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072B1 -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 Google Patents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072B1
KR101794072B1 KR1020170063235A KR20170063235A KR101794072B1 KR 101794072 B1 KR101794072 B1 KR 101794072B1 KR 1020170063235 A KR1020170063235 A KR 1020170063235A KR 20170063235 A KR20170063235 A KR 20170063235A KR 101794072 B1 KR101794072 B1 KR 10179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cone
magazine
supplying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환
Original Assignee
김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환 filed Critical 김유환
Priority to KR102017006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5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fectio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wrapping materials,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가 공급되지 않는 매거진에는 포장지도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적층되어 있는 원뿔형 포장지를 인출할 때 진공압착패드가 최선단의 포장지만을 흡착하여 인출되게 하여 복수 개의 포장지가 한꺼번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며, 포장지가 적층되어 있는 매거진을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매거진에 많은 포장지를 한꺼번에 적층시킬 수 있어서 관리가 편리하고, 하나의 실린더로 복수 개의 매거진 및 관련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Sleeving machine for automatic packing of ice cream cone with paper wrapping cones}
본 발명은 슬리빙머신(sleev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제작되어 자동으로 공급되는 원뿔형 포장지 내부에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자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에 관한 것이다.
아이스크림을 먹는 방법은, 일정 형상의 용기에 아이스크림을 넣고 별도의 스푼으로 떠먹는 방법과, 아이스크림을 일정한 용량으로 하나씩 낱개로 포장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과자로 만든 원뿔 형상의 콘 과자 속에 넣어 먹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콘 과자 속에 넣는 방법의 경우,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는 원뿔 형상의 속이 빈 콘 과자로 제조되면서 곧바로 자동 공급되는 원뿔형 포장지 내부에 삽입되고, 속이 비어 있는 콘 과자가 포장지 내부에 하나씩 삽입된 상태로 일정 개수씩 포장되어 아이스크림 제조회사에 납품되게 되며, 아이스크림 제조회사에서는 각 원뿔형 포장지에 삽입된 콘 과자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채워서 상단부를 마감처리 하여 판매하게 된다.
정상적으로는 하나의 포장지에는 하나씩의 콘 과자만 삽입되어야 하고, 또한, 콘 과자에 포장지가 씌워지지 않은 상태로 포장되어서도 안 된다. 그런데 얇은 종이로 제작된 원뿔 형상의 포장지가 서로 끼워져서 적층되어 있다가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한 번에 여러 개의 포장지가 인출될 경우 포장지의 손실은 물론 콘 과자에 아이스크림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단부를 마감처리 할 때 마감처리가 잘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지금까지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561934호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의 자동 포장방법 및 그 장치", 특허등록 제864329호 "아이스크림 콘 과자 포장지의 인출방법 및 그 장치" 등과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상기 특허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열(列)로 설치된 다수의 매거진(적재관) 내부에 포장지가 적층된 상태로 놓여 있다가 각 매거진(적재관)의 하부에서 고무로 된 롤러가 포장지의 양측을 압착하여 하나씩 인출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한 번에 한 개씩의 포장지만 인출되어야 하는데, 많은 포장지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다 보니 하나의 매거진(적재관)에 많은 포장지를 적층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자주 적층시켜 주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에 문제가 많다.
둘째, 매거진(적재관)에 수직으로 포장지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에 의해 포장지끼리 꼭 끼어 있으므로, 포장지를 인출하기 위하여 고무 롤러로 압착하면 복수 개의 포장지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복수 열(列)로 배치된 각 매거진(적재관)에서 포장지가 인출되고, 포장지의 개수와 동일하게 갓 구워져서 자동 공급되는 콘 과자가 복수 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만일 일부 열에서 콘 과자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열에 포장지가 공급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포장지는 계속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내부에 콘 과자가 없이 포장지만 이송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매거진(적재관)이 복수 열로 설치되어 있고, 각 매거진(적재관)마다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가 공급되지 않는 매거진에는 포장지도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적층되어 있는 원뿔형 포장지를 인출할 때 진공압착패드가 최선단의 포장지만을 흡착하여 인출되게 하여 복수 개의 포장지가 한꺼번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지가 적층되어 있는 매거진을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매거진에 많은 포장지를 한꺼번에 적층시킬 수 있어서 관리가 편리하고, 하나의 실린더로 복수 개의 매거진 및 관련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은, 등간격으로 형성된 매거진을 통해, 각 매거진을 따라 콘과자를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콘과자공급부;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선단(先端) 부분을 기점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매거진에 원뿔형 포장지를 적층시키고, 각 매거진을 따라 원뿔형 포장지를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 상기 콘과자공급부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콘과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콘과자를 포장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뿔형 포장지의 내부에 삽입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된 매거진을 통해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된 상태의 포장지를 일정 