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721B1 -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721B1
KR102154721B1 KR1020167022798A KR20167022798A KR102154721B1 KR 102154721 B1 KR102154721 B1 KR 102154721B1 KR 1020167022798 A KR1020167022798 A KR 1020167022798A KR 20167022798 A KR20167022798 A KR 20167022798A KR 102154721 B1 KR102154721 B1 KR 10215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xtension
opening
locking memb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771A (ko
Inventor
히사시 나카소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16012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crank pins and connecting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피 설치 부재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에 설치되어, 개폐 부재를 잠금 상태로 유지 가능한 잠금 장치(10)로서, 구동 부재(24)는, 조작 부재(20)의 조작에 따라 구동한다. 제 1 잠금 부재(26)는, 구동 부재(24)에 연결되는 잠금 연결부(76)와, 잠금 연결부(76)로부터 연장한 구동 부재(24)의 구동에 따라 피 설치 부재에 형성된 걸림공부에 전후진하는 제 1 연장부(72)와, 잠금 연결부(76) 또는 제 1 연장부(72)로부터 연장한 제 2 연장부(74)를 갖는다. 규제부는, 구동 부재(24)와 잠금 연결부(76)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제 2 연장부(74)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잠금 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개폐 부재에 설치된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글로브 박스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에는, 개폐 부재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잠금 장치의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글러브 박스를 연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수납 상자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에 설치되는 사이드 잠금 장치가 개시된다. 이 사이드 잠금 장치는, 도어 패널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 요동하는 링크 부재와, 링크 부재에 연결되어 링크 부재의 요동에 따라 이동하는 잠금 막대를 구비한다.
특허 문헌 1의 잠금 막대의 선단 부분이 도어 패널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후단 부분이 링크 부재에 연결된다. 도어 패널을 닫을 때에, 잠금 막대기는 선단 부분이 수납 상자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납 상자에 형성된 걸림공의 위치에 도달하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공에 걸어맞춤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12-246727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도어 패널을 닫을 때에 잠금 막대의 선단 부분이 수납 상자의 내측면에 접촉하면, 수납 상자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로드 막대의 후단 부분이 베이스 부재로부터 부상하는 힘을 받아서, 로드 막대와 링크 부재와의 연결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잠금 부재와 구동 부재의 연결을 끊어지지 않게 하는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 설치 부재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잠금 상태로 유지 가능한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잠금부재(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 설치 부재에 형성된 걸림공부에 전후진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와,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상기 제 2 연장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와 구동 부재의 연결을 끊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잠금 장치를 설치한 개폐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잠금 장치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잠금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잠금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비교 기술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 기술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조작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베이스 부재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베이스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a)는, 베이스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베이스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구동 부재에 포함된 로터(rotor)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1 잠금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b)에 나타내는 잠금 장치의 선분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1 변형예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 2 변형예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는, 제 3 변형예의 제 1 잠금 부재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5(b)는, 제 4 변형예의 제 1 잠금 부재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은, 실시예의 잠금 장치(10)를 설치한 개폐 부재(1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개폐 부재(12)를 정면 측에서 본 잠금 장치(10) 및 개폐 부재(12)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개폐 부재(12)를 후면측에서 본 잠금 장치(10) 및 개폐 부재(12)의 배면도이다. 개폐 부재(12)는, 실제로는 2장의 판 형상 부재를 맞붙여서, 그 내부에 잠금 장치(10)를 수용하도록 설치되지만, 도 1(b)는 잠금 장치 (10)를 덮는 개폐 부재(12)의 후면측의 판형 부재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개폐 부재(12)는, 예를 들어 차량의 글로브 박스용 뚜껑 부재이다. 도 1(a) 및 (b)의 개폐 부재(12)는 설명의 편의상, 평면 형상으로 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글로브 박스의 개구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만곡하게 형성되어도 좋다. 글로브 박스는 대시 보드에 마련된 수납 공간인 오목한 영역을 갖는 피 설치 부재이며, 개폐 부재(12)는, 글로브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목한 영역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개폐 부재(12)에는, 잠금 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12a)가 형성된다. 개폐 부재(12)에 설치된 잠금 장치(10)는, 글로브 박스의 개구부에 대해 개폐 부재(12)를 잠금 상태로 하여 닫힘 상태로 유지한다. 실시예의 잠금 장치(10)는, 조작 부재(20)를 개폐 부재(12)의 폭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는 사이드식의 잠금 장치여도 좋다.
잠금 장치(10)는, 조작 부재(20), 베이스 부재(22), 구동 부재(24), 제 1 잠금 부재(26) 및 제 2 잠금 부재(28)를 구비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구(12a)로부터 조작 부재(20)가 정면으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오목부(12d)로부터 조작 부재(20)의 후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조작 부재(20)를 끌어당겨 잠금 해제를 한다.
구동 부재(24)는, 베이스 부재(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잠금 부재(26) 및 제 2 잠금 부재(28)(이들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 간단히 「잠금 부재」라 한다)에 연결한다. 사용자의 조작력은, 조작 부재(20)로부터 도 1(b)에 나타내는 구동 부재(24)로, 구동 부재(24)로부터 잠금 부재로 전달된다. 로드 형상의 잠금 부재는, 구동 부재(24)의 회전에 연동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잠금 부재(26)는, 제 1 삽입공부(12b) 및 유지부(14)에 삽입되고, 제 2 잠금 부재(28)는 제 2 삽입공부(12c) 및 유지부(14)에 삽입된다. 도 1(b)에는 도시되지 않은 후면측의 개폐 부재(12)로 잠금 장치(10)의 후면측을 덮으면, 제 1 삽통공부(12b) 및 유지부(14)를 통해 제 1 잠금 부재 (26)의 선단 부분이 외부로 나온 상태가 되고, 제 2 삽입공부(12c) 및 유지부(14)를 통해 제 2 잠금 부재(28)의 선단 부분이 외부로 나온 상태가 된다.
