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977B1 -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977B1
KR102151977B1 KR1020200067411A KR20200067411A KR102151977B1 KR 102151977 B1 KR102151977 B1 KR 102151977B1 KR 1020200067411 A KR1020200067411 A KR 1020200067411A KR 20200067411 A KR20200067411 A KR 20200067411A KR 102151977 B1 KR102151977 B1 KR 10215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band
package
dressing
adsorpt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06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65B35/38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72Packaging of dressings
    • A61F13/00076Packag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상처의 보호 등을 위하여, 환부에 부착하는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를 제조하는 공정이나, 제조 후 포장하는 포장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파단선이 형성된 이형지 필름 원단(10)에 드레싱재 원단(20)을 도포한 원단(P)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원단을 공급하여, 가압된 드레싱재(21)를 다수개 부착시킨 드레싱 밴드(1)를 제조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1000)로부터 제조된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기 위한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는,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에 의해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되어 배치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흡착구(1131)를 가지며,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는, 하나의 흡착구 지지판(1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를 지지하면서 흡착구(1131)가 이동 가능하게 흡착구 지지공(1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및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Vacuum adsorption transport of portable ventral protective dressing bands and dressing band packaging}
본 발명은 피부 상처의 보호 등을 위하여, 환부에 부착하는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를 제조하는 공정이나, 제조 후 포장하는 포장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수 개의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으면서도,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선택적으로 흡착 이송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불량 드레싱 밴드 및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선별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창상, 외상 등에 의해서 피부가 결속, 상처가 발생하게 되면 피부의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발생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절한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드레싱을 위해서 종래에는 거즈형 드레싱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상처 분비물의 흡수는 용이하나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부착하여 교환시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치유 초기 단계에서는 삼출물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 번씩 드레싱을 교환해 주어야하는 단점 등이 있어, 근래에는 상기한 거즈형 드레싱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필름 드레싱재,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 부착면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는 역시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우레탄 부착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촉매, 물 등의 고분자가 혼합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는 흡습성과 습윤 환경 유지에 기인하는 상처 보호 능력과 뛰어난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드레싱재의 포장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 특허공보 제1004818호에 기재된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는, 드레싱재 원단을 프레스 성형하는 금형기와, 금형기 일측에 드레싱재의 형상을 따라 성형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기 및 드레싱재 원단을 금형기로 공급하며, 절단된 드레싱재를 분리하는 회수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보 제0987287호에 기재된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에는 드레싱재를 가열 성형하고 절단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보 1934430호에 기재된 의료용 드레싱 패치 성형장치는 상, 하부 포장지 공급부(160, 170), 포장부(180). 세로 커팅부(190), 포장 이송부(200), 가로 커팅부(210), 포장 잔재 회수부(220) 및 작업자가 완제품의 양품, 불량품을 육안 검사할 수 있게 하는 배출 콘베이어부(230)를 갖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보 0997772호에 기재된 패치 자동 제조 장치에는, 원단 권출, 절개선 형성, 패치 원단 제조, 원단 폐지 회수, 패치 원단 실링, 포장지 예열 및 실링, 포장지 커팅, 폐포장지 회수, 완제품 패치 스태커로의 이송 단계를 거치면서 패치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특허를 받은 특허공보 제1248121호의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에는, 피더(110), 반칼 유니트(120), 예열기(130), 성형기(140), 냉각기(150), 프레스 커팅기(160), 드레싱재 잔재 회수기(170), 보호용 필름 공급부(180), 필름 커팅기(190), 필름 잔재 회수기(200), 피치 이송기(220), 이형지 잔재 회수기(230), 피치 변환기(240), 실링 포장기(250) 및 포장 커팅기(260)로 이루어지는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 특허공보 제1004818호 : 특허공보 제0987287호 : 특허공보 1934430호 : 특허공보 0997772호 : 특허공보 제1248121호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드레싱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얇게 하기 위한 베벨 처리를 하거나, 단순하게 드레싱재 원단을 절단하고 필름으로 포장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특허를 받은 특허공보 제2056627호의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는, 드레싱 밴드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해 드레싱 밴드를 제조하게 되면, 제조 후에 드레싱 밴드를 별도의 실링지로 포장하여야 하는 공정을 거쳐야만 완제품을 얻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이러한 별도의 공정을 거쳐여만 하는 것에 의하여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하는 등 경제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에는, 드레싱 밴드(타발된 제품)를 포장하기 위하여 포장 간격 만큼 벌려주기 위하여 타발제품 이송부(140)의 하방에 피치 변환부(150)를 설치하고, 상기 피치 변환부(150)의 후방에 상, 하부 포장지 공급부(160, 170)를 설치하는 것으로, 포장 공정이 복잡해지고, 포장을 위한 드레싱 밴드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공보 제2056627호에 의하여 제조된 드레싱 밴드를 이송하면서 연결된 공정에서 실링지 포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드시 포장의 전 단계로서의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드레싱 밴드를 벌크로 제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중 발생하는 불량품을 쉽게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또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다수 개씩 적층하여, 작업자가 적층된 드레싱 밴드를 수거하는 것만으로 제조, 포장 공정을 완료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1] 