주기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지공급부는,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가 바닥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눌러주는 포장지누름부재;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포장지를 잡아주는 'ㄷ'자 형상의 제1그리퍼;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 바로 다음에 위치한 포장지를 잡아주는 'ㄷ'자 형상의 제2그리퍼; 상기 제1그리퍼보다 전방에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포장지의 외주면을 진공 흡착하여, 적층된 포장지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포장지만을 분리해 주는 진공흡착패드; 상기 진공흡착패드에 진공을 공급하면서, 진공 흡착된 포장지를 상기 배출부까지 이동시켜 주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콘과자공급부에는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제1푸시바가 더 설치되어 있고, 제1푸시바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씩 이동하도록 밀어주고, 상기 배출부에는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제2푸시바가 더 설치되어 있고, 제2푸시바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가 삽입된 포장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씩 이동하도록 밀어주도록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콘과자공급부의 양 측면 선단부분에는 등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경사조절판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단(一端)이 상기 경사조절판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면서 타단(他端)이 상기 포장지공급부의 하부를 받쳐서 포장지공급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대가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로드(rod)가 설치되면서 로드에는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콘과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각 매거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지공급부의 진공흡착패드가 포장지를 진공 흡착하여 배출부의 일정 개소까지 이동시킨 후,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제1푸시바가 콘과자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를 밀어서 배출부에 놓인 포장지 내부까지 밀어준 다음, 배출부에 설치된 제2푸시바가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된 포장지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콘과자공급부의 매거진에 콘과자가 존재할 경우에만 대응하는 포장지공급부의 매거진에서도 포장지가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빙머신은, 갓 구워진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가 공급되는 각 매거진마다 센서를 장착하여 콘 과자의 유무를 감지하기 때문에 콘 과자가 공급되지 않는 열에는 포장지도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되므로 콘 과자가 들어있지 않은 포장지만 이송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매거진에 적층되어 있는 원뿔형 포장지를 인출할 때 최선단(最先端)과 그 바로 뒤에 있는 포장지를 그리퍼(gripper)가 각각 잡아주면서 한 쌍의 진공압착패드가 최선단의 포장지만을 흡착하여 인출하기 때문에 한꺼번에 복수 개의 포장지가 인출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빙머신은, 포장지를 수납하고 있는 매거진이 수직상태가 아닌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때문에 포장지끼리 무게가 덜 가해지게 되므로 수직상태보다 더 많은 포장지를 한 번에 적층시킬 수 있어서 작업자가 포장지를 자주 보충해 줄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면에서 매우 편리하고, 하나의 실린더로 다수의 매거진과 관련 기구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 및 관리면에서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빙머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콘과자공급부와 포장지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포장지공급부에서 포장지를 인출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포장지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되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리빙머신의 기술적 특징은, 콘 과자가 공급되지 않는 매거진에는 포장지도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포장지를 인출할 때 그리퍼로 잡아주면서 한 쌍의 진공압착패드가 최선단(最先端)의 포장지만을 흡착하여 인출하게 함으로써 복수 개의 포장지가 한꺼번에 인출되지 않도록 하여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였다는 점과, 포장지를 수납하고 있는 매거진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하나의 실린더로 모든 기구를 제어하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면에서 편리하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슬리빙머신(sleeving machine)(10)은, 콘과자(20)를 공급하는 콘과자공급부(11)와, 콘과자(20)의 형상과 맞는 원뿔형 포장지(30)를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13) 및 콘과자(20)를 포장지(30)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배출하는 배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과자공급부(11)는 다수 열(列)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매거진을 통해 각 매거진을 따라 콘과자를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부분으로,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콘과자공급부(11)에는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제1푸시바(push bar)(111)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푸시바(111)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2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씩 이동하도록 밀어주는 구성이다.
포장지공급부(13)는 콘과자공급부(11)의 선단(先端) 부분을 기점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매거진에 원뿔형 포장지(30)를 적층시키고, 각 매거진을 따라 원뿔형 포장지를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포장지공급부(13)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10∼40°정도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기 때문에 포장지 자체의 무게가 덜 작용하게 되므로 각 매거진마다 수직상태로 설치될 경우보다 훨씬 많은 포장지를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콘과자공급부(11)와 포장지공급부(13)의 선단(先端)은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서, 이격된 공간으로 콘과자가 공급되게 된다.