제 1 삽입공부(12b) 및 제 2 삽입공부(12c)는, 잠금 부재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을 갖는다. 유지부(14)는, 제 1 삽입공부(12b) 및 제 2 삽입공부(12c)의 내주에 고정되고, 관통공을 갖는 탄성 부재이다. 유지부(14)는, 잠금 부재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잠금 부재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면서, 잠금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사용자가 조작 부재(20)를 조작하면 구동 부재(24)가 회전하고, 잠금 부재는 구동 부재(24)의 회전에 따라, 피 설치 부재인 글로브 박스에 형성된 걸림공부(도시하지 않음)로 각각 출입한다. 잠금 부재가 글러브 박스의 걸림공부로 들어가면 개폐 부재(12)가 잠금 상태가 되고, 잠금 부재가 그 걸림공부로부터 나오면 개폐 부재(12)가 비잠금 상태가 된다.
실시예의 잠금 장치(10)는, 개폐 부재(12)의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의 일단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조수석 앞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 잠금 장치(10)에, 운전석으로부터 손이 닿기 쉽게 하는 배치가 가능해진다. 제 1 삽입공부(12b) 및 제 2 삽입공부(12c)의 위치는 개폐 부재(12)의 중앙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24)로부터 제 1 삽입공부(12b) 및 제 2 삽입공부(12c)까지의 간격이 다르다. 따라서 제 1 잠금 부재(26)와 제 2 잠금 부재(28)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다르고, 제 1 잠금 부재(26)는, 제 2 잠금 부재(28)보다 길이 방향으로 짧아진다.
도 2는, 잠금 장치(10)를 후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잠금 장치(10)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잠금 장치(10)의 배면도이다. 도 2, 도 3(a)와 도 3(b)는 제 2 잠금 부재(2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각 도면에 표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며, 적당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 부재(22)는, 걸림 손톱부(44), 걸림부(45) 및 취부걸림부(46)에 의한 걸림 구조에 의해 개폐 부재(12)의 설치구(12a)에 고정된다. 조작 부재(20)의 회전 축 구멍(32)은, 베이스 부재(22)의 회전 지지부(42)에 삽입되어, 조작 부재(20)는베이스 부재(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 부재(20)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 부재(24)는, 제 1 로터 연결부(66) 및 제 2 로터 연결부(68)가 돌출되도록 베이스 부재(22)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구동 부재(24)의 제 1 로터 연결부(66)는, 제 1 잠금 부재(26)의 잠금 연결부(76)와 연결하고, 제 2 로터 연결부(68)는 제 2 잠금 부재(28)와 연결한다. 이 연결에 의해 구동 부재(24)의 회전이 잠금 부재로 전달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잠금 부재(26)는, 잠금 연결부(76)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연장부(72)와, 잠금 연결부(76)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연장부(74)를 갖는다. 제 1 연장부(72)는, 외부로 나와 글로브 박스의 걸림공부에 삽입된다. 제 1 연장부(72)와 제 2 연장부(74)는, 같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연장부(74)는, 제 1 잠금 부재(26)와 구동 부재(24)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베이스 부재(22)에 의해 유지되는 베이스부로서 기능한다. 제 2 연장부(74)에는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에 의해 규제되는 구조로서, 슬라이드 홈부(78)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홈부(78)는,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한다.
도 4는, 비교 기술의 잠금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비교 기술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b)는, 잠금 장치(100)의 제 1 잠금 부재(126)를 글로브 박스(16)의 걸림공부(16a)에 걸어맞춤 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b)는, 제 1 잠금 부재(126)의 움직임이 보이도록 제 2 잠금 부재(2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기술의 잠금 장치(100)는, 실시예의 잠금 장치(10)와 비교하여 베이스 부재(122) 및 제 1 잠금 부재(126)의 형상이 다르지만, 그외의 구성은 같고, 개폐 부재(12)에의 설치 위치도 동일하다. 제 1 잠금 부재 (126)는,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면(126a)과, 후방 측에서 구동 부재(24)에 연결하는 연결부(126b)를 갖는 구성이 되는데, 연결부(126b)보다 뒤쪽으로는 연장하지 않는다. 즉 실시예의 제 1 잠금 부재(26)의 제 2 연장부(74)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제 1 잠금 부재(126)는, 실시예의 제 2 연장부(74)를 갖지 않는 반면에, 연결부(126b)가 구동 부재(24)에 끼워 맞추어 연결된다.
개폐 부재(12)를 닫을 때의 기본적인 제 1 잠금 부재(126)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16)의 개구부(16b)에 대해, 개폐 부재(12)가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방향(102)으로 움직여, 제 1 잠금 부재(126)가 글로브 박스(16)의 개구부(16b)의 주변으로 접촉하면, 개구부(16b)의 주변으로부터 반력(104)을 받는다.
