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591B1 -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591B1
KR101745591B1 KR1020150119075A KR20150119075A KR101745591B1 KR 101745591 B1 KR101745591 B1 KR 101745591B1 KR 1020150119075 A KR1020150119075 A KR 1020150119075A KR 20150119075 A KR20150119075 A KR 20150119075A KR 101745591 B1 KR101745591 B1 KR 10174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agnostic kit
kit
wrapping paper
dehumidify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647A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15011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5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단키트와 스포이드 및 제습제 등 포장물품을 한 세트로 하여 한 세트씩 포장지에 개별 포장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포장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진단키트공급수단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진단키트로 제습제를 공급하는 제습제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수단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를 포장지에 삽입시키는 포장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에서 진단키트가 삽입되어 이송되는 포장지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열융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Packaging systems for diagnostic kits}
본 발명은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단키트와 스포이드 및 제습제 등 포장물품을 한 세트로 하여 한 세트씩 포장지에 개별 포장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포장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 스틱이라 함은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하여 혈당, 간염, 임신여부 등을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기판 사면에 혈액 또는 소변이 흡수되는 재질의 진단 시약이 부착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진단 스틱은 판형의 기판 상면에 진단 스틱을 구성하는 진단시약을 인쇄한 것을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 폭으로 진단 스틱을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어서 상기 절단된 진단 스틱은 정렬 이송되어 적재함에 다단으로 적층이 이루어진 다음 적재함의 진단 스틱 수량을 측정하고, 이송하는 자동화 과정을 통해 최종단계에서 포장용기에 일정한 수량의 진단 스틱이 자동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 상기에서 포장용기에 진단 스틱을 포장하게 될 진단 스틱을 스크래퍼 등으로 무작위로 쓸어 담는 형태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02639호 "진단키트 검사 및 절단포장장치"의 구성에서 진단스틱을 포장하는 수단은 상부 취합통에 구비된 배출홀의 전방에 뚜껑이 개방된 용기를 눕힌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상부 취합통에 채워진 진단키트를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는 탄성력을 가진 진단스틱이 투입과정에서 옆으로 튕겨 나가거나 랜덤하게 담긴 형태가 되므로 포장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90160호 "진단스틱 포장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즉, 특허등록 제10-1190160호는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정렬 이송되는 진단스틱의 수량을 측정하여 포장용기의 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포장용기에 진단스틱을 투입시킬 때 진단스틱이 옆으로 튕겨 나가는 등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진단스틱을 위생적이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카세트 내에 스트립을 수용한 진단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단키트는 위생적으로 보관 및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진단키트와 스포이드 및 제습제를 한 세트로 하여 개별적으로 한 세트씩 포장하여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진단키트를 개별적으로 한 세트씩 포장하는 방법으로 종래에 진단스틱을 포장하는 장치를 적용하기에는 진단키트와 진단스틱의 형상 및 모양 등이 상이함으로, 종래의 진단스틱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진단키트를 포장지에 투입시켜 포장하기에는 부적합한 장치이다.
따라서, 진단키트를 포장지에 투입시키는 작업부터 포장지의 입구를 밀봉하는 작업 공정 모두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진단키트의 포장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포장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키트를 포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진단키트의 상부에 자동으로 제습제가 안착되고, 투입부로 진단키트가 이동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스포이드가 삽입부로 공급된 후 포장지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한 다음 포장지의 입구를 자동으로 밀봉함으로써, 진단키트의 포장 작업 모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진단키트가 포장지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진단키트의 포장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키트를 개별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장지에 진단키트를 투입시키는 공정과 포장지의 입구를 밀봉하는 중간부에 불량으로 포장지에 투입된 불량품을 선별하여 일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진단키트의 포장완료된 불량제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 하부에 흡착수단을 구비하고 이 흡착수단을 이용하여 포장지의 상부를 고정시켜 포장지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진단키트가 포장지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단키트가 안착되어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투입부재의 상부에는 진단키트를 후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여 투입부재가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진단키트를 투입시킨 후 원상복귀시 전단키트의 후부를 지지부재가 지지함으로써, 삽입부재의 원상복귀에 따른 진단키트가 포장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의 일측부에는 진단키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이 안착홈에 안착된 진단키트를 다음 공정인 포장수단으로 안전하게 진단키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에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진단키트의 상부에 제습제를 용이하게 안착시킴과 동시에 안착된 제습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진단키트공급수단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진단키트로 제습제를 공급하는 제습제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수단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를 포장지에 삽입시키는 포장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에서 진단키트가 삽입되어 이송되는 포장지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열융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은 진단키트가 공급되는 진단키트공급부와, 상기 진단키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를 이동시키는 진단키트이동부와, 상기 진단키트이동부로부터 공급된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진단키트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진단키트공급부는 진단키트가 안착되는 키트공급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키트공급컨베이어의 상단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진단키트이동부는 일측부에 제1플레이트가 마련된 제1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의 상단 일측부에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1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루축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1수평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평이동판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속되는 제1수직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직이동판의 정면에 설치되되, 일측부에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제2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속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흡착구가 마련된 제1흡착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진단키트이송부는 진단키트공급부의 키트공급컨베이어 일측부에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키트이송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키트이송몸체의 가이드홈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키트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키트이송몸체의 일측 끝단부에는 진단키트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습제공급수단은 진단키트공급수단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습제공급부와, 상기 제습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제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진단키트 공급수단의 키트이송몸체 측부에 설치되어 절단부에서 절단된 제습제를 이송시키는 제습제이송부와, 상기 제습제이송부로 이송된 제습제를 키트이송몸체의 상부로 공급시키는 제습제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습제공급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롤 형상의 제습제가 장착되는 권취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2설치프레임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절단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3설치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제습제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내측에 설치된 절단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몸체의 하부에는 절단된 제습제가 배출되는 제습제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습제이송부는 절단부의 제습제배출구 하부에 위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습제이송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제이송몸체의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제습제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제습제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제이동부는 