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56B1 -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56B1
KR101967156B1 KR1020180090548A KR20180090548A KR101967156B1 KR 101967156 B1 KR101967156 B1 KR 101967156B1 KR 1020180090548 A KR1020180090548 A KR 1020180090548A KR 20180090548 A KR20180090548 A KR 20180090548A KR 101967156 B1 KR101967156 B1 KR 10196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magazine
bar
cones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환
김정애
Original Assignee
김유환
김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환, 김정애 filed Critical 김유환
Priority to KR102018009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A23G9/50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 A23G9/506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products with an edible support, e.g. a corne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A23G9/28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for finishing or filling ice-cream cones or other edible containers; Manipulating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20/0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 A23G2220/10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with a supported structure
    • A23G2220/14Products with special structure with a supported structure being an edible support, e.g. a corn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구워서 만들어 놓은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다수 열(列)로 배치된 매거진에 적층시켜 놓고 하나씩 인출하여 원뿔형 포장지가 자동 공급되는 부분에 자동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콘과자를 굽는 기계 또는 구워진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슬리빙머신 중 어느 한쪽 기계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기계에서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과자 공급장치는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기 위한 슬리빙머신에 미리 구워진 콘과자를 매거진에 적층시켰다가 하나씩 인출하여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데, 콘과자를 적층시켜 놓기 위한 콘과자 매거진(11)과, 콘과자 매거진(11)에 선단부분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그립부(12)와 홀딩부(13) 및 지지부(14)를 구비하고, 그립부(12)와 홀딩부(13) 사이에 설치되어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를 하나씩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124)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Automatic feeder that automatically feeds ice cream cone sweets}
본 발명은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구워서 만들어 놓은 콘과자를 매거진에 적층시켜 놓고 하나씩 인출하여 슬리빙머신(sleeving machine)의 원뿔형 포장지가 자동 공급되는 부분에 자동으로 공급해 주기 위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cone) 형상으로 낱개로 판매되고 있는 아이스크림의 경우, 원뿔 형상으로 제조된 아이스크림용 콘과자가 원뿔형 포장지 내부에 삽입되어, 속이 비어 있는 콘과자가 포장지 내부에 하나씩 삽입된 상태로 일정 개수씩 포장되어 아이스크림 제조회사에 납품되게 되며, 아이스크림 제조회사에서는 각 원뿔형 포장지에 삽입된 콘 과자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채워서 상단부를 마감처리 하여 판매하게 된다.
지금까지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561934호 "아이스크림용 콘과자의 자동 포장방법 및 그 장치", 특허등록 제864329호 "아이스크림 콘과자 포장지의 인출방법 및 그 장치" 등과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상기 특허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열(列)로 설치된 다수의 매거진(적재관) 내부에 포장지가 적층된 상태로 놓여 있다가 각 매거진(적재관)의 하부에서 고무로 된 롤러가 포장지의 양측을 압착하여 하나씩 인출하여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한 번에 한 개씩의 포장지만 인출되어야 하는데, 많은 포장지가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다 보니 하나의 매거진(적재관)에 많은 포장지를 적층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자주 적층시켜 주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에 문제가 많다.