이 닫힘 시에 받는 글로브 박스(16)로부터의 반력(104)에 의해, 제 1 잠금 부재 (126)가 일단 후퇴하고, 후퇴하면서 제 1 삽입공부(12b)의 주변를 따라 이동하고 걸림공부(16a)에 도달하면, 구동 부재(24)의 구동력에 의해 진행하고, 제 1 잠금 부재(126)의 선단부가 걸림공부(16a)에 들어가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개폐 부재(12)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닫힌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제 1 잠금 부재 (126)의 선단부는, 개구부(16b)의 주변에 닿아 후퇴하고, 걸림공부(16a)에 도달하고 후퇴 위치로부터 진행하여, 걸림공부(16a)로 삽입된다. 또한, 구동 부재(24)에는 잠금 부재를 잠금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가압(urge)하는 코일 스프링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잠금 부재(126)의 테이퍼면(126a)이 개구부(16b)의 주변에 접촉하여, 제 1 잠금 부재(126)가 개구부(16b)의 주변으로부터 받는 반력(104)은, 제 1 잠금 부재(126)의 후퇴 방향뿐만 아니라, 닫힌 방향(102)의 역방향의 성분을 포함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잠금 부재(126)는, 닫힌 방향(102)의 역방향 성분(106)에 의해, 제 1 삽입공부(12b) 및 유지부(14)를 지점으로 회전 방향의 토크를 받아, 제 1 잠금 부재(126)의 후방 측이 부상하는 방향(108)으로 움직일 우려가 있다. 이 부상하는 방향(108)은, 제 1 잠금 부재(126)의 연결부(126b)가 구동 부재(24)로부터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이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장치(100)의 개폐 부재(12)의 설치 위치를 치우치게 하기 때문에, 제 1 삽입공부(12b)로부터 연결부(126b)의 간격이 짧아지고, 연결부(126b)에 가해지는 반력(104)에 기인한 하중이 커진다. 이를 통해, 연결부(126b)가 구동 부재(24)로부터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108)의 힘이 커지고, 최악의 경우, 그 연결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도 6은, 실시예의 잠금 장치(1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b)에 나타내는 잠금 장치(10)의 선분 A-A 단면이며, 잠금 장치(10)를 개폐 부재(12)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잠금 장치(10)는, 제 1 잠금 부재 (26)의 슬라이드 홈부(78)가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도록 구성된다.
규제부(56)는, 개폐 부재(12)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닫힌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연장부(72)가 개구부(16b)의 주변에 접촉했을 때, 제 1 연장부(72)보다 뒤쪽의 잠금 연결부(76)가 구동 부재(24)로부터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잠금 부재(26)가 개구부(16b)의 주변으로부터 받는 반력(104)은, 개폐 부재(12)의 닫힌 방향의 반대 방향의 성분(106)인 힘(F1)을 포함하고, 제 1 삽입공부(12b) 및 유지부(14)를 지점(P)으로 회전 방향의 토크(F2)를 받아 제 1 잠금 부재(26)의 후방 측이 부상하는 방향(108)으로 힘이 작용한다.
도 6에는, 지점(P)으로부터 제 1 연장부(72)의 개구부(16b)의 주변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거리(L1), 지점(P)으로부터 슬라이드 홈부(78)와 규제부(56)의 결합 위치까지의 거리(L2), 지점(P)으로부터 잠금 연결부(76)까지의 간격(L3)이 표시된다. 지점 (P) 주위의 모멘트의 균형은 다음의 식 (1)이고, 식 (1)으로부터 식 (2)가 유도된다.
F1L1 = F2L2 ... 식 (1)
F2 = F1L1 / L2 ... 식 (2)
식 (2)에 나타낸 슬라이드 홈부(78)과 규제부(56)의 끼워 맞춤에 가해지는 토크(F2)는, (L1 / L2)의 비에서 알 수 있듯이 간격(L2)이 커지면, 작아진다. 토크 (F2)가 작아지면 끼워 맞춤이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잠금 연결부(76)에서만 끼워 맞춤한다면, 간격(L3)이 간격(L2)보다 짧기 때문에, 토크(F3)가 커진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홈부(78)과 규제부(56)의 끼워 맞춤이 제 1 삽입공부(12b)로부터 멀리 위치할수록, 그 끼워 맞춤에 가해진 반력(104)에 근거한 부하가 작아진다. 슬라이드 홈부(78)는, 제 1 삽입공부(12b)로부터 잠금 연결부(76)의 간격(L3)보다 긴 간격(L2)에 있기 때문에, 규제부(56)와의 끼워 맞춤이 쉽게 풀리지 않게 한다. 이처럼, 규제부(56)가 구동 부재(24)와 잠금 연결부(76)의 연결이 끊기는 방향의 제 2 연장부(74)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그 연결이 쉽게 끊어지지 않게 한다. 실시예의 잠금 장치(10)의 각 부재에 대하여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조작 부재(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조작 부재 (20)의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조작 부재(20)의 측면도이다. 또한, 조작 부재(20)의 앞면은 도 1(a)에 표시하고, 개폐 부재(12)의 설치구(12a)에서 노출된다.
조작 부재(2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공(32), 조작면(34), 전달부(36) 및 스토퍼(38)를 갖는다. 회전축공(32)은 조작 부재(20)의 한 쌍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조작면(34)은, 조작 부재(20)의 후면측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시에 손가락을 걸수 있다.
전달부(36)는, 조작 부재(20)의 후면측에 세워 설치되고, 구동 부재(24)에 맞닿아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구동 부재(24)에 전달한다. 회전축공(32)을 베이스 부재(22)의 회전 지지부(42)에 연결하여, 조작 부재(20)가, 베이스 부재(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부재(20)가 회전하면, 전달부(36)도 회전하여 회전구동 부재(24)를 회전시킨다. 스토퍼(38)는, 조작 부재(20)의 후면측에 세워 설치되고, 작업시 베이스 부재(22)에 맞닿아 조작 부재(2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는 베이스 부재(2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베이스 부재(22)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 (b)는, 베이스 부재(22)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9(a)는, 베이스 부재(22)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베이스 부재(22)의 배면도이다.
베이스 부재(22)의 본체(40)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본체(40)의 양측면에, 개폐 부재(12)의 설치구(12a)의 주변에 걸림하기 위한 걸림 손톱부(44) 및 걸림부(45)가 형성된다. 걸림 손톱부(44) 및 걸림부(45)는, 설치구(12a)의 주변을 끼워넣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22)의 후면(51)에 형성된 취부걸림부(46)도 설치구 (12a)의 주변에 걸어맞춤한다.