제습제이송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4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4설치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하는 수평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되, 하부에 다수개의 흡착구가 마련된 수직이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공급수단은 포장지가 수납되는 포장지수납부와, 상기 포장지수납부에 수납된 포장지를 인출 이동시키는 포장지이동부와, 상기 포장지이동부에 의해 공급된 포장지를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수납부는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 수납실이 형성된 포장지수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포장지이동부는 일측부에 제2플레이트가 설치된 제5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크루축이 설치되고, 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2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크루축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2수평이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판의 일측부에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제5설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며, 하부에는 포장지수납부의 수납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설치봉이 마련된 제2수직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봉의 하단부에는 하부에 흡착구가 설치된 제2흡착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포장지이송부는 진단키트이송부의 키트이송몸체 일측부의 측부에 일측이 위치되게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포장지이송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이송몸체의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상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포장지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수단으로 스포이드를 공급하는 스포이드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포이드공급수단은 스포이드가 투입되어 정렬공급되는 스포이드공급부와, 상기 스포이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포이드를 포장수단의 포장부로 이동 공급하는 스포이드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공급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절개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본체의 절개부에 위치되게 안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절개부에 위치한 안내부재의 끝단부에 일측이 위치되게 스포이드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스포이드이동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단부에 제3모터가 구비되고, 내측에 제3모터에 연결되는 스크루축이 마련된 제3플레이트가 설치된 제6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어 제4플레이트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제4실린더가 마련된 제3수평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4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는 스포이드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마련된 제3수직이동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파지부재에 파지된 스포이드의 하부를 후부로 밀어주는 슬라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을 동작시키는 제5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수단은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이송몸체로 이송되는 포장지의 입구를 벌리는 포장지개방부와, 상기 포장지개방부로 진단키트 및 제습제를 삽입시키는 삽입부와,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의 키트이송몸체 상부에 구비된 진단키트 및 제습제를 삽입부로 공급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개방부는 포장지이송몸체에 다수개의 제1포장지흡착구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이송몸체의 측부에 결합 고정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7설치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7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에 결합고정되되, 하부에 제1포장지흡착구와 대응되는 제2포장지흡착구가 마련된 승강판이 결합 고정되는 제6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7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에 가압판이 결합 고정되는 제7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삽입부는 진단키트이송부의 키트이송몸체의 일측 끝단부에 근접되게 설치되되, 다수개의 격실이 형성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부에 작동판이 구비되고, 이 작동판의 후부에 이격되게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작동판에 결합고정되는 제8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판의 하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어 하우징의 격실에 위치되는 삽입판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지지판에 결합 고정되는 제7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판은 일측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부는 삼격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안착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되, 일측부에 제4플레이트가 설치된 제8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4플레이트의 측부에 설치되어 모터축에 스크루축이 설치되는 제4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4플레이트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동작을 수행하는 제4수평이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4수평이동판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4수직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4수평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제4수직이동판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0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4수직이동판의 하단부에는 설치판이 설치되되, 이 설치판에는 하부에 흡착구가 마련된 제3흡착설치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는 포장지의 안착 및 이송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부는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안착부와 포장수단의 사이에 설치되되,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게 검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융착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제9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9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제5수평이송판이 구비되며, 제5수평이송판에는 제5수직이송판이 구비되고, 제5수직이송판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흡착구가 마련된 제4흡착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융착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10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10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제11실린더가 구비되고, 제11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는 포장지이송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열부재의 하단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가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진단키트의 상부에 자동으로 제습제가 안착되고, 투입부로 진단키트가 이동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스포이드가 삽입부로 공급된 후 포장지의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한 다음 포장지의 입구를 자동으로 밀봉함으로써, 진단키트의 포장 작업 모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진단키트가 포장지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단키트의 포장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키트를 개별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지에 진단키트를 투입시키는 공정과 포장지의 입구를 밀봉하는 중간부에 불량으로 포장지에 투입된 불량품을 선별하여 일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진단키트의 포장완료된 불량제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 하부에 흡착수단을 구비하고 이 흡착수단을 이용하여 포장지의 상부를 고정시켜 포장지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진단키트가 포장지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키트가 안착되어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투입부재의 상부에는 진단키트를 후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여 투입부재가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진단키트를 투입시킨 후 원상복귀시 전단키트의 후부를 지지부재가 지지함으로써, 삽입부재의 원상복귀에 따른 진단키트가 포장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의 일측부에는 진단키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이 안착홈에 안착된 진단키트를 다음 공정인 포장수단으로 안전하게 진단키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에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이송되는 진단키트의 상부에 제습제를 용이하게 안착시킴과 동시에 안착된 제습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단키트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습제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지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스포이드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포장수단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검사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열융착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진단키트공급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습제공급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지공급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스포이드공급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포장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검사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열융착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100)는 