둘째, 매거진(적재관)에 수직으로 포장지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에 의해 포장지끼리 꼭 끼어 있으므로, 포장지를 인출하기 위하여 고무 롤러로 압착하면 복수 개의 포장지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복수 열(列)로 배치된 각 매거진(적재관)에서 포장지가 인출되고, 포장지의 개수와 동일하게 갓 구워져서 자동 공급되는 콘과자가 복수 열(列)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만일 일부 열(列)에서 콘과자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당연히 해당 열(列)에 포장지가 공급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포장지는 계속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내부에 콘과자가 없이 포장지만 이송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넷째, 매거진(적재관)이 복수 열로 설치되어 있고, 각 매거진(적재관)마다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특허등록 제1794072호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을 개발하여 특허받았는데, 상기 특허는 포장지공급부에 적층된 원뿔형 포장지를 하나씩 인출하여 갓 구워져서 공급되어 오는 콘과자에 하나씩 씌우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상기 특허는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와 갓 구워진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작업이 일련의 연속과정으로 진행되는 기계에서 포장지를 씌우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콘과자를 직접 굽는 기계, 또는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슬리빙머신 중 어느 하나의 기계가 고장이 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나머지 하나의 기계도 작동을 멈출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구워서 만들어 놓은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다수 열(列)로 배치된 매거진에 적층시켜 놓고 하나씩 인출하여 원뿔형 포장지가 자동 공급되는 부분에 자동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콘과자를 굽는 기계 또는 구워진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슬리빙머신 중 어느 한쪽 기계에 고장 등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기계에서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는, 선단(先端)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매거진에 원뿔 형상의 콘과자를 적층시켰다가, 각 매거진에서 콘과자를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해 주게 되는 콘과자 매거진; 상기 콘과자 매거진의 선단(先端)부분에 위치하면서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最先端)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주는 그립(grip)부; 상기 그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주는 홀딩(holding)부; 상기 홀딩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면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에서 원뿔 형상의 꼭지점을 지지해 주는 지지부; 상기 그립부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홀딩부와 지지부가 상승해 있는 동안 그립부에서 홀딩부 쪽으로 전진하면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pushe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립부의 양단(兩端)에는 그립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1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홀딩부의 양단에는 홀딩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2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지지부의 양단에는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3실린더가 각각 설치되며, 푸셔의 양단에는 푸셔를 전후진시키는 한 쌍의 제4실린더가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립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절곡되어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제1바(bar); 상기 제1바에 결합되면서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마다 각각 설치되게 되는 누름조절부;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누름조절부 각각에는, 상단부가 절곡되어 단면(斷面)이 'ㄱ'자 형상이고, 제1바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출단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누름판; 일단(一端)이 누름판의 절곡된 부분에 결합되고, 제1바에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는 샤프트; 내부로 샤프트가 관통하게 되며, 하단은 제1바의 돌출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은 제1바의 상단부에서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외측에 끼워져서, 제1바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절곡된 부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삽입관의 상단과 접하게 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콘과자의 외경에 따라 누름판이 콘과자를 잡아주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홀딩부는,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제2바(bar);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제2바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주게 되는 홀딩판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제3바(bar); 하단이 매거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제3바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원뿔 형상의 꼭지점을 지지해 주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푸셔는, 바 형상의 하부에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단부(端部)가 판상 부분의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에 걸려서 푸셔가 전진하는 동안 콘과자가 전방으로 밀려서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자동공급장치는 미리 구워서 만들어 놓은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다수 열(列)로 배치된 매거진에 적층시켜 놓고 정확히 하나씩 인출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슬리빙머신의 원뿔형 포장지가 자동 공급되는 부분에 자동으로 공급해 주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가 고장이 발생하면 그동안 구워놓은 콘과자를 슬리빙머신에 계속 공급하여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작업을 계속하고, 슬리빙머신이 고장나면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작업은 못하더라도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는 콘과자를 계속 구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콘과자를 굽는 기계 또는 구워진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슬리빙머신 중 어느 한쪽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기계에서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과자 자동공급장치가 슬리빙머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과자 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푸셔가 콘과자를 전방으로 밀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푸셔가 콘과자를 전방으로 밀어서 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푸셔가 콘과자를 밀고 난 후의 그립부와 홀딩부 및 지지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그립부와 푸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누름조절부가 그립부의 제1바에 결합된 상태 및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자동공급장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미리 구워진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적층시켰다가 자동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콘과자를 굽는 기계 또는 구워진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슬리빙머신 중 어느 한쪽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기계에서는 작업을 계속 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과자 공급장치(10)는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기 위한 슬리빙머신(20)에 미리 구워진 콘과자(30)를 매거진에 적층시켰다가 하나씩 인출하여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데, 콘과자를 적층시켜 놓기 위한 콘과자 매거진(11)과, 콘과자 매거진(11)에 선단부분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그립부(12)와 홀딩부(13) 및 지지부(14)를 구비하고, 그립부(12)와 홀딩부(13) 사이에 설치되어 콘과자 매거진(11)에 적층된 콘과자(30)를 하나씩 인출하여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124)를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2 참조).
콘과자 매거진(11)은 선단(先端)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열(列)로 형성된 각 매거진에 미리 구워진 원뿔 형상의 콘과자(30)를 적층시켰다가, 각 매거진에서 콘과자를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해 주게 되는 구성이다. 선단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최선단(最先端)에 위치한 콘과자가 인출되고 나면, 적층된 나머지 콘과자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일정 거리씩 전진하면서 각 매거진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출되게 된다. 각 매거진은 콘과자가 안치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미리 구워진 콘과자를 각 매거진에 보충해 준다.