도 8(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양측면으로부터 회전 지지부 (42)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회전 지지부(42)는 조작 부재(20)의 회전 축공(32)에 삽입되어, 작동 부재(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용 축받이부(48)는, 정면(53)에 형성되어, 구동 부재(2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지지 벽(50)은, 후면(51)을 깍아 내어(cutting out) 형성되고, 구동용 축받이부(48)를 중심으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 부재(24)를 수용 가능하다. 연통부(52)는, 로터 지지 벽(50)의 내측에 정면(53)을 깍아 내어 형성한다. 연통부(52)는 조작 부재(20)의 전달부(36)와 구동 부재(24)를 맞닿게 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58)는, 후면(5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세워 설치되고,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원통부(58)는, 제 2 잠금 부재 (28)에 맞물려 슬라이드를 안내한다. 규제부(56)는, 후면(5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세워 설치되고, 선단 측에 직경 방향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6a)가 형성된다. 규제부(56)의 플랜지부(56a)는 제 1 잠금 부재(26)의 제 2 연장부(74)에 끼워 맞춤하여 슬라이드를 안내한다. 규제부(56)와 제 2 연장부(74)의 끼워 맞춤에 의해 제 2 연장부(74)의 후면(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규제부(56)는, 제 2 연장부(74)에 끼워 맞춤하여, 제 1 잠금 부재(26)가 후면(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와 달리, 원통부(58)의 선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제 2 잠금 부재(28)가 후면(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다.
도 10은, 구동 부재(24)에 포함된 로터 부재(25)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은 로터 부재(25)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로터 부재(25)의 측면도이고, 도 10(c)는 로터 부재(25)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구동 부재(24)는 로터 부재(25)와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로터 부재(25)는 원반 부(62), 회전 축(64), 제 1 로터 연결부(66), 제 2 로터 연결부(68) 및 스프링 받침부(70)를 갖는다.
회전축(64)은, 원반부(6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다. 회전 축 (64)은, 베이스 부재(22)의 구동용 축받이부(48)에 삽입되어 축지지된다. 스프링 받침부(70)는 원반부(62)에 세워 설치된다. 회전 축(64)에는, 코일 스프링이 삽입되어, 스프링 받침부(70)에 코일 스프링의 권선(winding) 단부가 맞닿는다. 또한, 코일 스프링은, 잠금 부재가 잠금 상태가 되도록 가압하며, 사용자가 잠금 해제 작업을 할 때, 비 잠금 상태가 된 잠금 부재를 잠금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로터 부재(25)를 가압한다.
제 1 로터 연결부(66) 및 제 2 로터 연결부(68)는, 제 1 잠금 부재(26) 및 제 2 잠금 부재(28)에 각각 연결되어, 로터 부재(25)의 회전 동작을 전달한다. 제 1 로터 연결부(66) 및 제 2 로터 연결부(68)는, 원반부(62)의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로터 연결부(66) 및 제 2 로터 연결부(68)는, 원반 부(62)의 후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하여, 원반부(62) 상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제 1 로터 연결부(66) 및 제 2 로터 연결부(68)는, 모두 원반부(62)로부터 돌출하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로터 연결부(66)는, 선단이 테이퍼진 원기둥 모양이며, 제 2 로터 연결부(68)는, 선단에 직경이 더 큰 플랜지 형상을 갖는다. 제 2 로터 연결부(68)는, 제 2 잠금 부재(28)에 끼워 맞춤되어 연결된다. 한편, 제 1 로터 연결부(66)는, 제 1 잠금 부재(26)에 삽입된 상태에서 끼워 맞춤되지 않고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로터 연결부(66)는, 잠금 연결부(76)의 연결이 용이하다.
제 2 잠금 부재(28)는, 선단이 플랜지 형상의 제 2 로터 연결부(68)와 끼워 맞춤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로터 연결부(68)와 제 2 삽입공부(12c)의 간격이 매우 길기 때문에, 끼워 맞춤부분에 걸리는 하중은 작고, 그 끼워 맞춤은 쉽게 풀리지 않는다.
도 11는, 제 1 잠금 부재(2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제 1 잠금 부재(26)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제 1 잠금 부재(26)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1(c)는 제 1 잠금 부재(26)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1 잠금 부재(26)는, 구동 부재(24)에 연결되는 잠금 연결부(76)와, 잠금 연결부(76)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제 1 연장부(72)와, 잠금 연결부(76)의 뒤쪽에 위치한 제 2연장부(74)를 갖는다. 잠금 연결부(76)는, 제 1 연장부(72) 및 제 2 연장 (74)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연장부(72) 및 제 2 연장부(74)의 연장 방향은 평행이어도 좋다.
제 1 연장부(72)는, 구동 부재(24)의 구동에 따라 글로브 박스(16)에 형성된 걸림공부(16a)로 전후진 가능하다. 제 1 연장부(72)의 선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면 (72a)은, 글러브 박스(16)의 개구부(16b)의 주변에 맞닿아, 제 1 잠금 부재(26)를 후퇴시키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제 1 연장부(72)는, 잠금 연결부(76)로부터 제 1 잠금 부재(26)의 진행 방향 쪽으로 연장하고, 제 2 연장부(74)는, 잠금 연결부 (76)로부터 제 1 잠금 부재(26)의 후퇴 방향 쪽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 1 잠금 부재(26)의 전후진 방향과 제 1 잠금 부재(26)의 길이 방향은, 거의 동일하지만, 제 1 잠금 부재(26)의 전후진 방향은, 구동 부재(24)의 회전 궤적에 의해 제 1 잠금 부재(26) 길이 방향과 약간 어긋난다. 제 2 연장부(74)를 잠금 연결부(76)로부터 제 1 잠금 부재(26)의 후퇴 방향 측으로 연장시켜 규제부(56)에 의해 규제함으로써, 슬라이드하는 제 2 연장부(74)의 부상을 규제하는 구조를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잠금 연결부(76)는, 제 1 잠금 부재(26)의 대략 중앙에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구동 부재(24)의 제 1 로터 연결부(66)가 삽입된다. 제 2 연장부(74)는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에 끼워 맞춤하는 슬라이드 홈부(78)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홈부(78)는, 길이 방향에 걸쳐 제 2 연장부(74)를 깍아 내어 형성하여, 장방 형태의 공간을 내측에 설정(define)하고, 사각형의 관형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다. 슬라이드 홈부(78)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 돌출부(80) 및 탄성연결부(82)를 구비한다.
