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740B1 -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740B1
KR102185740B1 KR1020200107094A KR20200107094A KR102185740B1 KR 102185740 B1 KR102185740 B1 KR 102185740B1 KR 1020200107094 A KR1020200107094 A KR 1020200107094A KR 20200107094 A KR20200107094 A KR 20200107094A KR 102185740 B1 KR102185740 B1 KR 10218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dressing band
dressing
packag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코메디칼
Priority to KR102020010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65B5/045Packaging single articles i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2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상처의 보호 등을 위하여, 환부에 부착하는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를 제조한 후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단 위에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부착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따라 파단선을 형성한 이형지 필름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있어서,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은,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와, 상기 파우치(10)에 상기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1)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로타리 포장장치(200)와,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에 의해 포장된 드레싱 밴드(1)가 정량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불량품 검출장치(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Description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pouch automatic packing system for packing dressing band in pouch}
본 발명은 피부 상처의 보호 등을 위하여, 환부에 부착하는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를 제조한 후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단시간 내에 다량의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를 포장하는데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드레싱 밴드의 포장 불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제조된 드레싱 밴드를 드레싱 밴드 자동 이송장치와 파우치에 자동 포장하는 로터리 포장장치와 불량품 제거를 하나의 시스템에 완성시키고자 하는,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창상, 외상 등에 의해서 피부가 결속, 상처가 발생하게 되면 피부의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발생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적절한 드레싱을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드레싱을 위해서 종래에는 거즈형 드레싱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상처 분비물의 흡수는 용이하나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부착하여 교환시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치유 초기 단계에서는 삼출물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 번씩 드레싱을 교환해 주어야하는 단점 등이 있어, 근래에는 상기한 거즈형 드레싱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필름 드레싱재,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 부착면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는 역시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우레탄 부착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촉매, 물 등의 고분자가 혼합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는 흡습성과 습윤 환경 유지에 기인하는 상처 보호 능력과 뛰어난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과 같은 드레싱재는 1회용을 사용하기 위하여 드레싱 밴드로 제조하고, 이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파우치에 포장한 상태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기 위하여 드레싱 밴드를 자동 공급하며, 자동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롤 자동으로 로타리 포장기에서 포장하며, 포장 후, 드레싱 밴드가 포장된 파우치의 물량 여부 판정을 일체화 된 시스템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품의 파우치 포장 등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보 제10-0538048호(2005. 12. 14. 등록)에는, 구동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한 시차로 회전함과 아울러 파우치 용기 및 스파우트를 잡아주기 위한 한 쌍의 파우치 고정홀더와 스파우트 고정홀더가 그 외주를 따라 다수 설치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된 홀더의 이송궤도상에 설치되어 파우치 용기를 상기 홀더측에 공급해주는 파우치 용기 공급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홀더에 고정된 파우치용기의 개방 상단에 스파우트를 삽입시켜주는 스파우트 삽입수단과; 상기 스파우트가 삽입된 파우치용기의 개방 상단을 열융착에 의해 실링해주는 실링수단과; 상기 실링된 스파우트를 통해 액체 내용물을 파우치용기의 수용공간에 충진해주는 액체 충진수단과; 상기 액체 내용물이 충진된 파우치용기의 스파우트에 캡을 조립하여 밀봉시키는 캡조립수단과; 상기 캡이 조립된 파우치용기를 턴테이블의 홀더로부터 이탈시켜 외부로 반출시키는 파우치용기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공보 10-1568993호에는, 파우치 공급매거진; 상기 공급매거진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 테이블;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달된 파우치를 클램핑하는 그랩부재를 각각 갖고, 테이블에 축설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리암을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 및 어느 한 로터리암 일측에 구비되고, 그랩부재에 클램핑된 파우치를 벌리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물 충진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포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7-0053188호에는, 지퍼파우치 공급매거진; 상기 공급매거진에서 직선 공급되는 지퍼파우치를 전달하는 트랜스미터; 테이블;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달된 지퍼파우치를 클램핑하는 그랩부재를 각각 갖고, 테이블에 축설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로터리암 세트를 포함하는 로터리 트랜스퍼; 및 어느 한 로터리암 일측에 구비되고, 그랩부재에 클램핑된 파우치를 벌리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포장물 충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물 충진부의 파우치 개방부재는 1차 개방용 흡착패드부와, 2차 개방용 백(bag)집게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포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18-0059015호(2018. 6. 4. 공개)에는, 전후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파우치를 박스의 각 수납홈에 수납하는 장치로 상기 파우치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방에 위치되고 하측에 박스가 위치되도록 바닥면에서 이격 설치되며, 파우치가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는 다수의 슬롯이 상하로 개방되고 폭 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슬롯매거진;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방에 위치되며, 이송되는 파우치를 픽업하여 상기 슬롯매거진의 각 슬롯에 삽입하는 픽업수단; 상기 슬롯매거진과 박스의 사이에 구비되되 슬롯매거진의 둘레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측판과 파우치(1)들이 수용되는 파우치수용부(100) 및 파우치수용부(100)의 저면을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180);를 포함하는 파우치 자동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 특허공보 제1004818호 : 특허공보 제0987287호 : 공개특허공보 2015-0025989호 : 특허공보 0997772호 : 특허공보 제1248121호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로타리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파우치에 제품을 수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복잡한 구성을 갖는 것이며, 제품의 이송, 파우치에의 수용, 불량 검수 등 일련의 과정을 좁은 공간에서 에러 없이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치와는 상이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의 자동 이송, 파우치의 자동 이송 및 파우치에의 드레싱 밴드의 자동 포장, 및 드레싱 밴드가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의 불량 유무의 검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좁은 공간에서 신속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에 포장되는 드레싱 밴드를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그 개 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드레싱 밴드를 한 개만 파우치에 포장할 수도 있으며, 열 개를 포장할 수도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를 이송하기 위하여 진공 흡착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를 확실하게 이송 공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이송수단으로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 컨베이어의 끝단 일측에서 자연스럽게 드레싱 밴드가 낙하되는 것에 의하여, 투입 유도 가이드로 공급되는 것으로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쉽게 공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공급수단의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지퍼가 설치되어 실링된 상측 부분을 후방으로 하고, 개방된 하측 부분을 전방으로 하여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를 파우치 지지부에 공급하고, 파우치에 드레싱 밴드를 쉽게 포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지지 수단을 파우치 포장수단의 중앙축에 고정 설치하고, 파우치 지지부가 파우치 중앙 부분을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의 개방 및 실링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개방부를 파우치의 상, 하, 전, 후에서 흡착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파우치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투입부의 투입 유도 가이드를 상, 하 이동하게 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의 파우치에의 투입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하측부를 실링하는 파우치 실링을 복수 회에 걸쳐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확실한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정보 인쇄부를 파우치 실링이 끝난 후에 실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 정보 내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신 밴드의 공급, 파우치 포장 및 불량품 검사의 기능을 작은 공간을 갖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1] 원단 위에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부착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따라 파단선을 형성한 이형지 필름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있어서,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은,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와, 상기 파우치(10)에 상기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1)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로타리 포장장치(200)와,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에 의해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의 정보를 인쇄하면서, 드레싱 밴드(1)가 정량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면서 이송하는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는, 상기 드레싱 밴드(1)를 횡측으로 다수 열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과,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에 적층된 다수 열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로 공급하는 흡착 이송수단(120)과, 상기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은, 컨베이어(131)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격벽(132)을 설치하고, 상기 다수 개의 격벽(132) 사이에는 드레싱 