지금까지는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에서 갓 구워진 콘과자가 슬리빙머신(20)에 직접 공급되면서 콘과자에 포장지(40)를 씌우는 작업이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 또는 콘과자에 포장지를 씌우는 슬리빙머신(20) 중 어느 한쪽 기계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정상 작동하고 있는 다른 한쪽 기계의 작업을 중지시킬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특히 생산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콘과자 공급장치(10)는 미리 구워둔 콘과자를 콘과자 매거진(11)에 적층시켰다가 매거진에서 하나씩 인출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 또는 슬리빙머신(20) 중 어느 한쪽 기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나머지 한쪽 기계는 정상적인 작업을 계속 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립(grip)부(12)는 콘과자 매거진(11)의 선단(先端)부분에 위치하면서 콘과자 매거진(11)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最先端)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줘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인출될 때 동일한 열(列)의 매거진에서 한꺼번에 복수개의 콘과자가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립부(12)의 양단(兩端)에는 그립부(12)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1실린더(123)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그립부(12)가 최선단에서 두번째 위치한 콘과자를 잡고 있는 동안 홀딩부(13)와 지지부(14)가 동시에 상승하여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인출되고 난 다음, 홀딩부(13)와 지지부(14)가 하강하면 그립부(12)가 제1실린더(123)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가 일정 거리를 흘러내리면서 다시 인출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도 3 내지 5 참조).
그립부(12)는 제1바(bar)(121)와 누름조절부(122)를 구비하게 된다. 제1바(121)는 판상(板狀)의 부재가 상단부와 하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며, 제1바(121)의 양단이 제1실린더(123)의 로드와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제1바(121)의 전방에는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124)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조절부(122)는 제1바(121)에 결합되면서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마다 각각 설치되게 되는데, 각 누름조절부(122)는 1개의 누름판(122a)을 구비하고, 누름판(122a)은 상단부가 절곡되어 단면(斷面)이 'ㄱ'자 형상이고, 제1바(121)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출단(121a)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원 형상의 홈이 최선단(最先端)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줘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인출될 때 나머지 콘과자는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주는 구성이다(도 7 참조).
누름판(122a)은 샤프트(122b), 삽입관(122c), 스프링(122d) 및 체결볼트(122e)에 의해 제1바(121)와 결합되게 된다. 샤프트(122b)는 일단(一端)이 누름판(122a)의 절곡된 부분에 결합되고, 제1바(121)에서 돌출단(121a)과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고, 1개의 누름판(122a)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샤프트(122b)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관(122c)은 그 내부로 샤프트(122b)가 관통하게 되며, 하단은 제1바의 돌출단(121a)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은 제1바(12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며, 삽입관(122c)의 하단에는 와셔를 더 삽입할 수도 있다(도 7 참조).
스프링(122d)은 삽입관(122c)의 외측에 끼워져서, 제1바(12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부분과 돌출단(121a)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성이다. 또한, 체결볼트(122e)는 샤프트(122b)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면서 삽입관(122c)의 상단과 접하게 되는 구성이다. 콘과자의 측면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1개의 누름판(122a)에 샤프트(122b), 삽입관(122c), 스프링(122d) 및 체결볼트(122e)는 2개씩 결합되거나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콘과자를 굽는 기계(오븐)에서 구워져서 나온 콘과자라도 모든 콘과자의 측면 외경의 크기가 완전히 동일할 수는 없고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힘으로 콘과자의 측면을 누르면, 외경이 조금이라도 큰 콘과자는 부서져버리게 되므로, 콘과자의 측면 외경 크기에 따라 누름판(122a)의 위치가 약간씩 바뀌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외경이 약간 큰 콘과자를 잡아 줄 때는 누름판(122a)이 위로 밀리면서 스프링(122d)이 약간 압축되게 되고, 외경이 작은 콘과자를 잡을 때 보다는 누름판(122a)의 위치가 약간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잡아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누름조절부(122)는 콘과자의 외경에 따라 콘과자를 잡아주는 누름판(122a)의 높이를 조절해 주게 된다.
홀딩(holding)부(13)는 그립부(12)의 전방에 그립부(1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일정 부분을 잡아서 최선단의 콘과자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홀딩부(13)의 양단(兩端)에는 홀딩부(13)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2실린더(133)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제2실린더(133)의 작동에 의해 홀딩부(13)가 상승하면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흘러내리면서 인출되게 된다(도 3 내지 5 참조).