한 쌍의 내측 돌출부(80)는, 슬라이드 홈부(78)의 양방향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레일과 같이 연장한다. 한 쌍의 내측 돌출부(80)는, 규제부(56)의 플랜지부(56a)에 걸려서, 제 2 연장부(74)가 베이스 부재(22)의 후면(51)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규제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홈부(78)의 내측 돌출부(80)와 규제부(56)의 플랜지부(56a)를 끼워 맞춤하는 것은, 제 1 잠금 부재(26)의 장착시에 밀어 넣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끼워 맞춤하지 않는 잠금 연결부(76)와 제 1 로터 연결부(66)의 연결에서는, 제 1 로터 연결부(66)의 상방에 잠금 연결부(76)를 놓으면 밀어 넣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탄성연결부(8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홈부(78)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탄성연결부(82)는 양단이 슬라이드 홈부(78)의 내면에 연결되고, 탄성을 갖는다. 탄성연결부(82)는, 잠금 연결부(76)가 제 1 로터 연결부(66)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다. 탄성연결부(82)는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의 선단에 탄성 연결되어서, 제 1 잠금 부재(26)의 규제부(56)에 대한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3(b)에 나타낸 잠금 장치(10)의 선 B-B 단면을 보여준다. 또한,도 12의 잠금 장치(10)는 개폐 부재(12)의 설치구(12a)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는, 제 1 잠금 부재(26)의 슬라이드 홈부(78)와 끼워 맞춤한다. 이에 의해, 잠금 부재(26)가 베이스 부재(22) 및 구동 부재(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렵게 되며, 구동 부재(24)와 제 1 잠금 부재(26)의 연결을 쉽게 끊어지지 않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홈부(78)의 내측 돌출부(80)가 규제부(56)의 플랜 지부(56a)에 걸려서, 제 1 잠금 부재(26)가 베이스 부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슬라이드 홈부(78)는, 끼워 맞춤 홈부로서 형성되고, 규제부(56)는, 끼워 맞춤 홈부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돌출부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규제부(56)에 대해 슬라이드 홈부(78)를 압박하여, 용이하게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제 1 잠금 부재(26)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금 연결부(76)보다 뒤쪽의 제 2 연장부(74)가 규제부(56)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제 1 삽입공부(12b)나 잠금 연결부(76)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잠금 부재(26)는, 슬라이드 홈부(78)의 양 내측면이 규제부(56)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홈부(78)의 양 내측면의 대향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슬라이드 홈부(78)의 양 내 측면의 대향 방향은, 제 1 잠금 부재(26)의 전후진 방향에 직교하고, 잠금 장치(10)의 폭 방향이다. 또한 탄성연결부(82)가 규제부(56)의 선단에 탄성 연결함으로써, 제 1 잠금 부재(26)의 슬라이드시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규제부(56)는, 돌출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깍아낸 슬릿(56b)을 갖는다. 이 슬릿(56b)은, 잠금 장치(10)의 폭 방향으로 규제부(56)를 휨이 가능하게 하고, 제 1 로터 연결부(66)의 회전 궤적에 의한 제 1 잠금 부재(26)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구동 부재(24)가 회전하면, 제 1 로터 연결부(66)의 회전 궤적에 따라 제 1 잠금 부재(26)는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 1 로터 연결부(66)는, 잠금 연결부(76)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접촉하지만, 폭 방향으로는 간격을 두고 느슨하게 맞춰진다. 이에 따라 제 1 로터 연결부(66)의 폭 방향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부재(12)를 닫힌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제 2 연장부(74)는 제 1 연장부(72)의 개구부(16b)의 주변에 맞닿음에 따라, 제 1 삽입공부(12b)의 주변을 지점으로 회전 토크를 받는다. 이 제 2 연장부(74)의 회전은 규제부(56)에 의해 규제된다. 제 2 연장부(74)의 잠금 연결부(76)로부터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 1 연장부(72)의 잠금 연결부(76)로부터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슬라이드 홈부(78)와 규제부(56)과의 끼워 맞춤 위치를 제 1 삽입공부(12b)로부터 이격하여, 제 1 삽입공부(12b)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 토크에 의한 끼워 맞춤 부분에 가해진 하중을 줄일 수 있어, 구동 부재(24)의 연결을 쉽게 끊어지지 않게 한다.
도 13은, 제 1 변형 예의 잠금 장치(2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잠금 장치(200)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조작 부재(20) 및 제 2 잠금 부재(2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1 변형 예의 잠금 장치(200)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의 잠금 장치(10)에 비해 제 1 잠금 부재(226) 및 베이스 부재(222)의 끼워 맞춤 부분의 구조가 다르다. 제 1 변형 예의 잠금 연결부(76)보다 뒤쪽의 제 2 연장부(274)는, 잠금 연결부(76)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단면이 직사각형의 막대 모양이다.
베이스 부재(222)의 후면(51)으로부터 한 쌍의 규제부(256)가 세워 설치된다. 한 쌍의 규제부(256)는, 제 1 잠금 부재(226)의 전후진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탄성 손톱체이며, 그 대향 방향으로 휨이 가능하다.