길이 방향으로 파단선이 형성된 이형지 필름 원단(10)에 드레싱재 원단(20)을 도포한 원단(P)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원단을 공급하여, 가압된 드레싱재(21)를 다수개 부착시킨 드레싱 밴드(1)를 제조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1000)로부터 제조된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기 위한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는,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에 의해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되어 배치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흡착구(1131)를 가지며,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는, 하나의 흡착구 지지판(1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를 지지하면서 흡착구(1131)가 이동 가능하게 흡착구 지지공(1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 지지공(1132)은, 흡착구 지지판(1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흡착구(1131)는,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할 때는 흡착구 지지공(1132)의 내측에 고정되며, 드레싱 밴드(1)를 흡착 해제할 때는 흡착구 지지공(1132)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은,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에 설치된 상부 지지판(1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판(1110)과 함께 직선 이동하며, 상기 상부 지지판(1110)의 상측에는,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의 상, 하 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11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1110)과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 사이에는, 콘트롤러 지지판(1120)을 설치하며,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12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121)를 설치하여,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 콘트롤러 지지판(1120) 및 상부 지지판(1110)은,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에 의하여 함께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121)는, 상기 다수 개 흡착구(11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개별적으로 하며, 상기 콘트롤러(1121)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와 동일한 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흡착구(113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며, 상기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는, 상, 하 운동하는 스토퍼(1011)를 설치하며, 상기 스토퍼(10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남아 있는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11)의 하측에는 브러쉬(1012)를 부착하여,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7] 길이 방향으로 파단선이 형성된 이형지 필름 원단(10)에 드레싱재 원단(20)을 도포한 원단(P)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원단을 공급하여, 드레싱재(21)를 다수개 부착시킨 드레싱 밴드(1)를 제조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된 드레싱 밴드(1)를 각각 포장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기 위한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는,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 제조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포장체 흡착구(1731)를 가지며,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는, 하나의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를 지지하면서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가 이동 가능하게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8]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은,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할 때는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의 내측에 고정되며,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 해제할 때는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9]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에 설치된 상부 지지판(17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판(1710)과 함께 직선 이동하며, 상기 상부 지지판(1710)의 상측에는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의 항, 하 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71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1710)과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 사이에는 콘트롤러 지지판(1720)을 설치하며,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72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하는 콘트롤러(1721)를 설치하여,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 콘트롤러 지지판(1720) 및 상부 지지판(1710)은,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에 의하여 함께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721)는, 상기 다수 개 포장체 흡착구(17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개별적으로 하며, 상기 콘트롤러(1721)는,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와 동일한 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1]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하며,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는 상, 하 운동하는 스토퍼(1611)를 설치하며, 상기 스토퍼(16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남아 있는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2]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11)의 하측에는 브러쉬(1612)를 부착하여,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3]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은, X축 또는 Y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두 방향 모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4] 상기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구(1131)에 의하여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만들기 위한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5] 상기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구(1131)에 의하여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는, 드레싱 밴드(1)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공보 제2056627호에 의하여 제조된 드레싱 밴드를 이송하면서 연결된 공정에서 실링지 포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드시 포장의 전 단계로서의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드레싱 밴드를 벌크로 제조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중 발생하는 불량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또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다수 개씩 적층하여, 작업자가 적층된 드레싱 밴드를 수거하는 것만으로 제조, 포장 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의 정면도.
도 2는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에 의해 제조된 드레싱 밴드(1)의 개념도.