홀딩부(13)는 제2바(131)와 홀딩판(132)을 구비하게 된다. 제2바(131)는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구성이며, 제2바(131)의 양단이 제2실린더(133)의 로드와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홀딩판(132)은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제2바(131)에 결합되어 각 매거진마다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측면을 일정 위치에서 잡아줘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인출될 때까지는 콘과자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홀딩판(132)은 제2바(131)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홀딩판(132)이 제2바(131)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4)는 홀딩부(13)의 전방에 홀딩부(13)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에서 원뿔 형상의 꼭지점을 지지해 주는 구성이다. 지지부(14)의 양단에는 지지부(14)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3실린더(143)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제3실린더(143)의 작동에 의해 지지부(14)가 상승하면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흘러내리면서 인출되게 된다. 지지부(14)와 홀딩부(13)는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도 3 내지 5 참조).
지지부(14)는 제3바(141)와 지지판(142)을 구비하게 된다. 제3바(141)는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구성이며, 제3바(141)의 양단이 제3실린더(143)의 로드와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지지판(142)은 하단이 매거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제3바(141)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각 매거진마다 설치되는데,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원뿔 형상의 꼭지점을 지지해 주게 된다. 콘과자를 굽는 과정에서 또는 구워진 후에 꼭지 부분의 일부가 부서질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이 꼭지 일부가 부서졌을 경우에는 최선단의 콘과자가 다른 콘과자보다 더 미끄러져 내려올 수도 있으나 이때는 홀딩부(13)의 홀딩판(132)이 일정 위치에서 콘과자를 잡아서 일정 이상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푸셔(pusher)(124)는 바(bar) 형상의 하부에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립부(12)의 제1바(121) 전방에 위치하면서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한 쌍의 제4실린더(125)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푸셔(124)의 바(bar) 형상 양단이 제4실린더(125)와 연결되어 일정 거리를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푸셔(124)는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전방으로 밀어서 인출시키게 되는데, 푸셔(124)는 홀딩부(13)와 지지부(14)가 상승해 있는 동안 그립부(12)에서 홀딩부(13) 쪽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때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단부(端部)가 푸셔(124)의 판상(板狀) 부분의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에 걸려서 푸셔(124)가 전진하는 동안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가 전방으로 밀려서 인출되게 된다(도 3 내지 5 참조).
콘과자 매거진(11)에서 인출된 콘과자는 슬리빙머신(20)의 콘과자공급부로 이동하게 되고, 콘과자공급부에 설치된 푸시바(21)가 콘과자를 일정 속도로 밀어서 보내면, 각 콘과자에 포장지(40)가 씌워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콘과자 공급장치 11 : 콘과자 매거진
12 : 그립(grip)부 121 : 제1바(bar)
122 : 누름조절부 123 : 제1실린더
124 : 푸셔(pusher) 125 : 제4실린더
13 : 홀딩부 131 : 제2바(bar)
132 : 홀딩판 133 : 제2실린더
14 : 지지부 141 : 제3바(bar)
142 : 지지판 143 : 제3실린더
20 : 슬리빙머신 21 : 푸시바(push bar)
30 : 콘과자
40 : 포장지

Claims (7)

  1. 선단(先端)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매거진에 원뿔 형상의 콘과자를 적층시켰다가, 각 매거진에서 콘과자를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해 주게 되는 콘과자 매거진;
    상기 콘과자 매거진의 선단(先端)부분에 위치하면서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最先端)에서 두번째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주는 그립(grip)부;
    상기 그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주는 홀딩(holding)부;
    상기 홀딩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면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의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에서 원뿔 형상의 꼭지점을 지지해 주는 지지부;
    상기 그립부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홀딩부와 지지부가 상승해 있는 동안 그립부에서 홀딩부 쪽으로 전진하면서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push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절곡되어 단면(斷面)이 'ㄷ'자 형상이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제1바(bar);
    상기 제1바에 결합되면서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마다 각각 설치되게 되는 누름조절부;
    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누름조절부 각각에는,
    상단부가 절곡되어 단면(斷面)이 'ㄱ'자 형상이고, 제1바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돌출단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누름판;
    일단(一端)이 누름판의 절곡된 부분에 결합되고, 제1바에서 상단부와 하단부의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는 샤프트;