밴드 저장 이송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끝단부는, 로타리 포장장치(200)에서 이송되는 파우치(10)에 상기 드레싱 밴드(1)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2331)의 상측까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는,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10)를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수단(210)과,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포장수단(230)과,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230)을 고정 지지해 주는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230)은,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를 고정 지지하는 파우치 지지부(231)와,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고정 지지되는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를 개방해 주는 파우치 개방부(232)와, 상기 파우치 개방부(232)에서 파우치 하부(102)가 개방된 파우치 개방구(103)에 드레싱 밴드(1)를 투입하는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와, 상기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에 의해 드레싱 밴드가 투입된 파우치(10)의 전, 후면을 밀착시키는 파우치 밀착부(234)와,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에 의하여 전, 후면이 밀착된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를 실링하는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에 의하여 파우치 하부(102)가 실링된 포장체 파우치(11)를 배출하는 파우치 배출부(2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는,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1)가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11)를 이송하는 것으로,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310),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 및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이송수단(310)은, 제1 내지 제3 배출 컨베이어(3101, 3102, 310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 및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은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3101) 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은,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에서 측정된 중량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의 후방부가 하향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불량 포장체 파우치(11)를 제2 배출 컨베이어(3102)로부터 배출시키며,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의 하측에는 불량품 수거 상자(340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7]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는, 중앙축(221)과 테이블(2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에 45도 각도로 8개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의 3/4 높이 부분을 좌, 우에서 잡아주는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8]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는, 중앙축(221)과 테이블(2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에 45도 각도로 8개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의 3/4 높이 부분을 좌, 우에서 잡아주는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의 자동 이송, 파우치의 자동 이송 및 파우치에의 드레싱 밴드의 자동 포장, 및 드레싱 밴드가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의 불량 유무의 검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좁은 공간에서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에 포장되는 드레싱 밴드를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그 개 수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드레싱 밴드를 한 개만 파우치에 포장할 수도 있으며, 열 개를 포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를 이송하기 위하여 진공 흡착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를 확실하게 이송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이송수단으로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 컨베이어의 끝단 일측에서 자연스럽게 드레싱 밴드가 낙하되는 것에 의하여, 투입 유도 가이드로 공급되는 것으로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쉽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공급수단의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파우치를 지퍼가 설치되어 실링된 상측 부분을 후방으로 하고, 개방된 하측 부분을 전방으로 하여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를 파우치 지지부에 공급하고, 파우치에 드레싱 밴드를 쉽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지지 수단을 파우치 포장수단의 중앙축에 고정 설치하고, 파우치 지지부가 파우치 중앙 부분을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의 개방 및 실링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개방부를 파우치의 상, 하, 전, 후에서 흡착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파우치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투입부의 투입 유도 가이드를 상, 하 이동하게 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의 파우치에의 투입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하측부를 실링하는 파우치 실링을 복수 회에 걸쳐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확실한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정보 인쇄부를 파우치 실링이 끝난 후에 실시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 정보 내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신 밴드의 공급, 파우치 포장 및 불량품 검사의 기능을 작은 공간을 갖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이루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드레싱 밴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공급장치 및 로타리 포장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공급장치의 상면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의 개구부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흡착 이송수단의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로타리 포장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의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부의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파우치 지지부의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파우치 개방부의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투입부의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파우치 밀착부의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파우치 실링부의 사진
도 18은 본 발명의 파우치 배출부의 사진
도 19는 본 발명의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의 상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과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의 전방부 및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의 사진
도 22는 본 발명의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의 사진
도 23은 본 발명의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의 후방부 사진
본 발명은 원단 위에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부착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드레싱재를 따라 파단선을 형성한 이형지 필름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으로,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 로타리 포장장치(200) 및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는, 드레싱 밴드(1)를 다수 열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과,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에 횡측으로 적층된 다수 열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으로 공급하는 흡착 이송수단(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드레싱 밴드(1)를 도 10에 나타나 있는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 등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은, 드레싱 밴드(1)를 저장하는 것으로, 외형은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를 가진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을 개방된 형태로 하여, 관리자가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에 저장된 드레싱 밴드(1)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는 반드시 상면이 개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이물질의 투입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상면이 폐쇄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는, 좌, 우 테두리 부분에 좌, 우 가이드(1111, 1112)를 가지며, 좌, 우 가이드(1111, 1112) 사이에 좌, 우 가이드(1111, 1112)와 평행하게 다수 개의 분리 가이드(1113)를 형성하며, 상기 좌, 우 가이드(1111, 1112)와 분리 가이드(1113) 사이에는 드레싱 밴드(1)를 수용하는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를 형성한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는, 후면 테두리 부분에 후면 가이드(1121)를 형성하고, 전면 부분은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된 드레싱 밴드(1)가 보일 수 있도록 개구부(1115)를 형성한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개구부(1115)에는, 드레싱 밴드(1)가 드레싱 저장부(1114)에 저장된 상태에서 개구부(1115)로 쉽게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개구부(1115)의 좌, 우 양측에 개구부 가이드(1116)을 더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1115)의 상, 하측에는 드레싱 밴드(1)가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 하측에 가이드 돌기(1117)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개구부 가이드(1116)과 상기 가이드 돌기(1117)는 좌, 우, 상, 하측 모두 설치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는, 저장된 드레싱 밴드(1)를 상기 개구부(1115)로 밀어주기 위한 드레싱 밴드 가압판(미도시)을 저장된 드레싱 밴드(1)의 후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드레싱 밴드 가압판은, 자중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1)를 밀어줄 수도 있으며, 드레싱 밴드 가압판의 후면에 인장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미도시)를 설치하여 드레싱 밴드(1)를 개구부(1115)쪽으로 더 쉽게 밀어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후면 가이드(1121)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체 기능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은, 상기와 같이 드레싱 밴드(1)를 저장하고, 드레싱 밴드(1)를 상기 개구부(1115) 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흡착 이송수단(120)이 드레싱 밴드(1)를 쉽게 흡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의 후면은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의 전면보다 높게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드레싱 밴드 가압판(미도시)과 드레싱 밴드(1)의 자중에 의해 드레싱 밴드(1)가 개구부(1115)로 쉽게 밀려 내려 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6에는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를 10개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를 반드시 10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이 설치할 수도 있으며, 더 적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를 10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10개의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10개의 개구부(1115)에 대응되도록, 아래에서 설명하는 10개의 흡착구(121), 10개의 흡착관 개페 밸브(123)가 설치된다.