제 1 잠금 부재(226)를 상방으로부터 밀어 넣으면, 한 쌍의 규제부(256)는 서로 확개(open)하고, 제 1 잠금 부재(226)의 제 2 연장부(274)을 수용하여, 걸어맞춤된다. 제 1 잠금 부재(226)의 제 2 연장부(274)는, 베이스 부재(222)의 규제부(25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한다. 규제부(256)는, 구동 부재(24)와 제 1 잠금 부재 (226)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제 1 잠금 부재(226)의 움직임, 즉 제 1 잠금 부재(226)의 부상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제 1 변형 예의 잠금 장치(200)는, 규제 부(256)에 의해 구동 부재(24)와 제 1 잠금 부재(226)의 연결을 쉽게 끊어지지 않게 한다.
도 14는, 제 2 변형 예의 잠금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잠금 장치(300)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4(b)는 베이스 부재 (322)를 후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4(c)는 규제부(356)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조작 부재(20) 및 제 2 잠금 부재(2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2 변형 예의 잠금 장치 (300)는, 실시예의 잠금 장치(10)에 비해, 제 1 잠금 부재(326) 및 베이스 부재(322)의 결합 부분의 구조가 다르다. 제 2 변형 예의 잠금 연결부(76)보다 뒤쪽의 제 2 연장부(374)는, 잠금 연결부(76)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이 직사각형의 막대 모양이다.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변형 예의 잠금 장치(300)에 있어서, 구동 부재(24)와 제 1 잠금 부재(326)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제 1 잠금 부재(326)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356)는, 베이스 부재(322)와 별도의 부재이다. 규제부(356)는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측면에 구멍부(356a)를 구비한다.
도 1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2)는, 후면(51)에 전후진 가이드부(302)와, 한 쌍의 걸림부(304)를 갖는다. 전후진 가이드부(302)는, 제 1 잠금 부재(326)의 전후진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 1 잠금 부재(326)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제 1 잠금 부재(326)의 제 2 연장부(374)의 후면측에는, 전후진 가이드부 (302)와 걸어맞춤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한 쌍의 걸림부(304)는, 후면(51)에 세워 설치되는 탄성 손톱체이며, 제 1 잠금 부재(326)의 전후진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한다. 제 1 잠금 부재(326)를 장착할 때, 걸림부(304) 사이에 제 2 연장부(374)를 배치하고, 걸림부 (304)의 선단 측으로부터 규제부(356)를 압박한다. 규제부(356)의 구멍부(356a)와 걸림부(304)가 걸리고, 규제부(356)가 베이스 부재(322)에 고정된다. 따라서, 규제 부(356)는 구동 부재(24)와 제 1 잠금 부재(326)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제 1 잠금 부재(326)의 움직임, 즉 제 1 잠금 부재 (326)의 부상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제 2 변형 예의 잠금 장치(300)는 별도의 규제부(356)에 의해 구동 부재(24)와 제 1 잠금 부재(326)의 연결을 쉽게 끊어지지 않게 한다.
도 15(a)는, 제 3 변형 예의 제 1 잠금 부재(426)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5(b)는 제 4 변형 예의 제 1 잠금 부재(526)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3 변형 예 및 제 4 변형 예의 제 1 잠금 부재의 제 2 연장부는, 모두 베이스 부재(22)의 규제부(5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된다.
도 15(a)에 나타내는 제 3 변형 예의 제 1 잠금 부재(426)는, 도 11(a)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 1 잠금 부재(26)와 비교하여, 제 2 연장부(474)의 슬라이드 홈부 (478) 내에, 판 형상의 탄성연결부(8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다르다. 제 3 변형 예의 슬라이드 홈부(478) 내에 내측 돌출부(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홈부(478)는 규제부(56)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할 수 있다.
도 15 (b)에 나타내는 제 4 변형 예의 제 1 잠금 부재(526)는, 도 11(a)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 1 잠금 부재(26)와 비교하여, 제 2 연장부(574)의 슬라이드 홈부 (578) 내에 형성된 탄성연결부(582)의 양단이 슬라이드 홈부(578)에 연결되지 않고, 탄성연결부(582)의 일단에만 슬라이드 홈부(578)의 내면에 연결된다. 탄성연결부(582)는, 슬라이드 홈부(578)의 후단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cantilever) 편이다.
탄성연결부(582)는, 제 1 잠금 부재(526)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규제부(56)로 가압하는 힘이 변화한다. 탄성연결부(582)는, 제 1 잠금 부재(526)가 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가 되는 위치에 가까울수록, 제 1 잠금 부재(526)의 진행 속도에 대한 저항을 크게 하여, 잠금 장치가 완전히 잠금 상태가 된 경우의 타음(hammerring)을 작게 한다.
탄성연결부(582)에 접촉하는 규제부(56)는, 제 1 잠금 부재(526)의 전후진 동작을 통해, 탄성연결부(582)에 맞닿는 길이 방향의 위치가 변화한다. 탄성연결부(582)는, 그 선단 측에서는 가압력(urging force)이 작고, 후단 측에서는 가압력이 커지도록 규제부(56)에 작용한다.
제 1 잠금 부재(526)가 후퇴함에 따라, 탄성연결부(582)의 규제부(56)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작아지고, 슬라이드 시의 마찰 저항도 작아진다. 제 1 잠금 부재(526)가 최고로 진행된 상태에서, 탄성연결부(582)는 규제부(56)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하여, 마찰 저항도 크고, 제 1 잠금 부재(526)가 최고로 후퇴한 상태에서, 탄성연결부(582)는 규제부(56)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압하여, 마찰 저항도 작아진다. 탄성연결부(582)와 규제부(56)의 마찰 저항은, 제 1 잠금 부재(526)가 잠금 상태일 때가, 비잠금 상태인 경우보다 크다.