도 3은 드레싱 밴드(1)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드레싱 밴드(1) 제조를 위한 이형지 필름 원단(10)과 드레싱재 원단(20)으로 이루어지는 원단(P)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의 후단부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의 Y축 이재기의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의 X축 이재기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의 Y축 이재기 및 X축 이재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상면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의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의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1)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 17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1)와 동일한 의미로 드레싱 밴드(1)라고도 한다.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는, 상기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한 것으로, 드레싱 밴드(1)의 하면에 실링지가 놓여지고, 상면에 비닐지가 덮여진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포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드레싱 밴드(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이형지 필름(11), 가압된 드레싱재(21) 및 상기 가압된 드레싱재(21)들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필름(3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레싱 밴드(1) 뿐만 아니라, 상기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한 포장체(111)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특허를 받은 특허공보 제2056627호에 기재된 발명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드레싱 밴드(1)의 제조에 관한 기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특허공보 제2056627호에 기재된 발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를 받은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인 특허공보 제2056627호 발명의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절단 수단(800) 이후의 공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1)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 1700)는,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는 것과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도면을 살펴보면서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에 의해서 제조된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부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가 Y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하여, 별도의 저장부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가 X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X 방향 및 Y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를 X 방향으로 작동시키거나 Y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은 선택적으로만 가능하지만, 도 10의 상면 개념도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X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와 Y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전 단계인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1000)에서 만들어진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별도의 저장부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기 위하여,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 상부 지지판(1110), 콘트롤러 지지판(1120), 흡착구 지지판(1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도면을 살펴보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 지지판(1110), 콘트롤러 지지판(1120), 흡착구 지지판(1130)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직선 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 함께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은, 상기 상부 지지판(11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1111)에 의하여 상, 하 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는,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에 의해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흡착구(1131)가 지지 설치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는, 하나의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는 흡착구(1131)가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1) 사이를 벌릴 수 있도록 흡착구 지지공(113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흡착구(1131)를 가로로 4열, 세로로 3열로 이루어진 12개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였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12개의 흡착구(1131)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은 상, 하 운동과 직선 운동을 하며, 상, 하 운동은 상기 솔레노이드(1111)에 의해 제어되고, 직선 운동은 콘베이어(미도시)에 설치되어 직선 운동하는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부 지지판(1110), 콘트롤러 지지판(1120)과 일체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은, 드레싱 밴드(1) 또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X 방향 또는 Y 방향에 모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X 방향으로 설치되면,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적층되어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를 드레싱 밴드(1)의 제조 공정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별도의 저장부로 저장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Y 방향으로 설치되면,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적층되어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제조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 7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드레싱 밴드(1)를 X 방향으로 이송하거나, Y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흡착구(1131)에 진공 흡착된 드레싱 밴드(1)는, 이송된 후에 흡착구 지지판(11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흡착 해제되어, 별도의 저장부 또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흡착구 이송판(1130)은, 상기 솔레노이드(111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흡착구 이송판(1130)에 지지 설치되는 흡착구(1131)가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놓여진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하고, 상기 흡착구(1131)가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한 상태에서 흡착구 이송판(1130)이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 드레싱 밴드(1)의 저장부로 이동하여 흡착구(1131)가 펼쳐진 상태에서, 흡착구 이송판(1130)이 하측으로 이동한 후에 흡착구(1131)에 의한 진공 흡착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1110), 콘트롤러 지지판(1120) 및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12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은, 콘베이어(미도시)에 설치되는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에 의해 직선 이동된다.
또한,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 설치되는 흡착구(11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는,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120)에 설치되는 상기 콘트롤러(11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구(1131)의 진공 제어는,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기 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거나, 불량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지 않기 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거나,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한 후에 진공을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흡착구(1131)의 위치 제어는, 드레싱 밴드(1)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진공 흡착하여, 별도의 저장부 또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흡착구(1131)의 위치 제어는, 드레싱 밴드(1)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진공 흡착하는 경우에는, 도 7(b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흡착구(1131)를 상기 흡착구 지지공(1132)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또한,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한 상태에서 흡착구 지지판(1130)이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 별도의 저장부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동하고, 그 후 상기 흡착구(1131)를 상기 흡착구 지지공(1132)의 외측에 고정시킨 후에, 즉 도 7(b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드레싱 밴드(1)들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흡착구 지지공(1132)은,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놓여진 드레싱 밴드(1)를 진공 흡착할 수 있는 위치에 흡착구(1131)를 고정할 수 있게 하면서, 진공 흡착한 드레싱 밴드(1)를 서로 떨어진 상태로 피치 변환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서로 떨어진 상태로 피치 변환하여 별도의 저장부에서 흡착 해제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흡착구 지지공(1132)은,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 형성하는 것이므로, 도 7(b1), (b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흡착구 지지공(1132)을 흡착구 지지판(11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진공 흡착된 드레싱 밴드(1)를 피치 변환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흡착구(113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한다.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는 상, 하 운동하는 스토퍼(1011)를 설치한다.