[흡착 이송수단(120)]
도 8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흡착 이송수단(120)은,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에 저장된 드레싱 밴드(1)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으로 이송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흡착 이송수단(120)은, 흡착구(121), 흡착관(122), 흡착관 개폐 밸브(123), 흡착 유도관(124), 흡착 펌프(미도시), 흡착 유도관 지지축(125), 좌, 우 지지축 회전 가이드(미도시) 및 흡착 이송수단 프레임(1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구(12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115)에 대응되도록 간격을 두고, 개구부(1115)와 동일한 수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흡착구(12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각각 저장된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컨베이어(131)의 격벽(132)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하고 흡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1)를 드레싱 밴드 저장 수단(110)으로부터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흡착관(122)은, 일단이 상기 흡착구(121)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착관 개폐 밸브(123)에 연결된다. 상기 흡착관(122)은 상기 흡착구(121)에서 드레싱 밴드(1)를 흡착 하거나 흡착 해제할 수 있도록, 흡착 펌프(미도시)로의 공기 흐름을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통해서 흡착 유도관(124)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구(121)와 흡착관(122) 사이에는 다수 개의 흡착구(121)를 함께 제어하기 위한 한 개의 흡착구 지지구(1211)를 흡착구(121) 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한개의 흡착구 지지구(1211)에 5개의 흡착구(121)가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한개의 흡착구 지지구(1211)에 5개의 흡착구(121)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착관 개폐 밸브(123)는, 상기 흡착관(122)과 상기 흡착 유도관(124) 사이에 설치되며, 흡착관(122) 하나에, 흡착관 개폐 밸브(123) 하나를 대응되게 설치하여, 각각의 흡착관(122)에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흡착 유도관(124)은, 흡착 펌프(미도시)에 의해 진공 흡착이 가능하도록 공기 흡입을 유도하는 것으로, 일측은 흡착 펌프(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다수개의 흡착관 개폐 밸브(123)가 일렬로 설치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흡착 유도관 지지축(125)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흡착 유도관(124)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 우 지지축 회전 가이드(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좌, 우 지지축 회전 가이드(미도시)는, 흡착 이송수단 프레임(126)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 유도관 지지축(125)을 지지하고, 상기 좌, 우 지지축 회전 가이드(미도시)는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흡착 이송수단 프레임(126)에 설치된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의 전면에 개방된 개구부(1115)와 아래에서 설명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좌, 우 지지축 회전 가이드(미도시)는 흡착 유도관 지지축(125)을 90도 범위에서 상, 하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구(12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의 숫자에 대응되게 10개로 만들고 있으나, 상기 10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구(121)의 공기 흡입을 제어하는 흡착관 개폐 밸브(123)는, 각각의 흡착구(121)를 제어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개의 흡착구(121)가 있으면, 상기 10개에 대응되도록 10개의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개폐 제어하는 것으로 흡착구(121)에 의한 흡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2321)로 유도하는 경우에, 하나의 파우치(10)에 10개의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모두 개방하여 10개의 흡착구(121)가 10개의 드레싱 밴드(1)를 모두 흡착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파우치(10)에 5개의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5개만 개방하여 5개의 흡착구(121)가 5개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흡착구(121)와 흡착관 개폐 밸브(123)는 서로 대응되도록 하며, 또한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된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대응되는 흡착구(121)와 대응되는 흡착관 개폐 밸브(123)만을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흡착구(121)가 흡착하지 않는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는 드레싱 밴드(1)를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된 드레싱 밴드(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으로 이송되며,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에서 파우치 포장수단의 투입 유도 가이드(2321)로 투입될 드레싱 밴드(1)의 개 수가 결정되면, 그 개 수에 맞추어서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개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흡착구(121)가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된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이송 수단(130)으로 이송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착구(121)는,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에 저장되고, 상기 개구부(1115)의 좌, 우 부분에 설치된 개구부 가이드(1116) 및 상, 하 부분에 설치된 가이드 돌기(1117)에 의해 지지되는 드레싱 밴드(1)의 중앙부를 흡착한 상태에서, 드레싱 밴드(1)를 상기 컨베이어(131)의 격벽(132) 사이로 페쇄된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 공급한 후에 흡착을 해제하게 된다.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
도 8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은, 상기 흡착 이송수단(120)에 의해 흡착되어 이송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 포장장치(미도시)의 투입 유도 가이드(2321)(도 10에 표시)로 이송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은, 컨베이어(131)와 컨베이어(131) 상측에 설치하는 격벽(13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격벽(132) 사이에는 상기 흡착구(121)에 흡착되어 공급되는 상기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어 이송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31)는,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이동과 정지의 반복 주기는, 상기 흡착구(121)가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고,상기 컨베이어(131) 상측에 설치되는 격벽(132) 사이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의 상측에서 흡착 해제할 때까지는 정지하며, 상기 흡착구(121)가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의 상측에서 드레싱 밴드(1)를 흡착 해제하고, 상기 개구부(1115)의 좌, 우 부분에 설치된 개구부 가이드(1116) 및 상, 하 부분에 설치된 가이드 돌기(1117)에 의해 지지되는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기 전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31)의 1회 이동 거리는,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의 길이만큼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흡착구(121)에 의하여 흡착된 드레싱 밴드(1)가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10개의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해서는, 10개의 흡착구(121) 모두에 대응되는 10개의 흡착관 제어 밸브(123) 모두를 개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컨베이어(131)에 설치된 격벽(132) 사이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의 10개 공간 모두에 1개씩의 드레싱 밴드가 이송 공급되므로, 상기 격벽(132)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부(133)에는 모두 10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적층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에 위치하되는 드레싱 밴드 저장부(133)에 저장된 10개의 드레싱 밴드(1)가 투입 유도 가이드(2321)로 자유 낙하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 포장장치의 파우치(10)로 공급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흡착구(121)에 대해서 10개의 흡착구 중에서 5개(1215 내지 1219), 흡착관 개폐 밸브(123)에 대해서 10개의 흡착관 개폐 밸브 중에서 5개(1235 내지 1239)를 표시한다. 또한,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대해서는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를 별도로 도면부호를 표시하지 않았으나, 최전방측의 드레싱밴드 저장 공급부를 포함하여 후방으로 5개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드레싱 밴드(1)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5개의 흡착구(1215 내지 1219), 5개의 흡착관 개폐 밸브(1235 내지 1239)는 지정된 구성이며, 5개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는 컨베이어(131)가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므로, 위치만 지정되는 것이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파우치(10)에 포장되는 드레싱 밴드(1)를 5개로 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5개의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해서는,
첫째)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대응되는, 1235 내지 1239의 5개의 흡착관 개폐 밸브(123)를 개방한다.