이를 통해, 제 1 잠금 부재(526)가, 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가 되려고 하면, 제 1 잠금 부재(526)에 대한 마찰 저항이 커져, 제 1 잠금 부재(526)의 진행 방향의 움직임을 서서히 감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잠금 장치가 완전히 잠금 상태가 된 경우의 타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 예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이 적용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 예의 도 6은, 제 1 잠금 부재(26)가 제 1 삽입공부(12b) 및 유지부 (14)를 지점으로 회전하는 양태를 보여 주지만, 이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폐 부재(12)를 닫고 제 1 연장부(72)가 개구부(16b)의 주변에 접촉할 때에, 제 1 잠금 부재(26)는 힘(F1)에 의해 베이스 부재(22)의 후면의 걸림공부(16a) 에 가까운 주변에 맞닿아, 베이스 부재(22)의 후면의 주변를 지점으로 회전하여도 좋다.
실시 예에서는, 제 2 연장부(74)가 잠금 연결부(76)으로부터 연장하는 양태를 보여 주지만, 이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연장부(74)는, 제 1 연장부(72)로부터 그대로 뒤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실시 예에서는, 돌기 모양의 규제부(56)를 베이스 부재(22)의 후면(51)에 마련한 양태를 보여 주지만, 이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규제부는, 개폐 부재(12)의 오목부(12d)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개폐 부재(12)에 형성된 규제부는, 제 1 잠금 부재(26)의 슬라이드 홈부(7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한다.
실시 예에서는, 로터 부재(25)의 제 1 로터 연결부(66)를 선단이 테이퍼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양태를 나타냈지만, 이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나타낸 제 2 로터 연결부(68)와 같이 제 1 로터 연결부(66)의 선단은 직경을 크게 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잠금 부재(26)의 잠금 연결부(76)에 끼워 맞춤하여도 좋다. 이를 통해, 제 1 잠금 부재(26)가 구동 부재(24)로부터 더욱 연결이 끊어지기 어렵게 된다.
실시 예에서는, 제 1 잠금 부재(26)에 끼워 맞춤홈부로서 슬라이드 오목부(78)를 형성하고, 베이스 부재(22)에 끼워 맞춤 돌출부로서 규제부(56)를 형성하는 양태를 보여 주지만, 이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잠금 부재(26)의 제 2 연장 (74)에 끼워 맞춤 돌출부를 형성하고, 베이스 부재(22)에 끼워 맞춤홈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제 1 잠금 부재(26)의 결합 돌출부는, 베이스 부재(22)의 끼워 맞춤홈부에 제 1 잠금 부재(26)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한다.
도 15(b)에 나타낸 제 4 변형 예의 탄성연결부(582)는 캔틸레버 편으로 함으로써, 규제부(56)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양태이지만, 이 양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는 양단이 슬라이드 홈부(78)에 연결되는데, 길이 방향의 두께를 바꿈으로써, 슬라이드시 탄성연결부에 의한 규제부(56)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변화시킨다. 탄성연결부는, 그의 선단 측에서는 가압력이 작고, 후단 측에서 가압력이 커지도록 규제부(56)에 작용하기 때문에, 선단 측에서는 얇고, 후단 측에서는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폐 부재에 설치된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잠금 장치, 12 개폐 부재, 12a 설치구, 12b 제 1 삽입공부, 12c 제 2 삽입공부, 12d 오목부, 14 유지부, 16 글러브 박스, 16a 걸림공부, 16b 구멍, 20 조작 부재, 22 베이스 부재, 24 구동 부재, 25 로터 부재, 26 제 1 잠금 부재, 28 제 2 잠금 부재, 32 회전축공, 34 조작면, 36 전달부, 38 스토퍼, 40 본체, 42 회전 지지부, 44 걸림 손톱부, 45 걸림 부, 46 취부걸림부 48 구동용 축받이부, 50 로터지지 벽, 52 연통부, 54 스프링 지지부, 56 규제부, 56a 플랜지부, 58 원기둥부, 62 원반부, 64 회전 축부, 66 제 1 로터 연결부, 68 제 2 로터 연결부, 70 스프링 받침 부, 72 제 1 연장부, 72a 테이퍼면, 74 제 2 연장부, 76 잠금 연결부, 78 슬라이드 홈부, 80 내측 돌출부, 82 탄성연결부.

Claims (10)

  1. 피 설치 부재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잠금 상태로 유지 가능한 잠금 장치로서,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 설치 부재에 형성된 걸림공부에 전후진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연장부를 갖는 잠금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상기 제 2 연장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상기 구동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잠금 부재의 진행 방향 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잠금 부재의 후퇴 방향 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개폐 부재에 설치된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나와, 상기 걸림공부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개폐 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제 1 연장부의 선단이 상기 피 설치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삽입공의 주변을 지점으로 한 상기 제 2 연장부의 회전을 규제하며,
    상기 지점에서 상기 규제부까지의 거리 L2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연결부까지의 간격 L3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 피 설치 부재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잠금 상태로 유지 가능한 잠금 장치로서,
    돌출하여 형성된 구동 부재측 연결부를 가지며,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측 연결부가 삽입된 상태로 연결된 잠금 부재측 연결부와,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피 설치 부재에 형성된 걸림공부로 전후진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 또는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연장부를 구비한 잠금 부재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측 연결부와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의 연결이 끊어지는 방향의 상기 제 2 연장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돌출된 상기 규제부에 압입된 상태로 규제되어 있고,
    상기 구동 부재측 연결부가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에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규제부에 압입되는 방향에 따르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로부터 상기 잠금 부재의 진행 방향 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로부터 상기 잠금 부재의 후퇴 방향 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개폐 부재에 설치된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나와, 상기 걸림공부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개폐 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제 1 연장부의 선단이 상기 피 설치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삽입공의 주변을 지점으로 한 상기 제 2 연장부의 회전을 규제하며,
    상기 지점에서 상기 규제부까지의 거리 L2는, 상기 지점에서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까지의 간격 L3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개폐 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피 설치 부재에 맞닿아 후퇴되고, 상기 걸림공부에 도달하여 상기 후퇴한 위치로부터 진행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개폐 부재를 닫는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제 1 연장부의 선단이 상기 피 설치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제 2 연장부가 부상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 및 상기 규제부 중 하나에 끼워 맞춤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하는 끼워 맞춤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홈부는, 상기 끼워 맞춤 돌출부의 일부가 탄성 연결되는 탄성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떨어지는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2 연장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상기 구동 부재측 연결부는, 상기 잠금 부재측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의 중앙 위치로부터 폭 방향의 일단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잠금 부재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별도의 잠금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잠금 장치.