콘과자공급부(11)의 양 측면 선단부분에는 상면에 등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경사조절판(131)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단(一端)이 경사조절판(131)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면서 타단(他端)이 포장지공급부(13)의 하부를 받쳐주는 한 쌍의 지지대(132)가 설치되어, 포장지공급부(13)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지지대(132) 사이를 연결하는 로드(rod)가 설치되면서, 로드에는 콘과자공급부(11)의 각 매거진에 콘과자(2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2)가 각 매거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포장지공급부(13)는 적층된 포장지가 각 매거진에서 이탈하지 않고 바닥면에 안정되게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되도록 상부에서 눌러주는 포장지누름부재(133)와, 한꺼번에 복수 개의 포장지가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1 및 제2그리퍼(136, 137), 포장지를 진공 흡착하여 분리하는 진공흡착패드(138), 진공 흡착한 포장지를 이동시켜 주는 액츄에이터(134)를 구비하게 된다.
포장지누름부재(133)는 포장지공급부(13)의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가 각 매거진에서 이탈하지 않고 바닥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적층된 포장지의 상부에서 눌러주는 구성이다. 포장지누름부재(133)는 적층된 포장지의 상부를 눌러주는 판상(板狀)의 플레이트가 하단(下端)에 부착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는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어 있어서, 핸들을 회전시켜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가 포장지를 누르는 강도를 조절해 주게 된다.
제1그리퍼(136)는 'ㄷ'자 형상으로, 'ㄷ'자 형상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30)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포장지를 잡아주는 구성이고, 제2그리퍼(137)는 'ㄷ'자 형상으로, 'ㄷ'자 형상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 바로 다음에 위치한 포장지를 잡아주는 구성이다.
진공흡착패드(138)는 제1그리퍼(136)보다 전방에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포장지의 외주면을 진공 흡착하여, 적층된 포장지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포장지만을 분리해 주는 구성인데, 제1 및 제2그리퍼(136, 137)가 최선단과 그 다음에 위치하는 포장지를 잡아주기 때문에 한꺼번에 복수의 포장지가 분리되지 않고 정확히 하나씩만 분리되게 된다. 진공흡착패드(138)는 1개만 설치해도 되지만, 포장지를 더욱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2개를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actuator)(134)는 에어튜브(135)를 통해 공급되는 진공을 진공흡착패드(138)에 공급하면서, 진공 흡착된 포장지를 배출부(15)까지 이동시켜 주는 구성이다. 이때 콘과자공급부(11)의 일부 매거진에 콘과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포장지공급부(13)의 매거진에서도 포장지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포장지만 이동하게 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배출부(15)는 콘과자공급부(11)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콘과자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콘과자를 포장지공급부(13)에서 공급되는 원뿔형 포장지의 내부에 삽입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된 매거진을 통해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된 상태의 포장지를 일정 주기로 배출시키는 부분이다. 배출부(15)에는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제2푸시바(151)가 설치되어 있고, 제2푸시바(151)는 모터(152)의 구동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동하면서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가 삽입된 포장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씩 이동하도록 밀어주게 된다.
진공흡착패드(138)가 포장지공급부(13)의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를 진공 흡착하여 배출부(15)의 각 매거진의 일정 개소까지 이동시켜 놓은 후, 콘과자공급부(11)의 제1푸시바(111)가 콘과자공급부(11)의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를 밀어서 배출부(15)의 각 매거진에 놓인 포장지 내부까지 밀어준 다음, 배출부(15)에 설치된 제2푸시바(151)가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된 포장지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슬리빙머신
11 : 콘과자공급부 111 : 제1푸시바(push bar)
112 : 센서
13 : 포장지공급부 131 : 경사조절판
132 : 지지대 133 : 포장지누름부재
134 : 액츄에이터부 135 : 에어튜브(air tube)
136 :제1그리퍼 137 : 제2그리퍼
138: 진공흡착패드
15 : 배출부 151 : 제2푸시바
152 : 모터
20 : 콘과자
30 : 포장지

Claims (6)

  1. 등간격으로 형성된 매거진을 통해, 각 매거진을 따라 콘과자를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콘과자공급부;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선단(先端) 부분을 기점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매거진에 원뿔형 포장지를 적층시키고, 각 매거진을 따라 원뿔형 포장지를 일정 주기로 공급하는 포장지공급부;
    상기 콘과자공급부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콘과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콘과자를 포장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뿔형 포장지의 내부에 삽입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된 매거진을 통해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된 상태의 포장지를 일정 주기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지공급부는,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가 바닥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눌러주는 포장지누름부재;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포장지를 잡아주는 'ㄷ'자 형상의 제1그리퍼;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 바로 다음에 위치한 포장지를 잡아주는 'ㄷ'자 형상의 제2그리퍼;
    상기 제1그리퍼보다 전방에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포장지의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포장지의 외주면을 진공 흡착하여, 적층된 포장지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포장지만을 분리해 주는 진공흡착패드;