상기 1235 내지 1239의 5개의 흡착관 개폐 밸브(123)의 개방에 의해, 상기 5개의 1215 내지 1219의 흡착구(121)가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되어 있는 드레싱 밴드(1)를 1개씩 흡착하여, 정지 중인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 공급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각각 1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된다.
둘째) 상기와 같이 1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부(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31)가 이동하며, 상기 5개의 1215 내지 1219의 흡착구(121)가 다시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되어 있는 드레싱 밴드(1)를 1개씩 흡착하여, 정지 중인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 공급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그 후방으로 4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각각 2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된다.
셋째) 상기와 같이 2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그 후방으로 4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31)가 이동하며, 상기 5개의 1215 내지 1219의 흡착구(121)가 다시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되어 있는 드레싱 밴드(1)를 1개씩 흡착하여, 정지 중인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 공급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그 후방으로 3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각각 3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4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2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된다.
넷째) 상기와 같이 3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그 후방으로 3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2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으로부터 4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33)가 이동하며, 상기 5개의 1215 내지 1219의 흡착구(121)가 다시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되어 있는 드레싱 밴드(1)를 1개씩 흡착하여, 정지 중인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 공급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과 그 후방으로 2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각각 4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3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3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4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2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된다.
다섯째) 상기와 같이 4개씩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와 그 후방으로 2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3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3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2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으로부터 4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33)가 이동하며, 상기 5개의 1215 내지 1219의 흡착구(121)가 다시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에 저장되어 있는 드레싱 밴드(1)를 1개씩 흡착하여, 정지 중인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5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 이송 공급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5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그 후방으로 2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4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3번째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3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고,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4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2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로부터 후방으로 5번째에 위치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는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저장된다.
여섯째) 상기와 같이 5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4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2번째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3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3번째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되고, 2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으로부터 4번째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0에 저장되고, 1개의 드레싱 밴드(1)가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최전방측으로부터 5번째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에 저장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31)가 이동하면, 상기 컨베이어(131)의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 위치에 저장된 5개의 드레싱 밴드(1)가 컨베이어(131)의 이동에 의하여 아래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컨베이어(131)의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 위치에 저장된 5개의 드레싱 밴드(1)는 파우치 포장수단의 드레싱 밴드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2321)로 자유 낙하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10)로 투입된다.
일곱째) 이후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상기 컨베이어(131)의 최전방측의 드레싱 밴드 저장 공급부(133) 위치에 저장된 5개의 드레싱 밴드(1)가 지속적으로 파우치(10)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는, 5개의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파우치(10)에 포장하는 드레싱 밴드(1)의 수는 다양하게 바꿀 수 있으며, 드레싱 밴드(1)가 수용되는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의 위치에 따라 흡착구 개폐 밸브(123)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로타리 포장장치(200)]
본 발명의 로타리 포장장치(200)는, 파우치 공급수단(210), 포장장치 지지체(220) 및 파우치 포장수단(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파우치 공급수단(210)]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드레싱 밴드(1)를 도 18 등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하여 파우치(10)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8 등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포장 과정에서는, 파우치(10)의 상부, 즉 지퍼가 형성된 개방부를 하측으로 지지하고, 파우치(10)의 하부를 상측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수단(210)은,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기 위한 준비 단계의 수단으로, 지퍼가 설치된 파우치 상부(101)(설명의 편의상 아래에서는 단순히 '파우치 상부(101)'라고 기재한다)를 후방으로 하고, 개방된 파우치 하부(102)를 전방으로 하여 파우치를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와, 상기 파우치 공급 컨베이서(211) 상의 공급 방향 전방에 설치되는 파우치 누름 롤러(미도시)와, 상기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로부터 공급되는 파우치(10)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 측으로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부(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에서 이송하는 파우치(10)는, 서로 떨어지 상태로 공급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10)가 서로 일정 길이만큼 중복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파우치(10)를 일정 거리만큼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로타리 포장장치(200)의 전체 크기도 작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10)를 일정 거리만큼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면서, 파우치(10)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파우치(10)만을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 측으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 측으로 공급되는 파우치(10) 중에서 공급 컨베이어(211)의 공급 방향 최전방에 위치하는 파우치(10)를 제외한 나머지 파우치(10)를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 상에서 지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공급 방향 최전방에 위치하는 파우치(10)를 제외한 나머지 파우치(10)를 눌러 지지하는 파우치 누름 롤러(미도시)를 공급 컨베이어(211)의 공급 방향 전방측에 설치한다.