베이스(102)와, 상기 베이스(102)에 설치되어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진단키트공급수단(110)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110)으로부터 이동되는 진단키트에 제습제를 공급하는 제습제공급수단(210)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수단(310)과, 상기 베이스(102)에 설치되어 스포이드를 공급하는 스포이드공급수단(410)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110)과 제습제공급수단(210) 및 스포이드공급수단(410)으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한 세트로 하여 포장지에 삽입 포장하는 포장수단(510)과, 상기 포장수단(510)으로부터 포장되어 이동되는 포장지를 검사하는 검사부(610)와, 상기 포장수단(510)에서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포장지의 입구를 열융착시키는 열융착부(7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110)은 진단키트가 공급되는 진단키트공급부(112)와, 진단키트공급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를 이동시키는 진단키트이동부(120)와, 상기 진단키트이동부(120)로부터 이동되는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진단키트이송부(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단키트공급부(112)는 진단키트가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키트공급컨베이어(114)가 구비되고, 이 키트공급컨베이어(114)의 상부 양측 소정의 위치, 즉 키트공급컨베이어(114)의 중앙부에 소정의 길이로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진단키트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상부지지판(11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키트공급컨베이어(114)의 상부에 안착시키게 되면 진단키트는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진단키트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부지지판(116)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어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진단키트가 키트컨베이어(1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진단키트이동부(120)로 공급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진단키트이동부(120)는 키트공급컨베이어(114)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스크루축(미도시)이 마련된 제1플레이트(123)가 설치된 제1설치프레임(1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123)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모터축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1모터(1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플레이트(123)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구비된 스크루축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며, 상부에는 제1실린더가 설치되는 제1수평이동판(1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이동판(125)의 후부에 구비된 제1플레이트(12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길이 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을 통하여 내측에 구비된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제1플레이트(123)에는 제1수평이동판(125)을 안내하는 레일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124)의 작동에 따라 제1플레이트(123)의 내측에 구비된 스크루축의 회전에 의해 제1수평이동판(125)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이동판(125)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제1수평이동판(125)의 상부에 설치된 제1실린더(126)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일측부에 제1수평이동판(125)의 측부에 제2실린더(127)가 설치된 제1수직이동판(12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이동판(125)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수직이동판(128)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이동판(128)은 제1실린더(126)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이동판(128)의 하단 정면에 설치되되, 측부에 제2실린더(127)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는 제1흡착설치부재(129)가 구비되고, 제1흡착설치부재(129)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흡착구(129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수직이동판(128)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흡착설치부재(129)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키트공급컨베이어(114)에 의해 이송된 진단키트는 제1수직이송판(128)의 하강에 의해 흡착구(129a)가 진단키트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흡착구(129a)에 흡착된 상태로 진단키트가 상부로 상승된 후 제1수평이송판(125)에 의해 진단키트이송부(13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단키트이송부(130)는 키트공급컨베이어(114)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키트이송몸체(1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키트이송몸체(132)의 일측 상부, 즉 키트공급컨베이어(114)가 설치된 타측부 상단에는 진단키트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홀(1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32b)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32b) 상에 위치되어 무한궤도로 설치되되,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착홈(134a)이 형성된 키트이송부재(1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는 제습제공급수단(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제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돌기(13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진단키트이동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는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 안착되고, 제습제공급수단(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제는 안착홈(134a)의 지지돌기(134b)에 지지된 상태로 안착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하는 진단키트 및 제습제는 키트이송몸체(132)에 형성된 안착홀(132a)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제공급수단(210)은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습제가 권취되는 제습제공급부(212)와, 상기 제습제공급부(212)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제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부(230)와,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110)의 키트이송몸체(132)의 측부에 설치되어 절단부(230)에서 낱개로 절단되어 배출되는 제습제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습제이송부(250)와, 상기 제습제이송부(250)로 이송된 제습제를 키트이송몸체(132)에 구비된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 안착시키는 제습제이동부(2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습제공급부(212)는 베이스(102)의 상부에 설치되되,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습제가 장착되는 권취로울러(2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설치프레임(216)이 구비되고, 제2설치프레임(216)에는 다수개의 제습제가 연결되어 가이드함과 동시에 팽팽한 상태를 유지되도록 가이드로울러(2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로울러(214)에 권취된 제습제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218)에 의해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절단부(23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230)는 베이스(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설치프레임(232)이 구비되고, 제3설치프레임(23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제습제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날(미도시)이 구비된 절단몸체(2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몸체(234)의 하부에는 절단날에 의해 낱개로 절단된 다수개의 제습제가 각각 배출되는 제습제배출구(23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제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제는 절단몸체(234)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절단몸체(234)의 내측으로 공급된 제습제는 절단날에 의해 낱개로 절단되어 제습제배출구(236)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제이송부(250)는 절단부(230)의 제습제배출구(236) 하부에 설치되되, 키트이송몸체(132)의 측부에 근접되도록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254)이 형성된 제습제이송몸체(25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습제이송몸체(252)의 상부로 돌출되게 가이드홈(254)에 무한궤도로 설치되는 제습제이송부재(25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습제이송몸체(252)의 상부로 돌출된 제습제이송부재(256)에는 제습제배출구(236)를 통하여 배출되는 제습제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홈(25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230)에서 절단된 제습제는 제습제배출구(236)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습제이송부재(256)의 안착홈(258)에 한개씩 안착되어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습제이동부(270)는 제습제이송몸체(252)의 측부에 위치되게 베이스(102)에 설치되는 제4설치프레임(272)이 구비되고, 제4설치프레임(27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수평이동부재(27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4설치프레임(272)의 일측부에는 수평이동부재(274)가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이 마련되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평이동부재(274)를 동작시키는 실린더나 모터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부재(27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 