상기 스토퍼(10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남아 있는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스토퍼(10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놓여진 드레싱 밴드(1)가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의하여 흡착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된 드레싱 밴드 (1) 중에서는, 드레싱 밴드 제조 공정 중에서 비전 검사 등에 의하여 불량으로 판단된 드레싱 밴드(1)도 포함되어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불량으로 판단된 드레싱 밴드(1)는 콘트롤러(1121)에 의해 해당 흡착구(1131)에 진공을 발생시키지 않는 제어를 통하여, 드레싱 밴드(1)가 흡착구(1131)에 흡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남겨진 불량 드레싱 밴드 (1)는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남겨진 상태로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전방으로 원 위치되며, 이 때 상기 스토퍼(1011)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남겨진 불량 드레싱 밴드(1)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밀어서 제거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이때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의 아래쪽으로 불량 드레싱 밴드(1)를 회수하는 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011)의 하측에는 브러쉬(1012)를 더 부착하여 불량 드레싱 밴드(1)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는, 본 발명의 전 단계인 드레싱 밴드 포장체 제조장치에서 만들어진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진공 흡착하여 별도의 저장부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기 위하여,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 상부 지지판(1710), 콘트롤러 지지판(120), 흡착구 지지판(17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살펴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의 작용은, 실질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상부 지지판(1710), 콘트롤러 지지판(1720),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이 직선 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 함께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상기 상부 지지판(17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1711)에 의하여 상, 하 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포장체 흡착구(1731)가 지지 설치된다.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는, 하나의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 의해 지지되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는, 포장체 흡착구(1731)가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진공 흡착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 사이를 벌릴 수 있도록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도면에는 미도시, 173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를 가로로 4열, 세로로 3열로 이루어진 12개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였다. 그렇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12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상, 하 운동과 직선 운동을 하며, 상, 하 운동은 상기 솔레노이드(1711)에 의해 제어되고, 직선 운동은 콘베이어(미도시)에 설치되는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부 지지판(1710), 콘트롤러 지지판(1720)과 일체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은,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제조하는 공정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Y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Y 방향만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X 방향으로 이송하거나, Y 방향으로 이송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포장체 흡착구(1731)에 진공 흡착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는,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후에 포장체 흡착구(1731)가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저장부로 이송된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상기 솔레노이드(171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놓여진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진공 흡착하고,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저장부로 이동하여 포장체 흡착구(1731)가 펼쳐진 상태로, 즉 피치 변환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한 후에 진공 흡착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1710), 콘트롤러 지지판(1720) 및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720)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콘베이어(미도시)에 설치되는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에 의해 직선 이동된다.
또한,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 설치되는 흡착구(17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는 상기 콘트롤러(17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의 진공 제어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기 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거나,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이송하지 않기 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거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한 후에 진공을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의 위치 제어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별도의 저장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포장체 흡착구(1731)의 위치 제어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진공 흡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를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또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진공 흡착한 상태에서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별도의 저장부로 이동하고, 그 후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를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의 외측에 고정시키고,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들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은,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놓여진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진공 흡착할 수 있는 위치에 포장체 흡착구(1731)를 고정할 수 있게 하면서, 진공 흡착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피치 변환하여 별도의 저장부로 펼쳐서 흡착 해제할 수 있도록 직선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은,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 형성하는 것이므로,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을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진공 흡착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피치 변환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한다.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는 상, 하 운동하는 스토퍼(1611)를 설치한다.