    내부로 샤프트가 관통하게 되며, 하단은 제1바의 하단부에서 절곡된 돌출단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은 제1바의 상단부에서 절곡된 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외측에 끼워져서, 제1바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절곡된 부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스프링;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삽입관의 상단과 접하게 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콘과자의 외경에 따라 누름판이 콘과자를 잡아주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양단(兩端)에는 그립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1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홀딩부의 양단에는 홀딩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2실린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는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제3실린더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푸셔의 양단에는 푸셔를 전후진시키는 한 쌍의 제4실린더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 각각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샤프트가 결합되고, 각 샤프트에는 삽입관과 스프링 및 체결볼트가 각각 끼워지거나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제2바(bar);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제2바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를 잡아주게 되는 홀딩판;
    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과자 매거진에 형성된 각 매거진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콘과자 매거진에서 일정 높이 사이를 승강하게 되는 제3바(bar);
    하단이 매거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로, 제3바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원뿔 형상의 꼭지점을 지지해 주는 지지판;
    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바(bar) 형상의 하부에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각 매거진에 적층된 콘과자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콘과자의 단부(端部)가 판상 부분의 하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의 홈에 걸려서 푸셔가 전진하는 동안 콘과자가 전방으로 밀려서 인출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KR1020180090548A 2018-08-03 2018-08-03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KR10196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48A KR101967156B1 (ko) 2018-08-03 2018-08-03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48A KR101967156B1 (ko) 2018-08-03 2018-08-03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156B1 true KR101967156B1 (ko) 2019-04-09

Family

ID=6616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548A KR101967156B1 (ko) 2018-08-03 2018-08-03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1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42A (ko) * 2001-03-30 2002-10-11 이익재 아이스크림용 콘지 공급장치
JP2014076030A (ja) * 2012-10-12 2014-05-01 Morinaga & Co Ltd スティック付き食品の製造方法及びスティック付き食品の差し込み状態是正装置
KR101794072B1 (ko) * 2017-05-23 2017-11-06 김유환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KR20180023179A (ko)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조흥기계 과자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842A (ko) * 2001-03-30 2002-10-11 이익재 아이스크림용 콘지 공급장치
JP2014076030A (ja) * 2012-10-12 2014-05-01 Morinaga & Co Ltd スティック付き食品の製造方法及びスティック付き食品の差し込み状態是正装置
KR20180023179A (ko)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조흥기계 과자 투입장치
KR101794072B1 (ko) * 2017-05-23 2017-11-06 김유환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1953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zza
US3880420A (en) Conveyor system for conveying sheets
AU687078B2 (en) Handling sheet material
EP3078259B1 (en) Synchronization mechanism
KR101967156B1 (ko) 아이스크림용 콘과자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BR112013022160A2 (pt) conjunto para separar discos de metal pré-lubrificados, e, método de extração de um único disco a partir da base de uma pilha de discos pré-lubrificados
US491958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soft cups
GB2077566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multilayer filled wafer blocks
KR101794072B1 (ko) 아이스크림용 콘 과자를 포장지에 자동 포장하는 슬리빙머신
MX2007010736A (es) Sistema de alimentacion de tortillas de maiz o de harina de trigo a un transportador.
KR101107717B1 (ko) 호떡 성형장치
US7858130B2 (en) Automated system for handling food products
CN107668117A (zh) 一种夹心食品生产加工设备
GB2163086A (en) Dough moulding
CN104692134B (zh) 月饼糕点自动排盘机
CN214126744U (zh) 新型擀酥机
CN107264873A (zh) 餐巾纸自动取纸设备及其使用方法
CN204528679U (zh) 月饼糕点自动排盘机
DE202011107852U1 (de) Maschine zum Einlegen von Materialzuschnitten in Boxen, Körben oder Dielen aus einer Kassette oder von der Rolle
US3058434A (en) Machines for cooking crumpets and like hotplate goods
US4219294A (en) Machine for separating and discharging products in sheet form
DK178673B1 (da) Anlæg samt fremgangsmåde til dannelse af kapselmønstre ved pakning af kapsler i en emballage
ITTO20080222A1 (it) Metodo ed unita' per la formazione di gruppi di fette biscottate o prodotti simili
GB2232948A (en) Wafer block accumulator
DE2618137C3 (de)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stabförmigen Gegenständen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