KR1020167022798A 2014-02-21 2015-02-17 잠금 장치 KR102154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1732 2014-02-21
JP2014031732 2014-02-21
PCT/JP2015/054278 WO2015125774A1 (ja) 2014-02-21 2015-02-17 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771A KR20160124771A (ko) 2016-10-28
KR102154721B1 true KR102154721B1 (ko) 2020-09-10

Family

ID=5387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798A KR102154721B1 (ko) 2014-02-21 2015-02-17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09497A1 (ko)
JP (1) JP6291028B2 (ko)
KR (1) KR102154721B1 (ko)
CN (1) CN106062296B (ko)
GB (1) GB2538021B (ko)
WO (1) WO2015125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0708B (zh) * 2015-11-20 2020-06-30 百乐仕株式会社 锁止装置
KR102443072B1 (ko) 2015-11-30 2022-09-14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장치
US11377884B2 (en) 2016-07-08 2022-07-05 Piolax, Inc. Lock device
JP6599830B2 (ja) * 2016-09-08 2019-10-30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6787818B2 (ja) * 2017-03-02 202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収納部のドア構造
US11655652B2 (en) 2017-05-04 2023-05-23 Volvo Truck Corporatio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rrangement
CN112292499B (zh) 2018-04-03 2022-05-24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闩锁
US20210348427A1 (en) * 2018-10-18 2021-11-11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DE112019005217T5 (de) * 2018-10-18 2021-07-29 Piolax Inc.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Öffnungs- und Schließkörper
US11261626B2 (en) * 2019-03-08 2022-03-01 Volvo Car Corporation Latch assembly including latch module with retractable latch bolt for storage compartment in automotive vehicle
CN113574238B (zh) * 2019-03-15 2022-08-16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定装置
WO2021062149A1 (en) * 2019-09-26 2021-04-01 Southco, Inc. Vehicle glove box latch
CN110905341A (zh) * 2019-12-16 2020-03-24 成都三泰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锁止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440B1 (ko) * 2011-07-25 2012-12-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JP5227416B2 (ja) * 2008-10-01 2013-07-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346A (en) * 1973-09-26 1975-08-26 Webb Co Jervis B Safety bumper for a driverless vehicle
JP2798541B2 (ja) * 1992-01-31 199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
DE69941679D1 (de) * 1998-03-09 2010-01-07 Southco Riegel
JP4148883B2 (ja) * 2002-12-18 2008-09-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US7475929B2 (en) * 2004-09-15 2009-01-13 Piolax Onc. Lid open-close apparatus
JP5751082B2 (ja) * 2011-08-10 2015-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6076269B2 (ja) * 2012-02-06 2017-02-08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装置
CN202645199U (zh) * 2012-06-01 2013-01-0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手套箱锁
JP5954121B2 (ja) * 2012-11-02 2016-07-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ロック装置
US20140152026A1 (en) * 2012-11-30 2014-06-05 Omar Cinco Configurable latch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7416B2 (ja) * 2008-10-01 2013-07-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KR101212440B1 (ko) * 2011-07-25 2012-12-1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1028B2 (ja) 2018-03-14
GB2538021B (en) 2021-02-17
GB2538021A (en) 2016-11-02
KR20160124771A (ko) 2016-10-28
CN106062296B (zh) 2018-11-02
CN106062296A (zh) 2016-10-26
US20170009497A1 (en) 2017-01-12
WO2015125774A1 (ja) 2015-08-27
JPWO2015125774A1 (ja) 2017-03-30
GB201614221D0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721B1 (ko) 잠금 장치
US7201409B2 (en) Retracting locking mechanism for operable unit in stop position
CN105696880B (zh) 具有把手引导元件的机动车门把手布置
CN108350708B (zh) 锁止装置
JP6232336B2 (ja) ラッチ装置
JP6056863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JP2009062004A (ja) アームレストのロック構造
US20090272776A1 (en) On board screen device
EP2060720A2 (en) Controlled closure system for sliding furniture elements
KR20160148540A (ko) 개폐부재의 잠금장치
WO2018008597A1 (ja) ロック装置
EP3954848A2 (en) Vehicle glove box latch
EP3225504A1 (en) Steering column device
JP7313996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CN108291412B (zh) 锁止装置
JP5695756B2 (ja) ヒンジ装置
JP2020079513A (ja) スライドドア支持装置
JP5134388B2 (ja) リッド装置
JP2020079512A (ja) スライドドア支持装置
JP4255782B2 (ja)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BR112015004283B1 (pt) Dispositivo de abertura/fechamento para porção de abertura veicular
JP4980161B2 (ja) 開閉体閉止装置
KR10159311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잠금장치
JP4283465B2 (ja) 格納式フック装置
JP528013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