    상기 진공흡착패드에 진공을 공급하면서, 진공 흡착된 포장지를 상기 배출부까지 이동시켜 주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양 측면 선단부분에는 등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한 쌍의 경사조절판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단(一端)이 상기 경사조절판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면서 타단(他端)이 상기 포장지공급부의 하부를 받쳐서 포장지공급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는 로드(rod)가 설치되면서, 로드에는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콘과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각 매거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매거진에 콘과자가 존재할 경우에만 대응하는 포장지공급부의 매거진에서도 포장지가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과자공급부에는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제1푸시바가 더 설치되어 있고, 제1푸시바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씩 이동하도록 밀어주고,
    상기 배출부에는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일정 간격으로 제2푸시바가 더 설치되어 있고, 제2푸시바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가 삽입된 포장지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씩 이동하도록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누름부재는 적층된 포장지의 상부를 눌러주는 판상(板狀)의 플레이트가 하단(下端)에 부착되어 있고, 수직방향으로는 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5. 제2항에 있어서,
    포장지공급부의 진공흡착패드가 포장지를 진공 흡착하여 배출부의 일정 개소까지 이동시킨 후, 상기 콘과자공급부의 제1푸시바가 콘과자공급부의 각 매거진에 놓인 콘과자를 밀어서 배출부에 놓인 포장지 내부까지 밀어준 다음, 배출부에 설치된 제2푸시바가 내부에 콘과자가 삽입된 포장지를 전방으로 밀어주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6. 삭제
KR1020170063235A 2017-05-23 2017-05-23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KR10179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35A KR101794072B1 (ko) 2017-05-23 2017-05-23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235A KR101794072B1 (ko) 2017-05-23 2017-05-23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072B1 true KR101794072B1 (ko) 2017-11-06

Family

ID=6038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235A KR101794072B1 (ko) 2017-05-23 2017-05-23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0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56B1 (ko) * 2018-08-03 2019-04-09 김유환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CN111348253A (zh) * 2020-04-17 2020-06-30 河南科睿森智能科技有限公司 冰激凌脆筒包装纸套装装置
CN116135713A (zh) * 2023-04-20 2023-05-19 河北鲜鲜农产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级分传送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29B1 (ko) 2007-06-11 2008-10-17 김영구 아이스크림 콘 과자 포장지의 인출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29B1 (ko) 2007-06-11 2008-10-17 김영구 아이스크림 콘 과자 포장지의 인출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56B1 (ko) * 2018-08-03 2019-04-09 김유환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CN111348253A (zh) * 2020-04-17 2020-06-30 河南科睿森智能科技有限公司 冰激凌脆筒包装纸套装装置
CN116135713A (zh) * 2023-04-20 2023-05-19 河北鲜鲜农产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级分传送机
CN116135713B (zh) * 2023-04-20 2023-08-11 河北鲜鲜农产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级分传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072B1 (ko)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KR101745591B1 (ko)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US11124322B2 (en) Head for grasping and folding insert sheets, inserting device, filling station and method for grasping, folding and loading an insert sheet
CN112155450A (zh) 汉堡机
JP4747406B2 (ja) 容器供給装置
US7740123B2 (en) Packaging and supply device for grouping product items
US10251418B2 (en) Intermediate hopper in tobacco industry apparatus for vertical conveying of mass-flow or rod-like articles, feeding apparatus for feeding with tobacco industry articles, and apparatus for emptying of tray filled with tobacco industry articles
JP2002523265A (ja) プラスチック袋、特に自動機械用の袋、から成るスタックを製作しかつ搬出する装置
US7572095B2 (en) Automatic tray feeder
EP2676885B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ES2392623T3 (es) Método y unidad para formar grupos de galletas o productos similares
EP1495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bunches of flowers into sleeves
US7322166B1 (en) Apparatus for unwrapping and transporting frangible wafers for ice cream sandwiches and the like
JP2019043656A (ja) 三角サンドイッチ用包装体給袋装置
JP2013530710A (ja) トレー又は中間貯蔵部内における棒状物品の配置位置を確認すると共に修正する方法並びに装置
JP4247884B2 (ja) 物品自動集積方法及び物品自動集積装置
JPH0647761Y2 (ja) ケーサ
CN215156030U (zh) 一种肉卷装盒机
JP5827374B1 (ja) 平形おしぼりの定量袋詰め装置
KR101780056B1 (ko) 스틱형 소시지의 정량 투입장치
JP2006213395A (ja) 袋詰装置
CN110329572B (zh) 食品装盒设备
JP2000203504A (ja) 箱詰め装置
CN211845042U (zh) 一种塑料瓶存放覆膜装置
JP4466949B2 (ja) 棒状菓子の受け渡し装置及び棒状菓子の受け渡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