상기 파우치 누름 롤러(미도시)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는,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 공급 방향 전방측의 끝 단부로부터 1개의 파우치(10)의 길이 이상 떨어진 부분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위치에 파우치 누름 롤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공급부(213)의 파우치 흡착구(2131)가 한 장의 파우치(10)만을 흡착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공급 방향 전방측의 끝 단부에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 지지 가이드(2111)를 설치하여,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가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파우치 공급부(213)는,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의 중앙축(221)에 고정 설치되는 파우치 지지부(231)로 이송하는 것으로, 파우치 흡착구(2131)와 흡착구 회전 이송부(2132)와 파우치 하부 집게(2133)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 흡착구(2131)는, 상기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공급 방향 전방측으로 공급되는 최전방에 위치한 파우치(10)를 흡착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흡착된 파우치(10)는 상기 흡착구 회전 이송부(2132)에 의하여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진행 방향 상측으로 회전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 이송된 파우치(10)는 상기 파우치 하부 집게(2133)에 의하여 잡혀진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지지부(23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파우치 흡착구(2131)는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 상에서 진행 방향으로 공급되는 최전 방의 파우치(10)의 중간 부분을 흡착하고, 상기 흡착구 회전 이송부(2132)는 파우치(10)를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211)의 면에서 90도 정도로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파우치(10)를 이송시키며, 상기 파우치 하부 집게(2133)는 상기 흡착구 회전 이송부(2132)에서 이송된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를 잡아 파우치 지지부(231)로 공급한다.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는, 도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 수단(230)의 각각의 구성 즉 파우치 지지부(231) 내지 파우치 배출부(238)를 고정 지지해 주는 수단이다.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는, 중앙축(221)과 테이블(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축(221)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수단(230)의 파우치 지지부(231)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221)에 45도 각도마다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총 8개가 고정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 파우치 실링부(235) 내지 제3 파우치 실링부(237)의 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중앙축(221)에 지지되는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의 수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축(221)은, 상기 테이블(222)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이블(222)의 아래에는 상기 중앙축(221)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성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축(221)은 회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수단(230)의 각 단계 마다에서 포장 작업을 하는 경우에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파우치 지지부(231)는 중앙축(22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테이블(222)의 하측에서 테이블(222)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이블(222) 상, 하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포장수단(230)의 각각의 구성들이 고정 설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테이블(222)의 일측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파우치 밀착부(234), 제1 파우치 실링부(235) 내지 제3 파우치 실링부(237)가 설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보조 테이블(2221)을 더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 밀착부(234), 제1 파우치 실링부(235) 내지 제3 파우치 실링부(237)에 보조 테이블(2221)를 더 설치하는 하는 것은,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 제1 파우치 실링부(235) 내지 제3 파우치 실링부(237)의 구성을 테이블(222)에 설치하게 되면, 전체 테이블(222)의 구성이 지나치게 커지며, 또한, 파우치(10)의 밀착 및 실링을 위한 구성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230)의 구성들이 테이블(222) 및 보조 테이블(2221)에 고정 지지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우치 포장수단(230)]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수단(230)은, 상기 파우치 지지체(220)에 고정 지지되고 있는 파우치(10)에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하는 수단이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수단(230)은, 상기 테이블(222) 및 보조 테이블(2221)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230)의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파우치 하부(102)가 개방된 파우치(10)는, 상기 중앙축(221)의 8군데에 고정 설치되는 도 13에 도시한 파우치 지지부(231)로 연속적으로 공급 이송되며, 상기 파우치(10)가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지지된 상태에서 45도씩 회전 이송될 때마다, 파우치(10)를 개방하고, 드레싱 밴드를 투입하고, 파우치(10) 전, 후면을 밀착하며, 파우치 하부(102)를 실링하며, 최종적으로 파우치(10)의 지지를 해제하여 파우치(10)를 다음 단계로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하여 포장체 파우치(11)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8군데의 파우치 지지부(231)에서 이루어지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은, 파우치 개방부(232),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 파우치 밀착부(234), 제1 파우치 실링부(235), 제2 파우치 실링부(236), 제3 파우치 실링부(237), 파우치 배출부(238)이며,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상기 중앙축(221)이 45도 회전 하면서 정지할 때마다 1 단계씩 회전 진행하면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3에서는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대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211)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를 고정 지지하는 최초의 구성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파우치 개방부(232),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 파우치 밀착부(234), 제1 파우치 실링부(235), 제2 파우치 실링부(236), 제3 파우치 실링부(237), 파우치 배출부(238)에서는, 모두 파우치 지지부(231)에서 지지되는 파우치(10)를 조작하는 것이므로, 파우치 지지부(231)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파우치 개방부(232),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 파우치 밀착부(234), 제1 파우치 실링부(235), 제2 파우치 실링부(236), 제3 파우치 실링부(237), 파우치 배출부(238)의 모든 구성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221)에 45도 각도마다 고정되는 것으로 총 8개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테이블(222)의 하측에서 테이블(222) 외부로 돌출되도록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를 가지며, 상기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는 다음 단계의 구성인 파우치 개방부(232)에서 파우치 개방구(103)가 만들어지는 파우치 하부(102)가 상측으로 향하고, 파우치 상부(101)가 하측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를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도 13b는 파우치(10)를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3a는 파우치(10)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파우치 고정 지지부(231)는 파우치(10)의 상, 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약간 높은 부분에서 파우치(10)를 좌, 우에서 고정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우치(10)의 상, 하 길이 중에서 3/4의 상측을 고정 지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위치를 잡아 주는 것에 의하여 다음 단계들에서의 파우치 포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다음 단계의 구성인 제2 파우치 개방부(232)에서 파우치(10)의 하측 뿐만 아니라, 상측도 개방하기 쉽게 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파우치 개방부(232)는,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송된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를 개방하여 파우치 개방구(103)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파우치 개방부(232)는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의해 최초로 파우치(10)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축(221)이 1차로 이동한 상태, 즉 45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에 설치된다.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파우치 하부(102)보다 아래 부분을 고정 지지하므로,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의해 지지된 파우치(10)의 상측에 대응되도록 상측 전, 후 흡착구(2321, 2322)를 설치하고, 상기 파우치(10)의 하측에 대응되도록 하측 전, 후 흡착구(2323, 2324)를 설치하여,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의해 지지된 파우치(10)의 상측 뿐만 아니라, 하측도 개방하게 된다.
이때 파우치 지지부(231)가 상기 파우치(10)의 상, 하 길이 중 3/4 부분을 잡아주고 있으므로, 상기 상측 전, 후 흡착구(2321, 2322)는 파우치(10) 높이의 상측 1/4 부분을 개방하고, 상기 하측 전, 후 흡착구(2323, 2324)는 파우치(10) 높이의 하측 3/4 부분을 개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측 전 흡착구(2321)와 상측 후 흡착구(2322) 중의 어느 하나는 2개의 흡착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1개의 흡착구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흡착구를 3개로 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 개방구(103)가 확실하게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는, 상기 제2 파우치 개방부(232)에 의해 파우치(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축(221)이 2차로 이동한 상태, 즉 90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에 설치한다.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는, 상기 파우치 개방부(232)에 의해 개방된 파우치(10)에 드레싱 밴드(1)를 투입하는 것이다.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드레싱 밴드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2331)와 상기 투입 유도 가이드(2331)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2332)으로 이루어진다.
