오는 충격 정보의 시간적 차이와 세기를 이용하여 먼저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전방 영상과 후방 영상에 시간적 차이(딜레이)를 두어 저장부(153)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100)은 좌측카메라(130), 우측카메라(140) 및 후방카메라(120)에 충격감지센서(133,143,123)가 내장되어 있어서, 차량(10) 실내에 설치된 전방카메라(110)까지 충격이 전달되지 못하여 영상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차량(10) 외부에서 미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 위치와 가까운 좌측카메라(130), 우측카메라(140) 또는 후방카메라(120)에서 충격을 감지한 후 신호를 내보낼 수 있어서 해당 상황의 영상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특히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측면에 설치된 좌측카메라(130), 우측카메라(140)가 주차장 등에서의 인접차량의 문열림시 접촉사고 발생을 감지하여 그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종래 블랙박스의 충격감지센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블랙박스 본체에 내장된 것이어서 결국 충격감지센서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충격량이 크지 않은 작은 충돌은 충격감지센서가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가 사이드미러 등과 같이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외부에 가해진 가벼운 충격도 감지할 수가 있다. 즉 주차된 차량의 도어에 바로 옆에 주차한 차량에서 도어를 열다가 살짝 부딪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에 시간 및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사고원인의 주체를 찾아내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렇게 문을 열다가 부딪치는 충격은 차량 내부에 위치한 충격감지센서에서는 감지하지 못할 만큼의 작은 충격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에 충격감지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 외부의 작은 충격도 역시 차량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충격감지센서가 감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차장 등에서의 주차 이후에 인접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의 경미한 사고 및 차량의 손상의 사고주체를 찾아내는데 큰 도움이 된다.
더불어 차량(10)의 좌측과 우측에서 아주 짧은 시차를 두고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좌측카메라(130)와 우측카메라(140)에 내장된 충격감지센서(133,143)를 통해 충격이 먼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영상기록부(150)는 충격이 먼저 발생한 지점의 영상이 먼저 녹화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녹화된 영상을 확인하면 먼저 충격이 발생한 위치를 육안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사고의 과실을 명확히 구분해 낼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써 좌측카메라(130)와, 우측카메라(14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는데, 실시하기에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는 좌측전방, 좌측후방, 우측전방, 우측후방을 촬영하는 등 더 많은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자기 차량
20 : 좌측 차량
30 : 우측 차량
100 : 영상 기록 시스템
110 : 전방카메라
111 : 카메라본체F
112 : 촬영부F
113 : 충격감지센서F
120 : 후방카메라
121 : 카메라본체B
122 : 촬영부B
123 : 충격감지센서B
130 : 좌측카메라
131 : 카메라본체L
132 : 촬영부L
133 : 충격감지센서L
140 : 우측카메라
141 : 카메라본체R
142 : 촬영부R
143 : 충격감지센서R
150 : 영상기록부
151 : 영상기록본체
152 : 디스플레이
153 : 저장부
154 : 제어부

Claims (3)

  1. 차량의 외부 측면에 복수개 설치되며 영상 정보와 충격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기록부는,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 및 충격 정보들이 각각 상기 저장부의 서로 다른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되, 각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정보에 시차가 발생할 경우 먼저 충격이 발생한 카메라의 영상 정보부터 저장되도록 처리하고 추후 영상의 재생 시 영상이 저장된 시간에 동기화 되어 전체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는,
    차량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는 카메라본체;
    상기 카메라본체에 실장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기록부 측으로 출력하는 촬영부; 및
    상기 카메라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격 정보를 상기 영상기록부 측으로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가 차량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에 미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영상 녹화가 가능하고,
    각각의 상기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정보의 감지시점의 차이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충격의 세기를 비교하여 어느 쪽에서 먼저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판별하며,
    0.2초 이내의 간격으로 복수의 충돌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먼저 충돌이 일어난 측면의 영상에 매칭 시키는 시각 정보를 0.5초 빨라지도록 하고, 뒤늦게 충격이 감지된 반대측의 영상에 매칭되는 시각 정보를 0.5초 딜레이 시킴으로써 재생 시 어느 쪽에서 충격이 먼저 발생한 것인지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093232A 2019-07-31 2019-07-31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KR10215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32A KR102155771B1 (ko) 2019-07-31 2019-07-31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32A KR102155771B1 (ko) 2019-07-31 2019-07-31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71B1 true KR102155771B1 (ko) 2020-09-14

Family

ID=7247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32A KR102155771B1 (ko) 2019-07-31 2019-07-31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897A (ko) 2021-08-11 2023-02-20 강한중 차량 문콕 발생 알림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51A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차량충돌시 물체 확인장치 및 방법
KR20100056696A (ko) * 2008-11-20 2010-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JP4613741B2 (ja) * 2005-08-05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51A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차량충돌시 물체 확인장치 및 방법
JP4613741B2 (ja) * 2005-08-05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KR20100056696A (ko) * 2008-11-20 2010-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897A (ko) 2021-08-11 2023-02-20 강한중 차량 문콕 발생 알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9218A1 (en) Audio-video recorder for vehicles
JP2006352391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US201900548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Incident , Accident And/Or Scam Of A Vehicle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20220152823A (ko) 차량의 주행영상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2155771B1 (ko) 차량 측면 설치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기록 시스템
TW201344648A (zh) 行車監控系統與行車監控方法
TW201348036A (zh) 車輛監控系統
KR101205365B1 (ko) 차량용 탑승자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111596B1 (ko) 실시간 상대 차량 속도와 거리를 분석 및 저장하는 이벤트 검지 시스템
KR20100057253A (ko) 차량 주위의 이미지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40039A (ko) 차량 외관형상 모델링 장치 및 모델링 방법
KR10153381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438941A (zh) 可記錄車體資訊的行車記錄器及其記錄方法
KR20150098039A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7280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TWM457900U (zh) 可記錄車體資訊的行車記錄器
KR20110107084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40000486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6244B1 (ko) 주간과 야간을 인식하는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그 사고 기록 방법
CN110751031A (zh) 一种适用于驾驶员的疲劳检测系统
KR10158253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KR101643875B1 (ko) 경보발생장치가 구비된 블랙박스
CN105578128B (zh) 一种基于声波的监控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