하강동작을 수행하는 수직이동부재(27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수직이동부재(276)의 하부에는 연결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하부에 다수개의 흡착구(27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부재(276)의 일측부에는 수직이동부재(276)를 승, 하강되도록 동작시키는 실린더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제이송부재(256)에 의해 이송되는 제습제는 수직이동부재(276)가 하강함과 동시에 흡착구(278)의 흡입력에 의해 제습제가 흡착구(278)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승하고, 수평이동부재(274)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에 구비된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공급수단(310)은 포장지가 수납되는 포장지수납부(312)와, 상기 포장지수납부(312)로부터 인출시켜 포장지를 이동시키는 포장지이동부(330)와, 상기 포장지이동부(33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를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부(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수납부(312)는 내측에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수납실(314a)이 형성된 포장지수납부재(3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장지수납부재(314)는 하부에 슬라이드봉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지수납부재(314)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부로 나누어 수납된 포장지를 번갈아 가면서 포장지이동부(330)에 의해 인출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포장지이동부(330)는 일측부에 제2플레이트(334)가 설치되어 베이스(102)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설치프레임(3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334)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스크루축이 설치되며, 제2플레이트(334)의 일측부에는 스크루축과 연결되는 제2모터(33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2플레이트(33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후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제2플레이트(334)의 내측에 구비된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2수평이동판(33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334)에는 제2수평이동판(338)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레일이 구비되고, 이 레일과 동일하게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된 고정구가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수평이동판(338)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한 쌍씩 일정 간격으로 세 쌍의 설치봉(342)이 설치된 제2수직이동판(3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수평이동판(338)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제2수직이동판(340)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3실린더(344)가 구비되고, 설치봉(342)은 포장지수납부(312)의 수납실(314a)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봉(342)의 하부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흡착구(348)가 설치된 제2흡착설치부재(34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흡착설치부재(346)에는 외부의 흡입관(미도시)이 연결되고, 이 흡입관의 흡입력에 의해 흡착구(348)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포장지가 흡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수직이동판(340)의 하강시 흡착구(348)가 포장지수납부(312)의 수납실(314a)에 수납된 포장지의 상부에 안착되어 흡착구(348)의 흡입력에 의해 흡착되고, 이 상태에서 제2수직이동판(346)이 상부로 상승함과 동시에 제2수평이동판(338)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장지이송부(350)로 포장지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이송부(350)는 키트이송몸체(132)의 일측부와 일측이 겹치도록 측부에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354)이 형성된 포장지이송몸체(35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이송몸체(352)의 가이드홈(354)에 설치되되, 상부로 돌출되어 사이에 포장지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358)가 형성된 포장지이송부재(35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지이동부(330)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지는 포장지이송부재(356)에 형성된 지지돌기(358)와 이웃하는 지지돌기(358)의 사이 공간에 안착되고, 이 공간에 안착된 포장지는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공급수단(410)은 스포이드를 정렬 공급하는 스포이드공급부(412)와, 상기 스포이드공급부(412)로부터 공급되는 스포이드를 이동시키는 스포이드이동부(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포이드공급부(4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개방되게 절개된 본체(414)가 구비되고, 이 본체(414)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본체(414)의 절개부에 위치되게 안내부재(416)가 구비되며, 본체(414)의 절개부에 위치한 안내부재(416)의 끝단부에 위치되도록 스포이드이송부재(4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414)에 안내부재(416)가 구비되고, 절개부에는 스포이드이송부재(418)가 구비된 스포이드공급부(412)는 통상의 기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414)의 내측으로 투입된 다수개의 스포이드는 안내부재(416)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하게 정렬된 상태로 스포이드이송부재(418)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포이드이동부(430)는 베이스(102)에 설치되되, 상단부에 제3모터(436)가 구비되고, 내측에 제3모터(436)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스크루축이 마련된 제3플레이트(434)가 설치된 제6설치프레임(43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3플레이트(43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후부에 제3플레이트(434)의 내측에 설치된 스크루축과 고정구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제3수평이동판(438)이 구비되고, 제3수평이동판(438)의 상부에는 제4실린더(4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수평이동판(438)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제4실린더(440)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포이드를 파지하는 다수개의 파지부재(444)가 설치된 제3수직이동판(4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플레이트(434)에는 전자에서와 동일하게 제3수평이동판(438)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2)에 설치되어 스포이드를 파지하는 파지부재(444)의 일측부에는 파지된 스포이드가 경사지도록 하부를 후부로 밀어주는 슬라이드판(450)이 구비되고, 이 슬라이드판(450)을 동작시키는 제5실린더(4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재(444)에 의해 스포이드의 머리부가 파지되고, 이 상태에서 제5실린더(452)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판(450)이 전진하여 스포이드의 하부를 후부로 밀어주게 되어 파지부재(444)에 파지된 스포이드는 일방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수단(510)은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상부에 안착되어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지의 개방된 입구를 벌리는 포장지개방부(512)와, 상기 포장지개방부(512)에 의해 개방된 포장지의 내측으로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한 세트로 하여 삽입시키는 삽입부(530)와, 상기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에 안착되어 키트이송부재(134)에 의해 이송되는 진단키트와 제습제를 삽입부(530)로 안착시키는 안착부(5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개방부(512)는 키트이송몸체(132)의 일측 끝단부 지점에 위치되게 포장지이송몸체(352)에 다수개의 제1포장지흡착구(5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포장지흡착구(514)는 폭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2개를 한 쌍의로 하여 여러 쌍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게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측부에 설치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상부, 즉 다수개의 제1포장지흡착구(514)가 구비된 상부에 위치되게 제7설치프레임(5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7설치프레임(516)의 상부에는 제6실린더(518)가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지지봉에 의해 지지되며, 제7설치프레임(516)의 상부 내측에는 제6실린더(518)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어 하부에 제1포장지흡착구(514)와 대응되게 제2포장지흡착구(520)가 마련된 승강판(52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7설치프레임(516)의 상단에 제7실린더(524)가 구비되고, 제7실린더(524)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제7설치프레임(516)의 상단 하부에 위치되게 가압판(52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동되어 제1포장지흡착구(514)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6,7실린더(518)(526)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승강판(522)의 제2포장지흡착구(520)와 가압판(526)이 동시에 하강하여 포장지의 상부와 상단 일측 끝단부, 즉 밀봉되지 않은 일측부 상단을 가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포장지를 흡착시킨 후 승강판(522)을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면 포장지의 입구가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530)는 키트이송몸체(132)의 일측 끝단부에 근접되게 설치되되, 다수개의 격실이 형성된 하우징(532)이 구비되고, 이 하우징(532)의 후부에는 한 쌍의 작동판(534a)(534b)이 구비되고, 이 작동판(534a)(534b)의 후부에는 고정판(53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534a)(534b)은 한 쌍이 구비되되, 하나는 상단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하단에 위치되어 한 쌍의 작동판(534a)(534b)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때 서로 방해를 주지않고, 안전하게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536)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상단에 위치한 작동판(534a)에 결합 고정되는 제8실린더(538)가 구비되고, 작동판(534a)의 하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어 하우징(532)의 격실 