상기 스토퍼(16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남아 있는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스토퍼(10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놓여진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가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에 의하여 흡착될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이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 중에서는, 드레싱 밴드 제조 공정 중에서 이물질 검사 등에 의하여 불량으로 판단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도 포함되어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불량으로 판단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는 콘트롤러(1721)에 의해 해당 포장체 흡착구(1731)에 진공을 발생시키지 않는 제어를 통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가 포장체 흡착구(1731)에 흡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남겨진 불량 드레싱 밴드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남겨진 상태로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전방으로 원 위치되며, 이 때 상기 스토퍼(1611)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남겨진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밀어서 제거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이때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의 아래쪽으로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회수하는 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611)의 하측에는 브러쉬(1612)를 더 부착하여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드레싱 밴드
10 : 이형지 필름 원단
11 : 이형지 필름
12 : 파단선
20 : 드레싱재 원단
21 : 가압된 드레싱재
31 : 보호필름
P : 원단(이형지 필름 원단 + 드레싱재 원단)
111 : 드레싱 밴드 포장체
1000 :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
1010 : 드레싱 밴드 이송판
1011 : 스토퍼
1012 : 브러쉬
1100 :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1110 : 상부 지지판
1111 : 솔레노이드
1120 : 콘트롤러 지지판
1121 : 콘트롤러
1130 : 흡착구 지지판
1131 : 흡착구 지지공
1132 : 흡착구
1140 :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
1610 :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
1611 : 스토퍼
1612 : 브러쉬
1700 :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1710 : 상부 지지판
1711 : 솔레노이드
1720 : 콘트롤러 지지판
1721 : 콘트롤러
1730 :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
1731 :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
1732 : 포장체 흡착구
1740 :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

Claims (15)

  1. 길이 방향으로 파단선이 형성된 이형지 필름 원단(10)에 드레싱재 원단(20)을 도포한 원단(P)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원단을 공급하여, 가압된 드레싱재(21)를 다수개 부착시킨 드레싱 밴드(1)를 제조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1000)로부터 제조된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기 위한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1100)는,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 장치(1000)에 의해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되어 배치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흡착구(1131)를 가지며,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는, 하나의 흡착구 지지판(1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를 지지하면서 흡착구(1131)가 이동 가능하게 흡착구 지지공(1132)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흡착구(113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며,
    상기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는, 상, 하 운동하는 스토퍼(1011)를 설치하며,
    상기 스토퍼(10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이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에 남아 있는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 지지공(1132)은, 흡착구 지지판(1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흡착구(1131)는,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할 때는 흡착구 지지공(1132)의 내측에 고정되며, 드레싱 밴드(1)를 흡착 해제할 때는 흡착구 지지공(1132)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은,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에 설치된 상부 지지판(1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판(1110)과 함께 직선 이동하며,
    상기 상부 지지판(1110)의 상측에는,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의 상, 하 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11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1110)과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 사이에는, 콘트롤러 지지판(1120)을 설치하며,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12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121)를 설치하여,
    상기 흡착구 지지판(1130), 콘트롤러 지지판(1120) 및 상부 지지판(1110)은,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에 의하여 함께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121)는, 상기 다수 개 흡착구(11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개별적으로 하며,
    상기 콘트롤러(1121)는, 상기 다수 개의 흡착구(1131)와 동일한 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011)의 하측에는 브러쉬(1012)를 부착하여, 불량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이송판(10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7. 길이 방향으로 파단선이 형성된 이형지 필름 원단(10)에 드레싱재 원단(20)을 도포한 원단(P)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원단을 공급하여, 드레싱재(21)를 다수개 부착시킨 드레싱 밴드(1)를 제조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된 드레싱 밴드(1)를 각각 포장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기 위한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진공 흡착 이재기(1700)는,
    상기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 제조 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가로, 세로로 절단된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의 수와 동일한 수의 포장체 흡착구(1731)를 가지며,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는, 하나의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를 지지하면서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가 이동 가능하게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이 형성되며,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를 직선 운동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후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하며,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의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 사이에는 상, 하 운동하는 스토퍼(1611)를 설치하며,
    상기 스토퍼(1611)는,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전방 위치에서 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이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에 남아 있는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은,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포장체 흡착구(1731)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할 때는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의 내측에 고정되며,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흡착 해제할 때는 포장체 흡착구 지지공(1732)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은,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에 설치된 상부 지지판(17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판(1710)과 함께 직선 이동하며,
    상기 상부 지지판(1710)의 상측에는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의 상, 하 운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171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판(1710)과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 사이에는 콘트롤러 지지판(1720)을 설치하며,
    상기 콘트롤러 지지판(1720)에는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하는 콘트롤러(1721)를 설치하여,
    상기 포장체 흡착구 지지판(1730), 콘트롤러 지지판(1720) 및 상부 지지판(1710)은,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740)에 의하여 함께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721)는, 상기 다수 개 포장체 흡착구(1731)의 진공 제어 및 위치 제어를 개별적으로 하며,
    상기 콘트롤러(1721)는, 상기 다수 개의 포장체 흡착구(1731)와 동일한 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11)의 하측에는 브러쉬(1612)를 부착하여, 불량 드레싱 밴드 포장체를 드레싱 밴드 포장체 이송판(16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은, X축 또는 Y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두 방향 모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구(1131)에 의하여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는, 드레싱 밴드 포장체(111)를 만들기 위한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베이어 프레임(1140)이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구(1131)에 의하여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1)는, 드레싱 밴드(1)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의 진공 흡착 이재기.