투입 유도 가이드(2331)는,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1)가 파우치(10)에 쉽게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파우치(10)에 투입되는 드레싱 밴드(1)는 드레싱 밴드의 자중에 의한 자유 낙하에 의하여 파우치(10)에 투입되는 것이므로, 파우치(10)가 드레싱 밴드(1)의 낙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쉽게 파우치(10)에 투입되기 어렵다. 또한 드레싱 밴드(1)가 떨어지는 위치와 파우치(10)의 위치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드레싱 밴드(1)가 파우치(10)에 정확하게 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투입 유도 가이드(2331)는 드레싱 밴드(1)를 수용하여 파우치(10)로 투입되도록 상측은 넓은 면적을 가지며, 하측은 좁은 면적으로 하면서, 상기 좁은 면적은 드레싱 밴드(1)의 폭보다 넓고 파우치(10)의 개방구(103)보다 좁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 유도 가이드(2331)는,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2332)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더 쉽게 투입할 수 있다.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2332)은, 도 15a, 15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투입 유도 가이드(2331)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드레싱 밴드(1)가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로부터 자유 낙하할 때 여유 틈을 작게 하고, 드레싱 밴드(1)가 파우치(10)에 투입될 때 파우치 개방구(103)까지 쉽게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 유도 가이드(2331)의 하부가 파우치 개방구(103) 아래까지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는, 상기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에 의해 드레싱 밴드(1)가 파우치(10)에 투입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축(221)이 3차로 이동한 상태, 즉 135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2221)에 설치한다.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는, 상기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에 의해 드레싱 밴드(1)가 개방된 파우치(10)에 투입된 상태에서, 파우치(10)에 남아 있는 공기를 빼고, 드레싱 밴드(1)가 투입된 파우치(10)의 전, 후면을 밀착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파우치 밀착부(234)는, 개방된 파우치(10) 상에 남아 있는 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좌, 우측 밀착단(2341, 2342)을 서로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기 제거가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자연스러운 공기 제거를 위하여, 상기 좌, 우측 밀착단(2341, 2342)은 적어도 파우치(10)의 표면적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밀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는,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에 의해 파우치(10)의 양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축(221)이 4차로 이동한 상태, 즉 180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2221)에 설치한다.
제1 파우치 실링부(235)는,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에 의해 파우치(10)의 양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파우치(10)의 하부(102)를 실링하는 것이다.
제1 파우치 실링부(235)는 상기 파우치(10)의 하부를 실링하는 것이므로, 상기 파우치(10)의 하부에 일정 면적으로 갖는 좌, 우 열 압착 바(2351, 2352)를 가지며, 상기 파우치 하부(102)를 좌, 우에서 열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10)를 실링하게 된다.
상기 제2 파우치 실링부(236)는,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에 의해 파우치(10)의 양면이 1차로 실링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축(221)이 5차로 이동한 상태, 즉 225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2221)에 설치한다.
제2 파우치 실링부(236)는,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에 의해 파우치(10) 실링부를 2차로 실링하고자 하는 것으로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마찬가지로 상기 파우치(10)의 하부에 일정 면적으로 갖는 좌, 우 열 압착 바(2361, 2362)를 가지며, 상기 파우치 하부(102)를 좌, 우에서 열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10)를 실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과 제2 파우치 실링부(236)은 모두 좌, 우 열 압착 바(2351, 2352, 2361, 2362)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파우치 하부(102)를 좌, 우에서 열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파우치(10)를 실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에서 실링하는 면적보다 제2 파우치 실링부(236)에서 실링하는 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실링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파우치 실링부(236)의 좌, 우 열 압착 바(2361, 2362)의 크기를 제1 파우치 실링부(235)의 좌, 우 열 압착 바(2361, 2362)의 크기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3 파우치 실링부(237)는,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제2 파우치 실링부(236)에 의해 파우치(10)의 양면이 실링된 부분을 다시 한 번 최종 실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축(221)이 6차로 이동한 상태, 즉 270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 상면에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2221)에 설치한다.
제3 파우치 실링부(237)는,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제2 파우치 실링부(236)에 의해 파우치(10)의 양면이 단순히 열 압착된 상태에서, 파우치 하부(102)를 최종 실링하기 위한 것으로, 좌, 우에 돌기를 형성한 좌, 우 돌기 설치 열 압착 바(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제2 파우치 실링부(236)에 의해 실링된 파우치 하부(102)를 돌기가 형성된 좌, 우 돌기 설치 열 압착 바(미도시)로 압착 하는 것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파우치 배출부(238)는, 상기 제3 파우치 실링부(237)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파우치 하부(102)가 실링된 포장체 파우치(11)를 불량품 검출장치(300)로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중앙축(221)이 7차로 이동한 상태 즉 315도 회전한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의 테이블(222) 상에 설치한다.
파우치 배출부(238)는, 포장체 파우치(11)를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수단(230)으로부터 배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서 지지되었던 파우치(10)를 파우치 개방부(232) 내지 제3 파우치 실링부(237)를 거쳐 포장체 파우치(11)를 만들고,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서 파우치(10)를 고정 지지하였던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에서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포장체 파우치(11)를 다음 단계인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로 배출하는 것이다.
파우치 배출부(238)는, 하측으로 상기 포장체 파우치(11)가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로 쉽게 이송될 수 있도록 파우치 배출 슬라이더(2381)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파우치 배출 슬라이더(2381)의 하측은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 작업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파우치 공급수단(200)에 의하여 한 장씩 공급되는 파우치 하부(102)가 개방된 파우치(10)를, 포장장치 지지체(220)의 중앙축(221)에 고정 설치되는 8개의 파우치 지지부(231)에 차례로 공급한다.