바닥면에 안착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판(5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판(540)의 일측부, 즉 작동판(534a)에 결합 고정된 타측부는 끝단부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방향이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삽입판(540)의 상부에 설치되되, 하단에 위치한 작동판(534b)이 구비된 타측 방향에는 진단키트와 제습제가 안착되는 안착홀과, 스포이드가 안착되는 안착홀이 각각 형성된 지지판(54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536)에 결합 고정되어 실린더로드가 하단에 위치한 작동판(534b)에 결합 고정되고, 하단에 위치한 작동판(534b)은 지지판(542)에 결합 축 등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제9실린더(54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550)는 키트이송몸체(132)의 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부에 제4플레이트(554)가 설치되는 제8설치프레임(5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4플레이트(554)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스크루축이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스크루축에 모터축이 결합 고정되는 제4모터(556)가 구비되며,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가 제4플레이트(55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플레이트(55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4플레이트(554)의 내측에 구비된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4수평이동판(55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4수평이동판(558)은 후부에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된 고정구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정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제10실린더(5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4수평이동판(558)은 제4모터(556)의 작동에 의해 스크루축이 회전 방향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4수평이동판(558)의 전면에 구비된 레일에 결속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하되, 상부에는 제10실린더(560)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는 제4수직이동판(56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4수직이동판(562)은 제10실린더(560)의 작동에 의해 제4수평이동판(558)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레일을 따라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4수직이동판(562)의 하단부에는 설치판(564)이 구비되고, 이 설치판(564)에는 2개가 한 쌍으로 하여 여러 쌍의 설치봉(566)이 설치판(564)의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 설치봉(566)의 하단부에는 하부에 다수개의 흡착구(570)가 마련된 제3흡착설치부재(56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564)이 하강하여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에 구비된 진단키트 및 제습제의 상부에 흡착구(570)가 안착될 때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판(564)의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봉(566)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4수직이동판(562)이 하강하여 흡착구(570)가 진단키트 및 제습제의 상부에 안착되어 흡착구(570)의 흡입력에 의해 흡착되게 되어 제4수직이동판(562) 및 제4수평이동판(558)의 작동에 의해 삽입부(530)의 하우징(532) 격실에 구비된 삽입판(540)의 상부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610)는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상부에 설치되어 포장지이송부(350)로 이송되는 포장지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검사부재(6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검사부재(612)는 이송수단에 의해 포장지이송몸체(35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롭게 위치를 조절하여 이송되는 포장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융착부(710)의 전방에 위치되되, 키트이송몸체(132)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9설치프레임(620)이 구비되고, 제9설치프레임(620)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5수평이동판(62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5수평이동판(622)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 동작을 수행하는 제5수직이동판(624)이 구비되고, 제5수직이동판(624)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흡착구(628)가 마련된 제4흡착설치부재(62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검사부재(612)에 의해 검사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고, 제어부로 전송된 정보를 전송받아 제5수직이동판(624)에 구비된 제4흡착설치부재(626)의 흡착구(628)에 불량포장지가 흡착되고, 흡착된 불량포장지는 제5수직이동판(624)과 제5수평이동판(622)의 작동에 의해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측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열융착부(710)는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측부에 위치되게 베이스(102)의 상부에 설치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10설치프레임(7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0설치프레임(712)의 상부에는 제11실린더(714)가 구비되고, 베이스(102)에 설치된 제10설치프레임(712)의 타측부는 고정봉(716)에 의해 고정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측부에 설치되되, 제11실린더(714)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는 상부가열부재(7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가열부재(720)가 제11실린더(714)의 작동에 의해 안전하게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0설치프레임(712)의 상부와 지지봉에 의해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가열부재(720)의 하부에 위치되게 베이스(102)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가열부재(7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수용된 포장지가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상부에서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하부가열부재(720)(7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가열부재(720)가 하강하면서 포장지의 입구를 가열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100)은 먼저, 진단키트를 진단키트공급부(112)의 키트공급컨베이어(114) 상부에 안착시키게 되면 진단키트는 상부지지판(116)의 하부를 통과하여 진단키트이동부(120)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키트공급컨베이어(114)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될 때 양측에 상부에 구비된 상부지지판(116)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어 일렬로 진단키트가 정렬된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트공급컨베이어(114)의 일측으로 이동된 진단키트는 진단키트이동부(120)에 의해 진단키트이송부(130)의 키트이송부재(134)에 형성된 안착홈(134a)에 한개씩 안착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수직이동판(128)을 하강시켜 제1흡착설치부재(129)의 흡착구(129a)가 키트공급컨베이어(114)에 의해 공급된 진단키트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흡착구(129a)의 흡입력에 의해 진단키트가 흡착구(129a)에 흡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흡착설치부재(129)의 흡착구(129a)에 진단키트가 흡착된 상태에서 제1수직이동판(128)이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1수평이동판(125)이 이동하여 진단키트이송부(130)의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에 위치시키 후 진단키트를 흡착시킬 때와 동일하게 제1흡착설치부재(129)를 하강시켜 진단키트가 키트이송몸체(132)의 키트이송부재(134)에 형성된 안착홈(134a)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흡입력을 소실시키게 되면 진단키트는 안착홈(134a)에 안착되고, 제1수직이동판(129)은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수평이동판(125)과 제1수직이동판(129)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진단키트공급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는 진단키트이동부(120)에 의해 진단키트이송부(130)로 공급되어 일방향으로 진단키트가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키트이송부재(134)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진단키트에 제습제를 안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키트이송부재(134)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태에서 제습제공급부(212)의 권취로울러(214)에 권취된 롤 형상의 제습제가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218)의 안내에 의해 절단부(230)로 공급되고, 이 절단부(230)로 공급되는 제습제는 절단몸체(234)의 내측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 절단몸체(234)의 내측에 구비된 절단날에 의해 1개씩 낱개로 절단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절단몸체(234)에서 낱개로 절단된 제습제는 제습제배출구(236)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습제이송몸체(252)에 구비된 제습제이송부재(256)의 안착홈(258)에 1개씩 안착되어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제이송부재(256)에 의해 이송된 제습제는 제습제이동부(270)에 의해 키트이송부재(134)에 안착된 진단키트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즉, 상기 수직이동부재(276)가 하강하여 제습제의 상부에 흡착구(278)가 안착됨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흡착구(278)에 흡착된 상태로 수직이동부재(276)가 상부로 상승하고, 이 상태에서 수평이동부재(274)가 작동하여 제습제를 키트이송몸체(13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제습제를 진단키트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이동부재(276)를 하강시키게 되면 제습제는 진단키트가 안착된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흡입력을 소실시킨 후 수직이동부재(276)를 상승시키게 되면 제습제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 진단키트와 제습제가 안착된 상태에서 포장수단(510)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키트이송부재(134)의 안착홈(134a)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진단키트와 제습제는 안착부(550)에 의해 삽입부(530)에 안착되게 된다.