KR1020200067411A 2020-06-04 2020-06-04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KR10215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11A KR102151977B1 (ko) 2020-06-04 2020-06-04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11A KR102151977B1 (ko) 2020-06-04 2020-06-04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977B1 true KR102151977B1 (ko) 2020-09-04

Family

ID=7247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11A KR102151977B1 (ko) 2020-06-04 2020-06-04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8952A (zh) * 2021-04-19 2021-06-22 泰州市瑞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基于全粘胶纤维无纺布的医用敷料制备工艺
KR102329118B1 (ko) * 2021-02-01 2021-11-22 주식회사 제이에스메디텍 패치 제조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232U (ja) * 1993-04-08 1994-10-28 鐘紡株式会社 ワーク間隔調整装置
KR100987287B1 (ko) 2010-04-05 2010-10-12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997772B1 (ko)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004818B1 (ko) 2010-07-08 2010-12-28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934430B1 (ko) 2018-07-17 2019-01-03 주식회사 엘티와이 의료용 드레싱 패치 성형장치
CN109516206A (zh) * 2018-12-26 2019-03-26 慧眼自动化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间距可自由控制的多吸头等间距精密拉开机构
KR102056627B1 (ko) * 2019-08-26 2019-12-17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232U (ja) * 1993-04-08 1994-10-28 鐘紡株式会社 ワーク間隔調整装置
KR100987287B1 (ko) 2010-04-05 2010-10-12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997772B1 (ko)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004818B1 (ko) 2010-07-08 2010-12-28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934430B1 (ko) 2018-07-17 2019-01-03 주식회사 엘티와이 의료용 드레싱 패치 성형장치
CN109516206A (zh) * 2018-12-26 2019-03-26 慧眼自动化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间距可自由控制的多吸头等间距精密拉开机构
KR102056627B1 (ko) * 2019-08-26 2019-12-17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118B1 (ko) * 2021-02-01 2021-11-22 주식회사 제이에스메디텍 패치 제조장치
CN112998952A (zh) * 2021-04-19 2021-06-22 泰州市瑞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基于全粘胶纤维无纺布的医用敷料制备工艺
CN112998952B (zh) * 2021-04-19 2023-09-08 泰州市瑞雪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基于全粘胶纤维无纺布的医用敷料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977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및 드레싱 밴드 포장체의 진공 흡착 이재기
KR102056627B1 (ko)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KR102174580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포장 장치
KR101469219B1 (ko) 시트 마스크 자동포장 장치
CN101941612B (zh) 薄板翻转装置及薄板搬运装置
KR101656446B1 (ko) 실링 및 디스태킹
US9630731B2 (en) Apparatus for sorting objects
WO200812248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hrlagigen bestapeln eines trägers
ES2546436T3 (es) Máquina de envolver y método para envolver
CN107878813A (zh) Tp制程覆膜机
US8521324B2 (en) Automatic store and method for storing plates of electronic circuits
WO2007131822A1 (de) Verfahren zum verpacken von produkten in wallet packungen
CN109952191A (zh) 用于将降噪元件施加至用于车辆车轮的轮胎的工艺和设备
KR101313495B1 (ko)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827479B1 (ko) 칩 분리장치
CN103818095B (zh) 一种精装盒的面纸覆面机
US20180354215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pplying noise reducer elements to tyres for vehicle wheels
KR102185729B1 (ko)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자동 포장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KR102048717B1 (ko)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를 위한 원단 이송장치
KR102185740B1 (ko)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CN103596892B (zh) 板状玻璃物品的分离装置
CN207467063U (zh) Sensor模组覆膜机
KR102439071B1 (ko) 드레싱 밴드의 불량품 선별 장치
KR102311714B1 (ko)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JP4098471B2 (ja) パッケージング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