차례로 공급된 파우치(10)는, 파우치 개방부(232)에서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가 개방되고,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에서 파우치 하부(102)의 파우치 개방구(103)로 드레싱 밴드(1)를 투입되고, 파우치 밀착부(234)에서 개방되었던 파우치(10)를 밀착하고, 제1 파우치 실링부 내지 제3 파우치 실링부(235, 236, 237)에서 파우치 하부(102)를 실링하여 포장체 파우치(11)를 만든 후에, 파우치 배출부(238)를 통해서 포장체 파우치(11)를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로 이송하게 된다.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
본 발명의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는, 도 19 내지 도 2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의 파우치 배출부(238)의 파우치 배출 슬라이더(2381)의 하부 말단에 연결되어, 포장체 파우치(11)의 정보를 인쇄하고, 포장체 파우치(11)의 불량 여부를 검출하고, 불량으로 검출된 포장체 파우치(11)를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310)으로부터 제거하고, 정상적으로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11)만을 이송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는,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310),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 및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상기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310)]
상기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310)은, 도 19 등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파우치 배출 슬라이더(2381)의 하부 말단에서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1 배출 컨베이어(3101), 제2 배출 컨베이어(3102) 및 제3 배출 컨베이어(3103)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배출 컨베이어를 제3 배출 컨베이어(3103)에 이어서 연결할 수도 있다.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
상기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은, 도 2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3101)에 설치되어서, 포장체 파우치(11)에 관련된 정보를 인쇄하는 수단이다.
파우치(10)는, 파우치(10)에 수용되는 드레싱 밴드(1)에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가 파우치(10) 외면에 모두 인쇄된 상태에서로 공급받을 수 있으나, 제조일자, 유통기간 등의 포장체 파우치(11) 제조 후의 정보를 사전에 인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은, 포장체 파우치(11)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제조일자, 유통기간, 제조장소 등에 관한 내용을 인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은, 아래의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 수단(340) 다음 단계에 설치할 수도 있다.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
상기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은,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310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서, 포장체 파우치(11)의 중량을 측정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은 정해진 개수의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투입하고, 파우치(10)의 하부를 실링하는 것에 의하여, 포장체 파우치(11)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포장체 파우치(11)를 제조하는 경우에 포장체 파우치(11)에 투입된 드레싱 밴드(1)가 정해진 개수에 미달하거나, 정해진 개수보다 많게 되면, 포장체 파우치(11)의 중량이 기준 중량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에서 포장체 파우치(11)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포장체 파우치(11)의 불량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
상기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은, 도 20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에 의하여 불량으로 판단된 포장체 파우치(11), 즉 파우치(10)에 정해진 개수보다 적거나, 많은 드레싱 밴드(1)가 투입된 불량 포장체 파우치(11)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3102)는, 도 19, 도 20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3101)에 이어지도록 연결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에서 불량으로 판단된 포장체 파우치(11)가 이송되는 경우에 제2 배출 컨베이어(3401)의 진행 방향 전방부가 아래쪽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불량으로 판단된 포장체 파우치(11)가 제2 배출 컨베이어(3102)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3102)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 불량 포장체 파우치(11)는,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의 진행 방향 전방부 아래쪽에 배치된 불량품 수거상자(3401)에 떨어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불량 포장체 파우치(11)의 수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의 후방으로는, 제3 배출 컨베이어(3103)가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정상적인 포장체 파우치(11)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에서는,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을 제1 배출 컨베이어(3101)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을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의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에 의하여 불량품이 제거된 상태에서, 즉 제3 배출 컨베이어(3103)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1 : 드레싱 밴드
10 : 파우치
101 : 지퍼가 설치된 파우치 상부
102 : 파우치 하부
103 : 파우치 개방구
11 : 포장체 파우치
100 :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
110 :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
111 :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
1111, 1112 : 좌, 우 가이드
1113 : 분리 가이드
1114 : 드레싱 밴드 저장부
1115 : 개구부
1116 : 개구부 가이드
1117 : 가이드 돌기
1121 : 후면 가이드
120 : 흡착 이송수단
121 : 흡착구(1215-1219)
1211 : 흡착구 지지구
122 : 흡착관
123 : 흡착관 개폐 밸브(1235-1239)
124 : 흡착 유도관
125 : 흡착 유도관 지지축
126 : 좌, 우 지지축 회전 가이드
127 : 흡착 이송수단 프레임
130 :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
131 : 컨베이어
132 : 격벽
133 : 드레싱 밴드 저장 이송부(1335-1339)
200 : 로터리 포장장치
210 : 파우치 공급수단
211 : 파우치 공급 컨베이어
2111 : 파우치지지 가이드
212 : 파우치 누름 롤러
213 : 파우치 공급부
2131 : 파우치 흡착구
2132 : 흡착구 회전 이송부
2133 : 파우치 하부 집게
220 :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
221 : 중앙축
222 : 테이블
2221 : 보조테이블
230 : 파우치 포장수단
231 : 파우치 지지부
2311, 2312 : 좌, 우 고정 지지부
232 : 파우치 개방부
2321, 2322 : 상측 전, 후 흡착구
2323, 2324 : 하측 전, 후 흡착구
2325, 2326 : 흡착구 지지구
233 : 드레싱 밴드 투입부
2331 : 투입 유도 가이드
2332 :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
234 : 파우치 밀착부
2341 : 전측 밀착판
2342 : 후측 밀착단
235 : 제1 파우치 실링부
2351, 2352 : 전, 후 열 압착 바
236 : 제2 파우치 실링부
2361, 2362 : 전, 후 열 압착 바
237 : 제3 파우치 실링부
238 : 파우치 배출부
2381 : 파우치 배출 슬라이더
300 :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
310 :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
3101 : 제1 배출 컨베이어
3102 : 제2 배출 컨베이어
3103 : 제3 배출 컨베이어
320 :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
330 :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
340 :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
3401 : 불량품 수거 상자

Claims (8)

  1. 원단 위에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부착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드레싱재를 따라 파단선을 형성한 이형지 필름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에 있어서,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은,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1)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와, 상기 파우치(10)에 상기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1)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로타리 포장장치(200)와,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에 의해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의 정보를 인쇄하고, 드레싱 밴드(1)가 정량 포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면서 이송하는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를 구비하며,