즉, 상기 키트이송부재(134)에 의해 이송되는 진단키트 및 제습제는 안착부(550)의 제4수직이동판(562)이 하강하여 이동된 진단키트 및 제습제의 상부에 제3흡착설치부재(568)에 구비된 다수개의 흡착구(570)가 안착되고, 흡착구(570)의 흡입력에 의해 진단키트 및 제습제가 흡착된 상태에서 제4수직이동판(562)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4수직이동판(562)이 상승한 상태에서 제4수평이동판(558)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삽입부(530)의 삽입판(540) 상부에 위치한 다음 제4수직이동판(562)이 하강하여 지지판(542) 전면에 위치되게 삽입판(54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흡입력이 소실시킴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되면 삽입판(540)에 진단키트와 제습제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키트이송부재(134)에 의해 이송된 진단키트 및 제습제는 일정하게 삽입판(540)의 상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단키트와 제습제가 포장수단(510)의 삽입부(530)로 공급될 때 포장지와 스포이드가 포장수단(510)으로 공급되게 된다.
즉, 상기 포장지의 공급는 포장지수납부재(314))에 구획된 다수의 수납실(314a)에 다수개의 포장지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포장지이동부(330)에 의해 포장지이송부(350)로 공급되어 포장수단(510)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수납부재(314)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진 다수개의 수납실(314a)이 포장지이동부(330)에 위치되어 수납실(314a)에 수납된 포장지를 포장지이송부(358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에 의해 왕복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지수납부재(314)에 다수개로 구획된 수납실(314a)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수납실(314a)에 수납된 포장지를 번갈아가면서 인출시켜 포장지이송부(350)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포장지수납부재(314)에 수납된 포장지는 제2수직이동판(340)이 하강하여 제2흡착설치부재(346)에 구비된 흡착구(348)가 포장지의 상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흡착구(348)에 포장지가 흡착된 상태에서 제2수직이동판(340)을 상승시켜 원상복귀시키고, 이 상태에서 제2수평이동판(338)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포장지가 포장지이송몸체(35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수직이동판(340)을 하강시켜 포장지이송몸체(352)에 구비된 포장지이송부재(356)의 지지돌기(358) 사이에 위치시키고 흡입력을 소실시킴과 동시에 제2수직이동판(340)을 상승시키게 되면 포장지는 지지돌기(358)의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포장수단(510)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포장지수납부(312)에 수납된 포장지를 인출하여 포장지이송부(350)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포장지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포이드의 공급은 스포이드공급부(412)의 본체(414) 내측에 수용된 다수개의 스포이드는 안내부재(416)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렬되어 스포이드이송부재(418)에 의해 스포이드이동부(430)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414)에 수용된 스포이드는 스포이드이송부재(418)에 의해 스포이드이동부(430)로 이동될 때 머리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정렬된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포이드공급부(412)에 의해 이송된 상태에서 제3수직이동판(442)을 하강시켜 하부에 구비된 파지부재(444)가 스포이드의 머리부를 파지하게 되고, 이 스포이드의 머리부를 파지부재(444)가 파지한 후 제3수직이송판(442)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수직이동판(442)을 상승시키게 되면 파지부재(444)에 스포이드가 파지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판(450)을 작동시키게 되면 이 슬라이드판(450)이 스포이드의 하단부를 후부로 밀어 파지부재(444)에 파지된 스포이드는 후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3수평이동판(438)을 작동시키게 되면 스포이드는 포장수단(510)의 삽입부(530) 상단에 위치시키고 제3수직이동판(438)을 하강시키고 파지부재(444)의 파지 상태를 해지시킨 후 제3수직이동판(442)을 상승시키게 되면 스포이드는 삽입부(530)의 삽입판(540) 상부에 머리부가 진행 방향으로 향하도록 안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포이드공급수단(410)에 의해 포장수단(510)의 삽입부(530)로 공급함으로써, 삽입부(530)의 삽입판(540) 상부에는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한 세트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포장지에 삽입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삽입부(530)의 삽입판(540)에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한세트로하여 삽입대기 상태에서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동되는 포장지는 삽입부(530)의 동축 상에 설치된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판(522)을 하강시켜 제2포장지흡착구(520)가 포장지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때 가압판(526)은 동일하게 하강하여 포장지의 후부, 즉 삽입판(540)이 삽입되는 타측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의 흡입력에 의해 포장지의 상, 하부가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에 흡착된 상태에서 승강판(522)을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상승키시게 되면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에 흡착된 상태가 되어 포장지는 입구가 개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지의 입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삽입판(540)과 지지판(542)을 전진시키게 되면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는 삽입판(540)에 안착된 상태에서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판(540)에 의해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판(540)을 원상복귀시키되, 이때 삽입판(540)이 원상복귀시 지지판(542)은 포장지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게 되어 삽입판(540)이 상부에 안착되어 포장지의 내측으로 삽입된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는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포장지의 내측에 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판(540)의 상부로부터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지지판(542)은 원상복귀함과 동시에 제1,2포장지흡착구(514)(520)의 흡입력 소실 및 승강판(522)과 가압판(526)이 원상복귀되고, 포장지의 내측에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지의 내측에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송되어 열융착부(71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융착부(710)로 공급되는 포장지는 열융착에 의해 포장지의 입구가 밀봉되게 된다.
즉, 상기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송된 포장지는 상,하부가열부재(720)(73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가열부재(720)를 하강시켜 포장지의 입구를 가압하게 되면 상,하부가열부재(720)(730)에 구비된 열선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열융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열융착부(710)에서 포장지에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입구의 밀봉이 이루어진 포장된 완제품은 포장지이송부재(356)에 의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완제품은 용기 등 수납수단에 수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100)은 진단키트의 공급과 제습제의 공급 및 스포이드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포장지로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의 삽입과 밀봉의 모든 작업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단시간에 많은 양의 진단키트와 제습제 및 스포이드를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02 : 베이스
110 : 진단키트공급수단 112 : 진단키트공급부
114 : 키트공급컨베이어 116 : 상부지지판
120 : 진단키트이동부
122, 216, 232, 272, 332, 432, 516, 552, 620, 712 : 제 1 내지 10설치프레임
123, 334, 434, 554 : 제 1 내지 4플레이트
124, 336, 436, 556 : 제 1 내지 4모터
125, 338, 438, 558, 622 : 제 1 내지 5수평이동판
126, 127, 344, 440,452, 518, 524, 538, 544, 560, 714 : 제 1 내지 11실린더
128, 340, 442, 562, 624 : 제 1 내지 제5수직이동판
129, 346, 568, 626 : 제 1 내지 4흡착설치부재
129a, 278, 348, 570, 628 : 흡착구
130 : 진단키트이송부 132 : 키트이송몸체
132a : 안착홀 132b, 254, 354 : 가이드홈
134 : 키트이송부재 134a, 258 안착홈
134b : 지지돌기 210 : 제습제공급수단
212 : 제습제공급부 214 : 권취로울러
218 : 가이드로울러 230 : 절단부
234: 절단몸체 236 : 제습제배출구
250 : 제습제이송부 252 : 제습제이송몸체
256 : 제습제이송부재 270 : 제습제이동부
274 : 수평이동부재 276 : 수직이동부재
310 : 포장지공급수단 312 : 포장지수납부
314 : 포장지수납부재 314a : 수납실
330 : 포장지이동부 342 : 설치봉
350 : 포장지이송부 352 : 포장지이송몸체
356 : 포장지이송부재 358 : 지지돌기
410 : 스포이드공급수단 412 : 스포이드공급부
414 : 본체 416 : 안내부재
418 : 스포이드이송부재 430 : 스포이드공급부
444 : 파지부재 450 : 슬라이드판
510 : 포장수단 512 : 포장지개방부
514 : 제1포장지흡착구 520 : 제2포장지흡착구
522 : 승강부 526 : 가압판
530 : 삽입부 534 : 작동판
536 : 고정판 540 : 삽입판
542 : 지지판 550 : 안착부
564 : 설치판 566 : 설치봉
610 : 검사부 612 : 검사부재
710 : 열융착부 716 : 고정봉
720, 730 : 상,하부가열부재

Claims (2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진단키트를 공급하는 진단키트공급수단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진단키트로 제습제를 공급하는 제습제공급수단과,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포장지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수단과,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를 포장지에 삽입시키는 포장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으로 스포이드를 공급하는 스포이드공급수단과,
    상기 포장수단에서 진단키트가 삽입되어 이송되는 포장지의 입구를 밀봉시키는 열융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드공급수단은 스포이드가 투입되어 정렬공급되는 스포이드공급부와, 상기 스포이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포이드를 포장수단의 포장부로 이동 공급하는 스포이드이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포이드이동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되, 상단부에 제3모터가 구비되고, 내측에 제3모터에 연결되는 스크루축이 마련된 제3플레이트가 설치된 제6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어 제4플레이트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제4실린더가 마련된 제3수평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4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에는 스포이드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마련된 제3수직이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파지부재에 파지된 스포이드의 하부를 후부로 밀어주는 슬라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을 동작시키는 제5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은 진단키트가 공급되는 진단키트공급부와,
    상기 진단키트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진단키트를 이동시키는 진단키트이동부와,
    상기 진단키트이동부로부터 공급된 진단키트를 이송시키는 진단키트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공급부는 진단키트가 안착되는 키트공급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키트공급컨베이어의 상단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이동부는 일측부에 제1플레이트가 마련된 제1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의 상단 일측부에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1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스크루축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1수평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평이동판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속되는 제1수직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직이동판의 정면에 설치되되, 일측부에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타측부에는 제2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속되며, 하부에 흡착구가 마련된 제1흡착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이송부는 진단키트공급부의 키트공급컨베이어 일측부에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키트이송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키트이송몸체의 가이드홈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일정 간격으로 안착홈이 형성된 키트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이송몸체의 일측 끝단부에는 진단키트가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공급수단은 진단키트공급수단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습제공급부와,
    상기 제습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습제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진단키트 공급수단의 키트이송몸체 측부에 설치되어 절단부에서 절단된 제습제를 이송시키는 제습제이송부와,
    상기 제습제이송부로 이송된 제습제를 키트이송몸체의 상부로 공급시키는 제습제이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공급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롤 형상의 제습제가 장착되는 권취로울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2설치프레임에는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3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3설치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제습제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내측에 설치된 절단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몸체의 하부에는 절단된 제습제가 배출되는 제습제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이송부는 절단부의 제습제배출구 하부에 위치되어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습제이송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제이송몸체의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제습제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습제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이동부는 제습제이송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4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4설치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하는 수평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되, 하부에 흡착구가 마련된 수직이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공급수단은 포장지가 수납되는 포장지수납부와,
    상기 포장지수납부에 수납된 포장지를 인출 이동시키는 포장지이동부와,