    상기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는, 상기 드레싱 밴드(1)를 횡측으로 다수 열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과,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에 적층된 다수 열의 드레싱 밴드(1)를 흡착하여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로 공급하는 흡착 이송수단(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레싱 밴드 공급수단(130)은, 컨베이어(131)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격벽(132)을 설치하고, 상기 다수 개의 격벽(132) 사이에는 드레싱 밴드 저장 이송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131)의 진행 방향 끝단부는, 로타리 포장장치(200)에서 이송되는 파우치(10)에 상기 드레싱 밴드(1)의 투입을 유도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2331)의 상측까지 이어지며,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수단(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 박스(111)는, 좌, 우에 좌, 우 가이드(1111, 1112)를 가지며, 상기 좌, 우 가이드(1111, 1112) 사이에는 다수 개의 분리 가이드(1113)가 설치되며, 상기 좌, 우 가이드(1111, 1112)와 다수 개의 분리 가이드(1113) 사이에는 다수 개의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가 형성되며, 상기 드레싱 밴드 저장부(1114)의 전면에는 개구부(1115)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15)의 좌, 우 부분에는 개구부 가이드(1116)가 설치되어 드레싱 밴드(1)의 빠짐을 방지하며,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는, 드레싱 밴드(1)를 포장하기 위한 파우치(10)를 공급하는 파우치 공급수단(210)과,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포장수단(230)과,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230)을 고정 지지해 주는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230)은,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를 고정 지지하는 파우치 지지부(231)와,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에 고정 지지되는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를 개방해 주는 파우치 개방부(232)와, 상기 파우치 개방부(232)에서 파우치 하부(102)가 개방된 파우치 개방구(103)에 드레싱 밴드(1)를 투입하는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와, 상기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에 의해 드레싱 밴드가 투입된 파우치(10)의 전, 후면을 밀착시키는 파우치 밀착부(234)와, 상기 파우치 밀착부(234)에 의하여 전, 후면이 밀착된 파우치(10)의 파우치 하부(102)를 실링하는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에 의하여 파우치 하부(102)가 실링된 포장체 파우치(11)를 배출하는 파우치 배출부(238)를 구비하며,
    상기 드레싱 밴드 투입부(233)는,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드레싱 밴드(1)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측이 하측보다 큰 면적을 갖는 투입 유도 가이드(2331)와, 상기 투입 유도 가이드(2331)의 상, 하 이동을 제어하는 투입 유도 가이드 이동수단(23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파우치 이송장치(300)는,
    상기 로타리 포장장치(200)에 의하여 드레싱 밴드(1)가 포장된 포장체 파우치(11)를 이송하는 것으로,
    포장체 파우치 이송수단(310),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 및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이송수단(310)은, 제1 내지 제3 배출 컨베이어(3101, 3102, 310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장체 파우치 정보 인쇄수단(320) 및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은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3101) 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포장체 파우치 제거수단(340)은,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체 파우치 중량 측정수단(330)에서 측정된 중량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의 후방부가 하향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불량 포장체 파우치(11)를 제2 배출 컨베이어(3102)로부터 배출시키며,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3102)의 하측에는 불량품 수거 상자(340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는, 중앙축(221)과 테이블(2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22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고정되며,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의 3/4 높이 부분을 좌, 우에서 잡아주는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포장수단 지지체(220)는, 중앙축(221)과 테이블(2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파우치 실링부(235)와, 파우치 배출부(238) 사이에는, 제2 파우치 실링부(236) 및 제2 파우치 실링부(237)이 더 설치되고,
    상기 파우치 지지부(231)는, 상기 중앙축(221)에 45도 각도로 8개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파우치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되는 파우치(10)의 3/4 높이 부분을 좌, 우에서 잡아주는 좌, 우 고정 지지부(2311, 23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 밴드(1)를 파우치(10)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1000).
KR1020200107094A 2020-08-25 2020-08-25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KR10218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94A KR102185740B1 (ko) 2020-08-25 2020-08-25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94A KR102185740B1 (ko) 2020-08-25 2020-08-25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740B1 true KR102185740B1 (ko) 2020-12-03

Family

ID=7377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94A KR102185740B1 (ko) 2020-08-25 2020-08-25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7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2652A (zh) * 2023-02-01 2023-04-04 廊坊市华飞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平面口罩自动包装机
CN117618182A (zh) * 2023-11-24 2024-03-01 湖南有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硅凝胶疤痕贴生产设备及生产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41U (ko) * 1994-07-05 1996-02-16 자동 포장기용 매거진의 낱개 공급 장치
JP2006160476A (ja) * 2004-12-09 2006-06-22 Yamato Scale Co Ltd 振分装置
KR100987287B1 (ko) 2010-04-05 2010-10-12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997772B1 (ko)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004818B1 (ko) 2010-07-08 2010-12-28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20150025989A (ko) 2013-08-30 2015-03-1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6188080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古川製作所 包装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941U (ko) * 1994-07-05 1996-02-16 자동 포장기용 매거진의 낱개 공급 장치
JP2006160476A (ja) * 2004-12-09 2006-06-22 Yamato Scale Co Ltd 振分装置
KR100987287B1 (ko) 2010-04-05 2010-10-12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997772B1 (ko)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004818B1 (ko) 2010-07-08 2010-12-28 박영준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20150025989A (ko) 2013-08-30 2015-03-1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6188080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古川製作所 包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2652A (zh) * 2023-02-01 2023-04-04 廊坊市华飞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平面口罩自动包装机
CN117618182A (zh) * 2023-11-24 2024-03-01 湖南有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硅凝胶疤痕贴生产设备及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740B1 (ko)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포장하는 파우치 자동 포장 시스템
CN107719768B (zh) 一种自动化包装机
CA217532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secondary packaging
KR101745591B1 (ko)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KR20190119655A (ko) 복용량의 고체 약품들의 포장 시스템 및 방법
DK174263B1 (da)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singularisering af produkter fra en stak af produkter
KR20140123187A (ko) 가공부품 자동 정렬 및 패키징 장치 및 그 방법
ES2775436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agrupar piezas en bruto de productos
KR102185729B1 (ko) 드레싱 밴드를 파우치에 자동 포장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CN216887458U (zh) 一种医疗检测卡自动包装入袋设备
CZ29898A3 (cs) Způsob strojního umisťování vylévacích prvků do obalů s plochým vrškem, naplněných tekutými produkty,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CN112640758B (zh) 一种栽培基质填充设备
EP2604527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bags containing fibre material
US7527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filling a container
EP2604528B1 (en) Machine for producing bags containing fibre material
US9434121B2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bags containing fiber material
CN111137483B (zh) 麻醉包生产线
CN214139041U (zh) 一种定量包装系统
KR102185721B1 (ko) 드레싱 밴드의 파우치 포장을 위한 드레싱 밴드 자동 공급장치
CN112644753A (zh) 一种栽培基质填充方法
EP2604530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bags containing fibre material
EP0318237B1 (en) Packaging system
JP2926215B2 (ja) 全形海苔の自動袋詰機
JP3307938B2 (ja) 貯留装置
KR100371263B1 (ko) 액즙 자동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