    상기 포장지이동부에 의해 공급된 포장지를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수납부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수납실이 형성된 포장지수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이동부는 일측부에 제2플레이트가 설치된 제5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측에 스크루축이 설치되고, 이 스크루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2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스크루축에 연결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동작하는 제2수평이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수평이동판의 일측부에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제5설치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며, 하부에는 포장지수납부의 수납실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봉이 마련된 제2수직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봉의 하단부에는 하부에 흡착구가 설치된 제2흡착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이송부는 진단키트이송부의 키트이송몸체 일측부의 측부에 일측이 위치되게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포장지이송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이송몸체의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된 포장지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공급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절개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본체의 절개부에 위치되게 안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절개부에 위치한 안내부재의 끝단부에 일측이 위치되게 스포이드이송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수단은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이송몸체로 이송되는 포장지의 입구를 벌리는 포장지개방부와,
    상기 포장지개방부로 진단키트 및 제습제를 삽입시키는 삽입부와,
    상기 진단키트공급수단의 키트이송몸체 상부에 구비된 진단키트 및 제습제를 삽입부로 공급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개방부는 포장지이송몸체에 제1포장지흡착구가 구비되고,
    상기 포장지이송몸체의 측부에 결합 고정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7설치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7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에 결합고정되되, 하부에 제1포장지흡착구와 대응되는 제2포장지흡착구가 마련된 승강판이 결합 고정되는 제6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7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에 가압판이 결합 고정되는 제7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진단키트이송부의 키트이송몸체의 일측 끝단부에 근접되게 설치되되, 격실이 형성된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부에 작동판이 구비되고, 이 작동판의 후부에 이격되게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작동판에 결합고정되는 제8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판의 하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어 하우징의 격실에 위치되는 삽입판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지지판에 결합 고정되는 제9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일측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되, 일측부에 제4플레이트가 설치된 제8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4플레이트의 측부에 설치되어 모터축에 스크루축이 설치되는 제4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4플레이트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동작을 수행하는 제4수평이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4수평이동판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제4수직이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4수평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가 제4수직이동판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0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4수직이동판의 하단부에는 설치판이 설치되되, 이 설치판에는 하부에 흡착구가 마련된 제3흡착설치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는 포장지의 안착 및 이송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안착부와 포장수단의 사이에 설치되되,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게 검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융착부의 전방에 위치되게 제9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9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제5수평이송판이 구비되며, 제5수평이송판에는 제5수직이송판이 구비되고, 제5수직이송판의 하부에는 흡착구가 마련된 제4흡착설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포장지공급수단의 포장지이송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10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10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제11실린더가 구비되고, 제11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는 포장지이송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열부재의 하단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가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KR1020150119075A 2015-08-24 2015-08-24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KR10174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75A KR101745591B1 (ko) 2015-08-24 2015-08-24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75A KR101745591B1 (ko) 2015-08-24 2015-08-24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47A KR20170023647A (ko) 2017-03-06
KR101745591B1 true KR101745591B1 (ko) 2017-06-09

Family

ID=5839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75A KR101745591B1 (ko) 2015-08-24 2015-08-24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5316A (zh) * 2017-12-22 2018-06-29 宁波富乐礼机器人科技有限公司 体外诊断试剂盒的自动组装机的装配机构
CN109552681B (zh) * 2018-12-03 2023-10-31 北京大森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物料整理输送机及输送方法
CN109747907A (zh) * 2019-01-21 2019-05-14 王泽凯 一种自粘式装饰贴面板的自动切分装置
CN109747906A (zh) * 2019-01-21 2019-05-14 王泽凯 一种自粘式强力挂钩自动化贴胶方法和设备
CN109878842A (zh) * 2019-01-21 2019-06-14 王泽凯 一种包装袋自动贴胶装置
CN109747878A (zh) * 2019-01-21 2019-05-14 王泽凯 一种汽车粘贴式布线扣生产方法及系统
CN109625452A (zh) * 2019-01-21 2019-04-16 王泽凯 一种包装袋的自动上料装置
CN109625439A (zh) * 2019-01-21 2019-04-16 王泽凯 一种线夹和清洗剂包装自动化送入装置
CN110040301A (zh) * 2019-05-21 2019-07-23 迈卓泰科(天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试剂盒封口设备
KR102312948B1 (ko) * 2020-03-11 2021-10-15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스포이트 자동 조립장치
CN112722369A (zh) * 2020-12-21 2021-04-30 安徽佰欧晶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肿瘤检测用试剂盒加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60B1 (ko) * 2012-02-08 2012-10-12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160B1 (ko) * 2012-02-08 2012-10-12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47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591B1 (ko)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EP3119678B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cigarette cartridges
CN109080895B (zh) 一种试剂盒全自动灌装和封闭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101390629B1 (ko) 인공 수정 스트로를 정액으로 충진하기 위한 기계
US6575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pout-equipped bags to bag filling and packaging machine
CN111516920B (zh) 医疗试剂盒组装包装一体机
CN105109733B (zh) 全自动连续拉伸真空气调包装机
JP6667206B2 (ja) 被包装物充填装置及び包装装置
KR101782976B1 (ko) 진단키트용 포장장치
JP4613655B2 (ja) 容器充填シール装置
TWI225319B (en)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and battery production method
FI95678B (fi) Laite nestepakkausten täyttämistä ja sulkemista varten
KR101794072B1 (ko)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CN109941515B (zh) 一种薄膜手套自动包装机
JP2017065883A (ja) 容器供給装置
KR20080046902A (ko) 엠 포장지 공급장치
CN108945545B (zh) 一种一体式食用菌装袋扎口机
CN107235187B (zh) 一种轴管件制袋装袋机
CN106379581B (zh) 西林瓶自动包装机
JP2006213395A (ja) 袋詰装置
KR102599074B1 (ko) 단위제품의 포장장치
JP2535959B2 (ja) 口栓付着装置付き液体充填密封装置
CN215707505U (zh) 一种数码电子雷管套袋贴标机构
JPH0114094B2 (ko)
KR101173894B1 (ko) 용기 실링 장치의 용기 고정 및 자동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